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041B1 -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 Google Patents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041B1
KR100940041B1 KR1020080035780A KR20080035780A KR100940041B1 KR 100940041 B1 KR100940041 B1 KR 100940041B1 KR 1020080035780 A KR1020080035780 A KR 1020080035780A KR 20080035780 A KR20080035780 A KR 20080035780A KR 100940041 B1 KR100940041 B1 KR 100940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creen
container
dispersion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150A (ko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유니원기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원기연(주) filed Critical 유니원기연(주)
Priority to KR102008003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04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17/168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with a basket media milling device arranged in or on the container, involving therein a circulatory flow of the material to be m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한 스크린에 의해 미립화된 원료가 통과되는 간극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간극을 미세하게 형성 가능하여 보다 미세한 입도를 갖는 원료를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하여 세척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손시에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31) 내에 충전된 원료를 보다 미세하게 분쇄하기 위한 분산용기(40)의 측면에 원료가 통과되도록 구비되는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50)은 적어도 일면에 돌출부(52)가 형성된 링체(51)가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링체(51)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52)에 의해 간극(G)이 형성되어 원료가 통과되는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이 제공된다.
용기, 분산용기, 스크린, 링체, 돌출부, 경사부

Description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Separation type screen for a bead dispersion mill}
본 발명은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립화된 원료가 통과되도록 구비되는 스크린이 분할 가능하게 구비되어 원료의 입도에 따라 간극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하고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인트나 안료, 화장품과 같은 액상의 원료를 교반하거나 또는 보다 미세한 입자를 가진 원료를 제공하기 위한 비드 분산밀은 원료가 충전되는 용기 내에서 원심력에 의해 충전된 원료를 교반 및 미립화시킬 수 있도록 비드와 회전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드 분산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료가 충전되는 용기가 구비되고, 이 용기 내에는 상기 비드와 회전체가 내장되는 분산용기가 구비되는데, 상기 분산용기는 그 측면에는 상기 비드 및 회전체에 의해 미립화 된 원료가 배출되도록 소정의 크기로 망눈이 형성된 스크린이 구비되며, 이 스크린은 대개 판형상의 스틸을 타공하여 상기 분산용기의 측면에 결합시키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스크린은 스틸판의 두께에 따라 타공할 수 있는 망눈의 크기가 한정적인 것으로, 대략적으로 스틸판의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 가능한 망눈의 크기는 0.1mm 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0.1mm 이하의 보다 미세한 입도를 갖는 원료를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분산용기로부터 착탈이 불가능하여 이를 세척할 때에 구석진 부분까지 깨끗하게 청소하기에 번거로움이 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의 스크린은 상기 분산용기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므로, 그 일부가 파손이 될 때에 부분 교체가 불가능하여 상기 분산용기 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이에 따라 그 교체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스크린의 일부 파손으로 인해 분산용기 전체를 폐기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한 스크린에 의해 미립화된 원료가 통과되는 간극 조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간극을 미세하게 형성 가능하여 보다 미세한 입도를 갖는 원료를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개별적으로 분리 가능하여 세척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파손시에 부분 교체가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용기(31) 내에 충전된 원료를 보다 미세하게 분쇄하기 위한 분산용기(40)의 측면에 원료가 통과되도록 구비되는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분산용기(40)는 통형상을 이루도록 둘레에 다수의 가이드(46)가 형성된 본체(41)와, 이 본체(41)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42)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50)은 적어도 일면에 돌출부(52)가 형성된 링체(51)가 다수개로 구비되고, 이 링체(51)가 상기 가이드(46)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41) 내에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링체(51)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52)에 의해 간극(G)이 형성되어 원료가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링체(51)의 외측면에는 상기 간극(G)이 확장되도록 경사부(5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53)가 형성된 링체(51)가 상호 적층되어 스크린(50)을 형성하고, 상기 링체(51)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52)에 의한 간극(G)이 형성되어 원료가 통과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단순한 구조의 링체(51)와 이 링체(51)에 형성된 돌출부(52)의 제작이 용이하며, 이에 의해 원료가 통과되는 상기 간극(G)은 상기 돌출부(52)의 높이에 따라 조정 가능하므로 보다 미세한 간극(G)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의해 상대적으로 미세한 입도를 갖는 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링체(51)는 개별적으로 분할되는 것이므로 원료의 입도에 따라서 용이하게 교체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링체(51)의 일부가 파손된 경우에도 파손된 링체(51) 만을 분리하여 부분 교체가 가능하고, 이에 의해 종래처럼 분산용기(40) 전체 또는 스크린(50) 전체를 폐기할 필요가 없으므로 교체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로움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세척할 때에도 상기 분산용기(4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청소가 가능하여 보다 깨끗하게 세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링체(51)의 외측면에는 상기 간극(G)이 확장되도록 경사부(5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산용기(40)의 내부에서 외부측으로 원료가 배출될 때에 그 배출속도를 보다 가속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료에 의해 상기 간극(G)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원료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결합방법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분산밀(30)은 액상의 원료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31)가 구비되고, 이 용기(31)의 내부에는 원료를 보다 미세하게 분쇄하기 위한 분산용기(40)가 구비된다. 상기 분산용기(40)의 내부에는 유입된 원료를 미립화시키기 위한 비드(32)와 이 비드(32)를 원료와 함께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체(33)가 내장되는데, 상기 회전체(33)는 프레임에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회전축(34)의 하단에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출봉(35)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산용기(40)는 그 상면에 커버(42)가 결합되고, 측면에는 분쇄된 원료를 배출하기 위한 스크린(50)이 구비되며, 외부의 저면에는 상기 용기(31) 내의 원료를 교반시키기 위한 임펠러(43)가 결합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크린(50)은 다수의 링체(51)가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링체(51) 사이에는 간극(G)이 형성되어 상기 분산용기(40) 내부에서 미립화된 원료가 상기 용기(31)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5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 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을 이루는 링체(51)가 구비되고, 이 링체(51)의 일면에는 원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체(51)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출부(52)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커팅된 경사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링체(51)는 강도가 우수하고 부식의 발생우려가 적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져 절삭 및 연삭가공 등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부(52))가 형성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이러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링체(51)는 용이하게 열처리 가능하여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링체(51)를 포함한 상기 분산용기(4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링체(5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2)는 대략 최소 0.04mm 정도로 형성되고, 이 돌출부(52)의 높이에 의해 상기 링체(51)를 상호 적층할 때에 그 사이에 최소 0.04mm 정도의 간극(G)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간극(G)에 의해 상기 분산용기(40)에서 미립화되는 원료는 상기 간극(G)을 통과할 수 있는 입도를 갖는 원료만이 배출 가능하게 되므로 원하는 입도를 갖는 원료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사부(53)는 원료가 상기 분산용기(40)로부터 간극(G)을 통과한 후에, 그 배출속도를 보다 가속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료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간극(G)이 링체(51)의 외주면 측에서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링체(51)가 상기 분산용기(40)에 결합되는 방법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산용기(40)는 상기 링체(51)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본체(41)와 이 본체(41)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상 기 커버(42) 및 상기 본체(41)의 하단 외부에 축결되는 상기 임펠러(43)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커버(42)는 그 상부로 연장되는 축부재(36)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본체(41)는 상기 커버(42)에 볼트체(45)로 나사체결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링체(51)의 교체 또는 세척시에는 상기 본체(41)를 커버(42)로부터 분리한 후에, 상기 본체(41)에 적층된 상기 링체(51)를 개별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링체(51)는 상기 본체(41)의 저면과 상면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46) 내에 단순히 적층하기만 하면 되고, 이 링체(51)는 상기 본체(41)를 커버(42)에 결합할 때에 상기 커버(42)의 하단이 상기 본체(41)에 적층된 최상측 링체(51)에 접촉되어 고정되므로 교체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의 (b)는 상기 (a)의 A-A'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결합방법을 도시한 분해도

Claims (2)

  1. 용기(31) 내에 충전된 원료를 보다 미세하게 분쇄하기 위한 분산용기(40)의 측면에 원료가 통과되도록 구비되는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분산용기(40)는 통형상을 이루도록 둘레에 다수의 가이드(46)가 형성된 본체(41)와, 이 본체(41)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42)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50)은 적어도 일면에 돌출부(52)가 형성된 링체(51)가 다수개로 구비되고, 이 링체(51)가 상기 가이드(46)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본체(41) 내에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링체(51)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52)에 의해 간극(G)이 형성되어 원료가 통과되고, 상기 링체(51)의 외측면에는 상기 간극(G)이 확장되도록 경사부(5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2. 삭제
KR1020080035780A 2008-04-17 2008-04-17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KR100940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780A KR100940041B1 (ko) 2008-04-17 2008-04-17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780A KR100940041B1 (ko) 2008-04-17 2008-04-17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150A KR20090110150A (ko) 2009-10-21
KR100940041B1 true KR100940041B1 (ko) 2010-02-04

Family

ID=4153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780A KR100940041B1 (ko) 2008-04-17 2008-04-17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0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207B1 (ko) 2012-01-06 2013-04-25 유니텍 주식회사 교반장치
KR101267980B1 (ko) 2011-11-15 2013-05-27 유니원기연(주) 교반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168B1 (ko) * 2012-12-05 2013-04-19 주식회사 디엔텍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KR101538799B1 (ko) * 2014-08-04 2015-07-24 육순길 바스켓 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845A (ja) * 1993-06-04 1994-12-20 Araki Tekko:Kk 分散装置
JPH1170327A (ja) * 1997-07-02 1999-03-16 Araki Tekko:Kk 分散装置
KR100375296B1 (ko) 2000-06-27 2003-03-10 조용래 분산장치
JP2005111357A (ja) 2003-10-07 2005-04-28 Mitsui Mining Co Ltd 粉砕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845A (ja) * 1993-06-04 1994-12-20 Araki Tekko:Kk 分散装置
JPH1170327A (ja) * 1997-07-02 1999-03-16 Araki Tekko:Kk 分散装置
KR100375296B1 (ko) 2000-06-27 2003-03-10 조용래 분산장치
JP2005111357A (ja) 2003-10-07 2005-04-28 Mitsui Mining Co Ltd 粉砕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980B1 (ko) 2011-11-15 2013-05-27 유니원기연(주) 교반밀
KR101258207B1 (ko) 2012-01-06 2013-04-25 유니텍 주식회사 교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150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748B1 (ko) 습식 교반 볼 밀 및 분쇄 방법
TWI503173B (zh) Medium mixing grinder
US9050610B2 (en) Hydroclone with inlet flow shield
CA2165886C (en) Stirring bead mill with separator to strain out grinding beads
KR100940041B1 (ko)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JP6182671B2 (ja) ボールミル又は撹拌型ボールミル用の予粉砕装置、及び予粉砕装置を備えるボールミル
KR20090087688A (ko) 바스켓 밀
WO2013015237A1 (ja) メディア攪拌式粉砕機
KR100516364B1 (ko) 펄프제조기
US7828234B1 (en) Basket media mill with porous containment wall and method
CN108837875A (zh) 一种工业原料粉碎筛选装置
JP2009119353A (ja) 粉砕媒体洗浄装置
CN211051613U (zh) 一种多效研磨破碎机
WO2011113336A1 (zh) 浆体颗粒破碎装置
JP3203625U (ja) 攪拌ミル
CN213529514U (zh) 用于碳酸钙粉体生产的原料磨粉设备
TW201742671A (zh) 介質循環式粉碎機
JP2013248561A (ja) 濾材凝着物除去装置及び濾材凝着物除去方法
CN205109768U (zh) 一种新型油漆粒子分离砂磨机
JPH0767541B2 (ja) 水平旋回流型ジェットミル
CN108176495B (zh) 一种自动分级石英砂研磨机及其工作方法
JPH0463152A (ja) 湿式粉砕機
JPH0746353Y2 (ja) 湿式粉砕機
CN211368199U (zh) 一种废纸回收处理装置
RU2397019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