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961B1 - 식생매트 - Google Patents

식생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961B1
KR102000961B1 KR1020180114546A KR20180114546A KR102000961B1 KR 102000961 B1 KR102000961 B1 KR 102000961B1 KR 1020180114546 A KR1020180114546 A KR 1020180114546A KR 20180114546 A KR20180114546 A KR 20180114546A KR 102000961 B1 KR102000961 B1 KR 102000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vegetation
vegetation mat
net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유
Original Assignee
김동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유 filed Critical 김동유
Priority to KR102018011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5Dry fruit hulls or husks, e.g. chaff or co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9Geotextiles with multi-layer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식생매트는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설치 가능하며, 빗물이나 하천 등의 유수에 의해 식물종자가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이나 영양분을 장시간 동안 함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사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지면의 수분이 통과 가능하도록 미세 기공을 갖는 부직포매트, 상기 부직포매트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격되게 형성되어 식물의 종자가 접착되어 종자의 발아에 초기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밀가루풀 또는 전분을 연질로 응고시킨 접착제시트, 식물의 종자가 포함되어 접착제시트 상면에 부착되어 적층되는 종자시트, 상기 종자시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생분해성재질로 이루어져 망체의 형태를 가진 제1네트, 상기 제1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아매트 및, 상기 코아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코아매트 그리고 상기 코아매트 하부 구조의 유동을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역할을 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제2네트를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식생매트{VEGETATION MAT}
본 발명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식 및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사면에 식물 식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식생매트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블록을 포설하거나 돌을 쌓은 후 철망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때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콘크리트나 돌을 적재하는 경우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식물이 자랄 수 없으므로, 식물종 감소 및 이에 따른 생태계 훼손의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콘크리트나 돌을 적재하는 대신, 식물을 심어 사면의 유실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제방이나 절개지의 사면에 식물을 심게 되면, 식물의 뿌리가 사면에 얽혀 사면이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각종 식물이 식생하게 됨으로써 생태계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호안 및 하천 등의 법면에는 하천의 이수 및 치수기능과 더불어 하천 흐름에 따라 그 기초가 세굴되거나 제체의 액상화 현상에 따른 호안의 유실과 시공 초기에 발생하는 급격한 수위변화로 인한 토사(미세사) 유출을 방지하고, 자연환경을 복원하도록 한 식생매트의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식생매트를 이용한 호안 및 법면 보호시공은 하천의 제방이 유수에 의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로공사 등에 의해 도로 주변의 나지가 침식되어 도로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생태계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자연 경관을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것이고, 상기의 식생매트는 하천의 제방이나 도로의 법면에 매트를 포설하여 상기 식생매트 내부의 종자가 성장함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시공면에 자연스럽게 활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식생매트는 통상적으로 생분해성이 우수한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고, 격자형 구조를 갖고 있어 빠른 유속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지며, 별도의 씨딩(Seeding)이 필요없는 구조와 함께 매트를 구성하는 재료의 일체화를 통해 지반 보호 효과가 탁월하도록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따라서, 가장 보편적인 형태의 식생매트는 저면에 종자가 포함된 천연펄프층을 구성하고, 상기 천연펄프층의 상측으로는 코이어 섬유 또는 야자수 껍질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섬유층을 형성하며, 상기 천연섬유층의 상부에는 황마로 된 천연네트를 형성하여서 이들을 서로 일체화시킴에 따라 넓은 면적의 매트가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식생매트는 필요에 따라 황마 및 코이어 섬유를 추가로 적용하여서 보다 강화된 또는 보강된 형태의 식생매트로도 생산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된 식생매트를 호안이나 법면과 같은 시공면에 포설하게 되면 상기 식생매트 내의 천연펄프층을 통해 시공면으로부터 수분을 빨아들여 종자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종자가 발아 및 성장하면서 시공면으로 뿌리가 활착됨에 따라 식물은 자생력을 갖고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식생매트는 전기한 바와 같이 대부분이 천연소재 즉, 생분해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별도의 철거 및 회수가 불필요한 것이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분해되면서 식물에 훌륭한 영양소를 공급함에 따라 식물의 생장을 더욱 이롭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식생매트는 시공단계에서 시공면과의 밀착 시공이 이루어져야 수분의 빠른 흡수로 인한 식물의 성장과 뿌리의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시공면의 토사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식생매트는 설치 후 복토 및 주기적 관수작업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복토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식생매트의 건조에 따른 발아 부진 및 식생매트층과 지면과의 밀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아된 종자의 뿌리가 지면에 도달하지 못하여 고사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종전 대부분의 식생매트는 식생매트의 설치 후 식생매트에 대한 보습 및 보온의 목적으로 복토(두께 약 2~3cm)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나 현장여건에 따라 복토에 필요한 양질토를 구하기 어려운 현장이 대부분이고 장비를 사용하여 복토시 지반에 설치된 식생매트의 손상이 발생하여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물론 손상된 식생매트의 교체에 따른 2차 시공비의 소요가 동반하고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인력 복토의 경우 사면의 면적이 넓어 토사 운반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노무비 과투입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막대한 것이다.
또한, 기존의 식생매트 중 식생기반재 또는 발아촉진재 등이 포함된 식생매트도 있으나 대부분 부직포나 솜 또는 코이어 네트와 같은 단순섬유질 성분으로 된 보습 기능재나, 광물질 또는 합성 혼합물과 같이 수분흡수 후 팽창성을 갖는 성분으로 된 보습 기능재가 포함되어 있으나, 이들이 과도한 수분흡수 및 팽창으로 인해 오히려 식물성장을 방해하거나 식생매트 제품이 팽창으로 파손되는 경우가 우려되는 상황이 연출되는 것이고, 질산이나 인 성분 등의 비료성분을 직접적으로 투입하여 생산하는 식생매트도 있으나 과도한 영양분의 공급으로 인하여 종자의 발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식생매트 중에는 광물질 또는 비료성분이나 배합토 등이 혼합된 경우도 있으나 이와 같은 형태의 식생매트는 현장에서 시공시 상기와 같은 물질들이 식생매트 내부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못하거나 시공 및 운반시 유실되는 경우가 많아 식물이 고른 형태로 발아 및 활착되지 못하여 고품질의 녹화사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식물 생장에 불리한 조건을 갖고 있는 자갈토질이나 모래 또는 암질, 점토질이나 풍화암반으로 된 법면의 경우 식생매트의 설치 후 종자의 발아가 부진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지속적이고 빈번한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지극히 비효율적인 것이고, 경사가 급한 절개지의 경우에는 기반층의 침식으로 인해 식생매트가 유실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식물의 활착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므로 합리적인 수준의 녹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3091호(발명의 명칭 : 식생매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8976호(발명의 명칭 : 수로용 식생매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식물이 식재될 수 있도록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설치 가능하며, 빗물이나 하천 등의 유수에 의해 식물종자가 유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이나 영양분을 장시간 동안 함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생매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지면의 수분이 통과 가능하도록 미세 기공을 갖는 부직포매트;
상기 부직포매트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격되게 형성되어 식물의 종자가 접착되어 종자의 발아에 초기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밀가루풀 또는 전분을 연질로 응고시킨 접착제시트;
식물의 종자가 포함되어 접착제시트 상면에 부착되어 적층되는 종자시트;
상기 종자시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생분해성재질로 이루어져 망체의 형태를 가진 제1네트;
상기 제1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아매트; 및
상기 코아매트의 상부에 적층되어 코아매트 그리고 상기 코아매트 하부 구조의 유동을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역할을 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제2네트를 포함하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네트 상부에 적층되어 식생매트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아네트가 더 포함되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코아네트 상부에 적층되어 하부에 위치한 식생매트의 유동 및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지면 활착에 이르기까지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사각형 또는 육각형의 통공을 가진 망체형의 코팅철망이 더 포함되는 식생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를 이용하면,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하천이나 제방의 사면 유실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이나 영양분이 장시간 동안 함유될 수 있으므로 토질에 상관없이 모든 사면에도 식재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의 상부에 코아네트가 설치되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의 상부에 코아철망이 설치되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배양시트의 단면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에 제1결합핀재가 결합된 단면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제1결합핀재의 조립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식생매트에 고정핀재가 설치되는 조립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고정핀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에서 연결선으로 식생매트를 구획 연결하는 구조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1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의 사면을 덮도록 고정되어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되,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식물의 싹이나 줄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극을 가지며, 수분과 영양분을 흡착하고 있는 상태를 일정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10)는 사면의 토양으로 식물의 뿌리가 빠르게 활착시키도록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켜 토사의 유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식물이 성장하는 동안 영양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1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은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지면의 수분이 통과 가능하도록 미세 기공을 갖는 부직포매트(100);
상기 부직포매트(100)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격되게 형성되어 식물의 종자가 접착되어 종자의 발아에 초기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밀가루풀 또는 전분을 연질로 응고시킨 접착제시트(200);
식물의 종자가 포함되어 접착제시트(200) 상면에 부착되어 적층되는 종자시트(300a);
상기 종자시트(300a)의 상부에 적층되어 생분해성재질로 이루어져 망체의 형태를 가진 제1네트(400);
상기 제1네트(400)의 상부에 적층되어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아매트(500); 및
상기 코아매트(500)의 상부에 적층되어 코아매트(500) 그리고 상기 코아매트 하부 구조의 유동을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역할을 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제2네트(600)를 포함하는 식생매트(10)를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매트(100)는 사면 또는 지면을 이루는 토사가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하면서 종자시트(300a)의 종자가 발아되어 생장될 때 뿌리가 얽힘으로써 뿌리가 쉽게 뽑히지 아니하면서 토양 내에 수분을 흡착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직포매트(100)는 종자의 뿌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랜덤구조의 매트형태이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이때 이격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토양으로부터의 수분 공급 및 우수에 대한 배수가 원활히 통과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시트(200)는 상부에 적층되는 종자시트(300a)의 부착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종자의 발아시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식생매트의 경우에는 식생매트 설치 이후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파종을 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식생매트 설치작업과 파종 작업이 순차적으로 각각 이루어져야 하는바, 시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게다가 종자를 식생매트에 단순히 뿌려놓기만 하면, 빗물이나 강물에 종자가 떠내려가 정상적으로 식생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종자시트(300a)가 부직포매트(100)에 견고히 부착하면서 발아 및 성장시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부직포매트(100) 상면에 부착 또는 이격되게 별도의 접착제시트(2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시트(200)는 밀가루 접착제, 전분 접착제, 젤라틴 접착제, 아교 접착제, 한천 접착제, 탄닌 접착제의 천연접착제 그룹 중 하나의 접착제를 부직포매트(100)의 상부에 스프레이 또는 롤링으로 코팅시켜 부직포매트(100)의 상면에 시트형태로 부착시키며, 또한 식생매트(10)의 시공 후 주변 환경을 개선함과 더불어 식생매트(10) 내에 종자시트(300a)에 포함된 씨앗으로부터 해충이나 병원균,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택된 접착제에 피톤치드오일을 포함시켜 교반 후 스프레이 또는 롤링을 통해 접착제시트(20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종자시트(300a)는 통상의 지류를 이용하여 상면지와 밑면지를 형성하되 밑면지의 표면에 접착제(풀)를 도포하고 종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뿌려준 후에 상면지를 접착하여 형성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종자시트(300a)의 구성을 널리 알려 활용되고 있는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네트(400)는 상기 제1네트(400) 하부에 위치한 종자시트(300a), 접착제시트(200) 및 부직포매트(100)의 유동을 방지하고, 사람이나 동물 등이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10)를 밟았을 때 제1네트(400) 하부에 위치한 식생매트(10) 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망의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토사나 유기물 등이 쉽게 통과될 수 있도록 공극을 갖는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네트(400)는 식생정착 이후 식물의 줄기와 뿌리를 눌러 식물이 유수에 잠겼을 때 수면으로 떠오르거나 유수를 따라 흘러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식물이 성장 후 자연 분해되어 식물의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코아매트(500)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분해되는 통상의 목화(솜)를 비롯하여 황마 및 코코넛 껍질 등을 들 수 있으며, 일예로 코코넛열매 껍질섬유는 굵기가 매우 가늘어 얽히도록 결합되었을 때 토사가 흡착될 만큼의 작은 공극을 형성할 수 있고, 수분 흡수성이 좋아 물이나 유기물을 흡수하였다가 종자시트(300a) 측으로 서서히 공급하는 역할 및 자연 분해되면서 식물성장에 영양분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네트(600)는 제1네트(400)와 제2네트(600)가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되어 제작 및 시공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네트(400)와 제2네트(600)는 서로 상이한 패턴의 그물망 구조로 제작되거나, 공극의 크기가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네트(600) 상부에 적층되어 식생매트(1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코아네트(700)가 더 포함되는 식생매트(10)를 제공한다.
상기 코아네트(700)는 제2네트(600) 상부에 적층된 천연 섬유의 네트로 이루어진다. 이때, 천연 섬유의 네트란 코이어(Coir, 코코넛 껍질), 황마(Jute), 볏짚 등으로 이루어진 천연 섬유를 실, 밧줄 형태로 만들고 네트(Net) 형태로 엮은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코아네트(700)를 구성하는 네트는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코이어(Coir) 섬유, 볏집 섬유 등과 같은 천연 섬유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이라면 그 종류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식물 종자의 생육에 대한 적합성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황마네트 또는 코이어(Coir) 네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네트(600) 또는 코아네트(700) 상부에 적층되어 하부에 위치한 식생매트(10)의 유동 및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지면 활착에 이르기까지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사각형 또는 육각형의 통공을 가진 망체형의 코팅철망(800)이 더 포함되는 식생매트(10)를 제공한다.
상기 코팅철망(800)은 아연도금 철선 또는 아연 도금 후 PVC를 코팅한 철선으로 육각형 타입의 메쉬(mesh) 형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철망으로서, 육각형타입 외에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태로 꼬아진 형태의 코팅철망(800)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종자시트(300a)가 배양시트(300b)로 구성되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양시트(300b)는 상부의 상층부(310a)와 하부의 하층부(310b)로 이격되게 이루어지되, 상기 상층부(310a)와 하층부(310b)의 사이를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층(320)의 3중구조로 내부에 배양공간부(3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상층부(310a)와 하층부(310b) 각각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코이어(Coir) 섬유, 볏집 섬유 중 택일되는 재료로 형성된 매트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층(320)은 그물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생분해성 젖산사 또는 황마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층(320)이 형성된 배양공간부(330)에 식물의 씨앗을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식물의 생장을 위하여 잘게 절단된 코코넛 섬유, 황마, 천연섬유, 볏집 중 어느 하나의 섬유를 함께 넣어서 구성하며, 이때 액상의 전분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전분은 옥수수, 귀리, 감자, 고구마 중 하나 이상의 식물에서 추출된 전분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상층부(310a)와 하층부(310b)가 매트형태의 면상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층부(310a)와 하측부(310b)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그물조직의 연결층(320)을 형성하여 상층부(310a)와 하층부(310b) 사이에 배양공간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배양공간부(330)에 식물의 씨앗, 섬유 및 액상의 전분을 포함하는 액상혼합물이 유입시키며, 상기 배양공간부(330)에 액상혼합물이 수용되어 일정 기간이 지나면서 씨앗이 발아되어 작은 식물로 성장하도록 배양하게 되며, 이때 배양시트(300b)가 배치된 식생매트(10)를 지면에 시공하여 지면으로부터 빠른 활착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2네트는(400)(600) 생분해성 모노사에 황토성분을 함유(혼합)시켜 제조된 생분해성 황토모노사로 네트구조로 형성하여 줌으로서, 상기 제1, 2네트(400)(600)가 복토 되는 상토와 친화력을 갖도록 하여, 상기 제1, 2네트(400)(600)와 복토 되는 상토가 서로 일체감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1, 2네트(400)(600)는 생분해성 모노사를 사용하여 네트구조로 직조되는 그물망구조로서, 상기 생분해성물질인 생분해성 모노사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 모노사를 사용하게 되며, 이때 황토성분을 생분해성 모노사 표면에 코팅시키거나 생분해성 모노사의 재료인 무기물에 황토성분을 포함시킨 생분해성 황토모노사로 제조하며, 상기 생분해성 황토모노사를 다수 개로 엮어 줄형태로 만든 후 그물망구조로 직조하여 제1, 2네트(400)(600)를 제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코아매트(500)에 각종 영양제를 혼합한 상태로 이를 살수 또는 침적할 수도 있는 것인데, 상기의 영양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흔히 비료성분이라 불리는 액상의 질소 또는 액상의 인산 또는 액상의 칼리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을 혼합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성분을 코아매트(500)에 추가로 혼합하여 이를 침적 또는 살수함에 따라 발아촉진제(질소, 인산, 칼리 등)를 흡수하고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부직포매트(100) 또는 코아매트(500)에 광물질인 질석, 펄라이트 또는 규조토 분말 중 택일되는 광물질 분말을 함침시키되, 선택된 광물질 분말에 제지소각분말을 10~90 : 90~10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물과 함께 액상화한 다음 부직포매트(100) 또는 코아매트(500)를 함침시켜 건조 후 사용되는 것을 더 포함하므로서, 상기의 광물질은 수분흡수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관수작업 및 우천시 상기의 광물질은 수분을 빠르게 흡수 및 높은 함수율을 갖고 수분을 머금고 있게 되어 발아에 반드시 필요한 보습 작용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제지소각분말은 제지생산 공정 중 발생되는 슬러지 소각 후 발생되는 부산물로서 강알리성을 가져 수분흡수기능이 뛰어나 높은 함수율을 갖게 된다.
또한, 상술한 구조로 적층된 식생매트(10)를 지면 상부에 설치하여 외력으로부터 지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제1결합핀재(900a)를 설치한다.
먼저, 식생매트(10)의 하부 즉, 부직포매트(100) 하부에 위치하여 지중에 삽입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결속홀(912)이 형성된 수직 원통형의 지지봉(911)과 상기 지지봉(911)의 외주면 일면 및 타면 각각에 연결되어 소정의 직선길이로 연장되는 제1지지탭(913)이 형성되어 두 제1지지탭(913)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는 일체의 하부핀(910)과,
상기 식생매트(10)의 상부에서 하부를 거쳐 지중의 하부핀(910)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핀(910)의 지지봉(911) 결속홀(912)로 삽입되면서 하단에 첨예부(922)가 형성된 수직 길이의 결합대(921)가 형성하되, 상기 결합대(921)의 상단은 식생매트(10)의 상부로 노출되면서 그 하단인 첨예부(922)는 결속홀(912) 하부로 돌출되도록 결합하며, 이때 식생매트(10)의 상부로 노출된 결합대(921)의 상단 외주면에 하부핀(910)의 제1지지탭(913)에 대응되는 제2지지탭(923)이 형성되는 일체의 결합핀(920)이 포함되는 제1결합핀재(900a)가 설치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핀재(900a)는 하부핀(910)과 결합핀(920)의 결합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핀(910)은 지중에 삽입된 상태 즉, 상부가 지면에 노출된 상태로 지중에 배치되며, 상하로 관통된 결속홀(912)이 형성된 원통형의 지지봉(911)과 상기 지지봉(911) 외주면에 두 개의 제1지지탭(913)이 형성된 일체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지지탭(913)은 지지봉(911) 외주면으로부터 직선으로 확개되어 두 제1지지탭(913) 사이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벌어져 지중에 위치함으로서 외력으로부터 이동을 방지하여 정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속핀(920)은 수직 길이의 환봉형 결합대(921)와 상기 결합대(921)의 상단 외주에 제1지지탭(913)의 형태와 위치에 대응되는 제2지지탭(923)이 형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결합대(921)의 하단이 첨예부(922)로 형성되어 식생매트(10)의 상부에서 내부를 거쳐 하부를 통해 지중에 배치된 하부핀(910)의 지지봉(911) 결속홀(912)을 통과하여 돌출되며, 이때 결합대(921)의 상단에 형성된 제2지지탭(923)이 식생매트(10)의 상부를 가압한 상태로 결합대(921)가 하부핀(910)을 결합하여 식생매트(10)를 지면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생매트(10)가 사면 또는 지면에 설치시 지면의 기울기 또는 외력으로부터 이동 또는 밀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음과 같은 고정핀재(900b)가 더 포함된다.
도 8과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재(900b)는 식생매트(10)를 지면에 설치 전(前)에 지면에 먼저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배수홀(931)이 형성된 원판형의 지지판(930)과 상기 지지판(93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연결되어 하향 절곡된 삼각형의 제1고정핀(940) 및 상기 지지판(93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연결되어 상향 절곡된 삼각형의 제2고정핀(950)이 형성된 일체의 구조를 가진 고정핀재(900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930)은 지면에 배치되면서 다수 개의 배수홀(931)이 형성되어 우수시 배수홀(931)을 통해 빗물이 통과되어 지면으로 흘러가도록 하며, 상기 지지판(930)의 좌/우측 각각에 하향 절곡된 수직의 삼각판재형의 제1고정핀(940)이 지중으로 박혀 지면에 고정되며, 이때 제1고정핀(940)은 양측 변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하단이 첨예형으로 전체적으로 삼각형태로 이루어져 지중으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핀(950)은 제1고정핀(940)의 형태로 동일 적용되어 지지판(930)의 상/하측 각각에 상향 절곡되어 수직의 삼각판재형으로서, 지면의 상부에 위치한 식생매트(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식생매트(1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재(900b)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생분해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식생매트(10)의 씨앗이 발아 후 식물로 성장하면서 뿌리가 토양에 활착 후에는 고정핀재(900b)가 생분해되어 사라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재(900b)는 제1결합핀재(900a)와 함께 식생매트(10) 시공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면 또는 지면에 식생매트(10)를 설치시 하나의 식생매트(10)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다수 개로 구획된 식생매트(10)로 분할 연결되도록 일측 식생매트(10)의 단부와 상기 일측 식생매트(10)의 단부와 마주하는 타측 식생매트(10)의 단부가 서로 이격된 자연식생공간부(12)를 형성하면서 일측 식생매트(10) 단부와 타측 식생매트(10) 단부가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연결선(11)이 자연식생공간부(12)에 위치하여 일측 식생매트(10)와 타측 식생매트(10)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자연식생공간부(12)는 지면이 노출되면서 자연 토착된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일측 및 타측의 식생매트(10)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식생매트(10) 내의 씨앗, 발아된 종자 및 성장하는 식물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수분공급에 따른 공기를 유입시켜 건실한 식물로 성장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11)은 일측 및 타측 식생매트(10)의 단부를 박음질형태로 연결되어 견고한 연결구조로 양측 식생매트(10)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선(11)이 지그재그로 연결됨에 따라 신축성이 있어 시공시 식생매트(10)가 주름지거나 볼록 또는 오목면에 대하여 쉽게 펼쳐 식생매트(10)의 평활도를 교정시킬 수 있는 작업성을 가지며, 또한 지면의 굴곡면에 대하여 식생매트(10)를 시공 후 상기 자연식생공간부(12)를 통해 토사를 쉽게 이동시켜 지면의 평활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연결선(11)은 황마 또는 코코아섬유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실을 꼬아 엮은 밧줄로서, 상기 황마 또는 코코아섬유로 이루어진 실을 꼬아 엮을 때 상기 실의 표면에 종자를 포함한 액상의 전분을 코팅시키며, 이때 종자가 함유된 전분이 코팅된 다수 개의 싫을 꼬아 밧줄을 제작한 후 상기 일측 및 타측 식생매트(10)를 상호 연결하며, 이에 연결선(11)으로 연결되어 구획된 일체의 식생매트(10)를 제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식생매트 시공방법은 먼저, 사면의 지면을 평탄화 작업을 한 후 소정의 길이를 가진 식생매트(10)를 지면 상부에 덮어 준 후 식생매트(10)와 식생매트(10)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호 소정의 길이로 겹치게 하여 상기 겹쳐진 상호 식생매트(10)의 상부에 어스앵커(미도시) 또는 제1결합핀재(900a)를 등간격으로 고정하거나 식생매트(10)를 설치하는 지면의 상부에 고정핀재(900b)를 등간격으로 고정한 후 식생매트(10)를 지면 상부에 고정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식생매트 10 연결선 11 자연식생공간부 12
부직포매트 100 접착제시트 200 종자시트 300a
배양시트 300b 상층부 310a 하층부 310b
연결층 320 배양공간부 330 제1네트 400
코아매트 500 제2네트 600 코아네트 700
코팅철망 800 제1결합핀재 900a 하부핀 910
지지봉 911 결속홀 912 제1지지탭 913
결합핀 920 결합대 921 첨예부 922
제2지지탭 923 고정핀재 900b 지지판 930
배수홀 931 제1고정핀 940 제2고정핀 950

Claims (8)

  1. 사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지면의 수분이 통과 가능하도록 미세 기공을 갖는 부직포매트(100);와, 상기 부직포매트(100) 상면에 부착되거나 이격되게 형성되어 식물의 종자가 접착되어 종자의 발아에 초기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밀가루 접착제, 전분 접착제, 젤라틴 접착제, 아교 접착제, 한천 접착제, 탄닌 접착제의 천연접착제 그룹 중 하나의 천연접착제를 부직포매트(100)의 상부에 스프레이 또는 롤링으로 코팅시켜 부직포매트(100)의 상면에 시트형태로 부착시킨 접착제시트(200);와, 식물의 종자가 포함되어 접착제시트(200) 상면에 부착되어 적층되는 종자시트(300a);와, 상기 종자시트(300a)의 상부에 적층되어 생분해성재질로 이루어져 망체의 형태를 가진 제1네트(400);와, 상기 제1네트(400)의 상부에 적층되어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목화솜, 황마, 코코넛 껍질 중 택일되는 재료로 이루어진 코아매트(500); 및, 상기 코아매트(500)의 상부에 적층되어 코아매트(500) 그리고 상기 코아매트 하부 구조의 유동을 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는 보강역할을 하면서 자연 분해되는 제2네트(600)를 포함하는 식생매트가 구비되며,
    상기 사면에 식생매트(10)를 설치시 하나의 식생매트(10)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다수 개로 구획된 식생매트(10)로 분할 연결되도록 일측 식생매트(10)의 단부와 상기 일측 식생매트(10)의 단부와 마주하는 타측 식생매트(10)의 단부가 서로 이격된 자연식생공간부(12)를 형성하면서 일측 식생매트(10) 단부와 타측 식생매트(10) 단부가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되는 연결선(11)이 자연식생공간부(12)에 위치하여 일측 식생매트(10)와 타측 식생매트(10)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결선(11)은 황마 또는 코코아섬유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실을 꼬아 엮은 밧줄로서, 상기 황마 또는 코코아섬유로 이루어진 실을 꼬아 엮을 때 상기 실의 표면에 종자를 포함한 액상의 전분을 코팅시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네트(600) 상부에 적층되어 식생매트(1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종자의 발아 후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면서 자연 분해되며,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코이어(Coir) 섬유, 볏집 섬유 중 택일되는 천연 섬유로 이루어진 코아네트(7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네트(600) 상부에 적층되어 하부에 위치한 식생매트(10)의 유동 및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지면 활착에 이르기까지 지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사각형 또는 육각형의 통공을 가진 망체형의 코팅철망(8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시트(300a) 대신에 배양시트(300b)로 구성되며, 상부의 상층부(310a)와 하부의 하층부(310b)로 이격되게 이루어지되, 상기 상층부(310a)와 하층부(310b)의 사이를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층(320)의 3중구조로 내부에 배양공간부(3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상층부(310a)와 하층부(310b) 각각 황마 섬유, 아마 섬유, 코이어(Coir) 섬유, 볏집 섬유 중 택일되는 재료로 형성된 매트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층(320)은 그물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생분해성 젖산사 또는 황마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층(320)이 형성된 배양공간부(330)에 식물의 씨앗을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하며, 식물의 생장을 위하여 잘게 절단된 코코넛 섬유, 황마, 천연섬유, 볏집 중 어느 하나의 섬유를 함께 넣어서 구성하며,
    이때 선택된 섬유 및 식물의 씨앗과 함께 액상의 전분을 혼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전분은 옥수수, 귀리, 감자, 고구마 중 하나 이상의 식물에서 추출된 전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부직포매트(100) 또는 코아매트(500)에 광물질인 질석, 펄라이트 또는 규조토 분말 중 택일되는 광물질 분말을 함침시키되, 선택된 광물질 분말에 제지소각분말을 10~90 : 90~10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물과 함께 액상화한 다음 부직포매트(100) 또는 코아매트(500)를 함침시켜 건조 후 사용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지중에 삽입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결속홀(912)이 형성된 수직 원통형의 지지봉(911)과 상기 지지봉(911)의 외주면 일면 및 타면 각각에 연결되어 소정의 직선길이로 연장되는 제1지지탭(913)이 형성되어 두 제1지지탭(913)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 또는 둔각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는 일체의 하부핀(910)과,
    상기 식생매트(10)의 상부에서 하부를 거쳐 지중의 하부핀(910)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핀(910)의 지지봉(911) 결속홀(912)로 삽입되면서 하단에 첨예부(922)가 형성된 수직 길이의 결합대(921)가 형성하되, 상기 결합대(921)의 상단은 식생매트(10)의 상부로 노출되면서 그 하단인 첨예부(922)는 결속홀(912) 하부로 돌출되도록 결합하며, 이때 식생매트(10)의 상부로 노출된 결합대(921)의 상단 외주면에 하부핀(910)의 제1지지탭(913)에 대응되는 제2지지탭(923)이 형성되는 일체의 결합핀(920)이 포함되는 제1결합핀재(900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10)를 지면에 설치 전(前)에 지면에 먼저 설치되는 것으로서, 다수 개의 배수홀(931)이 형성된 원판형의 지지판(930)과 상기 지지판(93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연결되어 하향 절곡된 삼각형의 제1고정핀(940) 및 상기 지지판(930)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연결되어 상향 절곡된 삼각형의 제2고정핀(950)이 형성된 일체의 구조를 가진 고정핀재(900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8. 삭제
KR1020180114546A 2018-09-25 2018-09-25 식생매트 KR102000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546A KR102000961B1 (ko) 2018-09-25 2018-09-25 식생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546A KR102000961B1 (ko) 2018-09-25 2018-09-25 식생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961B1 true KR102000961B1 (ko) 2019-07-17

Family

ID=6751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546A KR102000961B1 (ko) 2018-09-25 2018-09-25 식생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96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586B1 (ko) 2019-11-25 2020-10-19 송주호 슬라이딩 장치로 연결된 보행매트
KR102222021B1 (ko) 2020-07-23 2021-03-02 조찬일 수로용 식생매트
KR102365015B1 (ko) * 2021-05-26 2022-02-23 주식회사 토원 호안 및 사면 보호를 위한 녹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25A (ja) * 1990-04-18 1992-01-09 Nippon Steel Chem Co Ltd 植物栽培用成型培地及びその製造法
KR200195287Y1 (ko) * 2000-04-07 2000-09-01 주식회사케이씨종합환경 경사면 보호용 식생지 녹화부재
KR100874276B1 (ko) * 2008-05-06 2008-12-16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KR101263091B1 (ko) 2011-03-07 2013-05-09 윤종식 식생매트
KR101818976B1 (ko) 2016-10-13 2018-01-16 주식회사 그린나래 수로용 식생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25A (ja) * 1990-04-18 1992-01-09 Nippon Steel Chem Co Ltd 植物栽培用成型培地及びその製造法
KR200195287Y1 (ko) * 2000-04-07 2000-09-01 주식회사케이씨종합환경 경사면 보호용 식생지 녹화부재
KR100874276B1 (ko) * 2008-05-06 2008-12-16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KR101263091B1 (ko) 2011-03-07 2013-05-09 윤종식 식생매트
KR101818976B1 (ko) 2016-10-13 2018-01-16 주식회사 그린나래 수로용 식생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586B1 (ko) 2019-11-25 2020-10-19 송주호 슬라이딩 장치로 연결된 보행매트
KR102222021B1 (ko) 2020-07-23 2021-03-02 조찬일 수로용 식생매트
KR102365015B1 (ko) * 2021-05-26 2022-02-23 주식회사 토원 호안 및 사면 보호를 위한 녹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42220B (zh) 一种边坡修复用植生网毯及边坡修复方法
CN205040304U (zh) 一种骨架加筋可调控植物纤维毯
KR100878797B1 (ko) 사면녹화를 위한 식생매트
KR102000961B1 (ko) 식생매트
KR101101281B1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CN204539762U (zh) 一种用于边坡修复的麻椰土工格室植生网毯
KR20080026407A (ko) 식생매트와 식생매트 설치방법
JP4883673B2 (ja) 緑化用培地構造
KR100224467B1 (ko)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KR100834083B1 (ko) 바이오 환경 식생포대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0009B1 (ko) 펄프솜에 의한 식생기반층을 구비한 식생매트의 제조공법
JP2018057324A (ja) 植生マット及び植生マットの製造方法
KR100953305B1 (ko) 녹화용 식생 매트와 그 제조방법,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
KR102599353B1 (ko) 사면보호용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면보호용 식생매트
KR101205552B1 (ko) 셀형 코어에 의한 식생기반층을 구비한 식생매트의 제조공법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KR102041074B1 (ko) 식생매트
KR980008287U (ko) 법면녹화용 식생지 제조방법
CA1151427A (en) Preseeded carpet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415672B1 (ko) 녹지조성용 생분해성 식생매트
KR20170076342A (ko) 생분해성 pla 망을 이용한 친환경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68764B1 (ko) 황마네트를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및 그 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KR100976151B1 (ko) 생분해성 식생매트
RU2338348C1 (ru) Агромат
KR101957890B1 (ko) 발아환경을 조성한 맞춤형 식생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