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653B1 - 천연소재 식생블록 - Google Patents

천연소재 식생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653B1
KR100939653B1 KR1020090024023A KR20090024023A KR100939653B1 KR 100939653 B1 KR100939653 B1 KR 100939653B1 KR 1020090024023 A KR1020090024023 A KR 1020090024023A KR 20090024023 A KR20090024023 A KR 20090024023A KR 100939653 B1 KR100939653 B1 KR 100939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iber
plant fiber
type plant
fib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희
이대희
Original Assignee
(주)에코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원 filed Critical (주)에코원
Priority to KR102009002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개면이나 식생을 요하는 옥상, 절개지, 하천변 등을 녹화할 수 있는 식생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습 침수지역이나 절개지 등의 슬라이딩 현상을 방지하고 투수성을 확보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지표수의 고갈을 막을 수 있는 식생블록을 제공한다.
천연소재, 식생블록

Description

천연소재 식생블록{Eco block made of natural materials}
본 발명은 절개면이나 식생을 요구하는 부분을 녹화하며 침식을 방지하고 식물의 뿌리를 내리게 하며 투수성을 확보하여 토목적으로 견고하게 하는 천연소재로 만든 식생블록에 관한 것이다.
하안이나 호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제조된 호안블록이나 식생호안블록을 이용하여 식생을 유도하는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블록은 설치시 토양수 및 토양의 생태계를 파괴하게 되어 득보다는 해가 더 많다. 콘크리트 블록 사용시 토양으로의 수분 흡수가 저해되어 지하수의 고갈을 초래할 수 있으며 빠른 물의 흐름으로 토양 및 식물이 필요로 하는 수분을 얻기가 어렵게 된다. 식물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식생 기반층은 숙근초의 경우 토양 기반층이 약하므로 숙근초가 아닌 일년초 및 월년초의 생육이 우수하다. 숙근초의 경우 대략 20㎝ 이상의 식생 기반층을 가져야하나 콘크리트 식생블록의 경우 대략 10~15㎝의 홀이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토양 기반층이 약하여 숙근초가 아닌 일년초 및 월년초의 생육이 우수하다.
일년초 및 월년초가 우점일 경우 토양 생태계에서는 토양 속 깊은 곳까지 식물의 뿌리가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공기의 유통이 차단될 뿐 아니라, 미생물이나 유기물의 활동이 억제된다. 결국 물의 유통이 차단되어 토양의 공극이 작아져 딱딱하고 단단해지며 토양을 산성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하천, 해안 및 도로의 절개지나 강에서 자생식물이나 양잔디 및 관목 씨앗을 이용한 녹화용 식생매트, 식생롤이나 철망, 차광망 및 부직포, 황토블록 등과 씨드스프레이 공법 및 녹생토 공법 등 다양한 공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콘크리트 블록과 같은 인공구조물이 가지는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식생기반재들이 제안되었으며, 예컨대 코이어롤, 코이어네트, 코이어백, 포트코이어롤 등의 식생기반재가 사용되고 있다.
식생기반재는 야자섬유 또는 황마섬유를 이용하여 로프를 형성하고 망체를 구성한 후, 내부에 섬유사 또는 코코피트, 피트모스, 허스크칩 등을 충진처리하는 형태를 이루며, 이를 수변 경계부나 경사면 절개지 등에 설치하여 각종 식물류를 식재함으로써 일정 시간 동안 구조를 유지하면서 침식을 방지하고, 식물체가 지면에 활착 안정화되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유기질 비료화되는 것이다.
상기 식생기반재 내부의 충진재로 사용되거나 독립적으로 경사면 등에 사용되는 야자섬유펠트는 야자섬유를 적층하여 압착한 것이다. 통상 사용하는 야자섬유펠트는 두께가 1㎝ 정도인데 공극이 거의 형성되지 않아 식물의 뿌리가 지면으로 뻗어내리기가 매우 어렵다. 야자섬유펠트는 현재 식물 식생의 목적보다는 절개지 사면의 구조적 안정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하여, 현재는 망체형 식생기반재 내에 야자섬유펠트 대신 코코피트나 토양으로 충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는 내부 충진재로서 야자섬유를 잘게 절단한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망체형 식생기반재 내에 잘게 절단한 야자섬유, 코코피트 또는 토양을 충진하는 경우 강한 강우나 바람에 의해 망체 사이로 충진재가 빠져나오므로 충진재와 함께 넣은 종자가 발아하지 못하거나, 발아하더라도 지면으로 충분히 뿌리를 뻗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망체형 식생기반재는 구조적 안정성이 부족하여 유속이 빠른 하안이나 경사가 가파른 절개지 등에는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면이나 호안, 하안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식물이 지면에 충분히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친환경적인 천연소재 식생블록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코이어로프로 만든 망체 외피를 이용하고, 유속에 의한 세굴 방지를 위하여 두께를 10㎝ 이상으로 형성하였으며, 외피 망체에 고무코팅을 하여 내구수명을 10년 이상 유지할 수 있게 하였고, 코이어로프 굵기를 8~15㎜로 하여, 강한 인장력으로 강한 비바람이나 유속에도 견딜 수 있는 천연소재 식생블록을 형성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자는 망체 10㎝ 이상의 두께에서도 식물이 지면에 뿌리를 내리고 식생할 수 있도록 망체 외피 내부에 충진하는 충진재를 벌키하면서도 공극이 많고, 압력에 의해 쉽게 눌리지 않는 구조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코이어 섬유사 또는 황마 섬유사의 양단을 파단되지 않을 정도로 당겼다 놓아 풀리지 않는 웨이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웨이브가 형성된 섬유사를 매트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매트상으로 적층된 웨이브 형성된 섬유사에 비탄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섬유사 간의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이 형성된 식물섬유 매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트상 적층 단계 이후에 적층된 섬유사 표면에 라텍스를 분사하는 단계;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에 토양, 유기 영양성분 및 코코피트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의 상측에 식물종자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충진재와 식물종자가 충진된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식물성 망체 내부에 삽입하고 매듭짓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소재 식생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종자 충진단계 이후 영양성분이 함유된 전분 조성물을 상기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에 도포하는 단계;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식생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물성 망체가 라텍스에 침지하여 강도를 높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식생블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천연소재 식생블록을 제공한다.
벌키한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코이어섬유나 황마섬유 등의 천연 섬유질 가닥을 파단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잡아 늘린 후 순간적으로 양쪽을 놓으아 각 천연 섬유질 가닥에 자연적으로 풀리지 않는 강한 웨이브를 형성한다.
이렇게 웨이브가 형성된 천연 섬유질 가닥은 매트 형태로 차곡차곡 적층한다. 적층공정에서는 매트 내부에 충분한 공극을 형성하기 위하여 인위적인 압력을 가하지 않고 그대로 적층한다.
얼기설기한 형태로 적층된 천연 섬유질 가닥들을 서로 접착시키고 공극이 형성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적층 상태의 섬유질 가닥에 접착제를 분사한다. 이때 접착제로서 탄성을 나타내는 것을 단독으로 사용하면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매트가 눌려 내부에 충분한 공극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므로 탄성을 나타내는 접착제보다 송진과 같은 비탄성 접착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충분한 식생이 형성된 후 자연적으로 소멸하여 수질이나 토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접착제는 천연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진 등 비탄성 접착제를 분사하면 충분한 공극이 형성된 채로 압력에 의해서도 눌리지 않는 천연 섬유질 매트가 제조된다. 제조된 식물섬유 매트는 마치 천 연 수세미와 같은 형상이며, 탄력은 크지 않고 단단한 질감을 나타내며, 섬유질이 얼기설기한 형태로 서로 단단히 결합되어 있고 내부에 공극이 충분하다. 이러한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는 같은 면적, 같은 중량의 일반 야자섬유펠트와 비교할 때 두께가 최소 5배 이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 외에 이를 이용한 천연소재 식생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연소재 식생블록은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고 중앙이 볼록한 형태의 일반 식생매트와는 달리 직육면체 형태이며, 두께가 일정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있다. 외부는 코이어로프나 황마로프 등 천연섬유 망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상기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탄성이 없는 벌키하고 공극이 많은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로 충진된다. 공극이 많은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에는 공극에 코코피트, 토양 또는 유기질 비료성분(퇴비, 부식토 등)을 충분히 채워넣을 수 있다. 또, 천연 섬유질 매트의 공극에는 식물 종자, 유용 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 EM), 유산균, 광합성균, 토양균, 한천과 같은 보습제 등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소재 식생블록 및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는 빠르고 지속적인 식생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소재 식생블록은 식생기반재 내에 별도의 식재공을 형성하지 않고도 설치 후 식물이 자랄수 있으며, 망체 내부의 벌키한 망결 구조를 가진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로 인하여 씨앗 유실이나 토양 유실을 최대로 줄일 수 있고 지표수는 그대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 및 망체 내부에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삽입한 천연소재 식생블록은 송진 등의 비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내부 망결을 얼기설기하고 내부 공극이 많은 상태로 고정 유지하여 식물의 안정적인 생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천연소재 식생블록 또는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는 자체로 구조적 안정성이 있어 지면과 바로 맞닿아 설치되기 때문에 굴곡이 있는 지면에도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다.
먼저 천연소재 식생블록 내부에 넣거나 또는 외부 망체 없이 단독으로 식생 매트로 사용 가능한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에 대해 설명한다.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는 아래와 같이 제조된다.
5~20㎝의 코이어 섬유나 황마 섬유등 식물 섬유 가닥을 해포기에 넣고 파단되지 않을 정도로 강하게 양단을 잡아당긴 후 순간적으로 놓으면 풀리지 않는 강하고 자연스런 N자 또는 S자 등의 웨이브를 형성하게 된다. 웨이브가 형성된 식물섬 유는 매트 형태로 차곡차곡 적층한다. 이때는 부직포를 형성할 때 가하는 것과 같은 압력을 가하지 않고 그대로 적층해야만 매트 내부의 공극을 최대한 형성할 수 있다. 매트 두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강도나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50~100mm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가 얇으면 2, 3장 정도 포개어 사용할 수 있다.
적층된 식물섬유는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을 나타내지 않는 접착제를 분사 등의 방법으로 도포하여 각 식물섬유 간에 단단하고 딱딱한 상태의 결합을 형성하고, 나아가 압력을 가하여도 눌리지 않고 벌키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비탄성 접착제의 종류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친환경적인 면을 고려하여 송진이나 민어부레풀 등의 천연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탄성 접착제에 약간의 탄성 접착제를 혼합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흙가루, 고토, 돌가루 또는 제올라이트를 약간 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성 접착제와 상기 무기 첨가물(돌가루 등)은 비탄성 접착제 조성물 전체 중량 중 각각 25중량% 이내,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내로 첨가한다. 일 실시예로서는 가공용 라텍스 10%. 송진 80%, 흙가루 10%를 혼합하여 살포한다. 식물성 섬유사 100g에 상기와 같은 비탄성 접착제 조성물 10~20g의 비율로 스프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탄성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여 식물섬유 매트를 완성한다. 건조기로 60~80℃의 열풍을 가하여 앞뒤면을 따뜻한 바람으로 건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는 식물섬유 가닥이 웨 이브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내부에 공극이 충분히 형성되어 있고, 비탄성 접착제를 도포 처리하였기 때문에 각 식물섬유 가닥이 딱딱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압력에 의하여 가라앉거나 눌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는 내부에 토양이나 유기 영양성분(퇴비, 부엽토 등), 코코피트, 황토, 질석,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성분, 숯, 식물 종자 등으로 속채움할 수 있고, 웨이브진 식물섬유에 의하여 토양, 유기 영양성분, 코코피트, 식물 종자 등이 유실될 염려가 없다. 유실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에 토양, 유기 영양성분, 종자 등을 충진한 후에는 전분풀 등의 식물성 접착제를 분사 등의 방법으로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에 도포하여 토양이나 영양성분, 종자 등 속채움재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토양, 영양성분 등으로 속채움한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는 별도의 외피 없이도 옥상 등 평지대의 식생 기반재로서 사용 가능하다. 외피를 부가하여 평지대 등의 식생기반재로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상기 속채움한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의 외부를 두께가 얇아 뿌리가 통과 가능한 펄프 또는 식물성 부직포로 감싸주면 토양 등의 손실을 거의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식물이 발아하고 자라는 상측은 펄프나 부직포로 감싸지 않는다.
또한, 상기 벌키한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는 코이어로프 등으로 제조된 망체를 외피로 하여 육면체,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태의 천연소재 식생블록을 형 성하여 경사면이나 하안, 호안 등에 구조적인 안정성을 갖춘 식생기반재로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소재 식생블록을 형성하기 위한 외부 망체는 코이어 섬유나 황마 섬유로 형성하며, 2연, 3연 또는 4연 꼬임을 하여 로프의 인장력을 강하게 한다. 기계 또는 수작업으로 꼴 수 있다.
외부 망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로프로부터 제조한 망체는 라텍스 등으로 코팅한다. 바람직하게는 라텍스 용액에 망체를 침지하였다 꺼낸 후 건조한다.
천연소재 식생블록의 외부 망체는 일정 강도 이상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코이어 섬유나 황마 섬유와 같은 천연섬유를 2연으로 꼬아 만든 로프 3줄 또는 4줄을 합하여 재차 꼼으로써 인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기계로 로프를 꼬거나 수작업으로 로프를 꼴 때도 꼬임수를 100㎜당 15~19회로 주어서 꼬임수를 늘려 쓰며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2연 꼬임만으로 천연소재 식생블록의 외피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8~12㎜ 정도의 굵기로 제작하여 인장력을 제고한다.
또한, 본 천연소재 식생블록의 외피는 망체 형성 후 라텍스에 침지 후 건조하여 망체를 형성함으로써 인장강도 등의 물리적 강도와 화학적 강도를 향상시킨다. 라텍스에 망체를 침지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라텍스 80%를 혼합기에 넣고 10분 이상 회전시키고, 1분당 10~15회 회전시키면서 식물성 오일 5~10%, 송진 5~10%, 고토, 제올라이트, 흙가루 또는 돌가루 10~20%을 혼합기에 넣고 70~8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사용하며 망체 침지 후 라텍스 침지물이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에서 60~80℃의 온풍으로 건조한다. 상기 첨가하는 송진은 액상 송진이나 송진가루를 사용할 수 있다. 망체 1kg당 상기와 같은 라텍스 조성물을 4~6kg 준비하여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체는 라텍스를 함유하여 천천히 굳어가면서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라텍스 조성물 제조시 송진 및 흙가루, 돌가루 등의 무기물을 가하는 이유는 송진(또는 대용으로 민어부레풀)을 첨가함으로써 인장강도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며, 흙가루나 돌가루 등의 무기물 첨가는 화재발생시 난연 용도로 사용한 것이다. 난연제로는 고토 질석 퍼라이트, 제오라이트의 사용도 가능하다.
외피 망체의 망눈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가로 및 세로 망눈이 10~20mm 간격이 되도록 육면체 형태로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라텍스 조성물에 침지하고 꺼낸 후 건조시켜 외피를 완성하며, 로프의 굵기는 6~1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수세미형 식물섬유매트 제조
10~15㎝의 코이어 섬유 가닥을 해포기(롤러의 표면에 다수개의 바늘이 형성됨)에 넣고 파단되지 않을 정도로 강하게 섬유 가닥의 양단을 잡아당긴 후 순간적으로 양단을 놓아 주어 풀리지 않는 강하고 자연스런 N자 또는 S자 등의 웨이브를 형성하였다.
웨이브가 형성된 코이어 섬유는 상측에서 별도의 압력을 가하지 않고 떨어뜨려 매트 형태로 차곡차곡 적층하였다.
적층된 코이어 섬유는 먼저 라텍스를 표면에 뿌려 매트 모양이 유지되도록 한 다음, 탄성을 나타내지 않는 접착제로서 송진을 함유한 조성물을 매트 내외부 전체에 분사 도포하였다. 비탄성 접착제에 탄성 접착제를 약간량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송진 조성물은 라텍스 10중량%. 송진 80중량%, 흙가루와 제올라이트 혼합물 10중량%를 혼합하여 살포하였다. 식물성 섬유사 100g에 상기와 같은 비탄성 접착제 조성물 10~20g의 비율로 스프레이하였다.
비탄성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한 후 70℃의 열풍으로 앞뒷면을 모두 건조하여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 충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1,000㎜*1,000㎜*두께 100㎜의 벌키하고 탄성이 거의 없는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에 코코피트, 황토, 음식쓰레기 발효물, 유용 미생물군과 부엽토를 채웠다.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 속채움시 먼저 두께 80mm 정도만 채우고, 상부 20mm에 씨앗과 코코피트를 50:50으로 섞어 속채움하였다.
속채움을 끝내고 식물성 전분 10kg + 물 15kg + 설탕 3kg을 준비한 후, 물 15kg을 끓인 다음 설탕 3kg을 넣고 교반하여 주었다. 교반 속도는 분당 10~15회이며, 3~4분 후 식물성 전분을 1kg씩 서서히 넣어주었다. 10~15분 정도 가열회전하며 전분조성물을 완성하였다. 공압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의 모서리 사각진 곳 먼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전분조성물을 스프레이하였다. 전분조성물은 1,000㎜*1,000㎜*두께 100㎜의 식물섬유 매트당 3kg을 스프레이하였다. 전분 조성물은 미생물이나 식물 생장에 유용한 성분을 부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예 3: 망체 외피 라텍스 코팅
코이어 섬유를 2연으로 꼬아 만든 코이어로프 4줄을 합하여 꼬아 굵기가 10mm인 코이어로프를 제조하였다.
가로 및 세로 망눈이 15mm 간격이 되도록 육면체 형태로 망체를 직조하였다.
직조된 망체는 아래와 같은 라텍스 조성물에 침지하였다. 라텍스 조성물은 라텍스 80중량%를 혼합기에 넣고 10분 이상 회전시키고, 1분당 10~15회 회전시키면서 식물성 오일 5%, 송진 5%, 고토와 돌가루 10%을 혼합기에 넣고 70~8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망체 1kg을 상기와 같은 라텍스 조성물 5kg에 침지하였다.
망체 침지 후 한 시간 이상 경과한 후 라텍스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는 정도에서 80℃의 온풍으로 건조하였다.
실시예 4: 외피 끼우기
이로써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에 충진재를 모두 충진하였고, 실시예 3과 같이 라텍스 조성물로 코팅한 외피를 끼워서 코이어로프로 일면을 매듭 처리하여 본 발명의 천연소재 식생블록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5: 천연소재 식생블록 설치
완성된 천연소재 식생블록을 하안에 설치시 네 모서리 부분에 철근 재질의 고정팩을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지면 내부까지 깊숙히 꽂아 고정하였다.
설치 면적이 천연소재 식생블록보다 작은 경우에는 외피의 일측을 풀어 내부의 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설치할 면적에 맞게 잘라 외피를 이에 맞게 조이고 매듭을 형성한 후 고정팩을 모서리에 꽂아 설치를 완료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물섬유 매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천연소재 식생블록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코이어펠트를 내장한 식생기반재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천연소재 식생블록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천연소재 식생블록에 의한 식물 성장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천연소재 식생블록 아래로 뿌리를 잘 뻗은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식물섬유 매트와 종래의 코이어펠트를 비교한 사진이다. 크기는 종래 코이어펠트(우측)가 5.5㎝×7㎝×1㎝(두께)이고, 본 발명의 식물섬유 매트(좌측)는 5.5㎝×7㎝×5.5㎝(두께)이다.

Claims (7)

  1. 코이어 섬유사 또는 황마 섬유사의 양단을 파단되지 않을 정도로 당겼다 놓아 풀리지 않는 웨이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웨이브가 형성된 섬유사를 인위적인 압력을 가하지 않고 매트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매트상으로 적층된 웨이브 형성된 섬유사에 비탄성 접착제를 분사하여 섬유사 간의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이 형성된 식물섬유 매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트상 적층 단계 이후에 적층된 섬유사 표면에 라텍스를 분사하는 단계;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 제조방법.
  3. 코이어 섬유사 또는 황마 섬유사의 양단을 파단되지 않을 정도로 당겼다 놓아 풀리지 않는 웨이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웨이브가 형성된 섬유사를 인위적인 압력을 가하지 않고 매트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매트상으로 적층된 웨이브 형성된 섬유사에 비탄성 접착제를 분사하여 섬유사 간의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합이 형성된 식물섬유 매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
  4. (가) a) 코이어 섬유사 또는 황마 섬유사의 양단을 파단되지 않을 정도로 당겼다 놓아 풀리지 않는 웨이브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웨이브가 형성된 섬유사를 인위적인 압력을 가하지 않고 매트상으로 적층하는 단계; c) 상기 매트상으로 적층된 웨이브 형성된 섬유사에 비탄성 접착제를 분사하여 섬유사 간의 결합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결합이 형성된 식물섬유 매트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에 토양, 유기 영양성분 및 코코피트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
    (나)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의 상측에 식물종자를 충진하는 단계;
    (다) 상기 충진재와 식물종자가 충진된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식물성 망체 내부에 삽입하고 매듭짓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이용한 천연소재 식생블록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식물종자 충진단계 이후 영양성분이 함유된 전분 조성물을 상기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에 도포하는 단계;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이용한 천연소재 식생블록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망체는 라텍스에 침지하여 강도를 높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이용한 천연소재 식생블록 제조방법.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다공성 천연수세미형 식물섬유 매트를 이용한 천연소재 식생블록.
KR1020090024023A 2009-03-20 2009-03-20 천연소재 식생블록 KR100939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023A KR100939653B1 (ko) 2009-03-20 2009-03-20 천연소재 식생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023A KR100939653B1 (ko) 2009-03-20 2009-03-20 천연소재 식생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653B1 true KR100939653B1 (ko) 2010-02-03

Family

ID=4208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023A KR100939653B1 (ko) 2009-03-20 2009-03-20 천연소재 식생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6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70B1 (ko) 2013-06-12 2013-12-17 (주)두인디앤씨 식생매트
KR101597519B1 (ko) * 2015-04-23 2016-02-25 (유)신기Ati 황사 방지 및 초지 조성을 위한 사막화 지역에서의 연속 흙고화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KR102237759B1 (ko) * 2020-08-31 2021-04-07 주식회사에코블럭 페로니켈 슬래그를 함유하는 호안블록의 제조방법.
WO2021158099A1 (en) * 2020-02-06 2021-08-12 Everhard Consulting B.V. Adhesive composition for providing a culture substrate for pla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839B1 (ko) * 2003-01-22 2005-07-21 강태호 종자부착형 식물 재배 블럭
KR100829478B1 (ko) * 2007-10-17 2008-05-16 대부그린 주식회사 다수의 함몰부가 형성된 코이어 매트의 제조방법
KR20080046075A (ko) * 2006-11-21 2008-05-26 (주)덕산조경 활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839B1 (ko) * 2003-01-22 2005-07-21 강태호 종자부착형 식물 재배 블럭
KR20080046075A (ko) * 2006-11-21 2008-05-26 (주)덕산조경 활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KR100829478B1 (ko) * 2007-10-17 2008-05-16 대부그린 주식회사 다수의 함몰부가 형성된 코이어 매트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470B1 (ko) 2013-06-12 2013-12-17 (주)두인디앤씨 식생매트
KR101597519B1 (ko) * 2015-04-23 2016-02-25 (유)신기Ati 황사 방지 및 초지 조성을 위한 사막화 지역에서의 연속 흙고화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WO2016171364A1 (ko) * 2015-04-23 2016-10-27 유한회사 신기에이티아이 황사 방지 및 초지 조성을 위한 사막화 지역에서의 연속 흙고화 처리 방법 및 처리 장치
CN106459761A (zh) * 2015-04-23 2017-02-22 有限公司神技Ati 用于黄沙防止及草地组成的在沙漠化地区中的连续土固化处理方法及处理装置
WO2021158099A1 (en) * 2020-02-06 2021-08-12 Everhard Consulting B.V. Adhesive composition for providing a culture substrate for plants
NL2024846B1 (en) * 2020-02-06 2021-09-13 Everhard Consulting B V Adhesive composition for providing a culture substrate for plants
KR102237759B1 (ko) * 2020-08-31 2021-04-07 주식회사에코블럭 페로니켈 슬래그를 함유하는 호안블록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40304U (zh) 一种骨架加筋可调控植物纤维毯
KR100953950B1 (ko) 미생물 및 식물 생육이 용이한 식생기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13693B1 (ko) 짚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식생기반재
CN107710945B (zh) 一种沙丘边坡复绿装置及沙丘边坡复绿方法
KR100939653B1 (ko) 천연소재 식생블록
KR100714674B1 (ko) 식물종자를 포함하는 식생줄, 식생로프 및 식생자재
CN108330913A (zh) 消落带边坡的生态修复方法
AU2004255125A1 (en) Hair felt
PL184262B1 (pl) Pojemnik na rośliny i uprawy oraz sposób wytwarzania pojemnika na rośliny i uprawy
KR100834083B1 (ko) 바이오 환경 식생포대 및 그 제조 방법
KR200451156Y1 (ko) 식생이 가능한 망체 2중 구조물
KR20120068244A (ko) 식생포트 및 그 제조방법
CN108513763A (zh) 一种抗冲刷抗侵蚀生态植被网垫
KR100931619B1 (ko) 호안 및 법면보호 녹화용 보강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CN201571375U (zh) 一种防护生态袋
CN112005821A (zh) 一种用于边坡绿化及防护的植被混凝土帆布、制备方法及绿化方法
CN106584970A (zh) 一种边坡环保植被毯
CN109804867B (zh) 一种用于边坡水土保持的生态捆制作及其施工方法
KR101205552B1 (ko) 셀형 코어에 의한 식생기반층을 구비한 식생매트의 제조공법
KR100991139B1 (ko) 섬유밀도의 특성을 이용한 식생매트와 그의 제조방법
KR102041074B1 (ko) 식생매트
CN114271060A (zh) 一种用于沙漠戈壁土壤的生态修复毯及其使用方法
JP3641791B2 (ja) アマモ類育成用構成体
CN207040411U (zh) 一种混凝土坡面绿化种植毯
KR20120095050A (ko) 녹화용 식생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