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349A - 책상용 복부 받침대 - Google Patents

책상용 복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349A
KR20120037349A KR1020110102028A KR20110102028A KR20120037349A KR 20120037349 A KR20120037349 A KR 20120037349A KR 1020110102028 A KR1020110102028 A KR 1020110102028A KR 20110102028 A KR20110102028 A KR 20110102028A KR 20120037349 A KR20120037349 A KR 2012003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desk
elastic member
abdome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요섭
Original Assignee
이요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요섭 filed Critical 이요섭
Publication of KR2012003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10Devices for holding pupils upright, i.e. body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71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에 앉은 사람의 복부(腹部)를 받치도록 하는 책상용 복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책상 상면 앞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수직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 신축부재로 이루어지는 책상 복부 받침대에 있어서, 복부 받침대에 수직 신축부재를 삽입 고정시키는 수직 고정 가이드와, 상기 수직 고정 가이드의 책상쪽 방향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된 수평 신축부재와, 상기 수평 신축부재가 삽입 및 이동되어 수평방향의 거리 조절 및 고정을 시키는 기능과, 또한, 책상 앞 상면 가장자리에 고정시키는 상면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허리와 목에 걸리는 텐션을 경감시켜줌으로써, 사용자가 책상앞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어도 허리와 목 부위의 통증이 완화되어 바른 자세를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어 피로감이 줄어들고 집중력이 높아져 공부 또는 업무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허리나 목 디스크 질환, 척추 측만증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상용 복부 받침대{ABDOMINAL REGION SUPPORTER FOR OFFICEDESK}
본 출원은 본원 출원인이 2010년 10월 11일자 출원한 한국 특허출원 제10-2010-0098564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책상앞 의자에 앉은 사람의 복부(腹部)를 받치도록 하는 책상용 복부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용 복부 받침대를 의자에 앉은 사람의 체형에 맞도록 복부를 지지하는 복부 받침판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책상용 복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앞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보는 사람은 몸의 상체를 책상쪽으로 구부리게 된다. 이렇게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보는 사람이 상체를 구부린 상태로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머리가 앞으로 숙여져 있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앞으로 이동하여 척추와 목 디스크에 무리한 텐션(Tension)이 가해지게 되어 허리나 목 부위의 통증이 유발된다. 또한,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보는 사람은 이러한 통증 때문에 쉽게 피로하게 되고 집중력이 떨어져서 공부 또는 업무효율이 나빠진다.
또한, 공부를 하는 학생이나 직장에서 사무를 보는 사람들은 거의 매일 장기간 동안 머리가 숙여진 상태로 하루 10시간 정도 앉아 있기 때문에 허리와 목 부위에 텐션과 통증때문에 앉은 자세가 불량해져 허리나 목 디스크 질환, 허리가 옆으로 꼬부라지는 척추 측만증에 걸리기 쉽고, 또한, 학생이나 사무 직장인들은 장시간 동안 컴퓨터의 모니터나 서류/책을 보게 되는데, 모니터나 서류/책으로부터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시력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공고 제 1998-0003796호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천공된 책상판에 고정되는 지지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된 승강봉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지지관과 승강봉에는 핀공을 천공한 것에 있어서, 지지관의 이일측 주벽에는 힌지핀을 돌출설치하여 후단에는 누름편이, 선단저면에는 상기 핀공에 삽입되는 고정돌핀이 형성된 푸시록레버를 핀으로 연결하며, 스프링으로 상시 고정돌핀이 핀공축으로 타압되게 하며, 지지관의 하단은, 책상 상판의 상면과 모서리에 고정부착되는 고정편과 힌지축이 형성된 고정구(가) 핀으로 연결하고, 힌지축에는 다수의 각도 조절공을 동일 원주장에 천공하고, 지지관 하단에는 각도 조절공이 천공하여 이들을 각도조절용 고정핀으로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 된 책상용 가슴 받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문헌 1) 한국 특허출원 제10-2010-0098564호 (문헌 2) 한국 실용신안공고 실 1988-000379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책상 앞의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동안 공부를 하거나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 상체가 앞으로 너무 숙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허리나 목에 걸리는 텐션을 복수에 분산시켜 앉은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도록하여 디스크 질환에 걸리는 것을 예방하고, 또한, 허리나 목의 통증과 피로를 경감시킴으로써 집중력을 높여 공부나 업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책상용 복부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컴퓨터 모니터나 책/서류로부터 항상 적당한 거리를 유지시키도록 하여 시력감퇴 또는 약화를 초래하는 원인제공을 예방할 수 있는 책상용 복부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책상 상면(床面) 앞 가장자리에 복부 받침판을 장착하고, 상기 복부 받침판이 수직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직 신축부재로 이루어지는 책상 복부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수직 신축부재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직 고정가이드와, 상기 수직 안내 가이드의 책상쪽 방향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된 수평 신축부재와, 상기 수평 신축부재가 삽입 이동되어 수평방향의 거리 조절기능과, 또한, 책상 앞 상면 가장자리에 고정시키는 고정 및 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책상 복부 받침대를 책상 상면 전단의 가장자리에 고정시키고, 복부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최적상태의 위치에서 복부를 받쳐줌으로써, 사용자의 상체를 숙였을 때 무게가 실리는 힘점을 허리 요추에서 복부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허리와 목에 걸리는 과도한 텐션을 분산 및 경감하여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허리와 목에 걸리는 텐션을 분산 경감시켜줌으로써, 사용자가 책상앞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어도 허리와 목 부위의 통증이 완화되어 바른 자세를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로감이 줄어들고 집중력이 상승되어 공부 또는 업무효율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허리나 목 디스크 질환, 척추 측만증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복부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수평 신축부재와 상면 고정수단의 종단면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상면 고정수단의 횡단면 절개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수직 신축부재와 잠금수단의 종단면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책상용 복부 받침대가 책상 상면 가장자리에 고정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복부 받침대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수평 신축부재와 상면 고정수단의 종단면 절개 사시도.
도 10은 도 8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는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가)은 책상 상면에 고정한 상태이며,
나)는 분해한 상태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책상용 복부 받침대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용 복부 받침대는 크게 책상 상면 가장자리(71)에 장착되고, 수직방향 높이를 조절하는 수직 신축부재(20)와, 상기 수직 신축부재(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직 고정가이드(30)와, 상기 수직 고정가이드(30)의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는 수평 신축부재(50)와, 상기 수평 신축부재(50)를 삽입 이동시켜 수평방향의 거리 조절과 책상 상면 앞 가장자리에 상기 수평 신축부재(50)를 고정시키는 상면 고정수단(60)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에서, 책상용 복부 받침대를 사용자의 책상에 설치 고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의자에 걸터앉은 자세에서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복부 받침판(10)의 높이와 책상과의 거리를 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복부 받침판(10)은 사용자가 복부에 밀착했을 때 부드러운 질감을 주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곡 접촉부분을 곡면형상으로 제작하여 복부에 밀착시키게 하고, 외부는 가죽 등과 같은 부드럽고 질긴 소재로 제작하여 수직 신축부재(20)의 상단에 고정한다. 상기 복부 받침판(10)을 수직 신축부재(20) 상단에 고정하는 수단은 나사 고정 등으로 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수직 신축부재(20)는 금속 형강 파이프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하여 제작한다.
수직 신축부재(20)가 삽입되는 수직 고정가이드(30)는, 탄성부재(41)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돌출 고정핀(42) 및 상기 돌출 고정핀(42)을 잡아당기는 손잡이 고리(43), 상기 탄성부재(41) 및 돌출 고정핀(42)을 수용하는 케이스(44)로 이루어진 잠금수단(40)과, 상기 잠금수단(4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내부는 상기 수직 신축부재(20)를 밀착 삽입시키는 가이드 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수직 고정가이드(30)에 수직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에 밀착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 수직 신축부재(20)가 삽입되고, 수직 신축부재(20)의 일측면에 수직 종방향으로 수직 걸림수단(21)이 형성한다. 상기 수직 걸림수단(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신축부재(20)의 종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횡(수평)방향의 凹홈을 형성시킨다. 상기 잠금수단(40)의 돌출 고정핀(42)이 돌출하면 상기 凹홈이 걸림턱으로 작용하여 수직 신축부재(20)를 그 위치에서 고정시킨다.
복부 받침대(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잠금수단(40)의 돌출 고정핀(42)의 일단에 연결된 손잡이 고리(43)를 잡아당겨서 돌출 고정핀(42)을 凹홈에서 빠져나오게 하면 상기 수직 신축부재(20)를 상하 임의의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임의 장소로 이동된 수직 신축부재(20)는 잠금수단(40)의 손잡이 고리(43)를 손에서 놓으면, 탄성부재(41)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는 돌출 고정핀(42)이 탄성력으로 튀어 나와 상기의 凹홈에 걸려 고정된다.
수평 신축부재(50)는, 상기 수직 고정가이드(30)의 일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고, 장방향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거리조절용 수평 걸림수단(51)이 형성된 수평 신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수평 신축부재(50)는 복부 받침판(10)을 사용자와 책상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때 사용하는데, 수평 신축부재(50)는 상기 수직 고정가이드(30)의 일측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일체화 되어 있는데, 일체화 시키는 방법은 플라스틱 재질의 경우 일체로 성형하거나 금속제의 경우 용접하여 일체화한다.
복부 받침대(10)와 책상과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면 고정수단(60)에 수직으로 장착된 잠금수단(40)의 돌출 고정핀(42)의 일단에 연결된 손잡이 고리(43)를 잡아당겨서 돌출 고정핀(42)을 고정핀 관통공(64)에서 빠져나오게 하면 상기 수평 신축부재(50)를 수평 임의의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임의 장소로 이동된 수평 신축부재(50)는 잠금수단(40)의 손잡이 고리(43)를 손에서 놓으면, 탄성부재(41)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는 돌출 고정핀(42)이 탄성력으로 튀어 나와 상기의 고정핀 관통공(64)에 걸려 고정된다.
상면 고정수단(60)은, 복부 받침판(10)과 책상 상면 가장자리(7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 신축부재(50)를 밀착 삽입시킬 수 있는 직사각 단면 형상의 삽입홈(61)과, 상기 삽입홈(61)의 상부면 양측에 조립 관통공(63)이 복수개 형성된 고정용 날개(62)와, 상기 양측면 고정용 날개(62)에 형성된 조립 관통공(63)과 일치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가지며, 일단의 중앙 가장자리에 잠금수단(40)의 돌출 고정핀(42)이 자유롭게 드나드는 고정핀 관통공(64)이 형성된 상면 덮개(66)와, 상기 상면 덮개(66)에 형성된 돌출 고정핀(42)이 드나드는 고정핀 관통공(64)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 신축부재(50)를 고정시키는 잠금 수단(40)과,하면에 상기 고정용 날개(62) 및 상면 덮개(66)에 형성된 조립 관통공(63) 위치와 일치하는 위치에 암나사부를 갖는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과 일체로 연결된 상부면과 "ㄷ"자 형의 책상 가장자리 상면 수평삽입구(65)와, 상기 상면 수평삽입구(65) 타단의 중앙에 상기 잠금 수단(40)이 수직으로 장착되기위해 수직 U자형으로 파여진 공간으로 이루어진 상면 고정수단(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고정수단(60)의 하부에는 종방향 중심에 수평 걸림수단(51)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수평 신축부재(50)가 밀착 삽입되는 삽입홈(61)이 형성되어 있다. 상면 고정수단(60)의 책상쪽을 향하여 'ㄷ'형상으로 열린 상면 수평삽입구(65)에 상면 가장자리(71)를 끼우고, 상면 고정수단(60)의 하부면의 고정용 날개(62)와 조립 관통공 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에 조립 관통공(63)을 뚫는다. 상기 조립 관통공(63)에 체결볼트(66)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책상 상면(70)에 책상용 복부 받침대가 장착고정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ㄷ'형상으로 열린 상면 수평 삽입구(65)를 생략하고 바로 책상의 하면에서 고정용 날개(62)에 형성된 관통공에 나사를 끼워 체결하는 방식으로서, 다른 구성요소의 결합관계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하다.
그리고, 도 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복부을 받처주는 복부 받침대(10)와, 상기 복부 받침대(10) 배면에 하단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 신축부재(20)와, 상기 수직 신축부재(20)가 수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 하는 수직 고정가이드(30)를 갖되, 상기 수직 고정가이드(30)는 상기 수직 고정가이드(30)로부터 연장된 지지부(80)가 책상에 고정수단(81)으로 고정되는 상기 지지부(80)와 상기 수직 신축부재(20)의 길이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등분 되어 형성된 복수의 수직걸림수단(21)에 걸림되게 하여 상기 수직 신축부재(20)를 지지하는 잠금수단(40)을 갖는 구성이다
도시한 도 11의 지지부(80)는 그 지지부를 책상 상면에 고정하는되, 그 고정방법은 클래프방법에 의해 고정한다
10 : 복부 받침판 20 : 수직 신축부재
21 : 수직 걸림 수단
30 : 수직 고정가이드 40 : 잠금 수단
41 : 탄성부재 42 : 돌출 고정핀
43 : 손잡이 고리 44 : 케이스
50 : 수평 신축부재 51 : 수평 걸림 수단
60 : 상면 고정수단 61 : 삽입홈
62 : 고정용 날개 63 : 조립 관통공
64 : 고정핀 관통공 65 : 상면(床面) 수평 삽입구
66 : 체결 볼트
70 : 책상 상면 71 : 상면 가장자리

Claims (2)

  1. 책상용 복부 받침대에 있어서, 사용자의 복부을 받처주는 복부 받침대와, 상기 복부 받침대 배면에 하단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 신축부재와, 상기 수직 신축부재가 수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 하는 수직 고정가이드를 갖되,
    상기 수직 고정가이드는 상기 수직 고정가이드로부터 연장된 지지부가 책상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수직 신
    축부재의 길이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등분 되어 형성된 복수의 수직걸림수단에 걸림되게 하여 상기 수직 신축부재를 지지하는 잠금수단을 갖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복부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 신축부재가 삽입되는 수직 고정가이드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돌출 고정핀 및 상기 돌출 고정핀을 잡아당기는 손잡이 고리, 상기 탄성부재 및 돌출 고정핀을 수용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잠금수단과,
    상기 잠금수단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내부는 상기 수직 신축부재를 밀착 삽입시키는 가이드 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복부 받침대.




KR1020110102028A 2010-10-11 2011-10-06 책상용 복부 받침대 KR201200373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564A KR20100116152A (ko) 2010-10-11 2010-10-11 사무용 복부받이 책상용 거치대
KR1020100098564 2010-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349A true KR20120037349A (ko) 2012-04-19

Family

ID=4313481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564A KR20100116152A (ko) 2010-10-11 2010-10-11 사무용 복부받이 책상용 거치대
KR1020110102016A KR20120037348A (ko) 2010-10-11 2011-10-06 책상용 복부 받침대
KR1020110102028A KR20120037349A (ko) 2010-10-11 2011-10-06 책상용 복부 받침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564A KR20100116152A (ko) 2010-10-11 2010-10-11 사무용 복부받이 책상용 거치대
KR1020110102016A KR20120037348A (ko) 2010-10-11 2011-10-06 책상용 복부 받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100116152A (ko)
WO (1) WO20120503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183B1 (ko) * 2012-10-26 2014-06-25 주식회사 서일 스프링 가공 지그
KR101419401B1 (ko) * 2014-01-24 2014-07-14 (주)지맥스 책상 부착용 자세 교정기
WO2020040488A1 (ko) * 2018-08-22 2020-02-27 곽태영 자세 교정 장치
KR102225917B1 (ko) * 2018-08-22 2021-03-10 곽태영 자세 교정 장치
CN109199669B (zh) * 2018-10-27 2021-01-26 薛明 儿科专用体位治疗固定器
KR200493764Y1 (ko) * 2019-09-27 2021-06-02 이연수 책상 부착용 자세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322U (ko) * 1994-04-16 1995-11-17 오만묵 안락 의지대
US6042064A (en) * 1997-08-28 2000-03-28 Hong; Kwang Y. Wrist support
JP2003135215A (ja) * 2001-10-31 2003-05-13 Paramount Bed Co Ltd 座位姿勢補助装置におけるサポート装置
KR200390433Y1 (ko) * 2005-04-13 2005-07-22 김정근 책상용 의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50319A2 (ko) 2012-04-19
WO2012050319A3 (ko) 2012-08-30
KR20120037348A (ko) 2012-04-19
KR20100116152A (ko) 201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7349A (ko) 책상용 복부 받침대
JP2013501545A5 (ja) 人間工学に基づいた姿勢を矯正するためのイス・デスク
US20120139321A1 (en) Headrest for A Chair
KR102314380B1 (ko) 의자용 요추받침대
KR200413830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를 갖춘 책상.
KR100912913B1 (ko) 책상
KR100865274B1 (ko) 책상
KR102565650B1 (ko) 허리베개 지지력 조절 구조와 시트
KR200298215Y1 (ko) 책상용 상체 지지대
US20120274113A1 (en) Adjustable Chair
CN208725230U (zh) 一种用以打开脚垫的滑动机构
KR100939677B1 (ko) 등받이용 높낮이조절장치
CN112450672B (zh) 一种高度可调节的枕头
KR200395914Y1 (ko) 자세조절이 가능한 의자
KR20120120605A (ko) 거리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책걸상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KR200276876Y1 (ko) 컴퓨터 의자에 가설되는 다기능의 키이보드판과 마우스보드판
CN215650106U (zh) 一种可调节椅背
KR200488822Y1 (ko) 높낮이 조절 가능한 요추받침대
KR101449665B1 (ko) 책상용 자세 교정장치
KR100586464B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1218557B1 (ko) 자세교정장치
KR200365382Y1 (ko) 학생용 책걸상의 간격조정장치
KR200413853Y1 (ko) 수강용 책상
CN209932083U (zh) 一种阅读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