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701B1 -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701B1
KR100941701B1 KR1020080001749A KR20080001749A KR100941701B1 KR 100941701 B1 KR100941701 B1 KR 100941701B1 KR 1020080001749 A KR1020080001749 A KR 1020080001749A KR 20080001749 A KR20080001749 A KR 20080001749A KR 100941701 B1 KR100941701 B1 KR 100941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main body
coupled
vehicle managem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6026A (en
Inventor
김기용
김상열
Original Assignee
지엘시스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시스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엘시스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701B1/en
Publication of KR20090076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0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7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dividual parking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고장 발생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된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link 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that is easy to install and that can be easily coped with when a failure occurs.

본 발명의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는 주차구역에 매립 설치되고, 승강구의 승하강 동작을 통해 차량의 무단 입출고를 관리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측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본체와 결합되는 승강구(20) 및, 상기 승강구(20)를 승강시키는 리프트(3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30)는 리프트를 본체(10)의 밑판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1)과, 상기 브라켓과 X자형 링크(33)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승강판(32) 및, 상기 승강판(32)을 상측 및 하측으로 승강시키는 구동부(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managing the unauthorized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hatch, the vehicle The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10, a lifting hole 20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lift 30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hole 20. The lift 30 includes a bracket 31 for fixing the lift to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body 10, a lifting plate 32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racket and the X-shaped link 33, and the lifting plate 3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unit 40 for elevat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주차, 무인차단기, 승강구 Parking, Unmanned Circuit Breaker, Hatch

Description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Electric link management system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주차 관리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차량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설치가 용이하고 고장 발생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된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efficiently executing parking management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link 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easily cope with when a failure occurs.

일반적으로 유료 주차장이나 또는 개인용 주차지역 등에 있어서는 제3자가 무단으로 차량을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차관리용 무인차단기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parking management unmanned circuit breaker for preventing unauthorized parking of a vehicle by a third party is installed and used in a paid parking lot or a personal parking area.

도 1은 상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주차관리용 무인차단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장치는 승강판(1)의 양측 하부에 승강판(1)의 수직 승하강을 위한 브라켓(2)을 설치하고, 상기 승강판(1)의 하측 중앙부분에 실린더(3)의 로드(4)를 결합하여 실린더(3)의 작동에 따라 승강판(1)이 승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unmanned blocking device for parking management currently used. The apparatus shown in FIG. 1 has a bracket 2 for vert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plate 1 on both lower sides of the elevating plate 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plate 1 of the cylinder 3. Combining the rod 4 is configured to elevate the lifting plate 1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3).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게 된다.By the way,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apparatus has the following problem.

즉,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승강판(1)을 지지하는 브라켓(20)을 수직방향으 로 안내하기 위해 비교적 정밀한 형태의 양측벽을 형성할 필요가 있게 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in order to guide the bracket 20 supporting the lifting plate 1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form both walls of a relatively precise shape.

또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승강판(1)이 하측으로 강하된 상태에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고장 수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that the troubleshooting is not easy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tate in which the lifting plate 1 is lowered to the lower side.

또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장치에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apparatus and a failure occurs in the apparatus.

또한, 종래의 장치는 장치를 주차장에 매립하기 위한 매립 공간이 깊게 구성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embedded space for embedding the device in the parking lot is deeply configur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주차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고장 발생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된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ircumstances, and 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 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and can easily cope with a failure. have.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는 주차구역에 매립 설치되고, 승강구의 승하강 동작을 통해 차량의 무단 입출고를 관리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본체와 결합되는 승강구 및, 상기 승강구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는 리프트를 본체의 밑판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X자형 링크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승강판 및, 승강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과 승강판에는 각각 가이드홀이 구비되며, 상기 X자형 링크는 각각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각각 일단이 승강판과 브라켓에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제2 및 제3 결합축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또는 제3 결합축에는 볼 스크류와 결합되는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device for managing the unauthorized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hatch, the vehicle The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a hatch coupled to the main body to allow the lowering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a lift for elevating the hatch, wherein the lift includes a bracket for fixing the lift to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body, A lifting plat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bracket and an X-shaped link, and a driving unit for lifting the lifting plate, the bracket and the lif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respectively, the X-shaped link is a pair of first and A second link,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inks are hinged to one of the elevating plate and the bracket, respectively; It is coupled to the guide hole by the coupling shaft so as to be slidable, the second or third coupling shaft is provided with a nut coupled to the ball screw, the drive unit i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the motor and the motor and one end i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ll screw fastened to the nut.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는 승강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지지판을 통해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승강구의 상기 스토퍼와 지지판의 결합위치에 대응되도록 작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opper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hatch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eparated through the support plate, the work tool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topper and the support plate of the hatch.

또한, 상기 몸체는 상부가 하부에 비해 폭이 작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lower side and the lower side is bent inward.

또한, 상기 승강구는 몸체와 상판을 구비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상판은 몸체에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의 상측에 승강구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tch is configured with a body and a top plate, the top plate is installed in a form that is mounted on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rollers for supporting the hatch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plate. .

또한, 상기 제2 결합축에는 승강판에 대하여 제2 결합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is further provided for supporting the second coupling shaft with respect to the lifting plate.

또한, 상기 제3 결합축에는 브라켓에 대하여 제3 결합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coupling shaf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is further provided for supporting the third coupling shaft with respect to the bracket.

또한, 상기 모터에는 비구동시에 회전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가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e is further provided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during non-drive.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게 차량의 입출고를 확실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유지보수성이 우수한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liably manage the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easily to b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device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xcellent in maintenan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 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 of on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amples of such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thereof.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관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차량관리장치의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shown in Figure 2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본 실시예에서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는 본체(10)와, 이 본체(10)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구(20) 및, 본체(10)에 구비되어 승강구(20)를 승강시키는 리프트(3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he hatch 20 to be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10, the hatch 20 It is provided with the lift 30 which raises and lowers.

도 5는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본체(10)는 밑판(10a)과, 이 밑판(10a)에 결합되는 반원형상의 좌우 측판(10b) 및, 이들 측판(10b)의 상단에 결합되는 타원형상의 승강구 안착링(10c)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몸체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전후면의 개구부에는 예컨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덮개(11)가 결합된다.The main body 10 includes a bottom plate 10a, a semicircular left and right side plate 10b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0a, and an elliptical hatch seating ring 10c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se side plates 10b. In addition to the rectangular body as a whole, the front and rear is composed of an open form. At this time, the cover 11 is coupled to the openings i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rough fastening means such as bolts.

상기 덮개(11)의 하측에는 홀(11a)이 형성된다. 이 홀(11a)은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리프트(3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력선 등을 인입하기 위한 것이다.A hole 11a is formed below the cover 11. This hole 11a is for drawing in an electric power line or the like for providing electric power to the lift 30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10.

또한, 상기 밑판(10a)의 상측에는 스토퍼(13)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한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지지판(12)이 설치된다. 이 지지판(12)은 하부 양측에 본 지지판(12)을 본체(1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2a)가 구비된다. 이 결합돌기(12a) 는 본체(10)의 밑판(10a)에 형성된 결합홈(10a1)에 끼워져서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12 bent in a "U" shape for coupling and support of the stopper 13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10a). The support plate 12 is provided with coupling projections 12a for coupling the support plate 12 to the main body 10 on both lower sides thereof. The coupling protrusion 12a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0a1 formed in the bottom plate 10a of the main body 10 and coupled thereto.

또한, 이 지지판(12)의 상측에는 스토퍼(13)를 결합하기 위한 절곡부(12b)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12b)의 상단에 스토퍼(13)가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13)는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20)가 본체(10)로부터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13)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로서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람직하게는 나사와 같이 체결과 해제가 용이한 것이 사용된다.In addition, a bent portion 12b for engaging the stopper 1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late 12, and the stopper 13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ent portion 12b. The stopper 13 is for preventing the hatch 20 from being separated upward from the main body 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s a coupling member for the coupling of the stopper 13, those that are easy to fasten and release, such as screws are used.

한편,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 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리프트(30)를 설치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for draining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installing the lift 30 is formed.

도 6은 승강구의 분해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tch.

승강구(20)는 상하가 개방된 몸체(22)와, 이 몸체(22)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판(2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22)는 반원형상의 좌우 측판(22a)과 이 측판(22a)에 결합되는 한쌍의 수직판(22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몸체(22)는 하측에 비해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된다.The hatch 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22 having a top and bottom open, and a top plate 21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body 22. Here, the body 22 is formed with a semicircular left and right side plate 22a and a pair of vertical plates 22b coupled to the side plate 22a. The body 22 is configured to be narrower toward the upper side than the lower side.

상기 측판(22a)의 하측에는 예컨대 나사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걸림편(24)이 설치된다. 이 걸림편(24)은 본 승강구(2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상술한 스토퍼(13)와 맞닿아서 승강구(20)가 더 이상 상측으로 상승할 수 없도록 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걸림편(24)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몸체(22)의 측판(22a)의 하면이 스토퍼(13)에 걸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A locking piece 24 is installed below the side plate 22a through a coupling member such as a screw. The locking piece 24 is in contact with the above-mentioned stopper 13 when the hatch 20 is moved upward, so that the hatch 20 can no longer rise upward. Of course, in this case,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plate 22a of the body 22 may be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stopper 13 without separately installing the locking piece 24.

상기 상판(21)에는 몸체(22) 및 덮개(23)를 예컨대 나사 결합하기 위한 다수 의 결합홀(21a)이 구비된다. 또한 상판(21)의 양측 일정 위치에는 본 차량관리장치의 고장시에 작업자가 승강구(20)를 본체(10)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작업구(21b)가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plate 2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a for screwing the body 22 and the cover 23, for example. In addition, work tools 21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21 so that an operator can carry out the work of removing the hatch 20 from the main body 10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구(21b)는 지지판(12)과 스토퍼(13)의 결합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차량관리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작업자는 상판(21)으로부터 덮개(23)를 제거하고 작업구(21b)를 통해 스토퍼(13)를 지지판(12)으로부터 분리한 후 승강구(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해내게 된다. As can be seen in Figure 4 the work tool 21b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2 and the stopper 13.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the operator removes the cover 23 from the upper plate 21, separates the stopper 13 from the support plate 12 through the work tool 21b, and then removes the hatch 20. 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그리고, 이상 상태를 해소한 후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본체(10)내에 승강구(20)를 위치시키고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스토퍼(13)를 지지판(12)에 결합한 후, 상판(21)의 상측에 덮개(23)를 결합시키게 된다.After the abnormal state is resolved, the hatch 20 is positioned in the main body 10 in the reverse order to the above, and the stopper 13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2 using the coupling member, and the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21 is disposed. The cover 23 is to be combined.

도 7은 리프트(3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리프트(30)의 분해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30,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30.

리프트(30)는 이를 본체(10)의 밑판(10a)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1)과, 상하 이송되는 승강판(32) 및, 상기 승강판(32)의 상측에 결합되어 승강구(20)를 지지하는 롤러(3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Lift 30 is coupled to the bracket 31 for fixing it to the bottom plate (10a) of the main body 10, the elevating plate 32 is vertically conveyed, and the upper side of the elevating plate (32), the hatch (20) It is comprised by the roller 34 which supports it.

그리고, 상기 브라켓(31)과 승강판(32)은 한쌍의 X자형 링크(33)를 통해 상호 결합되고, 상기 승강판(32)에는 X자형 링크(33)를 구동하여 승강판(32)을 상측 및 하측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동부(40)가 결합된다.The bracket 31 and the elevating plate 3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pair of X-shaped links 33, and the elevating plate 32 drives the elevating plate 32 by driving the X-shaped link 33. The driving unit 40 for conveying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is coupled.

상기 브라켓(31)의 상측에는 X자형 링크(33)를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제1 결합판(31a)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승강판(32)의 양측면에는 X자형 링크(33)를 결합 하기 위한 한쌍의 제2 결합판(32a)이 구비된다.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31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coupling plate 31a for coupling the X-shaped link 33, while the X-shaped link 33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levating plate 32 A pair of second coupling plates 32a are provided.

X자형 링크(33)는 각각 제1 링크아암(331)과 제2 링크 아암(332)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링크아암(331, 332)은 그 중앙 부분이 제1 결합축(33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링크아암(331, 332)은 이 제1 결합축(330)을 중심으로 하여 양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The X-shaped link 33 has a first link arm 331 and a second link arm 332, respectively.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arms 331 and 332 ar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shaft 330.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 arms 331 and 332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first coupling shaft 330.

제1 링크아암(331)은 일단이 제1 결합판(31a)에 힌지결합되고, 제2 링크아암(332)의 일단은 제2 결합판(32a)에 힌지결합된다. 제1 및 제2 결합판(31a, 32a)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31b, 32b)이 형성된다. One end of the first link arm 331 is hinged to the first coupling plate 31a,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arm 332 is hinged to the second coupling plate 32a. Guide holes 31b and 32b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lates 31a and 32a along their length directions.

상기 제1 링크아암(331)의 다른 단은 제2 결합축(340)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32b)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제2 링크아암(332)의 다른 단은 제3 결합축(350)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31b)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arm 331 is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 32b by the second coupling shaft 34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rm 332 is connected to the third coupling shaft. It is coupled to the guide hole 31b so as to be slidable by the 350.

특히, 상기 제2 및 제3 결합축(340, 350)에는 각각 한쌍의 베어링(341, 351)이 결합된다. 베어링(351)은 각각 브라켓(31)의 상면의 상면에 대하여 제3 결합축(350)을 지지하여 제3 결합축(350)이 가이드홀(31b)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32) 밑면의 가이드홀(3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슬라이드 지지판(38)이 설치된다. 베어링(341)은 이 슬라이드 지지판(38)에 대하여 제2 결합축(340)을 지지하여 제2 결합축(340)이 가이드홀(32b)을 따라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하게 된다.In particular, a pair of bearings 341 and 351 are coupled to the second and third coupling shafts 340 and 350, respectively. The bearing 351 supports the third coupling shaft 35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racket 31 so that the third coupling shaft 350 slides easily along the guide hole 31b. In addition, a slide support plate 38 is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32b on the bottom of the elevating plate 32. The bearing 341 supports the second coupling shaft 340 with respect to the slide support plate 38 so that the second coupling shaft 340 slides easily along the guide hole 32b.

특히, 상기 제2 결합축(36b)의 중앙 부분에는 너트(44)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홀(340a)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44)에는 구동부(40)가 결합된다. 구동부(40)는 모터(41)와 모터(41)의 비구동상태에서 회전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42) 및 모터(41)의 회전축에 커플러를 통해 결합되어 모터(41)에 의해 정역회전 구동되는 볼 스크류(4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볼 스크류(43)는 상기 너트(44)에 체결된다.In particular, a coupling hole 340a through which the nut 44 is fitted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shaft 36b. The driving unit 40 is coupled to the nut 44. The driving unit 40 is coupled to the brake 42 and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41 by the motor 41 to prevent the rotating shaft from rotating in the non-driven state of the motor 41 and the motor 41. It is comprised with the ball screw 43 which drives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The ball screw 43 is fastened to the nut 44.

따라서, 모터(41)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이에 따라 볼 스크류(43)가 회전하게 되면, 너트(44)가 결합된 제2 결합축(340)이 볼 스크류(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송됨으로써 승강판(32)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강된다.Therefore, when the motor 41 is rotated forward or reverse and thus the ball screw 43 is rotated, the second coupling shaft 340 to which the nut 44 is coupled i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all screw 43. The lifting plate 32 is lifted upward or downward by being fed left and right.

또한, 상기 모터(41)는 브라켓(45)에 의해 승강판(32)에 결합된다. 또한, 볼 스크류(43)는 베어링(46,47)에 양측 끝단이 승강판(32)에 지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motor 41 is coupled to the lifting plate 32 by the bracket 45. In addition, the ball screw 43 is supported on both ends of the bearings 46 and 47 by the elevating plate 32.

상기 승강판(32)의 상측에는 승강구(20)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34)가 구비된다. 이들 롤러(34)는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승강구(20)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이 구동부(4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upper side of the elevating plate 3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34 for supporting the elevating opening (20). These rollers 34 are for effectively dispersing the transmission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hatch 20 directly to the drive unit 40 as described later.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차량관리장치에서 승강구가 상측으로 작동된 상태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대응되는 차량관리장치의 개략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용 차량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the hatch operated upward in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2, and FIG.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corresponding to FIG. 9. In addition, Figure 11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electric link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park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상술한 구조로 된 차량관리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상기한 차량관리장치는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주차공간에 설치된다. 본 차량관리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주차공간의 바닥면에 본 차량관리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깊이 및 넓이로 구덩이를 조성한 후 본 차량관리장치를 수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시예에 따른 차량관리장치는 승강구(20)가 본체(10) 내측에서 승하강 동작을 실행하게 되므로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무인차단장치와는 달리 수납공간을 정밀하게 조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is installed in a parking space for parking the vehicle. In order to install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a pit is formed in a depth and a width for accommodating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king space, and then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is stored. At this time,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hatch 20 executes the elevating operation inside the main body 10, unlike the conventional unmanned blocking device shown in FIG. There will be no.

또한, 이때 본체(10)의 덮개(11)에 구비된 홀(11a)을 통해 전원선(도시되지 않음)과 모터(41)를 결합시킨다. 이때 전원선은 주차지역 지하 또는 지상에 적절하게 배설된다. 또한, 만일 차량관리장치 내에 콘트롤러나 다른 전자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 그 신호선도 상기 전원선과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된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power line (not shown) and the motor 41 are coupled through the hole 11a provided in the cover 11 of the main body 10. At this time, the power line is properly disposed in the underground or above the parking area. In addition, if a controller or other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in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the signal line is also instal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ower line.

본 차량관리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주차공간에 차량이 입고되면, 통상적인 감지장치에 의해 차량 입고신호가 콘트롤러로 인가되고, 콘트롤러는 리프트(30)의 모터(41)를 구동하게 된다.When the vehicle is received in the parking space in the state where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is installed, the vehicle receiving signal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by a conventional sensing device, and the controller drives the motor 41 of the lift 30.

리프트(30)의 모터(41)가 일측 방향, 즉 승강구(20)를 상측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모터(41)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볼 스크류(43)가 회전함으로써 너트(44)와 결합된 제2 결합축(340)이 볼 스크류(4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결합축(340)은 모터(41)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와 더불어 제2 링크 아암(332)의 다른 단이 결합되는 제3 결합축(350)도 가이드 홀(31b)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When the motor 41 of the lift 30 rotates in one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for raising the hatch 20 upward, the ball screw 43 rotates as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41 rotates, thereby causing the nut ( The second coupling shaft 340 coupled with 44 moves along the ball screw 43. At this time, the second coupling shaft 34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tor 41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third coupling shaft 35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rm 332 is coupled also moves along the guide hole 31b.

제2 및 제3 결합축(340, 350)이 모터(41)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및 제2 링크 아암(331, 332)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게 됨으로써 승강판(32)이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구(20)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When the second and third coupling shafts 340 and 350 are moved toward the motor 41 side, the first and second link arms 331 and 332 are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ifting plate 32 is lifted upward. As a result, the hatch 20 is raised upward.

한편, 상기 승강구(20)는 상측으로의 상승시 지면으로부터 최고점까지의 높이, 즉 도 10에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구(20)가 최대한 상승하여 본체(10)의 스토퍼(13)와 승강구(20)의 걸림편(13)이 맞닿은 상태에서 지면으로부터 덮개(23)까지의 높이가 예컨대 290mm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는 현재 A사의 RV카의 지상고가 250mm이고, B사의 트럭 지상고가 240mm인 것을 감안하여, 최대 지상고를 갖는 차량이 입고되더라도 승강구(20)가 차량의 하부면에 맞닿을 때까지 상승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승강구(20)의 최대 상승 높이는 특정한 값에 한정되지 않고 입고되는 차량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atch 20 is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highest point when the upward upward, that is,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in Fig. 10, the hatch 20 is raised as much as the stopper 13 and the hatch 20 of the main body 10 ) Is set such that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cover 23 is, for example, 290 mm in a state where the engaging pieces 13 of the () contact. This is because the ground clearance of Company A's RV car is 250mm and that of Truck B's truck is 240mm, so that the hatch 20 can be raised until it hits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even when the vehicle having the maximum ground clearance is in stock. will be. Of course, the maximum ascent height of the hatch 2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value and will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vehicle to be worn.

승강구(20)가 상승하여 승강구(20)의 상면이 차량의 바닥에 닿게 되면 더 이상 승강구(20)가 상승하지 못한다. 즉, 모터(41)의 가동이 강제적으로 중지된다. 모터(41)에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모터의 가동이 강제적으로 정지되면 모터(40)에 과부하가 발생되게 된다.When the hatch 20 is rais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atch 20 reaches the bottom of the vehicle, the hatch 20 can no longer be raised.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motor 41 is forcibly stopped. If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forcibly stopped while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41, the motor 40 is overloaded.

모터(41)의 과부하가 일정 이상이 되면 통상적인 것과 마찬가지로 센서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콘트롤러가 모터(41)로 공급되는 전력를 차단하여 모터(41)의 구동이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브레이크(42)에 전력이 공급되어, 모터의 회전축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구(2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하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유지된다.When the overload of the motor 41 becomes more than a certain level, the controller cuts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41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or as usual, and the driving of the motor 41 is stopped, and at the same time, the brake 42 Power is supplied to block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Accordingly, the hatch 20 is held in a stopped stat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운전자가 차량을 임의적으로 출고하는 것이 불가능하 게 된다.Therefore, in this state, it is impossible for the driver to leave the vehicle arbitrarily.

한편, 운전자가 적법한 방법, 즉 주차요금을 정산한 후 차량을 출고하는 경우에는 콘트롤러는 브레이크(42)에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41)의 회전축의 차단을 해제한후 승강구(20)의 상승시와 반대 방향으로 모터(41)를 구동하게 된다. 모터(4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너트(44)가 결합된 제2 결합축(340)이 가이드홀(32c)을 따라 모터(41)측과 반대방향으로 이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구(20)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어, 승강구(20)의 하강이 완료되면 운전자는 차량을 주차 공간 외부로 출고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river leaves the vehicle after paying the legal method, that is, the parking fee, the controller cut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brake 42 and releases the block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41 from the hatch 20. The motor 41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ising time. When the motor 41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econd coupling shaft 340 to which the nut 44 is coupled is transferred along the guide hole 32c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tor 41 side, and thus the lifting hole ( 20) is lowered to the lower side. Subsequently, when the lowering of the hatch 20 is completed, the driver may leave the vehicle outside the parking space.

이하, 운전자가 주차요금을 정산하지 않고 예컨대 승강구(20)를 발로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승강구(20)에 부적절하게 외력을 가하여 승강구(20)를 강제적으로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river tries to forcibly lower the hatch 20 by improperly applying external force to the hatch 20 by, for example, pressing the hatch 20 with a foot without calculating the parking fee.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는 승강구(20)가 리프트(30)의 승강판(32)의 상측에 결합된 롤러(34)에 얹혀져서 설치된다. 또한, 승강구(20)의 몸체(22)는 하측에 비해 상측이 폭이 좁도록 설계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link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is installed with the hatch 20 mounted on the roller 34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levating plate 32 of the lift 30. In addition, the body 22 of the hatch 20 is designed so that the upper side is narrow compared with the lower side.

따라서, 승강구(2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해지는 외력이 승강구(20)의 정중앙부분에 가해지지 않고 어느 한쪽에 가해지게 되면 해당 가해진 외력에 의해 승강구(20)가 롤러(34)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는 측으로 미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승강구(20)의 상측에 가해진 힘이 모터(41)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롤러(34)에 의해 힘이 가해진 쪽으로 분산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구(20)가 본체(10)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경사진 상태로 놓이게 된다.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hatch 20 is not appli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hatch 20 but is applied to either side, the hatch 20 is externally driven by the roller 34 by the applied external force. Sliding to the applied side will occur. Tha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force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hatch 20 is not transmitted to the motor 41 as it is but is dispersed by the roller 34 toward the applied force. Thus, as shown in FIG. 12, the hatch 20 is placed in an inclin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s a whole.

즉, 승강구(20)의 일측 몸체(22) 외벽이 본체(10)의 내벽에 접촉되고, 이 외벽에 대향하는 타측 상면이 차량(100)의 하부면에 접촉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승강구(20)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승강구(20)의 무게 중심이 양 롤러(34)의 중앙 위치에서 일측 롤러(34)의 중심으로 이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승강구(20)는 경사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outer wall of one body 22 of the hatch 2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upper surface opposite to the outer wall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vehicle 100. Then, even i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hatch 20 is removed in this state,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atch 20 is moved to the center of one roller 34 from the center position of both rollers 34, the hatch 20 Will remain inclined.

따라서,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부적절하게 승강구(20)에 외력을 가하여 차를 출고하고자 하는 시도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above structure, the driver can effectively counter the attempt to leave the vehicl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hatch 20 inappropriately.

그리고, 상기 주차관리장치는 승강구(20)이 내려간 상태에서의 침수시에는 주차관리장치 내부에 설치된 수위센서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의 양을 체크하여 일정한 이상의 물이 유입되면 센서에 의해 구동부(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승강판(32)이 상승하도록 설정된다. 이는 승강판(32)의 하부에 구비된 구동부(40)가 물에 의해 고장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checks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installed inside the parking management device when the water in the state in which the hatch 20 is lowered, and the driving unit 40 by the sensor when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introduced. ), And the lifting plate 32 is set to rise. This is to prevent the driving unit 4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ing plate 32 from failing due to water.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주차관리장치는 고장 발생시에 작업자가 승강구(20)를 본체(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승강구(20)의 상판(21)에 작업구(21b)가 마련되어 있다. 본 차량관리장치에 이상이 발생되면 작업자는 상판(21)으로부터 덮개(23)를 제거하고 작업구(21b)를 통해 스토퍼(13)를 지지판(12)으로부터 분리한 후 승강구(2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해내게 된다. 그리고, 이상 상태를 해소한 후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본체(10)내에 승강구(20)를 위치시키고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스토퍼(13)를 지지판(12)에 결합한 후, 상판(21)의 상측에 덮개(23)를 결합시키게 된다.As described in FIG. 3, in the present parking management apparatus, a work tool 21b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21 of the hatch 20 so that an operator can detach the hatch 20 from the main body 10 when a failure occurs.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the worker removes the cover 23 from the upper plate 21, separates the stopper 13 from the support plate 12 through the work tool 21b, and then removes the hatch 20 from the main body ( 10). After the abnormal state is resolved, the hatch 20 is positioned in the main body 10 in the reverse order to the above, and the stopper 13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2 using the coupling member, and the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21 is disposed. The cover 23 is to be combined.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는 본체(10)와 승강구(20)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구(20)는 본체(10) 내측에서 승하강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관리장치의 설치를 위하여 그 설치 장소를 정밀하게 조성할 필요성이 제거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hatch 20, and the hatch 20 performs a lifting operation inside the main body 10. Will run. Therefore, the necessity of precisely establishing the installation pl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is eliminated.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승강구(20)가 리프트(30)의 승강판(32)의 상측에 결합된 롤러(34) 상측에 얹혀지면서 설치되고, 승강구(20)는 몸체(22)의 하측에 비해 상측이 폭이 작게 설정된다. 따라서, 부적절한 외력에 의해 승강구(20)가 하측으로 강하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차량의 불법 출고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atch 20 is installed while being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ller 34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plate 32 of the lift 30, the hatch 20 is compar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body 22 The upper side is set small in width. Therefore, the entrance door 20 is prevented from falling downward due to an inappropriate external for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illegal release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승강구(20)의 상판(21)에 작업구(21b)가 설치되어 승강구(20)를 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관리장치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되고 고장 발생시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tool 21b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21 of the hatch 20 so that the hatch 2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 Therefore, the maintainability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is improved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a failur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However, the above embodiment shows one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터(41)를 포함하는 구동부(40)를 제2 결합축(340)에 결합하여 리프트(30)를 구동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구동부(40)를 제3 결합축(350)에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리프트(30)를 구동하는 것 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riving unit 40 including the motor 41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shaft 340 to drive the lift 30. However, the driving unit 40 may be removed. It is also possible to drive the lift 30 by coupling to the three coupling shaft 350 in the same manner.

도 1은 일반적인 주차관리용 무인차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parking management unmanned block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lectric link 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차량관리장치의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2;

도 4은 도 2에 나타낸 차량관리장치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도 5는 본체(10)의 분해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10.

도 6은 승강구(20)의 분해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atch 20.

도 7은 리프트(30)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30.

도 8은 리프트(30)의 분해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 30.

도 9는 도 2에 나타낸 차량관리장치에서 승강구가 상측으로 작동된 상태의 외관형상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hatch operating state in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shown in FIG.

도 10은 도 9에 대응되는 차량관리장치의 개략단면도.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corresponding to FIG.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의 사용상태도.11 is a state of use of the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link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본체, 20 : 승강구,10: main body, 20: hatch,

30 : 리프트, 34 : 롤러,30: lift, 34: roller,

40 : 구동부.40: drive unit.

Claims (7)

주차구역에 매립 설치되고, 승강구의 승하강 동작을 통해 차량의 무단 입출고를 관리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에 있어서,In the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 type vehicle management device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and managing the unauthorized entry and exit of the vehicle through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hatch, 상기 차량관리장치는 본체와,Th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상기 본체 내측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본체와 결합되는 승강구 및,A hatch tha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lowered and lowered inside the main body, 상기 승강구를 승강시키는 리프트를 구비하여 구성되고,And a lift for elevating the hatch, 상기 리프트는 리프트를 본체의 밑판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X자형 링크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승강판 및, 승강판을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하고,The lift includes a bracket for fixing the lift to the bottom plate of the main body, a lifting plat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racket and the X-shaped link, and a driving unit for lifting the lifting plate, 상기 브라켓과 승강판에는 각각 가이드홀이 구비되며,The bracket and the lifting plate are provided with guide holes, respectively. 상기 X자형 링크는 각각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는 각각 일단이 승강판과 브라켓에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타단이 제2 및 제3 결합축에 의해 상기 가이드홀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또는 제3 결합축에는 볼 스크류와 결합되는 너트가 구비되고,The X-shaped link has a pair of first and second links,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inks are hinged to the lifting plate and the bracket,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s thereof are connected by the second and third coupling shafts. Is coupled to the guide hole so as to slide, the second or third coupling shaft is provided with a nut coupled to the ball screw,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됨과 더불어 일단이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볼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The drive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ll screw is rotat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motor and the motor and one end is fastened to the nut,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는 승강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지지판을 통해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고,Both inner sides of the main body are coupled with a stopp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hatch so as to be separated through the support plate. 상기 승강구의 스토퍼와 지지판의 결합위치에 대응되도록 작업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 tool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stopper and the support plate of the hatch.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는 상부가 하부에 비해 폭이 작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하측이 내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The main body is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lower portion and the lower side is bent inwar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구는 몸체와 상판을 구비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상판은 몸체에 얹혀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의 상측에 승강구를 지지하는 다수의 롤러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The hatch is configured to have a body and a top plate, and the top plate is installed in a form that is mounted on the body, unmanned parking,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rollers for supporting the hatch on the upper side of the lifting plate Electric link type vehicle management device for manage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결합축에는 승강판에 대하여 제2 결합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The second coupling shaft is an electric link 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is further provided for supporting the second coupling shaft with respect to the lifting plate.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제3 결합축에는 브라켓에 대하여 제3 결합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The third coupling shaft is an electric link type vehicle management apparatus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is further provided for supporting the third coupling shaft with respect to the brack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터에는 비구동시에 회전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가 추가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주차관리용 전동 링크식 차량관리장치.The motor is an unmanned parking management electric link-type vehicle mana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rake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when not driven.
KR1020080001749A 2008-01-07 2008-01-07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09417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749A KR100941701B1 (en) 2008-01-07 2008-01-07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749A KR100941701B1 (en) 2008-01-07 2008-01-07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026A KR20090076026A (en) 2009-07-13
KR100941701B1 true KR100941701B1 (en) 2010-02-12

Family

ID=4133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749A KR100941701B1 (en) 2008-01-07 2008-01-07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7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373B1 (en) 2021-06-24 2021-12-13 아소르주식회사 Vehicle control device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22B1 (en) * 2009-09-23 2010-03-19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Preservation wall structure
KR100948424B1 (en) * 2009-09-23 2010-03-19 (주)디엔비건축사사무소 Preservation wall structure
WO2018043798A1 (en) * 2016-09-05 2018-03-08 유재홍 Apparatu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parking in designated parking space
CN107165457A (en) * 2017-06-23 2017-09-15 芜湖恒天易开软件科技股份有限公司 Lock with rising locking-type automatically without car
CN109403238A (en) * 2018-10-26 2019-03-01 绵阳皓丹曦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novel parking lock construction
CN109944489B (en) * 2019-03-20 2021-03-30 南通帕哥智能科技有限公司 Parking controller
CN109881603A (en) * 2019-03-29 2019-06-14 刘斌 A kind of full automatic solar intelligent space lock
CN112160269A (en) * 2020-10-17 2021-01-01 杭州醉夕风科技有限公司 Full-automatic lifting type parking ground lock
CN112726461A (en) * 2020-12-14 2021-04-30 浙江浙里停科技有限公司 Parking stall lock device that can unmanned mana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450Y1 (en) * 1999-10-12 2000-03-15 김의환 Crossing gate for vehicles
JP2004197433A (en) 2002-12-19 2004-07-15 San Nisuka:Kk Vehicle-locking device and parking control system
KR20040084035A (en) * 2003-03-26 2004-10-06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An Automobile Locking Device For A Toll Parking Lot
KR200396011Y1 (en) 2005-06-30 2005-09-14 김출 No-parking sign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450Y1 (en) * 1999-10-12 2000-03-15 김의환 Crossing gate for vehicles
JP2004197433A (en) 2002-12-19 2004-07-15 San Nisuka:Kk Vehicle-locking device and parking control system
KR20040084035A (en) * 2003-03-26 2004-10-06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An Automobile Locking Device For A Toll Parking Lot
KR200396011Y1 (en) 2005-06-30 2005-09-14 김출 No-parking sign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373B1 (en) 2021-06-24 2021-12-13 아소르주식회사 Vehicle control device for unmanned parking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026A (en)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701B1 (e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CN108349691B (en) Elevator with 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safe working space in an upper part of an elevator hoistway
KR100941700B1 (e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150095918A (en) Installation method for a lift
US20030168290A1 (e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KR101351329B1 (en) Driving apparatus for gate-bar of vehicle crossing gate
KR101593871B1 (en) Mould rotating device
KR100857558B1 (en) Automatic parking management system
EP3385209B1 (en) Hoist machine and elevator
GB2421974A (en) Operating mechanism for automatic retractable bollard
EP3269673B1 (en) System to enable access to travelling cable dead end hitch from inside an elevator car
CN108408540B (en) Traction machine and elevator
KR20180100914A (en) Trolly hoist
JP2009292633A (en) Device for detecting opening/closing condition of door
CN105800418A (en) Elevator counterweight carrying device
KR200447012Y1 (en) Foreign body removal device for position detection sensor of construction lift
KR200465699Y1 (en) driving apparatus for gate-bar of vehicle crossing gate
KR101929753B1 (en) Cableless vertical conveying apparatus installed at scaffolding
KR102221382B1 (en) A Rotary type debris removal apparatus
CN211254898U (en) Elevator for shallow pit
JP2007261692A (en) Lifting device for control panel of passenger conveyor
JP4226712B2 (en) Elevator hoistway equipment
AU739925B2 (en) Lift with control box
CN112566861B (en) Elevator with a movable elevator car
KR102539170B1 (en) Automatic Centering Guide Roller Device Attached Type Floodgate Wi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