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677B1 - 등받이용 높낮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등받이용 높낮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677B1
KR100939677B1 KR1020090051485A KR20090051485A KR100939677B1 KR 100939677 B1 KR100939677 B1 KR 100939677B1 KR 1020090051485 A KR1020090051485 A KR 1020090051485A KR 20090051485 A KR20090051485 A KR 20090051485A KR 100939677 B1 KR100939677 B1 KR 10093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uide rod
backrest
protrusion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주)대우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가구 filed Critical (주)대우가구
Priority to KR102009005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를 준비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의자의 등받이를 상하로 자유롭게 승, 하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좌판(1)과, 상기 좌판(1)의 저면에 수직 하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상기 좌판(1)을 지지해주는 다리(3)와, 상기 좌판(1)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가이드봉(10)과, 상기 가이드봉(10)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해주며, 배면 중앙에 나사 체결홈(22)이 형성되고, 나사(22a)로 체결되는 등받이(20)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나사 체결홈(22)에 나사(22a)로 고정되되, 양측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오목형태의 제1반구(110)를 가진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1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되, 양측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오목형태의 제2반구(210)를 가진 제2케이스(200)와; 상기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2케이스(200)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20)를 상,하로 조절해주는 조절수단(300)과; 상기 가이드봉(10)의 일측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조절수단(300)을 끼움 체결시키는 다수개의 위치 조절홈(12)과; 상기 제1케이스(100)의 제1반구(110)와 상기 제2케이스(200)의 제2반구(210)가 체결될때 상기 가이드봉(10)에 끼움 체결되는 가이드봉 체결홀(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책상, 높낮이조절장치, 의자, 등받이

Description

등받이용 높낮이조절장치{high and low regulating equipment the back of a chair}
본 발명은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공구를 준비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의자의 등받이를 상하로 자유롭게 승, 하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등받이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자는 좌판(1)과, 상기 좌판(1)의 저면에 수직 하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상기 좌판(1)을 지지해주는 다리(3)와, 상기 좌판(1)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가이드봉(10)과, 상기 가이드봉(10)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해주며, 배면 중앙에 나사 체결홈(22)이 형성되고, 나사(22a)로 체결되는 등받이(20)로 구성된다.
상기한 의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 및 다기 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으나, 통상의 초, 중,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의자 등받이의 경우, 제조시에 그 높이가 정해져 규격화된 크기로 공급되기 때문에, 성장속도가 빨라 체형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학생들의 체형을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거나 작은 의자에 학생들의 체형을 끼워 맞추게 되며, 이로 인해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의 자세가 흐트러져 척추가 휘어지는 척추 측만증이 발생하거나 성장속도가 둔화 되는 등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등받이에 비해 체격이 큰 학생은 낮은 등받이에 등이 맞닿아 있지 않아 장시간 앉아서 수업받기가 힘이 들고, 책을 보거나 컴퓨터 사용시 허리가 굽어져, 척추에 무리를 주며, 허리가 굽어짐으로 인해 책 내지 컴퓨터와 눈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시력 저하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대로 등받이가 체격보다 오히려 높은 학생의 경우에는 앉았을때 등받이가 적절한 위치의 등보다 높거나 목에 위치하게 되어 적절한 위치에 등을 지지할 수 없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의자 뒤까지 깊숙이 엉덩이를 넣어 앉으면 허리의 굽음 현상 등의 문제로 자세가 흐트러지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비뚤어진 자세로 오래 생활하다 보면 학생들의 척추가 비뚤어지거나, 체형의 불균형을 가져와 성장기 학생들의 발육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자유롭게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받이의 조작성과 취급성이 매우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특징은, 좌판(1)과, 상기 좌판(1)의 저면에 수직 하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상기 좌판(1)을 지지해주는 다리(3)와, 상기 좌판(1)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가이드봉(10)과, 상기 가이드봉(10)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해주며, 배면 중앙에 나사 체결홈(22)이 형성되고, 나사(22a)로 체결되는 등받이(20)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나사 체결홈(22)에 나사(22a)로 고정되되, 양측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오목형태의 제1반구(110)를 가진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1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되, 양측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오목형태의 제2반구(210)를 가진 제2케이 스(200)와;
상기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2케이스(200)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20)를 상,하로 조절해주는 조절수단(300)과;
상기 가이드봉(10)의 일측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조절수단(300)을 끼움 체결시키는 다수개의 위치 조절홈(12)과;
상기 제1케이스(100)의 제1반구(110)와 상기 제2케이스(200)의 제2반구(210)가 체결될때 상기 가이드봉(10)에 끼움 체결되는 가이드봉 체결홀(15);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는 별도의 공구를 준비하지 않고서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자유롭게 등받이의 높낮이를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등받이의 조작성과 취급성이 매우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구조를 간결하게 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기존 나무 등의 재료가 아닌 플라스틱 및 합성수지를 이용해 무게를 경량화하고 내구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시간 의자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의 균형잡힌 체형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효과가 있으며, 다수 개의 위치 조절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한 위치 조절홈에 의해 높낮이의 편차 없이, 수평유지가 용이하여 안정성을 증대시켜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 부품 손상시 일부의 부품만 교환하여 설치가 가능한 효과 가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현저한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요부를 분해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요부를 결합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제1케이스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요부의 내부 계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가 의자에서 분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이 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등받이(20)의 배면 중앙에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 체결홈(22)에 나사(22a)고정되되, 양측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오목형태의 제1반구(110)를 가진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1케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되, 양측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오목형태의 제2반구(210)를 가진 제2케이스(200)와; 상기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2케이스(200)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20)를 상,하로 조절해주는 조절수단(300)과; 상기 가이드 봉(10)의 일측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조절수단(300)을 끼움 체결시키는 다수개의 위치 조절홈(12)과; 상기 제1케이스(100)의 제1반구(110)와 상기 제2케이스(200)의 제2반구(210)가 체결될때 상기 가이드봉(10)에 끼움 체결되는 가이드봉 체결홀(15);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0)는,
상기 제1케이스(100)의 바닥을 형성시키되, 일측에 다수개의 관통홀(164)을 갖는 바닥면(160)과; 상기 바닥면(160)의 상단부,하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1,2수평돌출면(120)(130)과; 상기 바닥면(160)의 양측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2수직돌출면(140)(150); 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수평돌출면(120)의 하부 중앙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된 스프링 고정돌기(122)와; 상기 제1수직돌출면(140)과 상기 제2수직돌출면(150)의 가장자리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끼움부(145);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16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기역자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벽체(162)와; 상기 가이드벽체(162)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부(166)(167)와; 상기 수용부(166)와 수용부(167)의 사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홀(168); 로 구성된다.
상기 제2케이스(200)는,
상기 제2케이스(200)의 바닥으로 형성된 바닥면(260)과; 상기 바닥면(260)의 상단부, 하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1,2수평 돌출면(220)(230)과; 상기 바닥면(260)의 양측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2수직돌출면(240)(250); 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수평돌출면(230)의 중앙으로부터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260)으로 라운딩되는 라운딩부(232)와; 상기 제1수직돌출면(240)과 상기 제2수직돌출면(25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끼움돌기(245)와; 상기 바닥면(26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100)의 수용부(166)(167)와 끼움 체결되는 다수개의 수용돌기(262); 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200)의 재질은 탄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이 좋다.
상기 조절수단(300)은,
상기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200)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322)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322)의 상부 중앙에 수직 상방으로 형성된 스프링 고정홈(324)과; 상기 스프링 고정홈(324)에 일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그 나머지 타부에 상기 제1케이스(100)의 스프링 고정돌기(122)를 삽입시키는 탄성 스프링(324a)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322)의 중부 양측에 사선으로 형성된 가이드 홀(326)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322)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푸쉬부(328); 로 구성된 슬라이딩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200)사이의 내부에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레버본체(314)와; 상기 사각형상의 레버본체(314)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320)의 가이드 홀(326)에 삽입되어 사선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체결돌출부(316)와; 상기 사각형상의 레버본체(314)의 상명 가장자리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100)의 고정홀(168)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봉(10)의 위치 조절홈(12)에 끼움 고정되는 위치 고정부(312); 로 구성된 조정레버(31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조립과정 및 동작 상태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의자를 적당한 곳에 위치시킨 후 가이드봉(10)으로부터 손잡이를 분해한다. 그리고,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제1케이스(100)와 등받이(20)를 나 사(22a)로 고정하고, 상기 제2케이스(200)를 결합 고정 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2케이스(200)가 고정됨에 따라 가이드봉 체결홀(15)이 형성되고, 형성된 가이드봉 체결홀(15)로 상기 가이드봉(10)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2케이스(200)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딩부(320)의 푸쉬부(328)에 물리적인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320)의 중앙에 형성된 사선방향의 가이드 홀(326)을 따라서 상기 조정레버(310)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상기 체결돌출부(316)가 체결되어 슬라이딩 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봉(10)의 일측 외주연에 형성된 위치 조절홈(12)에 체결된 상기 조정레버(310)의 레버본체(314)에 연장 형성된 위치고정부(312)가 탈, 착 되면서 상기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상기 등받이(2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물리적인 힘이 차단될 시에는 상기 슬라이딩부(320)의 상부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홈(324)에 체결된 탄성 스프링(324a)의 탄성에 의해 푸쉬부(328)가 정 위치 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일 뿐,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의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요부를 분해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요부를 결합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제1케이스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요부의 내부 계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가 의자에서 분해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봉 12 : 위치조절홈
15 : 가이드봉체결홀 20 : 등받이
100 : 제1케이스 110 : 제1반구
120,130 : 제1,2수평돌출면 122 : 스프링고정돌기
140,150 : 제1,2수직돌출면 145 : 끼움부
160 : 바닥면 162 : 가이드벽체
164 : 관통홀 166,167 : 수용부
168 : 고정홀
200 : 제2케이스 210 : 제2반구
220,230 : 제1,2수평돌출면 240,250 : 제1,2수직돌출면
232 : 라운딩부 245 : 끼움돌기
260 : 바닥면 262 : 수용돌기
300 : 조절수단 310 : 조정레버
312 : 위치고정부 314 : 레버본체
316 : 체결돌출부 320 : 슬라이딩부
322 : 프레임 324 : 스프링고정홈
324a : 탄성스프링 326 : 가이드홀
328 : 푸쉬부

Claims (2)

  1. 삭제
  2. 좌판(1)과, 상기 좌판(1)의 저면에 수직 하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상기 좌판(1)을 지지해주는 다리(3)와, 상기 좌판(1)에 수직 상방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가이드봉(10)과, 상기 가이드봉(10)에 체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해주며, 배면 중앙에 나사 체결홈(22)이 형성되고, 나사(22a)로 체결되며, 상기 등받이(20)의 배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나사 체결홈(22)에 나사(22a)고정되되, 양측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오목형태의 제1반구(110)를 가진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1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되, 양측의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상단부에서 하단부까지 오목형태의 제2반구(210)를 가진 제2케이스(200)와, 상기 제1케이스(100)와 상기 제2케이스(200)사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20)를 상,하로 조절해주는 조절수단(300)과, 상기 가이드봉(10)의 일측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조절수단(300)을 끼움 체결시키는 다수개의 위치 조절홈(12)과, 상기 제1케이스(100)의 제1반구(110)와 상기 제2케이스(200)의 제2반구(210)가 체결될때 상기 가이드봉(10)에 끼움 체결되는 가이드봉 체결홀(15)로 구성되되,
    상기 조절수단(300)은, 상기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200) 사이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각형상의 프레임(322)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322)의 상부 중앙에 수직 상방으로 형성된 스프링 고정홈(324)과, 상기 스프링 고정홈(324)에 일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그 나머지 타부에 상기 제1케이스(100)의 스프링 고정돌기(122)를 삽입시키는 탄성 스프링(324a)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322)의 중부 양측에 사선으로 형성된 가이드 홀(326)과, 상기 사각형상의 프레임(322)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푸쉬부(328)로 구성된 슬라이딩부(3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케이스(100)와 제2케이스(200)사이의 내부에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는 사각 형상의 레버본체(314)와, 상기 사각형상의 레버본체(314)의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320)의 가이드 홀(326)에 삽입되어 사선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체결돌출부(316)와, 상기 사각형상의 레버본체(314)의 상명 가장자리 타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100)의 고정홀(168)을 통해서 상기 가이드봉(10)의 위치 조절홈(12)에 끼움 고정되는 위치 고정부(312)가 형성된 조정레버(310)로 구성되는 등받이(20)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100)는,
    상기 제1케이스(100)의 바닥을 형성시키되, 일측에 다수개의 관통홀(164)을 갖는 바닥면(160)과;
    상기 바닥면(160)의 상단부,하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1,2수평돌출면(120)(130)과;
    상기 바닥면(160)의 양측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2수직돌출면(140)(150)과;
    상기 제1수평돌출면(120)의 하부 중앙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된 스프링 고정돌기(122)와;
    상기 제1수직돌출면(140)과 상기 제2수직돌출면(150)의 가장자리 일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끼움부(145)와;
    상기 바닥면(16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기역자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벽체(162)와;
    상기 가이드벽체(162)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부(166)(167)와;
    상기 수용부(166)와 수용부(167)의 사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홀(168);로 구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200)는,
    상기 제2케이스(200)의 바닥으로 형성된 바닥면(260)과;
    상기 바닥면(260)의 상단부, 하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 제1,2수평 돌출면(220)(230)과;
    상기 바닥면(260)의 양측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2수직돌출면(240)(250)과;
    상기 제2수평돌출면(230)의 중앙으로부터 형성되되, 상기 바닥면(260)으로 라운딩되는 라운딩부(232)와;
    상기 제1수직돌출면(240)과 상기 제2수직돌출면(250)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끼움돌기(245)와;
    상기 바닥면(26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케이스(100)의 수용부(166)(167)와 끼움 체결되는 다수개의 수용돌기(2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090051485A 2009-06-10 2009-06-10 등받이용 높낮이조절장치 KR10093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85A KR100939677B1 (ko) 2009-06-10 2009-06-10 등받이용 높낮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485A KR100939677B1 (ko) 2009-06-10 2009-06-10 등받이용 높낮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677B1 true KR100939677B1 (ko) 2010-02-03

Family

ID=4208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485A KR100939677B1 (ko) 2009-06-10 2009-06-10 등받이용 높낮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1854A (zh) * 2018-05-21 2018-11-06 孟祥厚 脊柱式座椅靠背上下调节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9838U (ko) * 1988-12-08 1990-06-20
JPH1033303A (ja) * 1996-07-18 1998-02-10 Takano Co Ltd 椅子の摺動ロック機構
KR200275889Y1 (ko) 2002-02-28 2002-05-16 김형득 의자용 등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52813Y1 (ko) 2004-03-27 2004-06-07 김동진 의자의 팔걸이 높이조절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9838U (ko) * 1988-12-08 1990-06-20
JPH1033303A (ja) * 1996-07-18 1998-02-10 Takano Co Ltd 椅子の摺動ロック機構
KR200275889Y1 (ko) 2002-02-28 2002-05-16 김형득 의자용 등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52813Y1 (ko) 2004-03-27 2004-06-07 김동진 의자의 팔걸이 높이조절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1854A (zh) * 2018-05-21 2018-11-06 孟祥厚 脊柱式座椅靠背上下调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961B1 (ko) 머리받침구가 구비된 의자
KR20120037349A (ko) 책상용 복부 받침대
KR100939677B1 (ko) 등받이용 높낮이조절장치
KR20200110966A (ko) 의자의 요추지지부 구조
CN206507620U (zh) 一种新型可调节学生椅
KR101733982B1 (ko) 요추 받침대가 구비된 의자
KR101484669B1 (ko) 요추지지 조절장치
KR20190081417A (ko) 자세 유도형 의자 및 그의 처리 방법
CN106108445A (zh) 一种新型可调节学生椅
KR20040004345A (ko) 책걸상용 높이조절장치
KR200474130Y1 (ko) 각도 및 위치 조절형 등받이를 갖는 돌침대
KR101495603B1 (ko) 자세 교정용 의자
KR101072586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52551B1 (ko) 의자
RU2414158C2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ины
KR101156727B1 (ko) 맞춤식 교정용 의자
KR20120055217A (ko) 요추받침 기능을 갖는 의자용 등받이
KR200472790Y1 (ko) 좌식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정장치
CN205395829U (zh) 一种儿童安全座椅
KR200473715Y1 (ko) 등받이 방석
CN111407108A (zh) 一种便于调整座位的拼接式座椅
KR20020081641A (ko) 책,걸상높이 조절장치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CN202723048U (zh) 新型坐姿校正椅
KR102293948B1 (ko) 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