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730B1 -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730B1
KR100939730B1 KR1020090114980A KR20090114980A KR100939730B1 KR 100939730 B1 KR100939730 B1 KR 100939730B1 KR 1020090114980 A KR1020090114980 A KR 1020090114980A KR 20090114980 A KR20090114980 A KR 20090114980A KR 100939730 B1 KR100939730 B1 KR 100939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shower
suction
suction outlet
pe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두남
홍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우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우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우아이엔지
Priority to KR102009011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 샤워기 하부의 흡입 배출구(114)에 설치되어 송풍통로(141)에 내장된 송풍팬(142)의 작동에 따라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 배출되는 먼지 및 해충을 필터링해 포집 제거하는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1)로서, 상기 에어 샤워기 내측 본체(110)의 내측판(111)의 흡입 배출구(114)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흡입 배출공(15)이 통공된 흡입 배출구 캡(10)과,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에 끼워져 체결되는 필터링 가능하고 플렉서블한 재질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142)이 온되면 송풍팬(142)의 강한 흡입력에 의해 일정 부피로 펼쳐져 확장 가변되어 상기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되는 먼지 및 해충이 필터링되어 포집되고, 상기 송풍팬(142)이 오프되면 흡입 포집된 먼지 및 해충이 흡입 배출구(114)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방 원위치로 축 늘어져 처진 포대형 필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먼지뿐만 아니라 파리 등의 해충이 송풍팬의 에어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포대형 필터에 다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필터링 포집 및 제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청정룸 도어의 개방에 따른 바람에 의해 먼지뿐만 아니라 파리 등의 해충이 에어샤워실로 다시 빠져나가지 않아 청정룸으로의 유입이 완전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에어 샤워기,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포대형 필터, 가이드 덕트, 개폐판

Description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CAPTURING APPARATUS OF DUST AND HARMFUL INSECTS FOR AIR SHOWER DEVICE}
본 발명은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식료품 가공 공장 등 청정실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에어 샤워기에 먼지뿐만 아니라 해충을 필터링해 포집 제거하며, 포집된 먼지 및 해충이 에어샤워실의 입실자가 청정룸 도어를 개방할 때의 바람에 의해 에어샤워실로 다시 빠져나가지 않는 플렉서블한 포대 자루 형상의 먼지 및 해충포집 포대형 필터가 구비된 에어 샤워기용 해충포집 포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샤워기는 반도체, 정밀 전자기기 등의 제품 제조 공정에서 미세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청정룸(클린룸)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에어 순환관로에 설치된 송풍기로 흡입한 먼지, 미세분진 등이 포함된 공기를 프리필터와 헤파필터로 필터링(여과)한 청정 공기를 분사노즐로 공급해 입실자가 착용한 피복물과 물건에 묻은 먼지, 미세분진 등의 파티클을 에어 샤워로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샤워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에어 샤워 장치는, 내측의 좌우 양 측판(111), 천정판(112), 발판(113)으로 이루어지는 내측 본체(110)와, 외측의 좌우 양 측판(121), 천정판(122), 바닥판(123)으로 이루
어지는 외측 본체(120)로 구성되는 2중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후방향에는 에어샤워실 및 청정룸 출입 도어(도시 안함)가 설치되어, 내측의 측판(111)과 출입 도어(도시 안함)에 의해 에어샤워실(130)을 내부에 구비하게 된다.
또한 내측 본체(110)와 외측 본체(120) 사이는 기밀이 유지되어 송풍통로(141)를 구성하고, 이 송풍통로(141)의 일측 하부에는 제1 에어필터링수단인 1차 프리필터가 내측에 구비된 오염 에어 흡입 배출구(114)와, 에어 순환공급원인 송풍팬(142)과 제2 에어필터링수단인 2차 헤파필터(14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측의 좌우 측판(111)과 천정판(112)에는 복수개의 청정에어 분사노즐(144)이 설치되어 있고, 파티클이 포함된 오염 에어는 에어샤워실(130) 측벽 하부의 1차 프리필터(도시 안함)가 내측에 구비된 오염 에어 흡입 배출구(114)를 통해 흡입, 필터링되어 제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종래 기술의 에어 샤워기는 에어샤워실(130)내에 입실자가 있어 송풍팬(142)이 구동되면, 송풍팬(142)으로부터 발생된 흡입되는 강풍은 1차 프리필터와 2차 헤파필터(143)를 통과하면서 일반 먼지와 미세 분진이 제거되어 청정 에어 상태에서 송풍통로(141)로 보내지고, 양 측판(111)과 천정판(112)에 설치된 복수개의 분사노즐(144)을 통해 청정 에어가 에어샤워실(130)로 강하게 분출된다. 이때의 에어샤워실(130)로 강하게 분출되는 청정 에어에 의해 입실자가 착용한 피복 물이나 물건에 묻은 일반 먼지, 미세분진 등의 파티클이 떨어지게 되고, 떨어져 나온 파티클은 에어샤워실(130) 내측판 하부의 1차 프리필터가 구비된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 배출되어 제거된다.
이때, 상기 에어샤워실(130)에서 상기 오염 에어 흡입 배출구(114)를 통해 흡입 배출되는 일반 먼지와 파리 등의 해충은 상기 흡기 배출구(114)의 입구의 흡기공을 통해 흡입되면서 내측의 1차 프리필터의 표면에 흡착 필터링되며, 해충의 다리 또는 날개 등의 일부는 흡기 배출구(114)의 입구의 흡기공 테두리에 부딪혀 흡기공 테두리나 에어샤워실(130) 발판(113) 바닥에 붙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에어 샤워기는 최근에는 식료품 가공 공장의 출입구에도 에어 샤워기가 설치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서 일반 먼지와 함께 해충의 유입 차단이 반드시 되어야만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에 따른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요구를 해결하지 못하고, 입실자가 에어 샤워실로 입실할 때 동반되어 들어오는 해충이 제거되지 못하고 청정룸으로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오염 에어를 필터링해 청정 에어를 에워 샤워실의 입실자에게 분사해 오염 파티클을 제거하는 작동이 완료되면 에어 샤워기의 송풍팬(142)의 작동이 멈춘 상태에서 에어샤워실(130)의 입실자가 청정룸의 도어를 열어 청정룸으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흡입 배출구(114) 내측의 프리필터와 송풍통로(141)의 2차 헤파필터(143)의 표면에 흡착된 상태의 일반 먼지, 미세분진 등의 파티클은 대부분 청정룸의 도어를 통해 유입되지 않지만, 독자적으로 날아 이동할 수 있는 파리 등의 해충은 흡기 배출구(114) 내측의 프리필터 표면에 흡착되어 있거나 흡기 배출구(114)의 입구의 흡기공 테두리에 끼여 있는 상태에서 송풍팬(142)이 오프되어 흡입 강풍이 없는 상태에서 스스로 날아 에어샤워실(130)로 빠져 나와 입실자와 함께 청정룸의 도어를 통해 청정룸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풍팬(142)의 에어 흡입력에 의해 먼지 및 파리 등의 해충이 흡입되면서 일부는 흡기 배출구(114) 내측의 1차 프리필터 표면에 흡착 필터링되고, 먼지 및 해충의 자체 점착성이 있는 다리, 날개 등의 일부는 흡기공 테두리에 부딪혀 떨어져 나가면서 흡기공 테두리나 에어샤워실(130) 바닥에 붙어 있다가 입실자가 청정룸의 도어를 열 때의 바람에 의해 날려 청정룸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프리필터와 헤파필터를 대체할 수 있으면서도, 먼지뿐만 아니라 파리 등의 해충이 송풍팬의 에어 흡입력(흡입 강풍)에 의해 흡입되어 플렉서블한 포대형 필터에 다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필터링 포집 및 제거되기 때문에 포대형 필터에 포집된 먼지 및 해충이 에어 샤워실 도어의 개방에 따른 바람에 의해 청정룸으로 다시 빠져나가지 않아 청정룸으로의 유입이 완전 차단되는 플렉서블한 포대 자루 형상의 먼지 및 해충포집 포대형 필터가 구비된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기 배출구에 체결된 흡입 배출구 캡의 흡입 배출공 주변을 점착성 양면 테이프로 된 점착 시트를 완전히 감싸도록 접착함으로써, 송풍팬의 에어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먼지 및 해충의 일부가 흡기 배출구에 체결된 흡입 배출구 캡의 흡입 배출공을 통해 흡입 배출되지 않고 흡입 배출구 캡의 흡입 배출공 주변에 부딪히는 경우에, 흡입 배출구 캡의 흡입 배출공 주변에 부딪히는 먼지 및 해충의 다리, 날개 등의 일부가 에어샤워실로 다시 빠져나가지 않도록 점착 시트에 점착 고정되는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에어 샤워기 하부의 흡입 배출구(114)에 설치되어 송풍통로(141)에 내장된 송풍팬(142)의 작동에 따라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 배출되는 먼지 및 해충을 필터링해 포집 제거하는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1)로서, 상기 에어 샤워기 내측 본체(110)의 내측판(111)의 흡입 배출구(114)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흡입 배출공(15)이 통공된 흡입 배출구 캡(10)과,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에 끼워져 체결되는 필터링 가능하고 플렉서블한 재질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142)이 온되면 송풍팬(142)의 강한 흡입력에 의해 일정 부피로 펼쳐져 확장 가변되어 상기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되는 먼지 및 해충이 필터링되어 포집되고, 상기 송풍팬(142)이 오프되면 흡입 포집된 먼지 및 해충이 흡입 배출구(114)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방 원위치로 축 늘어져 처진 포대형 필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는 먼지뿐만 아니라 파리 등의 해충이 송풍팬의 에어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포대형 필터에 다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필터링 포집 및 제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청정룸 도어의 개방에 따른 바람에 의해 먼지뿐만 아니라 파리 등의 해충이 에어샤워실로 다시 빠져나가지 않아 청정룸으로의 유입이 완전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입 배출구 캡의 흡입 배출공 주변의 점착 시트에 의해 흡입 배출구 캡의 흡입 배출공 주변에 부딪히는 먼지 및 해충의 다리, 날개 등의 일부가 단단히 점착되기 때문에 에어샤워실의 입실자가 청정룸의 도어를 열 때의 바람에 의해 날리지 않아 청정룸으로의 유입이 완전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가 에어 샤워기의 내측판의 흡입 배출구에 장착되어 에어 샤워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절단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에어 샤워기가 작동되는 상태 즉, 송풍팬이 온(ON)인 상태로 송풍팬의 에어 흡입력에 의해 가이드 덕트(20)의 개폐판(28)이 개방되며 포대형 필터(30)가 펼쳐져 확장된 상태이며, 본 발명의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1) 부분을 제외한 에어 샤워기 본체의 도면 부호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는 에어 샤워기의 내측 본체(110)와 외측 본체(120) 사이의 기밀이 유지되는 송풍통로(141)의 일측에 내장된 송풍팬(142)의 작동에 따라 에어샤워실 출입도어(131) 안쪽의 에어샤워실에 있는 입실자의 피복물이나 물건에 묻은 먼지와 별도로 에어샤워실에 유입된 해충이 내측판(111)과 천장판(도시 안함)에 설치된 복수개의 분사노즐(144)을 통해 청정 에어가 에어샤워실로 강하게 분출되면서 떨어져 나온 먼지 및 해충이 흡입 배출되는 내측판(111) 하부의 흡입 배출구(114)에 체결 장착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는 송풍통로(141)에 내장된 송풍팬(142)의 작동에 따라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 배출되는 먼지 및 해충을 필터링해 포집 제거하는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1)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1)는 상기 에어 샤워기 내측 본체(110)의 내측판(111)의 흡입 배출구(114)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흡입 배출공(15)이 통공된 흡입 배출구 캡(10)과,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에 끼워져 체결되는 필터링 가능하고 플렉서블한 재질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포대 형상으로 형성된 포대형 필터(bag filter)(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의 가이드 덕트의 개폐판이 개방되어 포대형 필터가 펼쳐져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의 가이드 덕트의 개폐판이 폐쇄되어 포대형 필터가 축 늘어져 처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에어 샤워기가 작동이 완료되어 중단된 상태 즉, 송풍팬이 오프(OFF)인 상태로 송풍팬의 에어 흡입력이 중단되어 가이드 덕트(20)의 개폐판(28)이 원위치로 폐쇄되며 포대형 필터(30)가 포집된 먼지 및 해충이 빠져 나가지 않도 록 축 늘어져 처진 상태이다.
도 3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대형 필터(30)는 상기 송풍팬(142)이 온(ON)되어 에어 샤워기가 작동되면 송풍팬(142)의 강한 흡입력(흡입 강풍)에 의해 일정 부피로 펼쳐져 확장 가변되어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 배출되는 먼지 및 해충이 필터링되어 포집된다. 그리고, 에어샤워실의 입실자의 피복물이나 물건에 묻은 먼지(오염 에어)와 별도로 에어샤워실에 유입된 해충의 제거가 완료되어 상기 송풍팬(142)이 오프(OFF)되면 흡입 포집된 먼지 및 해충이 흡입 배출구(114)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포대형 필터(30)는 하방 원위치로 축 늘어져 처진다.
상기 포대형 필터(30)는 후방의 플렉서블한 필터링 포집부(34)의 전단의 개방된 입구가 고강성의 플라스틱재 등으로 된 지지 플랜지(32)에 지지되도록 접착 또는 밴딩 형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포대형 필터(30)의 필터링 포집부(34)는 미세 먼지 및 해충의 필터링이 가능하게 미세한 필터망(걸름망)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142)의 온/오프에 따라 확장/수축 가변이 가능하게 플렉서블한 포대 형상의 부직포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은 고강성의 플라스틱 판재 또는 알루미늄 판재로 형성되어 흡입 배출구(114)의 내측판(111)이 내측으로 'ㄴ'자로 접어 꺽인 부분에 안착된 상태에서 캡 체결 볼트(19)로 체결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의 흡입 배출공(15)에는 중공의 관 형상으 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덕트(20)가 전단에 형성된 플랜지(22)가 끼워져 가이드 덕트 체결 볼트(29)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20)의 후방으로 연장된 후단부에는 상기 포대형 필터(30)의 지지 플랜지(32)가 감싸도록 끼워져 지지 플랜지(32) 후단에 접착된 플렉서블한 필터링 포집부(34) 부분을 서스(SUS) 밴드(또는 고무 밴드)(38)로 감아 가이드 덕트(20)의 후단부에 빠지지 않게 체결 고정한다.
그리고, 흡입 배출구 캡(10)의 흡입 배출구(114)에 노출된 면에는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의 노출면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면에 점착성 접착재가 도포된 양면 점착 시트(양면 접착 테이프, sticky tape)(18)가 탈부착 가능하게 접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양면 점착 시트(18)는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이 캡 체결 볼트(19)로 흡입 배출구(114)의 내측판(111)에 체결되고, 흡입 배출구 캡(10)에 가이드 덕트 체결 볼트(29)로 가이드 덕트(20)의 플랜지(22)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의 흡입 배출공(15)을 제외한 노출면에 접착고정된다. 따라서, 양면 점착 시트(18)의 흡입 배출구(114)의 에어샤워실 방향으로 노출된 점착면에는 흡입 배출구 캡(10)의 흡입 배출공(15) 주변에 부딪히는 먼지 및 해충의 다리, 날개 등의 일부가 단단히 점착되기 때문에 에어샤워실의 입실자가 청정룸의 도어를 열 때의 바람에 의해 날리지 않아 청정룸으로의 유입이 완전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양면 점착 시트(18)는 노출면에 접착된 먼지 및 해충의 오염 정도에 따라 쉽게 떼어내고 새로운 양면 점착 시트(18)로 손쉽게 교체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20)의 중공의 관로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된 경첩부(24)에는 송풍팬(142)의 온/오프에 따른 강한 에어 흡입력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일정 무게의 플라스틱 재질로 된 개폐판(28)이 회전축핀(26)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개폐판(28)은 상기 송풍팬(142)이 온(ON)되면 송풍팬(142)의 강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 배출되는 먼지 및 해충이 중공의 관로를 통해 포대형 필터(30)의 필터링 포집부(34)로 흡입 포집되도록 관로를 개방하도록 후방 포대형 필터(30) 방향으로 올라가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42)이 오프(OFF)되면 개폐판(28)은 중공의 관로를 통해 포대형 필터(30)의 필터링 포집부(34)로 흡입 포집된 먼지 및 해충이 흡입 배출구(114)를 통해 역으로 에어샤워실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원위치로 떨어져 회동 복귀되어 관로를 폐쇄한다.
즉, 송풍팬(142)이 오프(OFF)되면 포대형 필터(30)의 필터링 포집부(34)가 하방 원위치로 축 늘어져 처지고 동시에 가이드 덕트(20)의 개폐판(28)이 중공의 관로를 폐쇄하기 때문에 청정룸 도어의 개방에 따른 바람에 의해 포대형 필터(30)의 필터링 포집부(34)로 흡입 포집된 먼지 및 해충이 흡입 배출구(114)를 통해 역으로 에어샤워실로 빠져 나가지 않아 청정룸으로의 유입이 완전 차단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덕트(20)의 경첩부(24)의 일측 또는 가이드 덕트(20)의 중공의 관로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핀(26)을 회전축으로 회동되는 개폐판(28)이 전방 흡입 배출구(114)의 에어샤워실 방향으로 빠져 이탈되지 않도록 개폐판 이탈방지턱(도시 안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체결 구조에 의해, 상기 포대형 필터(30)는 전단에 구비된 지지 플랜지(32)가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의 흡입 배출공(15) 또는 포대형 필터(30) 중 어느 하나에 감싸도록 끼워져 서스 밴드(38)로 체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이하에서는, 입실자가 에어 샤워기의 에어샤워실 출입도어(131)를 열고 에어샤워실에 들어올 때 파리 등 해충이 함께 날아 들어오고, 에어샤워실에 입실자의 입실이 감지된 상태에서 설명한다.
우선, 송풍팬(142)이 온(ON)인 상태로 작동에 따라 송풍팬의 에어 흡입력에 의해 가이드 덕트(20)의 개폐판(28)이 개방되며 포대형 필터(30)가 펼쳐져 확장된 상태에서, 에어샤워실에 청정 에어가 복수개의 분사노즐(144)을 통해 분출되면서 입실자의 피복물이나 물건에 묻은 일반 먼지 및 미세 분진 등이 떨어진다. 동시에, 송풍팬(142)의 작동에 따라 에어 샤워기 하부의 흡입 배출구(114)에는 강한 에어 흡입력(강한 흡입 강풍)이 작용되어 에어샤워실의 먼지 및 해충이 흡입 배출구(114)에 체결된 흡입 배출구 캡(10)의 흡입 배출공(15)을 통해 가이드 덕트(20) 후단에 체결된 포대형 필터(30)의 필터링 포집부(34)에 흡입 포집된다.
동시에,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의 양면 점착 시트(18)의 흡입 배출구(114)의 에어샤워실 방향으로 노출된 점착면에는 흡입 배출구 캡(10)의 흡입 배출공(15) 주변에 부딪히는 먼지 및 해충의 다리, 날개 등의 일부가 단단히 점착된다.
그 후, 에어샤워실의 입실자의 피복물이나 물건에 묻은 먼지(오염 에어)와 별도로 에어샤워실에 유입된 해충의 제거가 완료되면, 즉시 상기 송풍팬(142)이 오프(OFF)되면서 송풍팬의 에어 흡입력이 중단되어 가이드 덕트(20)의 개폐판(28)이 원위치로 회동되어 중공의 관로가 폐쇄되며 포대형 필터(30)가 포집된 먼지 및 해충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원위치로 축 늘어져 처진 상태로 복귀된다.
그 후, 에어샤워실의 입실자가 청정룸으로 입실하기 위해 청정룸의 도어를 열때, 순간적으로 에어샤워실과 청정룸 간의 공기(온도, 기압) 차이 및 청정룸의 도어 개방시와 입실자 입실 이동에 따른 바람에 의해 포대형 필터(30)의 필터링 포집부(34)에 흡입 포집된 먼지 및 해충과 흡입 배출구 캡(10)의 양면 점착 시트(18)에 접착된 일부의 먼지 및 해충의 다리 등은 날리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 에어샤워실로 빠져 나가지 않아 청정룸으로의 유입이 완전 차단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 샤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가 에어 샤워기의 내측판의 흡입 배출구에 장착되어 에어 샤워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절단해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의 가이드 덕트의 개폐판이 개방되어 포대형 필터가 펼쳐져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의 가이드 덕트의 개폐판이 폐쇄되어 포대형 필터가 축 늘어져 처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10. 흡입 배출구 캡
15. 흡입 배출공 19. 캡 체결 볼트
18. 양면 점착 시트 20. 가이드 덕트
24. 경첩부 26. 힌지축핀
28. 개폐판 30. 포대형 필터
38. 서스 밴드

Claims (5)

  1. 에어 샤워기 하부의 흡입 배출구(114)에 설치되어 송풍통로(141)에 내장된 송풍팬(142)의 작동에 따라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 배출되는 먼지 및 해충을 필터링해 포집 제거하는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1)로서,
    상기 에어 샤워기 내측 본체(110)의 내측판(111)의 흡입 배출구(114)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흡입 배출공(15)이 통공된 흡입 배출구 캡(10)과;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에 끼워져 체결되는 필터링 가능하고 플렉서블한 재질의 포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142)이 온되면 송풍팬(142)의 강한 흡입력에 의해 일정 부피로 펼쳐져 확장 가변되어 상기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되는 먼지 및 해충이 필터링되어 포집되고, 상기 송풍팬(142)이 오프되면 흡입 포집된 먼지 및 해충이 흡입 배출구(114)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하방 원위치로 축 늘어져 처진 포대형 필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의 흡입 배출공(15)에는 전단 일측이 끼워져 체결되며, 후단에는 상기 포대형 필터(30)가 끼워져 체결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덕트(2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20)의 중공의 관로 일측에는 상기 송풍팬(142)이 온되면 송풍팬(142)의 강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 배출구(114)로 흡입되는 먼지 및 해충이 중공의 관로로 흡입되도록 관로를 개방하고, 상기 송풍팬(142)이 오프되면 중공의 관로로 흡입된 먼지 및 해충이 흡입 배출구(114)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원위치로 복귀되어 관로를 폐쇄하도록 회전축핀(26)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개폐판(28)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의 흡입 배출구(114)에 노출된 면에는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의 노출면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면에 점착성 접착재가 도포된 양면 점착 시트(18)가 탈부착 가능하게 접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형 필터(30)는 미세 먼지 및 해충의 필터링이 가능하게 미세한 필터망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142)의 온/오프에 따라 확장/수축 가변이 가능하게 플렉서블한 포대 형상의 부직포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흡입 배출구 캡(10)의 흡입 배출공(15) 또는 포대형 필터(30) 중 어느 하나에 감싸도록 끼워져 서스 밴드(38)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KR1020090114980A 2009-11-26 2009-11-26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KR100939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980A KR100939730B1 (ko) 2009-11-26 2009-11-26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980A KR100939730B1 (ko) 2009-11-26 2009-11-26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730B1 true KR100939730B1 (ko) 2010-01-29

Family

ID=4181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980A KR100939730B1 (ko) 2009-11-26 2009-11-26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7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521A (ja) 1999-07-30 2001-02-16 Amano Corp エアーシヤワー装置
JP2005061700A (ja) 2003-08-11 2005-03-10 Soltec Kogyo:Kk 空気清浄機
JP2008039270A (ja) 2006-08-04 2008-02-21 Kondo Kogyo Kk ガーメントストッカ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1521A (ja) 1999-07-30 2001-02-16 Amano Corp エアーシヤワー装置
JP2005061700A (ja) 2003-08-11 2005-03-10 Soltec Kogyo:Kk 空気清浄機
JP2008039270A (ja) 2006-08-04 2008-02-21 Kondo Kogyo Kk ガーメントストッカ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8485B2 (en) Dust collector with negative pressure bagging
CN105611829B (zh) 修剪箱
KR101539020B1 (ko) 저소음 저발열 구조의 클린룸 진공청소기
CA2899065C (en) Air shower for dust collectors
JP2007212073A (ja) 換気装置
JP2626189B2 (ja) 喫煙装置
JP5860334B2 (ja) 動物飼育用安全キャビネット
KR100939730B1 (ko) 에어 샤워기용 먼지 및 해충포집장치
JP2007295863A (ja) 昆虫類侵入防止装置
JP5014815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JP7080838B2 (ja) エアシャワー装置
JP5365879B2 (ja) 昆虫類侵入防止装置
KR20190054251A (ko) 의류 더스팅 장치
JP3323843B2 (ja) 洗浄装置
CN209985974U (zh) 一种除异味风淋室
JP2009183525A (ja) 電気掃除機
JP5466446B2 (ja) 花粉除去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建物
CN110290736B (zh) 过滤系统和包含过滤系统的真空吸尘器
CN215996019U (zh) 一种排风反吹式粉尘处理设备
CN110771587A (zh) 一种灭蚊方法及装置
JPS62106819A (ja) エア−クリ−ン法及びその装置
KR20180003369U (ko) 먼지떨이 집진장치
JP2019092435A5 (ko)
KR101940177B1 (ko) 포충 및 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 커튼
KR200370960Y1 (ko) 공기 청정용 쿨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