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074B1 - 식생매트 - Google Patents

식생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074B1
KR102041074B1 KR1020190039940A KR20190039940A KR102041074B1 KR 102041074 B1 KR102041074 B1 KR 102041074B1 KR 1020190039940 A KR1020190039940 A KR 1020190039940A KR 20190039940 A KR20190039940 A KR 20190039940A KR 102041074 B1 KR102041074 B1 KR 10204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net
vegetation mat
delete delete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순
Original Assignee
이예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순 filed Critical 이예순
Priority to KR102019003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93Anchoring means for ground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식 및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사면에 식물 식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사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지면의 수분이 통과 가능하도록 미세 기공을 갖는 비스코스레이온 부직포매트;, 상기 부직포매트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격되게 형성되어 식물의 종자가 접착되어 종자의 발아에 초기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밀가루풀 또는 전분을 연질로 응고시킨 종자시트;, 상기 종자시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생분해성재질로 이루어져 망체의 형태를 가진 제1네트;, 상기 제1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코넛솜매트; 및, 상기 코코넛솜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코코넛솜매트 그리고 상기 코코넛솜매트 하부 구조의 유동을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역할을 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제2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생매트{VEGETATION MAT}
본 발명은 하천, 제방, 도로변의 법면 또는 사면에 설치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식 및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사면에 식물 식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씨앗의 발아를 촉진하면서 지면에 식물의 뿌리가 견고히 활착하도록 식물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 및 식물 성장의 생육환경을 조성하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블록을 포설하거나 돌을 쌓은 후 철망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때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콘크리트나 돌을 적재하는 경우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식물이 자랄 수 없으므로, 식물종 감소 및 이에 따른 생태계 훼손의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콘크리트나 돌을 적재하는 대신, 식물을 심어 사면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제방이나 절개지의 사면에 식물을 심게 되면, 식물의 뿌리가 사면에 얽혀 사면이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각종 식물이 식생하게 됨으로써 생태계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호안 및 하천 등의 법면에는 하천의 이수 및 치수기능과 더불어 하천 흐름에 따라 그 기초가 세굴되거나 제체의 액상화 현상에 따른 호안의 유실과 시공 초기에 발생하는 급격한 수위변화로 인한 토사(미세사) 유출을 방지하고, 자연환경을 복원하도록 한 식생매트의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식생매트를 이용한 호안 및 법면 보호시공은 하천의 제방이 유수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공사 등에 의해 도로 주변의 나지가 침식되어 도로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생태계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자연 경관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이고, 상기의 식생매트는 하천의 제방이나 도로의 법면에 매트를 포설하여 상기 식생매트 내부의 종자가 성장함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시공면에 자연스럽게 활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식생매트는 통상적으로 생분해성이 우수한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고, 격자형 구조를 갖고 있어 빠른 유속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지며, 별도의 씨딩(Seeding)이 필요없는 구조와 함께 매트를 구성하는 재료의 일체화를 통해 지반 보호 효과가 탁월하도록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따라서, 가장 보편적인 형태의 식생매트는 저면에 종자가 포함된 천연펄프층을 구성하고, 상기 천연펄프층의 상측으로는 코이어 섬유 또는 야자수 껍질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섬유층을 형성하며, 상기 천연섬유층의 상부에는 황마로 된 천연네트를 형성하여서 이들을 서로 일체화시킴에 따라 넓은 면적의 매트가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식생매트는 필요에 따라 황마 및 코이어 섬유를 추가로 적용하여서 보다 강화된 또는 보강된 형태의 식생매트로도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된 식생매트를 호안이나 법면과 같은 시공면에 포설하게 되면 상기 식생매트 내의 천연펄프층을 통해 시공면으로부터 수분을 빨아들여 종자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종자가 발아 및 성장하면서 시공면으로 뿌리가 활착됨에 따라 식물은 자생력을 갖고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식생매트는 전기한 바와 같이 대부분이 천연소재 즉,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별도의 철거 및 회수가 불필요한 것이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분해되면서 식물에 훌륭한 영양소를 공급함에 따라 식물의 생장을 더욱 이롭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식생매트는 시공단계에서 시공면과의 밀착 시공이 이루어져야 수분의 빠른 흡수로 인한 식물의 성장과 뿌리의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시공면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식생매트는 설치 후 복토 및 주기적 관수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복토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식생매트의 건조에 따른 발아 부진 및 식생매트층과 지면과의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아된 종자의 뿌리가 지면에 도달하지 못하여 고사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종전 대부분의 식생매트는 식생매트의 설치 후 식생매트에 대한 보습 및 보온의 목적으로 복토(두께 약 2~3cm)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나 현장여건에 따라 복토에 필요한 양질토를 구하기 어려운 현장이 대부분이고 장비를 사용하여 복토시 지반에 설치된 식생매트의 손상이 발생하여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물론 손상된 식생매트의 교체에 따른 2차 시공비의 소요가 동반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인력 복토의 경우 사면의 면적이 넓어 토사 운반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노무비 과투입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막대한 것이다.
또한, 기존의 식생매트 중 식생기반재 또는 발아촉진재 등이 포함된 식생매트도 있으나 대부분 부직포나 솜 또는 코이어 네트와 같은 단순섬유질 성분으로 된 보습 기능재나, 광물질 또는 합성 혼합물과 같이 수분흡수 후 팽창성을 갖는 성분으로 된 보습 기능재가 포함되어 있으나, 이들이 과도한 수분흡수 및 팽창으로 인해 오히려 식물성장을 방해하거나 식생매트 제품이 팽창으로 파손되는 경우가 우려되는 상황이 연출되는 것이고, 질산이나 인 성분 등의 비료성분을 직접적으로 투입하여 생산하는 식생매트도 있으나 과도한 영양분의 공급으로 인하여 종자의 발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식생매트 중에는 광물질 또는 비료성분이나 배합토 등이 혼합된 경우도 있으나 이와 같은 형태의 식생매트는 현장에서 시공시 상기와 같은 물질들이 식생매트 내부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못하거나 시공 및 운반시 유실되는 경우가 많아 식물이 고른 형태로 발아 및 활착되지 못하여 고품질의 녹화사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식물 생장에 불리한 조건을 갖고 있는 자갈토질이나 모래 또는 암질, 점토질이나 풍화암반으로 된 법면의 경우 식생매트의 설치 후 종자의 발아가 부진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지속적이고 빈번한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지극히 비효율적인 것이고, 경사가 급한 절개지의 경우에는 기반층의 침식으로 인해 식생매트가 유실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식물의 활착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므로 합리적인 수준의 녹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7890호(발명의 명칭 : 발아환경을 조성한 맞춤형 식생매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8764호(발명의 명칭 : 황마네트를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및 그 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하천, 제방 또는 도로변의 사면에 설치 가능하며, 빗물이나 하천 등의 유수에 의해 식물종자가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이나 영양분을 장시간 동안 함유하여 식물의 뿌리가 지중으로 활착하는 동안 지속적인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식생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식생매트를 설치하여 빗물 또는 바람 등 자연적인 영향에 의해 사면에 식생매트가 견고히 설치되도록 고정어스앵커를 지중에 삽입되면서 식생매트를 가압하도록 하는 식생매트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지면의 수분이 통과 가능하도록 미세 기공을 갖는 비스코스레이온 부직포매트;
상기 부직포매트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격되게 형성되어 식물의 종자가 접착되어 종자의 발아에 초기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밀가루풀 또는 전분을 연질로 응고시킨 종자시트;
상기 종자시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생분해성재질로 이루어져 망체의 형태를 가진 제1네트;
상기 제1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코넛솜매트; 및
상기 코코넛솜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코코넛솜매트 그리고 상기 코코넛솜매트 하부 구조의 유동을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역할을 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제2네트를 포함하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네트 상부에 적층되어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코넛네트가 더 포함되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코코넛네트 상부 또는 제2네트 상부에 적층되어 하부에 위치한 식생매트의 유동 및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지면 활착에 이르기까지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사각형 또는 육각형의 통공을 가진 망체형의 코팅철망이 더 포함되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종자시트와 제1네트 사이에 적층되어 종자시트의 보온, 보습 및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볏짚매트가 더 포함되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네트 상부로 제3네트, 코코넛솜매트 그리고 제4네트 순으로 적층되어 식생매트 자체의 인장력을 보강하도록 하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부직포매트가 적층되지 않으면서 종자시트가 제2네트 상부로 적층되며, 상기 종자시트 상부로 제3네트, 코코넛솜매트 그리고 제4네트 순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네트와 코코넛솜매트 사이에 비료시트가 적층되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네트를 구성하는 가로줄 및 세로줄 표면에 비료액이 코팅되거나 코코넛솜매트에 비료액이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를 이용하면,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이나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뿌리가 지중으로 활착하여 건실한 식물로 성장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영양공급원의 풍부함에 의해 토질에 상관없이 모든 사면에도 식재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의 상부에 코코넛네트가 설치되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의 상부에 코팅철망이 설치되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종자시트와 제1네트 사이에 볏짚매트가 설치되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제2네트 상부로 제3네트, 코코넛솜매트 및 제4네트 순으로 적층되는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종자시트가 제3네트에 적층되면서 종사시트 상부로 제3네트, 코코넛솜매트 및 제4네트 순으로 적층되는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제1네트와 코코넛솜매트 사이에 비료시트가 설치되는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를 고정하면서 지중에 삽입되는 고정어스앵커 사시도(a)와 정면도(b).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를 고정하면서 지중에 삽입되는 고정어스앵커의 조립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를 고정하면서 지중에 삽입되는 고정어스앵커의 제2몸체에 회전가압편이 결합되는 사시 분해도(a)와 정면 분해도(b).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분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의 상부에 코코넛네트가 설치되는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의 상부에 코팅철망이 설치되는 분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종자시트와 제1네트 사이에 볏짚매트가 설치되는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제2네트 상부로 제3네트, 코코넛솜매트 및 제4네트 순으로 적층되는 분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종자시트가 제3네트에 적층되면서 종사시트 상부로 제3네트, 코코넛솜매트 및 제4네트 순으로 적층되는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제1네트와 코코넛솜매트 사이에 비료시트가 설치되는 분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10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의 사면을 덮도록 고정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되,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식물의 싹이나 줄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극을 가지며, 수분과 영양분을 흡착하고 있는 상태를 일정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100)는 사면 또는 법면의 토양으로 식물의 뿌리가 빠르게 활착시키도록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식물이 성장하는 동안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1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지면의 수분이 통과 가능하도록 미세 기공을 갖는 비스코스레이온 부직포매트(110);, 상기 부직포매트(110)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격되게 형성되어 식물의 종자가 접착되어 종자의 발아에 초기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밀가루풀 또는 전분을 연질로 응고시킨 종자시트(120);, 상기 종자시트(120)의 상부에 적층되어 생분해성재질로 이루어져 망체의 형태를 가진 제1네트(130a);, 상기 제1네트(130a)의 상부에 적층되어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코넛솜매트(140); 및, 상기 코코넛솜매트(140)의 상부에 적층되어 코코넛솜매트(140) 그리고 상기 코코넛솜매트(140) 하부 구조의 유동을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역할을 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제2네트(130b)를 포함하는 식생매트(100)를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매트(110)는 사면 또는 지면을 이루는 토사가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하면서 종자시트(120)의 종자가 발아되어 생장될 때 뿌리가 얽힘으로써 뿌리가 쉽게 뽑히지 아니하면서 토양 내에 수분을 흡착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직포매트(110)는 종자의 뿌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랜덤구조의 매트형태이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이때 이격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토양으로부터의 수분 공급 및 우수에 대한 배수가 원활히 통과되도록 제공된다.
상기 부직포매트(110)는 비스코스레이온 섬유로 이루어지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비스코스레이온, 면, PLA(Poly Lactic Aci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의 단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매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자시트(120)는 상부에 적층되는 제1네트(130a)의 부착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종자의 발아시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식생매트의 경우에는 식생매트 설치 이후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파종을 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식생매트 설치작업과 파종 작업이 순차적으로 각각 이루어져야 하는바,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게다가 종자를 식생매트에 단순히 뿌려놓기만 하면, 빗물이나 강물에 종자가 떠내려가 정상적으로 식생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종자시트(120)가 부직포매트(110)에 견고히 부착하면서 발아 및 성장시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부직포매트(110) 상면에 부착 또는 이격되게 별도의 접착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밀가루 접착제, 전분 접착제, 젤라틴 접착제, 아교 접착제, 한천 접착제, 탄닌 접착제의 천연접착제 그룹 중 하나의 접착제를 부직포매트(110)의 상부에 스프레이 또는 롤링으로 코팅시켜 부직포매트(110)의 상면에 시트형태로 부착시키며, 또한 식생매트(100)의 시공 후 주변 환경을 개선함과 더불어 식생매트(100) 내에 종자시트에 포함된 씨앗으로부터 해충이나 병원균,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택된 접착제에 피톤치드오일을 포함시켜 교반 후 스프레이 또는 롤링을 통해 종자시트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자시트(120)는 통상의 지류를 이용하여 미도시된 상면지와 밑면지를 형성하되 밑면지의 표면에 접착제(풀)를 도포하고 종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뿌려준 후에 상면지를 접착하여 형성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종자시트(120)의 구성을 널리 알려 활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네트(130a)는 상기 제1네트(130a) 하부에 위치한 종자시트(120)와 부직포매트(110)의 유동을 방지하고, 사람이나 동물 등이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를 밟았을 때 제1네트(130a) 하부에 위치한 식생매트(100)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망의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토사나 유기물 등이 쉽게 통과될 수 있도록 공극을 갖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네트(130a)는 식생정착 이후 식물의 줄기와 뿌리를 눌러 식물이 유수에 잠겼을 때 수면으로 떠오르거나 유수를 따라 흘러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식물이 성장 후 자연 분해되어 식물의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코코넛솜매트(140)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분해되는 통상의 목화(솜)를 비롯하여 황마 및 코코넛 껍질 등을 들 수 있으며, 일예로 코코넛열매 껍질섬유는 굵기가 매우 가늘어 얽히도록 결합되었을 때 토사가 흡착될 만큼의 작은 공극을 형성할 수 있고, 수분 흡수성이 좋아 물이나 유기물을 흡수하였다가 종자시트 측으로 서서히 공급하는 역할 및 자연 분해되는 생분해성재질로 이루어져 식물성장에 영양분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네트(130b)는 제1네트(130a)와 제2네트(130b)가 동일한 규격 및 재질로 제작되어 제작 및 시공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네트(130a)와 제2네트(130b)는 서로 상이한 패턴의 그물망 구조로 제작되거나, 공극의 크기가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네트(130b) 상부에 적층되어 식생매트(10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코넛네트(150)가 더 포함되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상기 코코넛네트(150)는 제2네트(130b) 상부에 적층된 천연 섬유인 코이어(Coir, 코코넛 껍질)로 이루어진 네트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코코넛 네트(150) 외에 천연 섬유의 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섬유의 네트는 황마(Jute), 볏짚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 섬유를 실, 밧줄 형태로 만들고 네트(Net) 형태로 엮은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코코넛네트(150)를 구성하는 네트(150)는 코이어 섬유 또는 코이어 섬유에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코이어(Coir) 섬유, 볏집 섬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혼합의 섬유를 포함한 네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식물 종자의 생육에 대한 적합성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코코넛네트(150) 또는 코이어 섬유를 포함한 혼합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네트(130b) 또는 코코넛네트(150) 상부에 적층되어 하부에 위치한 식생매트(100)의 유동 및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지면 활착에 이르기까지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사각형 또는 육각형의 통공을 가진 망체형의 코팅철망(160)이 더 포함되는 식생매트(100)를 제공한다.
상기 코팅철망(160)은 아연도금 철선 또는 아연 도금 후 PVC를 코팅한 철선으로 육각형 타입의 메쉬(mesh) 형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철망으로서, 육각형타입 외에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태로 꼬아진 형태의 코팅철망(160)을 제공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종자시트(120)와 제1네트(130a) 사이에 적층되어 종자시트(120)의 보온, 보습 및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볏짚매트(170)가 더 포함되는 식생매트(100)를 제공한다.
상기 볏짚매트(170)에 사용되는 볏짚은 성숙한 벼에서 곡식알을 제거하고 남은 줄기와 잎을 말하며, 줄기와 잎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약 40%, 60%이고 마디는 10~20개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 볏짚의 화학적 성분은 일반적으로 섬유소인 셀룰로오스가 약36%, 목질화 성분인 리그닌이 약 20%, 다당류 펜토산 약 22%, 조단백질 약 6%, 회분 약 13% 정도이다.
볏짚은 식생매트(100)로 사용될 때 토양과 접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부패하여 씨앗의 발아와 생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식생매트(100)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형태안정성이 있어 경사면 등의 보호의 역할과 식재가 정착할 수 있는 기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식재가 보다 잘 자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매트(110)의 하부에 마련되거나 부직포매트(100) 하면에 코팅되는 접착시트(미도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접착시트는 커피슬러지분말, 난각분말, 전분 및 갈조류분말이 혼합되어 시트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시트는 커피슬러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난각분말 1 내지 10 중량%, 전분 1 내지 5중량%, 갈조류분말 1 내지 10중량% 포함하며, 이때 상기 커피슬러지분말, 난각분말, 전분 및 갈조류분말이 혼합하여 수분을 흡수시킨 후 스팀처리하여 압착과정을 수행하여 접착시트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접착시트는 부칙포매트(110) 하부에 위치하도록 식생매트(100) 시공시 먼저 식생법면에 접착시트를 덮어 시공하거나 롤형태로 제조된 식생매트(100)의 최하층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시트 공정 중 압착하는 단계에서 커피슬러지분말, 난각분말, 전분 및 갈조류분말이 혼합하여 수분을 흡수한 후 스팀처리 후 그 상부에 부직포매트(110)를 적층하여 압착하여 상부의 부직포매트(110) 하부의 접착시트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도록 제조된다.
상기 커피슬러지분말은 식물의 성장에 퇴비역할뿐만 아니라 다공성인 성질로 인하여 식생 법면의 토사에 포함된 중금속을 흡착하는 성질로 인해 법면의 오염물질 제거로 식생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접착시트는 볏짚 또는 톱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볏짚은 잘게 분쇄되어 그 크기가 1 내지 10mm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커피슬러지분말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의 톱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의 톱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톱밥 비료는 접착시트가 자연 분해되는 과정에서 접착시트 내에서 유기물을 공급하고 미세한 입자의 접착시트에 공극을 유지함으로써 원활한 산소공급과 배수성 향상을 이유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네트(130b) 상부로 제3네트(130c), 코코넛솜매트(140) 그리고 제4네트(130d) 순으로 적층되어 식생매트(100) 자체의 인장력을 보강하도록 하는 식생매트(100)를 제공한다.
상기 식생매트(100)에서 부직포매트(110), 종자시트(120), 제1네트(130a), 코코넛솜매트(140) 및 제2네트(130b)로 적층 구성되는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의 상부로 제3네트(130c), 코코넛솜매트(140) 및 제4네트(140d)로 적층 구성되는 상부층의 인장력을 달리하여, 상기 하부층은 지면에 밀착되어지게 되고 그 상부층은 지면의 굴곡과 상관없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식생매트(100)가 하부층과 상부층으로 구성되어 전체 식생매트(100)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강우, 관수, 이슬 등으로 공급된 물이 하부 부직포매트(110)의 하부로 쉽게 통과되지 못하게 되고, 토양층에 밀착된 하부 부직포매트(110)의 상부면을 타고 흐르게 됨으로써, 종자시트(120)에 포함된 식물종자의 착근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3네트(130c)와 제4네트(130d)는 제1네트(130a)와 동일한 규격 및 재질로 이루어져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매트(110)가 적층되지 않으면서 종자시트(120)가 제2네트(130b) 상부로 적층되며, 상기 종자시트(120) 상부로 제3네트(130c), 코코넛솜매트(140) 그리고 제4네트(130d) 순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는 식생매트(100)를 제공한다.
상기 식생매트(100)에 부직포매트(110)가 적층되지 않아 법면의 토양층에 제1네트(130a)가 직접 면접됨으로서 제1네트(130a)의 구조가 격자배열로 형성되어 법면의 토양층에 결속력을 증대하여 법면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종자시트(120)가 제1네트(130a), 코코아솜매트(140) 및 제2네트(130b)로 적층 구성되는 하부층과 상기 하부층의 상부로 제3네트(130c), 코코아솜매트(140) 및 제4네트(130d)로 척증 구성되는 상부층 사이에 배치되어 겨울철 등에 동결로 인한 종자시트(120)에 포함된 씨앗종자의 보온성을 증대하면서 상부층과 하부층의 구분으로 시공시 상술한 설명과 같이 인장력을 발휘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네트(130a)와 코코넛솜매트(140) 사이에 비료시트(180)가 적층되는 식생매트(100)를 제공한다.
상기 비료시트(180)는 수용성 부직포 또는 펄프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기재에 액상의 비료액을 흡수시켜 건조한 것으로서, 상기 비료시트(180)의 기재가 부식됨에 따라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비료가 주위의 토양 속으로 확산되어 식물의 생장환경을 조성하고 생장을 촉진시킨다.
상기 비료는 지효성 비료, 완효성 비료 또는 이들의 혼합한 비료로서, 상기 완효성 비료로는 피복비료, 화학합성완효성 비료, 초산억제제첨가 비료 등이 있다.
상기 피복비료는 수용성 비료를 유황과 합성수지 등의 막으로 피복하여 비료의 용출량과 용출기간을 조절하는 것이고, 화학합성완효성 비료는 비료 자체가 물에 녹기 어렵고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 성질을 가진 것으로서, IB, CDU, 우레아홈, 구아닐요소, 옥자미드가 이에 해당하고, 토양 내에서는 가수분해와 미생물분해를 받아 유효화되어 작물에 흡수되며, 분해속도는 비료입자의 크기와 강도에 의해 조절된다. 그리고, 초산억제제첨가 비료는 미생물에 의한 질소성분의 초산화성 작용을 막는 약제인 AM, 시지안지아미드, ST, ASU, ATC, DCS, 티오요산 등을 혼합함으로써 질소유실을 막고 토양 중에 질소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료시트(180)에 사용되는 완효성 비료는 사면과 토양의 특성에 따라 상기의 피복비료, 화학합성완효성 비료, 초산억제제첨가 비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료시트(180)의 기재와 함께 상기 특수처리한 완효성 비료에 의해 시공 후 3 내지 4년간에 걸쳐 비료효과가 지속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1네트(130a)를 구성하는 가로줄 및 세로줄 표면에 비료액이 코팅되거나 코코넛솜매트(140)에 비료액이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는 식생매트(100)를 제공한다.
상기 비료액은 액상의 상태로서 제1네트를 구성하는 가로줄과 세로줄로 구성되어 격자형태를 가지는 제1네트(130a)를 상기 액상의 비료액을 침지시켜 제1네트(130a)의 가로줄과 세로줄에 비료액이 코팅되도록 하거나 코코넛솜매트(140)를 상기 액상의 비료액을 흡수시켜 건조한 후 비료액이 흡수된 코코넛솜매트(140)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매트(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토양개질 및 식물이 성장시 뿌리의 활착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도록 토양개질매트(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상기 토양개질매트(미도시)는 소금물과 가성소다의 혼합비율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80:20 내지 90:10으로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하여 건조시킨 녹조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mm의 크기를 가진 볏짚 5 내지 10중량%, 배합토 1 내지 10중량% 및 천연접착제 5 내지 10중량%로 혼합하여 압착하여 토양개질매트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녹조류 중 바람직하게는 최근 이상 기온과 수온 상승으로 인한 조류 변화 등으로 해안에 유입되어 경관을 훼손하고 퇴적되고 있는 파래(갈파래 또는 잎파래 포함)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녹조류는 소금물과 가성소다의 혼합비율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80:20 내지 90:10으로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하여 건조시켜 사용하게 되며, 상기 소금물과 가성소다를 사용함으로서 녹조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각종 유기물을 포함한 알카리성분을 가진 섬유소만이 남게 되어 알카리성으로서 산성화된 토양을 중화하는데 탁월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볏짚은 1 내지 10mm의 크기로 해섬된 상태로 혼합되어 토양개질매트 자체의 인장력을 발휘하면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유기물 및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볏짚에 소금물을 침지시켜 처리함으로서 볏짚의 빠른 분해를 지연시켜 서서히 퇴비화가 되도록 한다.
이때, 단순히 소금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소금물과 생석회의 혼합비율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80~95:20~5로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시켜 건조된 볏짚을 사용하며, 상기 생석회를 사용함으로서 수분과 결합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서 식물의 발아시 온도를 유지하여 빠른 발아를 촉진하게 되며, 강알칼리성이기 때문에 pH 3.5~5.0 이하의 낮은 산성 토양을 신속하게 중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배합토는 초탄, 활성탄, 황토, 제어라이트, 코코넛 숯(charcoal), 질석, 테라코템(Terracottem) 중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을 분쇄하여 혼합 사용한다.
상기 천연접착제는 식물성아교 또는 동물성아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식물성아교로는 미역, 다시마, 해초, 우무가사리, 옥수수전분, 녹말전분, 왕겨분, 다시마, 한천, 활엽수 및 칩엽수 분말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동물성아교로는 젤라틴, 카세인, 포유동물의 뼈와 가죽의 주요 단백질 성분인 콜라켄, 운모분, 장석분, 금강석분, 펄프분말 및 광산분말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술한 구조로 적층된 식생매트(100)를 지면 상부에 설치하여 지중에 삽입됨으로서 외력으로부터 지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고정어스앵커(200)를 설치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어스앵커(200)는 하면 양측에 걸림홈(211-1)이 형성된 원판형의 머리부(211)와 상기 머리부(211) 하면 중앙에 하향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중앙 또는 하부 일면 외주면에 단차진 원주형의 걸림탭(212-1)이 형성되어 걸림탭(212-1)을 기준으로 상부의 제1몸체(212a)와 하부의 제2몸체(212a)로 구획되면서 하단이 첨예형으로 형성된 일체의 몸체부(212)로 구성된 앵커몸체(210)와,
상기 앵커몸체(210)의 제2몸체(212b)로 삽입되어 걸림탭(212-1)에 단속되도록 상부 중앙에 결속공(221-1)이 형성된 삼각형의 지지삼각판(221)과 상기 지지삼각판(221)의 각 변(邊)에 연결되어 하형으로 절곡되면서 점진적으로 폭이 작아지는 형태를 가진 확관판(222)으로 형성하되, 상기 확관판(222)과 확관판(222) 사이는 단락된 상태로 형성되는 확관몸체(220) 및,
상기 앵커몸체(210)의 머리부(211) 하측에 마련되어 식생매트(10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중앙 일면이 머리부(211)의 걸림홈(211-1)에 결속되면서 양단이 각각 절곡되어 소정의 수직길이로 연장되면서 그 끝단이 첨예형을 가진 가압핀(231-1)이 형성된 이격된 한 쌍의 가로바(231)와 상기 가로바(231)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는 이격된 한 쌍의 세로바(232)로 구성되는 일체의 밀착몸체(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어스앵커(200)는 법면에 식생매트(100)를 도포한 후 법면으로부터 식생매트(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식생매트(100)를 통과하여 지중에 박아 넣으면서 식생매트(100) 상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고정어스앵커(200)의 앵커몸체(210)가 식생매트(100)를 통과하여 지중으로 삽입되며, 이때 앵커몸체(210)를 구성하는 확관몸체(220)가 결합된 제2몸체(212b)와 제1몸체(212a) 하부가 지중으로 삽입되면서 앵커몸체(210)의 머리부(211)가 식생매트(100) 상부로 노출되어 식생매트(100)를 가압하게 되며, 상기 어스앵커볼트(200)를 설치시 식생매트(100)의 상부로 노출된 앵커몸체(210)의 머리부(211)에 밀착몸체(230)를 결합하여 머리부(211)가 위치한 식생매트(100) 주변을 밀착몸체(230)가 가압하게 된다.
상기 고정어스앵커(200)는 앵커몸체(210), 확관몸체(220) 및 밀착몸체(230)로 구성되는 일체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상기 앵커몸체(210)는 상부의 머리부(211)와 하부의 몸체부(212)로 이루어진 일몸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앵커몸체(210)의 머리부(211) 하면 양측에 수평 길이방향으로 걸림홈(211-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211-1)과 걸림홈(211-1)의 머리부(211)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되면서 그 끝단이 첨예형을 가진 봉형의 몸체부(212)를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212) 중앙 또는 하부의 일면 외주에 원주형으로 돌출된 걸림탭(212-1)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탭(212-1)을 기준으로 상부의 제1몸체(212a)와 하부의 제2몸체(212b)로 구획된 일몸체를 구성한다.
상기 확관몸체(220)는 지지삼각판(221)과 확관판(222)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212)의 제2몸체(212b)에 끼워져 걸림탭(212-1)에 단속된 상태로 결합되면서 몸체부(212) 하부가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며, 이때 제2몸체(212b)에 결속되도록 수평의 지지삼각판(221) 중앙에 결속공(221-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삼각판(221)의 각 변(邊) 즉, 3개의 변(邊)에 각각 연결 절곡되어 하향 연장되면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의 확관판(222)을 형성하며, 이때 각각의 확관판(222) 사이인 서로 이웃하는 변(邊) 사이는 단락된 상태 즉, 이음없는 상호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면서 지지삼각판(221)에 연결되어 하부로 배열된 3개의 확관판(222) 하부는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앵커몸체(210)를 지중으로 삽입시 확관몸체(220)가 지중으로 진입되면서 확관몸체(220)의 확관판(222) 내측으로 토사가 점진적으로 유입되면서 토압이 상승되어 확관판(222)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며, 이때 확관판(222)의 변형으로 지중에 강한 응력을 발휘하여 지중으로부터 고정어스앵커(2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몸체(230)는 가로바(231)와 세로바(232)로 구성되는 일몸체의 구조로서, 앵커몸체와 확관몸체(220)가 지중에 삽입시 앵커몸체(210)의 머리부(211)에 결합되어 식생매트(100)의 상부를 강하게 밀착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가로바(231)는 이격된 한 쌍이 배열되면서 중앙 일면에 대응되는 앵커몸체(210) 머리부(211)의 걸림홈(211-1)에 결속되어 머리부(211)의 압박으로 식생매트(100) 상부와 머리부(211) 하부 사이에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지며, 이때 상기 가로바(231)의 양단에 절곡 형성된 가압핀(231-1)이 식생매트(100)를 통과하여 지중에 일부 박히게 되며, 상기 머리부(211)의 걸림홈(211-1)에 각각 결속된 양측 가로바(231)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세로바(232)가 형성하되, 상기 세로바(232)는 밀착몸체(230)가 머리부(211)에 결합시 머리부(211) 외측으로 노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앵커몸체(210)의 몸체부(212)를 구성하는 제2몸체(212b)의 하부 양측에 각각 단차면(213)이 형성하면서 각각의 단차면(213)의 상부 일면을 상호 관통하는 제1연결공(213-1)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면(213) 각각에 결합되도록 제1연결공(2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연결공(214-1)이 형성되면서 하단에 경사진 마찰면(214-2)이 형성하는 회전가압편(214)이 결합되되, 상기 회전가압편(214) 각각의 마찰면(214-2)이 상호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단차면(213)은 앵커몸체(210)를 구성하는 몸체부(212)의 하부에 위치한 제2몸체(212b) 하부에 양면이 각각 내측으로 소정의 수직길이로 절개되면서 그 하단이 제2몸체(212b) 하단으로 단차없이 절개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회전가압편(214)은 상기 제2몸체(212b)의 양측 단차면(213)에 면접 결합되며, 이때 상기 단차면(213) 각각에 회전가압편(214)이 면접 결합시 제2몸체(212b)의 원통형태를 가지며, 즉 상기 단차면(213)에 마주하는 회전가압편(214)의 일면은 단차면(213)의 수평면과 같이 수평면을 형성하며, 타면은 곡면형태를 가지며, 상기 회전가압편(214)의 상부 일면에 제2연결공(214-1)과 대응되는 위치의 단차면 제1연결공(213-1)으로 힌지역할의 체결수단(50)을 연결하여 회전가압편(214)이 회전구조를 가지도록 결합한다.
상기 회전가압편(214)의 하단은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형태의 마찰면(214-2)을 가지며, 즉 상기 마찰면(214-1)은 평면상태를 가지면서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212b) 각각의 단차면(213)에 면접된 각각의 회전가압편(214)에서 양측 회전가압편(214)의 마찰면(214-2)이 상호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지중으로 삽입시 상기 마찰면(214-2)에 토압이 집중되면서 회전가압편(214)이 회전력을 발휘하게 되며, 이때 양측 회전가압편(214)이 좌우대칭형의 경사진 마찰면(214-2)이 형성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토압을 가압하여 견고히 지중으로 박혀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식생매트 시공방법은 먼저, 사면의 지면을 평탄화 작업을 한 후 소정의 길이를 가진 식생매트(100)를 지면 상부에 덮어 준 후 식생매트(100)와 식생매트(100)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호 소정의 길이로 겹치게 하여 상기 겹쳐진 상호 식생매트(100)의 상부 또는 식생매트 상부에 고정어스앵커(200)를 등간격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식생매트 100 부직포매트 110 종자시트 120
제1네트 130a 제2네트 130b 제3네트 130c
제4네트 130d 코코넛솜매트 140 코코넛네트 150
코팅철망 160 볏짚매트 170 비료시트 180
고정어스앵커 200 앵커몸체 210 머리부 211
걸림홈 211-1 몸체부 212 걸림탭 212-1
제1몸체 212a 제2몸체 212b 단차면 213
제1연결공 213-1 회전가압편 214 제2연결공 214-1
마찰면 214-2 확관몸체 220 지지삼각판 221
결속공 221-1 확관판 222 밀착몸체 230
가로바 231 가압핀 231-1 세로바 232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사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지면의 수분이 통과 가능하도록 미세 기공을 갖는 비스코스레이온 부직포매트;,
    상기 부직포매트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격되게 형성되어 식물의 종자가 접착되어 종자의 발아에 초기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밀가루풀 또는 전분을 연질로 응고시킨 종자시트;,
    상기 종자시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생분해성재질로 이루어져 망체의 형태를 가진 제1네트;,
    상기 제1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코넛솜매트;,
    상기 코코넛솜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코코넛솜매트 그리고 상기 코코넛솜매트 하부 구조의 유동을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역할을 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제2네트; 및,
    상기 부직포매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소금물과 가성소다의 혼합비율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80:20 내지 90:10으로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하여 이물질 제거 및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유기물을 포함한 알카리성분을 가진 섬유소만이 남게 하여 건조시킨 녹조류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mm의 크기를 가진 볏짚 5 내지 10중량%, 배합토 1 내지 10중량% 및 천연접착제 5 내지 10중량%로 혼합 및 압착하여 제조된 토양개질매트가 포함되되,
    상기 볏짚은 소금물과 생석회의 혼합비율이 중량비를 기준으로 80~95:20~5로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시켜 건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를 시공후 지면으로부터 식생매트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식생매트를 통과하여 지중에 삽입되는 고정어스앵커가 더 포함되며,
    상기 고정어스앵커는, 하면 양측에 걸림홈이 형성된 원판형의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하면 중앙에 하향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면서 중앙 또는 하부 일면 외주면에 단차진 원주형의 걸림탭이 형성되어 걸림탭을 기준으로 상부의 제1몸체와 하부의 제2몸체로 구획되면서 하단이 첨예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2몸체의 양면이 각각 내측으로 소정의 수직길이로 절개되면서 그 절개된 하단이 제2몸체 하단으로 단차없이 절개된 형태를 가진 단차면이 형성하면서 각각의 단차면의 상부 일면을 상호 관통하는 제1연결공이 형성되는 일체의 몸체부로 구성된 앵커몸체;와,
    상기 앵커몸체의 제2몸체로 삽입되어 걸림탭에 단속되도록 상부 중앙에 결속공이 형성된 삼각형의 지지삼각판과 상기 지지삼각판의 3개 변(邊)에 각각 연결 절곡되어 하향 연장되면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를 가진 확관판으로 형성하되, 각각의 확관판 사이인 서로 이웃하는 변(邊) 사이는 이음없는 상호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면서 지지삼각판에 연결되어 하부로 배열된 3개의 확관판 하부는 개방된 형태를 가진 확관몸체;와,
    상기 앵커몸체의 머리부 하측에 마련되어 식생매트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중앙 일면이 머리부의 걸림홈에 결속되면서 양단이 각각 절곡되어 소정의 수직길이로 연장되면서 그 끝단이 첨예형을 가진 가압핀이 형성된 이격된 한 쌍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는 이격된 한 쌍의 세로바로 구성되는 일체의 밀착몸체; 및,
    상기 앵커몸체의 몸체부를 구성하는 제2몸체의 단차면 각각에 면접 결합되며, 상기 단차면 각각에 결합시 제2몸체의 원통형태를 가지도록 상기 단차면에 마주하는 일면은 단차면의 수평면과 같이 수평면을 형성하면서 타면은 곡면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연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연결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연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의 단차면 제1연결공으로 힌지역할의 체결수단을 연결하여 회전구조를 가지며, 하단이 평면상태를 가지면서 경사진 형태를 가진 마찰면이 형성하는 회전가압편;이 포함되되,
    상기 제2몸체 각각의 단차면에 면접된 각각의 회전가압편에서 양측 회전가압편의 마찰면이 상호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지중으로 삽입시 상기 마찰면에 토압이 집중되면서 회전가압편이 회전력을 발휘하면서 양측 회전가압편이 좌우대칭형의 경사진 마찰면으로 인해 회전가압편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KR1020190039940A 2019-04-05 2019-04-05 식생매트 KR102041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40A KR102041074B1 (ko) 2019-04-05 2019-04-05 식생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40A KR102041074B1 (ko) 2019-04-05 2019-04-05 식생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074B1 true KR102041074B1 (ko) 2019-11-05

Family

ID=6857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940A KR102041074B1 (ko) 2019-04-05 2019-04-05 식생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5769A (en) * 2021-04-01 2022-10-19 Cocogreen Uk Ltd Growing Medium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749A (ja) * 2000-02-09 2001-08-17 Nisshoku Corp 緑化用の植生マット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54805B1 (ko) * 2009-05-28 2010-05-12 주식회사 에코탑 식생매트용 고정부재
KR20110130656A (ko) * 2010-05-28 2011-12-06 서정자 조류를 이용한 녹화 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36009A (ko) * 2010-10-07 2012-04-17 박종화 식생 매트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142191B1 (ko) * 2011-11-29 2012-05-04 대일산업 주식회사 자연친화적인 식생매트
KR101243104B1 (ko) * 2012-10-12 2013-03-19 (주)자연과학 자연친화적인 식생매트
JP2017000077A (ja) * 2015-06-10 2017-01-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植生シート用材料として適した積層体
KR101768764B1 (ko) 2015-04-29 2017-08-17 최윤택 황마네트를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및 그 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KR101957890B1 (ko) 2018-10-05 2019-03-14 주식회사 도광 발아환경을 조성한 맞춤형 식생매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0749A (ja) * 2000-02-09 2001-08-17 Nisshoku Corp 緑化用の植生マット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54805B1 (ko) * 2009-05-28 2010-05-12 주식회사 에코탑 식생매트용 고정부재
KR20110130656A (ko) * 2010-05-28 2011-12-06 서정자 조류를 이용한 녹화 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36009A (ko) * 2010-10-07 2012-04-17 박종화 식생 매트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142191B1 (ko) * 2011-11-29 2012-05-04 대일산업 주식회사 자연친화적인 식생매트
KR101243104B1 (ko) * 2012-10-12 2013-03-19 (주)자연과학 자연친화적인 식생매트
KR101768764B1 (ko) 2015-04-29 2017-08-17 최윤택 황마네트를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및 그 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JP2017000077A (ja) * 2015-06-10 2017-01-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植生シート用材料として適した積層体
KR101957890B1 (ko) 2018-10-05 2019-03-14 주식회사 도광 발아환경을 조성한 맞춤형 식생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5769A (en) * 2021-04-01 2022-10-19 Cocogreen Uk Ltd Growing Medium
GB2605769B (en) * 2021-04-01 2023-10-04 Cocogreen Uk Ltd Growing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797B1 (ko) 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CN104542220B (zh) 一种边坡修复用植生网毯及边坡修复方法
CN107700429B (zh) 边坡防径流冲刷侵蚀装置及边坡防径流冲刷侵蚀方法
CN205040304U (zh) 一种骨架加筋可调控植物纤维毯
CN107710945B (zh) 一种沙丘边坡复绿装置及沙丘边坡复绿方法
KR101061036B1 (ko) 호안 및 법면보호 녹화용 코코넛 식생매트
CN101818499A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CN204539762U (zh) 一种用于边坡修复的麻椰土工格室植生网毯
KR102000961B1 (ko) 식생매트
KR20100061964A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KR20080026407A (ko) 식생매트와 식생매트 설치방법
KR102041074B1 (ko) 식생매트
CN114855494A (zh) 农用或生态修复用蜂窝纸、制备方法及含该蜂窝纸的产品
KR20180075828A (ko) 무토지 및 척박한 환경에 조기녹화 및 자연식생 활착유도를 위한 식생토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953305B1 (ko) 녹화용 식생 매트와 그 제조방법,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
KR100931619B1 (ko) 호안 및 법면보호 녹화용 보강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90009B1 (ko) 펄프솜에 의한 식생기반층을 구비한 식생매트의 제조공법
KR200178009Y1 (ko) 종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KR102599353B1 (ko) 사면보호용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면보호용 식생매트
KR101205552B1 (ko) 셀형 코어에 의한 식생기반층을 구비한 식생매트의 제조공법
KR100719078B1 (ko) 법면 녹화용 줄 네트
KR100423004B1 (ko) 산림표토성분 조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생표토층조성에 의한 생태복원 녹화방법
KR19990068391A (ko) 법면녹화토조성물및그를이용한녹화공법
KR100519984B1 (ko) 식생대 및 그 제조방법.
RU2338348C1 (ru) Агром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