KR100942321B1 - 자동차 시트용 팬 모듈 및 노이즈를 차단한 모터 자동차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팬 모듈 및 노이즈를 차단한 모터 자동차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321B1
KR100942321B1 KR1020070112833A KR20070112833A KR100942321B1 KR 100942321 B1 KR100942321 B1 KR 100942321B1 KR 1020070112833 A KR1020070112833 A KR 1020070112833A KR 20070112833 A KR20070112833 A KR 20070112833A KR 100942321 B1 KR100942321 B1 KR 10094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ound
fan module
housing
vehic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136A (ko
Inventor
마우리쎄 클라우스
미체르 체이엔
프란츠 보흐렌데르
Original Assignee
에베르쉬페쳐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베르쉬페쳐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에베르쉬페쳐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041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7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forming a windbreak, e.g. warm air blown on the neck of the passenger of an ope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3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컨덕팅 덕트(14)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사용시에 상기 덕트(14)내부에 공기 흐름(18)을 일으키는 공기 컨베이어(16)를 수용하는 하우징(12)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에 관한 것이다.
팬 모듈(10)의 동작중에 노이즈로 야기되는 난류를 줄이기 위해 하우징(12) 및/또는 덕트(14)는 상기 하우징(12) 및/또는 상기 덕트(14)는 소리 흡수재(22)로 덮히고, 상기 공기 컨베이어(16)뒤 하류부분에 상기 공기 흐름(18)의 흐름 방향으로 및 상기 공기 흐름(18)의 흐름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소리 방출구(20)를 포함한다.(도 1)
팬 모듈, 공기 컨덕팅 덕트, 공기 컨베이어, 소리 방출구, 발포재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팬 모듈 및 노이즈를 차단한 모터 자동차 시트{FAN MODULE FOR A VEHICLE SEAT AND MOTOR VEHICLE SEAT WITH NOISE INSULATION}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팬 모듈 및 모터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입의 팬 모듈은 쾌적한 공기 조화를 신속하고도 거의 순간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는 팬 모듈에 의해 공급되거나 포획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카브리올렛이나 로드스터등의 오픈 자동차에서는, 공간과 관련하여 자동차 시트주변과 시트에 탑승한 사람, 특히 그 탑승자의 목부위로 한정된 공기 조화가 개방된 승객칸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쾌적한 공기 조화는 팬 모듈이 동작하는 동안 발생하는 노이즈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DE 101 60 799A1공보에 자동차 시트의 시트백 후측 뒤로 또는 커버를 씌운 헤드레스트 후방 위로 일반 팬 모듈을 옮긴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다량의 공기가 전달되면, 팬 모듈의 동작 상태에 따라 분명히 들을 수 있는 노이즈가 발생한다. 노이즈 원에 의해 방출되는 소리 패턴은 공기 흐름에 의해 어느 정도 "전달"된다. 이러한 소리 패턴은 특히 공기 흐름이 자동차 시트에 앉아 있는 사람의 귀 방향으로 향해있다면 그 사람이 쉽게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노이즈를 줄이고 일련의 제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한 팬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작시 일어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모터 자동차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3에 정의된 자동차 시트에 따른 기술적으로 간단한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팬 모듈로 달성될 수 있다.
팬 모듈의 노이즈 원에서 발산되는 음파는 소리 방출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덕트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에서 특히 중요하다. 빠져나가는 음파는 소리 흡수재에 의하여 어느 정도 "흡수"되거나 "소멸"된다.
음파는 노이즈 원으로부터 공간내 전방향으로 구형으로 전파된다. 진동하는 공기가 팬 모듈이 동작하는 동안 이동하면 소리 간섭과 가청범위로의 주파수 천이가 일어날 수 있다. 음파는 하우징 및/또는 덕트에 반복적으로 작용하여 그 일부는 반사되면서 하우징 및/또는 덕트를 진동하게 한다. 공기 흐름의 흐름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소리 방출구는 이러한 반사 현상을 상당한 정도로 줄인다. 이를 위해 소리 방출구는 소리 흡수재로 덮힌다.
소리 방출구가 노이즈 원에 가능한 근접하여 배치되면 특히 효과적으로 노이 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소리 방출구를 공기 컨베이어뒤 하우징상에 제공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뒤" 또는 "하류부분" 및 "앞" 또는 "상류부분"은 각각 공기 흐름의 흐름방향에 대한 설명에 사용된다. 공기 컨베이어는 양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일으킬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공기 컨베이어의 이동 엘리먼트, 그 구동 수단 및 공기 흐름을 제한하고 전환하기 위한 수단은 노이즈 원으로 간주된다. 상세하게는 후자의 수단은 공기 흐름을 수용하는 덕트에 연결된다. 공기의 흐름 속도와 온도에 응하여 덕트내에 난류가 일어날 수 있다. 노이즈로 인식되는 이러한 난류는 또한 덕트의 테이퍼부와 곡부에 일어난다. 따라서 이러한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소리 방출구를 아래에 그리고 소리원에 근접하여 위치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공기 컨베이어의 흡입 동작 동안 덕트가 자동차내부의 하부에서 종단하는 경우, 하우징은 덕트를 따라 공기 컨베이어의 양측상에 소리 방출구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덕트는 팬 모듈에 의해 단순히 형성된 덕트와 하우징에 부착가능한 개별 덕트부를 구비한 복수의 부로 된 덕트 시스템을 포함한다. 덕트부는 예컨대 자동차 시트에 의해 제공된 오목부일 수 있다.
특히 쾌적한 공기 조화를 위해, 공기 흐름을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덕트내부에 히터가 제공된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히터는 가변적으로는 물론 전기에너지로 동작될 수 있고, 공기 흐름은 흐름 장애물을 만나거나 이를 지나서 흐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소리 방출구를 공기 컨베이어 와 히터 사이에 또는 히터 뒤에 각각 배치한다.
현재의 자동차 시트는 시트 위치에 대한 여러 조절가능성을 제공 한다. 하단에 덕트 출구를 위치시키기 위해 덕트는 상세하게는 가요성의 곡부를 구비한다. 덕트의 길이가 변하거나 공기 흐름이 전환되면 난류가 일어날 수 있다. 공기 흐름이 몸의 특정 부위, 예컨대, 머리, 얼굴, 등, 어깨 등의 부위를 향해 있는 경우 이러한 가요성 곡부는 덕트 출구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소리 방출구는 이러한 가요성 곡부 내부에 제공 된다.
또한, 하우징과 공기 컨베이어의 이동부 사이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공기 컨베이어가 팬 모듈상에 위치하면 하우징은 진동하도록 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팬 모듈은 하우징이 U자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대응쉘 형태로 구현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소리 방출구는 쉘의 벽내에 움푹들어가 있다. 팬 모듈이 사용중일 때, 벽은 자동차 시트의 시트 표면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하우징을 두 부분으로 구현함으로써 이동부와의 공진에 의해 하나의 쉘에 노이즈 발생이 제한될 수 있다. 소리 방출구를 구비한 벽은 시트 표면을 향해 있을 수 있고, 여기서 자동차 시트의 상부재와 팬 모듈사이에 연장되는 니트천이 소리 흡수재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다양한 방식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에 따른 팬 모듈은 또 다른 소리 방출구가 제 1 쉘의 소리 방출구에 대향하여 위치되는 제 2 쉘의 벽에 제공되도록 구현된다. 슬림 덕트는 쉘의 대향하는 넓은 측상에 소리 방출구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소리 방출구는 사용 상태에서 자동차 시트의 상부재를 포함하는 발포체로 둘러싸인다.
덕트에 작용할 때 거의 완벽한 정도로 특정 부분에서 소리를 추출하기 위해 팬 모듈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라 소리 개구가 복수의 구멍을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하우징이 강도와 강성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구멍 표면적의 합이 소리 방출구에 대하여 비교적 큰 오목부를 형성하는 이점을 갖게한다.
소리가 소리 원으로부터 덕트내의 중심으로 전파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구멍은 대략 덕트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전문가 집단에 잘 알려진 소리 전달을 줄이는 임의의 제품이 소리 흡수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예컨대 적은 부피 밀도를 갖는 발포체와 소리를 완전히 반사시키는 표면을 갖는 형성체를 구비한 발포체를 포함한다. 소리 흡수재로서 발포재를 사용하는 것은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발포재는 저가일뿐 아니라 소리 방출구를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가요성이 있다.
대량 생산을 위해 특히 비용절감을 위한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라 소리 방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주위에 발포재를 둘러싼다. 따라서 발포재는 소리 개구가 분포되어 있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자동차 시트의 자동차 장식은 또 다른 소리 흡수재로 적합하다. 이러한 장식은 예컨대 좌석의 안락성을 향상시키는 발포재를 포함한다. 통풍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식은 공기로 채워진 불규칙 형상의 공간을 포함한다. 이러한 공간은 작용하는 음파를 감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팬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 에 따라 자동차 시트의 일부가 소리 방출구를 덮는 발포재로 코팅된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팬 모듈을 수용하는 공동부 및 덕트부를 제공하는 자동차 시트내 상기한 오목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팬 모듈을 갱신하거나, 유지관리하거나, 수리할 수 있고, 필요시 교체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팬 모듈은 목이나 머리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팬 모듈은 자동차 시트의 등에 일체로될 수 있고 시트백 내부의 덕트가 시트 표면의 방향으로 자동차 시트의 상부 모서리상에 하부에서 종단되게끔 지향될 수 있도록 된다.
도 13에 따른 모터 자동차 시트는 팬 모듈을 포함한다. 노이즈 최적화를 위해 팬 모듈은 상기한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차 시트내의 덕트는 예컨대 승객 좌석부분이 개방되어 있다면 목부위에 까지 이르러 착석한 사람을 건강과 안락에 영향을 미치는 소음으로부터 보호한다. 덕트에서 빠져나가는 공기 흐름은 여기서 특히 잘 들릴 수 있다. 동작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덕트 및/또는 하우징은 공기 흐름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소리 방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 방출구는 소리 흡수재로 덮힌다.
본 발명은 기술적 구현에 의하여 저가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동작 노이즈의 효과적인 절감을 가능하게 한 팬 모듈 및 노이즈 차단의 모터 자동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과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예외적인 경우외에는 이하의 설명은 도면 전체에 같이 적용되고 같은 부재번호는 같은 구성요소를 참조한다.
도 1에 도시된 팬 모듈(10)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 시트(100)의 공기 조화 기능을 수행한다. 팬 모듈(10)은 직사각형 튜브 형태의 공기 컨덕팅 덕트(14)를 형성하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덕트(14)는 제 1 부 및 제 2 부로 분할되고, 여기서 제 1 부는 공기 컨베이어(16)를 포함하고 두 개의 쉘(30)로 형성된다. 쉘(30)중 하나는 외측에서 짝을 이루는 쉘(30)을 밀폐하기 위한 클립(15)을 포함한다. 공기 컨베이어(16)는 전기구동 EC모터에 의해 샤프트를 거쳐 구동될 수 있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로터(17)를 포함한다. 로터(17)의 회전방향에 따라 팬 모듈(10)이 동작하는 동안 덕트(14)내에서 공기 흐름(18)이 생길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공기는 아래쪽에서 주전자 주둥이 형태로 되어 덕트 출구(28)쪽으로 좁아지는 덕트(14)의 제 2 부로 흐른다.
공기 컨베이어(16)가 동작할 때 덕트(14)를 통해 흐르는 공기 기둥에 전달될 수 있는 노이즈 원 인 진동이 일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더욱이 로터(17)의 고속회전시 로터 블레이드(17.1)와 하우징(12)사이에서 난류가 일어난다. 이러한 진동과 난류에 의한 음파는 공간내 전방향으로 전파되고 결국 공기 흐름(18)에 의해 덕트 출구(28)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공기 흐름(18)은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주파수응답으로 주파수편이를 일으킬 수 있고 따라서 진동이 들릴 수 있다. 이는 속도가 변하면 뚜렷하게 일어난다.
음파가 덕트(14)를 통과할 때, 하우징(12)과, 하우징(12)과는 별개로 연결될 수 있는 덕트(14)를 형성하는 기타 덕트부에 의해 수회 반사된다. 음파를 줄이기 위해서, 쉘(30)의 1 벽(32)에 소리 방출구(20)를 부가한다. 소리 방출구(20)는 공기 흐름(18)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여기서 덕트의 내부와 주변간의 적은 압력 차이에 의하여 공기 흐름(18)의 적은 일부만이 빠져나가면서 음파가 덕트(14)에서 새어나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손실은 소리 방출구(20)를 덮고 있는 소리 흡수재(22)에 의하여 더 줄어든다. 그러나, 음파는 주로 소리 흡수재(22)에 의하여 감쇠된다. 이를 위해, 소리 흡수재(22)는 소리 방출구(20)에 위치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공기 흐름(18)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공기 컨베이어(16)뒤 하류부분에 히터(24)가 배치된다. 히터(24)는 프레임(24.1)내부에 많은 저항가열소자(25)를 유지하는데, 이와 연계된 라멜라(25.1)가 공기 흐름(18)에 의해 작용된다. 상세하게는 공기 컨베이어(16)의 수송 성능이 높으면 공기 흐름(18)은 라멜라(25.1)에 축적되어 라멜라(25.1)를 통해 흐를 때 라멜라(25.1)를 진동하게 한다. 덕트(14) 내부에는 이러한 진동이 공기 컨베이어(16)와 히터(24)사이에서 음파 형태로 전파된다. 공기 흐름(18)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전파하는 음파는 공기 컨베이어(16)뒤 하류부분에 배치된 소리 방출구(20)에 작용하고 하우징(12)을 빠져나간다. 소리 흡수재(22)는 하우징(12) 외부로 음파가 더 전파되거나 덕트(14) 내부로 소리가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히터(24)를 통해 흘러 가열된 공기의 팽창 때문에 라멜라(25.1)의 하류부분단에서 빠져나가는 공기 흐름(18)의 결과 노이즈나 비트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팬 모듈(10)의 실시예에서 히터(24)의 하류부분에 부가적인 소리 방출구(20)가 배치된다. 공기 흐름(18)을 중심으로 히터(24) 아래에 배치되는 소리 방출구(20)는 소리 흡수재(22)로 덮힌 복수의 구멍(34)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팬 모듈(10)의 실시예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외부에서 보이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2)은 대략 U자형의 단면을 갖는 두 개의 대응 쉘(30)을 포함하는데, 평면도는 주로 시트백과 마주하는 상부 쉘(30)을 도시하고 있다. 쉘(30)은 공기 컨베이어(16)와 히터(24)를 수용한다. 공기 컨베이어(16)는 세 개의 고정 수단(17.2)으로 쉘(30)에 고정된다. 사용 상태에서 공기 컨베이어(16)는 덕트(14)내에서 덕트 출구(28) 하류부분으로 빠져나가는 공기 흐름(18)을 일으킨다. 쉘(30)은 여기서는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PTC를 포함하는 히터(24)와 공기 컨베이어(16)사이 및 덕트 출구(28)와 PTC사이에 소리 방출구(20)를 포함한다. 복수의 구멍(34)에 의해 형성된 이러한 소리 방출구(20)는 덕트(14)의 전체 폭(36)에 걸쳐 연장된다. 구멍(34)은 쉘(30)의 벽(32)내에 수 개의 열로 움푹들어가 있다. 도 4에 특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팬 모듈(10)은 자동차 시트(100)의 시트 표면(102)에 대하여 벽(32)이 시트 표면(102)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쉘(30)의 측면에 형성된 클립(15)상에는 타원형 홀(15.1)이 구비되어 팬 모듈(10)을 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 시트(100)의 지지 구조체에 고정시킨다.
히터(24)를 할애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팬 모듈(10)의 두 개의 쉘(30)을 소리 흡수재(22)로 감싼다. 따라서 공기 컨베이어(16)의 고정 수단(17.2)에서 하우징(12)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감쇠된다. 소리 흡수재(22)는 발포재(38)를 포함한다. 이러한 발포재(38)는 적어도 소리 방출구(20)주위 영역(40)을 덮는 가요성 천형태로 구현되어 하우징(12)주위를 감싼다. 설명의 용이를 위해 발포재(38)는 도 2의 하우징(12) 상부에서 제거되어 있다.
도 3은 팬 모듈(10)의 상기한 실시예의 중앙부를 도시하고 있는데 간편화를 위해 덕트(14)를 덮고 있는 하나의 쉘(30)은 생략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하우징(12)의 제 1 쉘(30)은 사용 상태에서 튜브형식으로 공기 컨덕팅 덕트(14)를 제한하는 대략 U자형 단면을 갖는다. 하우징(12)내부에는 덕트(14)는 히터(24)에 의해 분할된다. 히터(24)를 향하는 공기 흐름(18)은 히터(24)를 통과할 때 가열된다. 히터(24)를 수용하는 하우징(12) 부분에서 덕트(14)는 보다 넓게 되어 있다. 덕트(14)의 단면을 변경함으로써 흐름에 와류와 난류를 일으키고 이러한 와류와 난류의 음파는 공간내 모든 방향으로 전파된다. 음파를 감쇠 시키기 위해서 소리 방출구(20)가 히터(24) 양측의 쉘(30) 벽(32)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에 도시된 하우징(12)의 쉘(30)은 아래로 부터 소리 흡수재(22)를 구비하여 소리 방출구(20)주위의 영역(40)을 덮는다. 소리 방출구(20)는 소리 흡수재(22)인 발포재(38)로 덮힌 많은 구멍(34)에 의해 형성된다. 사용시 발생된 음파는 소리 방출구(20)를 거쳐 발포재(38)에 이른다. 발포재(38)는 부피 밀도를 줄이는 몇 개의 공간을 포함하여 소리의 전반사를 통해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팬 모듈(10)이 결합된 시트백(106)내에 있는 자동차 시트(100)를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1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된 공기 컨덕팅 덕트(14)는 여기서 하류부분의 덕트 출구(28)가 자동차 시트(100)의 상부 모서리(108)에 가까이 종단하도록 배치된다. 덕트(14)의 타단은 시트백(106)의 커버(104)에서 종단한다. 사용시 공기 흐름(18)은 팬 모듈(10)의 하우징(12)내에 배치된 공기 컨베이어(16)에 의하여 덕트(14)로 공기 유입 개구(29)를 통해 흡입되고 공기 흐름(18)이 공급되는 히터(24)에 의해 가열된다. 따라서 임의의 발생 노이즈는 음파를 반사시키는 하우징(12)과 공기 흐름(18)에 의하여 덕트(14)를 따라 덕트 출구(28)로 이동된다. 음파는 공기 흐름(18)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하우징(12)과 덕트(14)에 각각 부착된 소리 방출구(20)를 통해 방출된다. 단면에 도시된 덕트(14)는 시트 표면(102)에 대략 평행하게 뻗어있는 두 개의 대향벽(32)과 후측에 커버(104)를 각각 포함한다. 발포재(38)는 시트 표면(102)과 시트 표면(102)에 마주하는 벽(32) 사이에 구비되어 소리 방출구(20)를 덮기 때문에 소리 흡수재(22)로서 기능한다. 커버(104)는 발포재(38)로 덮힌다. 특히 변형이 용이한 이러한 발포재(38)는 소리 방출구(20)가 또한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덕트(14)와 하우징(12)의 영역(40)내에 연장된다. 이러한 소리 방출구(20)를 빠져나가는 소리는 커버(104)의 발포재(38)에 의해 어느 정도 "흡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4)는 하우징(12) 및 개별 덕트부(14.1)에 의해 구획된다. 덕트부(14.1)는 덕트 출구(28)에 근접하여 있고, 시트 표면(102)에서 자동차 시트(100)에 앉아 있는 (도시 안된) 사람의 방향으로 공기 흐름(18)을 지향시키는 아치부(26)를 포함한다. 공기 흐름(18)이 아치부(26)내에서 전환될 때 자연스럽게 난류가 일어나서 특히 공기 흐름(18)이 상부 모서리(108)로 빠져나가면 가청 노이즈를 일으키기 쉽다. 아치부(26) 내부에는 또 다른 소리 방출구(20)가 배치되고, 여기서 발생된 음파는 소리 방출구(20)를 덮는 소리 흡수재(22)에 의하여 감쇠된다.
도 4a는 시트백(106)에 결합된 팬 모듈(10)을 포함하는 모터 자동차 시트(110)를 도시하고 있다. 팬 모듈(10)은 착석하는 사람의 목부위에 까지 연장되는 관형 덕트(14)를 형성한다. 하우징(12)은 사용시 덕트(14) 내에 공기 흐름(18)을 일으키는 공기 컨베이어(16)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12)에 고정된 히터(24)가 덕트(14)내에 구비된다. 덕트 출구(28)에 근접하고 히터(24)와 공기 컨베이어(16)뒤, 더 하류부분에 덕트(14)에 의하여 아치부(26)가 형성되고 공기 흐름(18)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즉 하우징(12)의 길이 연장 방향으로 뻗어있는 소리 방출구(20)를 구비한다. 이를 빠져나가는 소리는 소리 방출구(20)를 덮고 있는 소리 흡수재(22)에 의하여 차단된다. 망원경통식으로 형성된 덕트(14)의 쉬프팅부는 또한 소리 흡수재(22)로 덮힌 소리 방출구(20)가 형성된 덕트 출구(28)의 가변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12)은 시트 표면(102)에 대략 평행하게 뻗는 두 개의 대향 벽(32)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벽(32)에는 공기 흐름(18)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정렬된 소리 방출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소리 방출구(20)는 히터(24)의 하류부분은 물론 공기 컨베이어(16)와 히터(24)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하우징의 소리 방출구(20)는 소리를 더 감쇠시키기 위해 소리 흡수재(22)와 같은 발포재(38)로 덮힌다.
모터 자동차 시트(100)의 팬 모듈(10)의 부가적인 특징은 하기 예에 설명된다.
비교를 위해, 동작시 노이즈 발생의 관점에서 서로다른 팬 모듈을 테스트하였고 일련의 수치를 얻는데 이하 설명된 팬 모듈의 실시예를 사용 하였다.
1. 공기 컨덕팅 덕트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사용시 덕트내부에 공기 흐름을 일으키는 공기 컨베이어를 수용하는 종래의 자동차 시트용 팬 모듈.
2. 하우징이 공기 흐름이 공급된 히터를 수용하고 소리 방출구는 공기 흐름의 흐름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및 하우징내의 공기 컨베이어와 히터사이에 움푹들어가고 상기 소리 방출구는 소리 흡수재로 덮힌, 상기한 특징을 포함하는 팬 모듈 A
3. 팬 모듈 A의 특징을 포함하고 소리 흡수재로 덮힌 소리 방출구가 히터의 하류부분에 배치된 팬 모듈 B
4. 팬 모듈 B의 특징을 포함하고 소리 흡수재로 덮힌 부가적인 소리 방출구가 덕트 출구에 근접하여 형성된 아치 내부에 제공되는 팬 모듈 C
비교된 일련의 수치의 결과는 도 5a에 따른 초음파 검사도 형태로 주파수에 따른 소리 레벨로 도시하였다.
도 5b는 상기한 실시예의 서로다른 팬 모듈의 시간에 따른 소리 레벨을 도시하고 있다.
비교 수치의 그래프로부터 소리 세기의 최대치가 "종래 기술"로 표시된 팬 모듈의 1000Hz이하, 2500Hz 내지 3000Hz사이 및 3000Hz에서 대략 3500Hz의 주파수에서 팬 모듈 A 내지 C의 부가적인 특징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도 5a).
종래기술에 따른 팬 모듈과 비교하여 평균 노이즈 레벨은 상기한 팬 모듈의 부가적인 특징에 의해 감소된다(도 5b).
본 발명은 기술적 구현에 의하여 저가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동작 노이즈의 효과적인 절감을 가능하게 한 팬 모듈 및 노이즈 차단의 모터 자동차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팬 모듈의 하우징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팬 모듈의 평면도;
도 3은 하우징이 개방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팬 모듈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의 제 1 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자동차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a는 종래의 상이한 팬 모듈의 일련의 수치를 나타내는 초음파검사도;
도 5b는 종래의 상이한 팬 모듈의 시간에 따른 소리 레벨을 나타내는 도.
[본 발명의 주요부분의 설명]
10: 팬 모듈 12: 하우징
14: 덕트 14.1: 덕트부
15: 클립 15.1: 타원형 홀
16: 공기 컨베이어 17: 로터
17.1: 로터 블레이드 18: 공기 흐름
20: 소리 방출구 22: 소리 흡수재
24: 히터 24.1: 프레임
25: 저항 가열 엘리먼트 25.1: 라멜라
26: 아치 28: 덕트 출구
29: 공기 유입 개구 30: 쉘
32: 벽 34: 구멍
36: 덕트의 폭 38: 발포재
40: 영역 100: 자동차 시트
102: 시트 표면 104: 커버
106: 시트백 108: 상부 모서리
110: 모터 자동차 시트

Claims (25)

  1. 에어 컨덕팅 덕트(14)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사용시에 상기 덕트(14)내부에 공기 흐름(18)을 일으키는 공기 컨베이어(16)를 수용하는 하우징(12)을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로서,
    상기 팬 모듈(10)은 상기 자동차 시트(100)의 시트백(106)에 일체로 될 수 있고, 상기 덕트(14)는 상부 모서리(108)의 영역에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2) 및/또는 상기 덕트(14)는 소리 흡수재(22)로 덮히고, 상기 공기 컨베이어(16)뒤 하류부분 및 상기 덕트내에 배치된 히터(24)의 하류부분에 상기 공기 흐름(18)의 흐름 방향으로 및 상기 공기 흐름(18)의 흐름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소리 방출구(20)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리 방출구(20)는 상기 자동차 시트(100)의 상기 시트백(106)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12)의 대향벽(32)에서 움푹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상기 공기 흐름(18)이 공급될 수 있는 상기 덕트(14)내부에 배치된 히터(24)와 상기 공기 컨베이어(16)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상기 덕트 출구(28)에 근접한 상기 덕트(14)의 아치부(26)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공기 컨베이어(16) 및 상기 히터(24)를 수용하는 U자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대응 쉘(30)을 포함하고,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상기 자동차 시트(100)의 상기 시트 표면(102)에 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12)의 벽(32)상에 움푹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복수의 구멍(3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34)은 상기 덕트(14)의 전체 폭(36)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흡수재(22)는 발포재(38)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소리 방출구(20)의 영역(40)에 임의의 비율로 그 주변에 상기 발포재(38)로 덮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재(38)는 상기 자동차 시트(100)의 커버(104)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12. 삭제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상기 덕트 출구(28)에 근접한 상기 덕트(14)의 아치부(26)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공기 컨베이어(16) 및 상기 히터(24)를 수용하는 U자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대응 쉘(30)을 포함하고,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상기 자동차 시트(100)의 상기 시트 표면(102)에 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12)의 벽(32)상에 움푹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15. 제 1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소리 방출구(20)가 상기 자동차 시트(100)의 상기 시트 표면(102)에 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12)의 대향벽(32)상에 움푹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복수의 구멍(3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100)용 팬 모듈(10).
  17. 목 영역으로 연장되는 공기 컨덕팅 덕트(14)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사용시에 상기 덕트(14) 내부에 공기 흐름(18)을 일으키는 공기 컨베이어(16)를 수용하는 하우징(12)을 포함하되, 상기 팬 모듈(10)은 상기 자동차 시트(100)의 시트백(106)에 일체로 될 수 있고, 상기 덕트(14)는 상부 모서리(108)의 영역에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12) 및 상기 덕트(14)는 소리 흡수재(22)로 덮이고, 상기 공기 컨베이어(16) 뒤 하류부분 및 상기 덕트내에 배치된 히터(24)의 하류부분에 상기 공기 흐름(18)의 흐름 방향과, 상기 공기 흐름(18)의 흐름 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소리 방출구(20)를 포함하는 팬 모듈(1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리 방출구(20)는 상기 자동차 시트(100)의 상기 시트백(106)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12)의 대향벽(32)에서 움푹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자동차 시트(110).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상기 공기 흐름(18)이 공급될 수 있는 상기 덕트(14)내부에 배치된 히터(24)와 상기 공기 컨베이어(16)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자동차 시트(110).
  19. 삭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상기 덕트 출구(28)에 근접한 상기 덕트(14)의 아치부(26)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자동차 시트(110).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공기 컨베이어(16) 및 상기 히터(24)를 수용하는 U자형 단면을 갖는 두 개의 대응 쉘(30)을 포함하고,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상기 자동차 시트(100)의 상기 시트 표면(102)에 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12)의 벽(32)상에 움푹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자동차 시트(110).
  22. 삭제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방출구(20)는 복수의 구멍(34)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구멍(34)은 상기 덕트(14)의 전체 폭(36)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자동차 시트(110).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소리 방출구(20)의 영역(40)에 임의의 비율로 그 주변에 발포재(38)로 덮히고 상기 발포재(38)는 상기 자동차 시트(100)의 커버(104)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자동차 시트(110).
  25. 삭제
KR1020070112833A 2006-11-06 2007-11-06 자동차 시트용 팬 모듈 및 노이즈를 차단한 모터 자동차시트 KR100942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23045A EP1918138B1 (de) 2006-11-06 2006-11-06 Gebläsemodul für einen Fahrzeugsitz und Kraftfahrzeugsitz mit Geräuschisolierung
EP06023045.5 2006-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136A KR20080041136A (ko) 2008-05-09
KR100942321B1 true KR100942321B1 (ko) 2010-02-12

Family

ID=3795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833A KR100942321B1 (ko) 2006-11-06 2007-11-06 자동차 시트용 팬 모듈 및 노이즈를 차단한 모터 자동차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53440B2 (ko)
EP (1) EP1918138B1 (ko)
JP (1) JP4700671B2 (ko)
KR (1) KR100942321B1 (ko)
CN (1) CN101254761A (ko)
DE (1) DE502006003779D1 (ko)
ES (1) ES232380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3153A1 (en) * 2010-07-16 2012-01-19 Southern Taiwan University Of Technology Air-conditioned chair
JP5664421B2 (ja) * 2011-04-07 2015-02-0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KR101729226B1 (ko) 2015-04-17 2017-05-04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특수효과 의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17128179A1 (en) * 2016-01-28 2017-08-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Noise insulation device on seat ventilation blower
US10240607B2 (en) 2016-02-26 2019-03-26 Kongsberg Automotive, Inc. Blower assembly for a vehicle seat
US9789796B1 (en) * 2016-04-13 2017-10-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t with a cylindrical ventilation fan
JP2018167632A (ja) * 2017-03-29 2018-11-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2018167631A (ja) * 2017-03-29 2018-11-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FR3079454B1 (fr) * 2018-03-30 2020-09-11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regulation d'un flux d'air pour une entree d'air d'un vehicule automobile
EP3608601A3 (en) * 2018-08-06 2020-02-26 Zephyros Inc. Gas-duct with a sound absorbing component
DE102019002315A1 (de) * 2019-03-29 2020-10-01 Gentherm Gmbh Konditioniereinrichtung für eine Luftströmung
US11718210B2 (en) 2021-04-23 2023-08-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ntilated sea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764B1 (en) * 1998-03-31 2001-01-30 Denso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2225539A (ja) * 2001-02-02 2002-08-14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のダクト構造
KR100554640B1 (ko) 2003-04-02 2006-02-24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자동차 시트 및 상기 자동차 시트용 송풍기 모듈
JP3855935B2 (ja) 2003-01-21 2006-12-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0706A1 (de) * 1985-03-23 1986-09-25 M A N Nutzfahrzeuge GmbH, 8000 München Omnibus mit einer luftumwaelzungseinrichtung
GB8817669D0 (en) * 1988-07-25 1988-09-01 Short Brothers Ltd Means for attenuating sound energy
JPH05215095A (ja) * 1992-02-04 1993-08-24 Mitsubishi Heavy Ind Ltd 背負式送風装置
DE19533270C2 (de) * 1995-09-08 1999-12-09 Trinova Gmbh Schalldämpfungsvorrichtung
JPH09144986A (ja) * 1995-11-27 1997-06-03 Nissan Motor Co Ltd 吸音ダクト構造体
US5692952A (en) * 1996-02-01 1997-12-02 Chih-Hung; Ling Air-conditioned seat cushion
DE19703516C1 (de) * 1997-01-31 1998-05-07 Daimler Benz Ag Fahrzeugsitz
FR2777845B1 (fr) * 1998-04-24 2000-07-13 Allibert Ind Insonorisant de tab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847384C1 (de) * 1998-10-14 2000-06-21 Daimler Chrysler Ag Polster für Sitzteil und/oder Rückenlehne eines Fahrzeugsitzes
DE19943246B4 (de) * 1999-09-10 2006-06-14 Daimlerchrysler Ag Schalldämpfer zur Herabminderung der Luftgeräusche im Ansaugstrang von Brennkraftmaschinen
DE10054008B4 (de) * 2000-11-01 2004-07-08 Daimlerchrysler Ag Kraftwagensitz
DE10054010C1 (de) * 2000-11-01 2002-01-03 Daimler Chrysler Ag Kraftwagensitz
US6589112B2 (en) * 2000-12-29 2003-07-08 Evan Ruach Duct silencer
US6629724B2 (en) * 2001-01-05 2003-10-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ntilated seat
DE20104173U1 (de) 2001-03-10 2001-06-13 Schatzinger Ludwig Zusatzheizung
JP3861674B2 (ja) * 2001-11-30 2006-12-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および空調装置内蔵型車両用シート
JP3804566B2 (ja) * 2002-03-28 2006-08-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DE10351805A1 (de) * 2002-11-08 2004-05-27 Denso Corp., Kariya Fahrzeugsitzklimaanlage
DE10259621B4 (de) * 2002-12-18 2005-12-01 W.E.T. Automotive Systems Ag Fahrzeugsitz und zugehörige Klimatisierungseinrichtung
DE10259648B4 (de) * 2002-12-18 2006-01-26 W.E.T. Automotive Systems Ag Klimatisierter Sitz und Klimatisierungseinrichtung für einen ventilierten Sitz
DE10261081B3 (de) * 2002-12-20 2004-02-19 Carcoustics Tech Center Gmbh Luftführungselement, insbesondere Luftführungskanal für ein Kraftfahrzeug
DE10316275B4 (de) * 2003-04-08 2009-06-18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SE525958C2 (sv) * 2003-10-10 2005-05-31 Kongsberg Automotive Ab Säteskonstruktion
US7631726B2 (en) * 2004-06-28 2009-12-15 Mahle International Gmbh Silencer for air induction system and high flow articulated coupling
JP4551184B2 (ja) * 2004-11-02 2010-09-2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吸気ダクト
JP3901198B2 (ja) * 2005-06-27 2007-04-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764B1 (en) * 1998-03-31 2001-01-30 Denso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2225539A (ja) * 2001-02-02 2002-08-14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シートのダクト構造
JP3855935B2 (ja) 2003-01-21 2006-12-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KR100554640B1 (ko) 2003-04-02 2006-02-24 카템 게엠베하 운트 캄파니 카게 자동차 시트 및 상기 자동차 시트용 송풍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8138A1 (de) 2008-05-07
DE502006003779D1 (de) 2009-07-02
JP2008132975A (ja) 2008-06-12
EP1918138B1 (de) 2009-05-20
KR20080041136A (ko) 2008-05-09
ES2323804T3 (es) 2009-07-24
US7753440B2 (en) 2010-07-13
CN101254761A (zh) 2008-09-03
US20080129090A1 (en) 2008-06-05
JP4700671B2 (ja)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321B1 (ko) 자동차 시트용 팬 모듈 및 노이즈를 차단한 모터 자동차시트
US6848742B1 (en) Seat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and fan combination of blower units of the same
GB2343112A (en) Ventilated cushion for a vehicle seat
AU2010332630A1 (en) Hairdryer having a passive silencer system
EP1916424A2 (en) Ventilation system with sound barrier
US20070281600A1 (en) Air distribution system having a noise reduction feature for use with an automotive vehicle
KR10242933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20058035A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장치
JP4158641B2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2010023540A (ja) 車両用デフロスタ装置
EP1551269B1 (en) Noise reduction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JP510122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5181568B2 (ja) 車両内音響装置
CN112424004A (zh) 加热通风和空调系统
JP2004352235A (ja) 騒音減衰器付き車室の送風装置
JP2020158050A (ja) エアコンユニット用カバー取付構造
KR100876201B1 (ko) 차량용 에어 덕트 조립체
CZ297233B6 (cs) Topné zarízení pro usporádání ve vytápeném prostoru pro cestující nebo v kabine ridice vozidla
JP5604944B2 (ja) 空調装置
JP2014231263A (ja) 空調ダクト
JP2007263466A (ja) 空調ダクト
JP2009512588A (ja) ノイズ低減手段を備える自動車の換気装置
JP2023163843A (ja) 騒音低減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KR1013661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커튼유니트
JP2004159671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