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467B1 -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 Google Patents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467B1
KR100224467B1 KR1019970050909A KR19970050909A KR100224467B1 KR 100224467 B1 KR100224467 B1 KR 100224467B1 KR 1019970050909 A KR1019970050909 A KR 1019970050909A KR 19970050909 A KR19970050909 A KR 19970050909A KR 100224467 B1 KR100224467 B1 KR 100224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layer
artificial soil
growth
mycorrhizal fung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622A (ko
Inventor
신정섭
김동욱
손승현
임재홍
Original Assignee
차동천
한솔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동천, 한솔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동천
Priority to KR101997005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4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4Horticultural earth from p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생장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래로부터 하부 지지층과 인공토양층, 상부 지지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양 지지층 사이의 인공토양층에 버미큐라이트 등의 가공토양성분이나 영양성분을 함께 함유시킨 뒤 균근균을 접종시킨 잔디종자와 잔디포복경을 혼파함으로써, 단기간에 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잔디뗏장이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운반이나 설치가 용이하며, 계절에 관계없이 사계절 증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도로공사, 스키장공사, 골프장 조성 등의 다양한 공사로 형성된 절개면 및 단기녹화를 요하는 조경 공사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생장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본 발명은 균근균(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을 함유한 잔디생장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래로부터 하부 지지층과 인공토양층, 상부 지지층이 차례로 적층되고, 양 지지층 사이의 인공토양층에 버미큐라이트 등의 가공토양성분이나 영양성분을 함께 함유시킨 뒤 균근균을 접종시킨 잔디종자와 잔디포복경을 혼파함으로써, 단기간에 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잔디뗏장이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운반이나 설치가 용이하며, 계절에 관계없이 사계절 증식이 가능하도록 하여 도로공사, 스키장공사, 골프장 조성 등의 다양한 공사로 형성된 절개면 및 단기녹화를 요하는 조경 공사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생장매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도로공사, 스키장공사, 골프장의 조성 등 다양한 형태의 국토개발이 이루어지고, 특히 산지등이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그에 따른 암반절개지, 마사지, 황폐지 등이 다량 발생하여 경관을 해치고 또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국토개발과 함께 이들의 복구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이러한 식생녹화공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우선 다량의 식생토를 대상 비탈면 등에 두껍게 피복하고 여기에 종자, 비료, 접착제, 피복보호제 등의 녹화 조성물을 대상지역에 분무하는 기법인 분사식 녹화공법이나 또는 녹화용 식생매트를 이용하는 공법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생녹화공법으로는 녹화용 식생매트를 이용한 공법이 특히 많이 적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우선, 절개면이나 나출지에 잔디의 씨를 뿌려 녹화하는 공법은 예전부터 행해져 오는 전통적인 녹화방법이다. 그러나 잔디씨를 뿌리게 되면 생장기간이 오래 걸리고 가령, 한국들잔디(Zoysia japonica)의 경우는 파종후 60일 정도 지나야만 뗏장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너무 오래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다른 녹화방법으로 잔디 뗏장 자체를 식재해 녹화하는 경우에는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확실한 뗏장을 형성한 잔디를 이용하기 때문에 완전한 공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재료비가 많이 들며 뗏장을 대상지에 식재하는데 많은 인건비가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암절개사면과 같이 대상지에 인공토양층이 거의 없어 식물 생육이 어려운 곳이나, 식물이 생육할 수 없는 정도로 열악한 토성을 지닌 곳에 잔디를 심기위해서는 새로이 인공토양층을 형성해주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은 공사비용이 비싸고 종자 자체를 뿌리는 것이기 때문에 잔디종자가 발아해서 뗏장을 형성하기까지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줄이기 위해 잔디성장용 시트를 이용하는 법면 보호방법[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4-26322 호]이 연구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역시 잔디종자가 발아하여 뗏장을 형성하기까지 너무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과 가장 유사한 발명으로는 포복경 잔디육성 시이트[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3-19096 호]가 있으나, 이 발명은 분해성 멀팅필름, 분해성 다공보습층, 잔디런너를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긴시이트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잔디육성 시이트로써, 식물체가 생장에 필요한 영양원을 공급받을 수 없다는 점과 식물의 생장이나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켜 주는 균근균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 본 발명과 다른 점이며, 종자와 포복경을 함께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점 또한 본 발명과 다르다.
그리고, 균근균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내생균근균을 포함하는 묘종상토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5-13349 호], 균근균 접종물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94-702340 호] 등이 기술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것들은 단순히 식물 묘종상토의 제조방법일 뿐이거나, 균근균 자체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쓰여지는 것으로 잔디의 포복경의 생장을 돕고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켜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다 가벼운 특수 인공토양에 균근균과 함께 잔디종자와 잔디포복경을 함유시켜 인공토양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잔디의 발아 및 생장을 촉진시켜 단기간내에 잔디의 뗏장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잔디생장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 1 도는 잔디생장매트의 구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지지층 1a : 생분해성 네트층
1b : 부직포층 1c : 코코넛장섬유층
2 : 인공토양층 2a : 잔디종자
2b : 잔디포복경
3 : 상부 지지층 3a : 생분해성 망사층
3b : 부직포층
본 발명은 상·하부 지지층 사이에 인공토양층이 적층되어 있는 잔디생장매트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인공토양층(2)을 사이에 두고 하부와 상부에 위치하여 매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하부 지지층(1)과 상부 지지층(3)으로 이루어진 잔디생장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지지층(1)은 생분해성 네트층(1a), 부직포층(1b) 및 코코넛장섬유층(1c)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 지지층(3)은 생분해성 망사층(3a), 부직포층(3b)이 차례로 적층되어 있고, 특히 이들 사이의 인공토양층(2)에는 균근균을 접종시킨 잔디종자(2a)와 잔디포복경(2b)을 함께 혼파하여 잔디의 발아 및 생장을 촉진시킴으로써 단기간에 보다 높은 밀도를 갖는 잔디뗏장이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버미큐라이트 등의 가공토양성분이나 영양성분을 함께 함유시켜 운반이나 설치가 용이하도록 개선한 잔디생장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잔디생장매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하부 지지층(1)은 생분해성 네트층(1a), 부직포층(1b), 코코넛장섬유층(1c)으로 구성된다. 생분해성 네트층(1a)은 마섬유나 야자에서 채취한 섬유로 만들어진 코아 네트 등과 같이 식물성 장섬유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일정기간 경과후 생분해되므로 환경친화적이며, 실제 사용할 때는 통기성 및 통수성 등의 특성을 갖고 있어 공사대상지에 수분과 공기의 공급을 원활하게하여 준다. 또한, 부직포층(1b)은 인공토양층(2)내의 잔디종자(2a), 잔디포복경(2b) 및 인공토양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네트층(1a)에 접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등의 성분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이러한 성분들은 필터기능, 배수기능, 분리기능, 보강기능, 침식제어기능, 인장막기능, 울타리기능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생분해성 네트층(1a)과 부직포층(1b)의 접착을 위하여는 잔디종자(2a)나 잔디포복경(2b)에 무해한 식물성 접착제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를 사용한다.
그리고, 코코넛장섬유층(1c)은 상기 부직포층(1b) 상부에 설치되며, 잔디종자(2a) 및 인공토양층(2)의 안정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잔디 생장 후 잔디뗏장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하는 바, 이는 야자의 일종인 코코넛의 식물체에서 추출한 성분들로 인장력이 뛰어난 가늘고 긴 장섬유로 형성되어 있어 통기성과 흡수성, 식물체와 토양재료들의 결속력을 강화시켜준다.
상기와 같은 하부 지지층(1)의 상부에 인공토양층(2)을 위치시키는 바, 이 인공토양층(2)에는 잔디의 장기간 생장에 필요한 영양공급원과 종래 일반 토양이나 마사토를 사용할 경우 과중해져 운반 및 설비에 불편했던 점을 해결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즉,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인공토양층(2)을 인공토양층 전체함량중 버미큐라이트 10 ~ 60 중량%, 벤토나이트 10 ~ 40 중량%, 피트모스 10 ~ 40 중량% 등의 인공토양을 잔디가 자라기 좋은 배합비율로 조성한다. 여기서, 버미큐라이트는 습윤팽창성이 매우 높은 특성이 있으며 양이온치환용량은 80 ~ 150 C㏖/㎏인 것을 이용하며, 벤토나이트는 습윤팽창성과 점성이 매우 높고 양이온 치환용량이 60 ~ 100 C㏖/㎏인 것을 사용한다. 또한, 피트모스는 수분보유력이 건물중량의 15배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높은 특성을 갖고 있다. 그 결과, 잔디의 뿌리 양이 많아지고, 따라서 인공토양층에 손쉽게 정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잔디생장매트의 중량이 가벼워져 운반이나 설치가 용이한 잇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과 함량으로 이루어진 인공토양에 영양공급원으로써 부엽토, 증제피혁분 등의 유기질 비료 5 ~ 15 중량%, 질소, 인산, 칼륨 등이 포함되어 있는 무기질 비료 1 ~ 5 중량%, 그리고 잔디종자의 발아와 생장의 촉진을 위해 인돌아세트산(IAA), 인돌뷰틸산(IBA), 나프탈렌아세트산(NAA) 등과 같은 식물생장호르몬 적정량을 함유시켜 인공토양층(2)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시킨 인공토양층(2)에 잔디뗏장을 단기간내에, 그리고 보다 조밀하게 형성시키기 위해 잔디종자(2a) 및 잔디포복경(2b)을 함께 혼파한다. 여기서, 잔디종자(2a)는 발아력이 우수하여 생장매트의 일부분에서 잔디의 포복경의 생장이 불균형하게 일어날 경우 발생하게 되는 잔디 뗏장의 천공화현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또한 잔디 포복경(2b)은 평균 1 ~ 100㎝ 크기의 잔디로서 이미 뗏장이 형성된 잔디밭에서 손쉽게 생산해 낼 수 있으며, 또한 이들 포복경(2b)의 특성이 오랜동안 가뭄상태로 방치해 놓아도 수분이 공급되면 곧바로 뿌리를 내리는 강한 생활력이 있으므로 잔디종자(2a)로부터 발아해 뗏장을 형성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잔디종자(2a)와 잔디포복경(2b)의 혼합비는 잔디생장매트의 생산시기, 사용시기 및 사용장소 등에 따라 1 ~ 9 : 9 ~ 1의 중량비 범위내에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잔디종자(2a) 및 잔디포복경(2b)의 혼합물에 균근균을 인공토양층 전체 함량중 0.5 ~ 20 중량% 만큼을 접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하는 균근균으로는 식물의 종자발아 및 생장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공생균으로, 글로무스속, 기가스포라속, 스쿠텔로스포라속, 스크레로시스터스속 등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로무스속(Glomus sp.)과 기가스포라속(Gigaspora sp.)의 균사체나 포자들을 이용한다. 그러나, 만일 이들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잔디생장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반면 20 중량%를 초과하여 접종시키는 경우 경제적인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의 인공토양층(2)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상부 지지층(3)을 설치하며, 이 지지층은 다시 식물성 섬유 또는 생분해성 비닐섬유로 이루어진 생분해성 망사층(3a)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진 부직포층(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생분해성 망사층(3a)은 일정기간 경과후 저절로 생분해됨으로써 환경에 무해함은 물론 식물영양원이나 지지기반으로 이용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직포층(3b)은 실시 초기에 수분의 증산을 억제함은 물론 태양의 직사광선으로부터 식물체의 발아 및 초기생장을 보호하기 위하여 매트의 최상부에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잔디생장매트내 인공토양층(2)이 잔디 생장에 미치는 영향
잔디생장 매트내의 인공토양층이 잔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식물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네트층(1a)과 폴리에틸렌 성분의 부직포층(1b)을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성분의 접착제로 서로 접착시킨 후, 그위에 코코넛 장섬유층(1c)을 적층하여 하부지지층(1)을 형성시키고, 하부지지층에 잔디종자 10g/㎡과 15±1㎝ 길이의 포복경 60개/㎡을 파종하였다. 이때 포복경 1개의 무게는 0.6±0.05g으로 사용되는 잔디종자와 포복경의 무게비가 1 : 3.6을 이루게 된다. 또한 잔디가 생장할 수 있는 기반인 인공토양층(2)을 벤토나이트 30 중량%, 버미큐라이트 40 중량% 피트모스 20 중량%의 비율로 조성한 인공토양과 유기질비료인 증제피혁분 8 중량%, 질소, 인, 칼륨이 복합되어 있는 무기질비료 2 중량%를 혼합, 0.5㎝ 두께로 조성하여 상기의 하부지지층의 상부에 적층시킨 뒤, 생분해성비닐 성분의 망사층(3a) 및 폴리에틸렌 성분의 부직포(3b)로 이루어진 상부지지층을 적층하여 1m × 1m 크기로 판형태의 잔디생장 매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잔디생장 매트는 매일 1회 매트가 촉촉히 젖을 정도로 관수를 하여주어 2개월이 경과한 후 잔디의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잔디의 생장량은 직립경(Shoot), 지상경(stolon), 지하경(rhizome), 뿌리(Root)로 구분하여 생중량과 건중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잔디생장 매트로부터 잔디가 생장할 수 있는 기반인 인공토양층(2)을 제거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2개월 후의 잔디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잔디의 생장량 측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균근균이 잔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균근균이 잔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토양층(2)에 있는 잔디종자에 전체 인공토양층 함량중 2 중량%로 균근균을 공생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고, 2개월 후의 잔디생장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한 균근균은 글로무스속과 기가스포라속이었으며, 잔디의 생장량 측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다음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잔디생장매트에서 2개월간 생장시킨 잔디의 생체량(단위 : gram)
구 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글로무스속 기가스포라속
직립경 생체량 80.3 116.2 132.7 143.3
건중량 24.1 34.2 39.8 42.9
지상경 지하경 생체량 51.1 74.5 84.0 91.0
건중량 17.9 27.1 29.4 32.7
뿌리 생체량 11.2 20.5 26.4 31.2
건중량 3.7 6.8 8.7 10.3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공토양층(2)을 버미큐라이트, 벤토나이트, 피트모스 등으로 이루어진 인공토양에 유기질비료, 무기질비료, 호르몬 등을 함유시키고, 균근균을 접종시킨 잔디종자(2a)와 잔디포복경(2b)을 인공토양층(2)에 혼파함으로써, 잔디 발아 및 생육의 촉진효과가 있어 잔디뗏장의 형성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나 설치가 용이한 장점과 계절에 관계없이 증식 및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하부 지지층 사이에 인공토양층이 적층되어 있고, 인공토양층에는 균근균을 접종시킨 잔디종자 및 잔디포복경이 혼파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생장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근균은 글로무스속, 기가스포라속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생장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양층에는 인공토양, 유기질비료, 무기질비료, 식물호르몬이 함유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생장매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토양은 버미큐라이트, 벤토나이트, 피트모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생장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층은 생분해성 망사층 및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생장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층은 생분해성 네트층, 부직포층 및 코코넛장섬유층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생장매트.
KR1019970050909A 1997-10-02 1997-10-02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KR100224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909A KR100224467B1 (ko) 1997-10-02 1997-10-02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909A KR100224467B1 (ko) 1997-10-02 1997-10-02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622A KR19990030622A (ko) 1999-05-06
KR100224467B1 true KR100224467B1 (ko) 1999-10-15

Family

ID=1952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909A KR100224467B1 (ko) 1997-10-02 1997-10-02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46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181A (ko) * 2000-06-29 2002-01-09 신정섭 호안식생매트
KR20020002030A (ko) * 2000-06-29 2002-01-09 허 태 학 야생화 뗏장 및 야생화 뗏장을 이용한 야생화 식생군락조성방법
KR20030032209A (ko) * 2001-10-16 2003-04-26 (주)대신환경기술 식생호안 조성을 위한 식물 생육기반제 조성물
KR100852770B1 (ko) 2007-05-17 2008-08-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재배에 유용한 상토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4457B1 (ko) 2008-04-28 2010-08-06 일광콘크리트공업 (주) 황토 코아 식생매트
KR101129338B1 (ko) 2011-08-11 2012-03-26 방승준 식생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5538B1 (ko) * 2020-10-28 2022-03-1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지반 보강층을 구비한 인조잔디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839B1 (ko) * 2003-01-22 2005-07-21 강태호 종자부착형 식물 재배 블럭
KR100750656B1 (ko) * 2004-11-27 2007-08-20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압축 배양토 조성 및 그 제조방법
KR100819511B1 (ko) * 2007-03-12 2008-04-04 이관준 망사포트
KR100982542B1 (ko) * 2009-08-03 2010-09-16 김종호 바이오 식생 에코매트 및 그 생산방법
KR100945303B1 (ko) * 2009-08-03 2010-03-03 김종호 바이오 식생군락을 형성하는 방법
CN105284404B (zh) * 2015-11-27 2018-07-31 中国科学院新疆生态与地理研究所 接种丛枝菌根真菌促进白麻生长的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181A (ko) * 2000-06-29 2002-01-09 신정섭 호안식생매트
KR20020002030A (ko) * 2000-06-29 2002-01-09 허 태 학 야생화 뗏장 및 야생화 뗏장을 이용한 야생화 식생군락조성방법
KR20030032209A (ko) * 2001-10-16 2003-04-26 (주)대신환경기술 식생호안 조성을 위한 식물 생육기반제 조성물
KR100852770B1 (ko) 2007-05-17 2008-08-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추재배에 유용한 상토 및 그 제조 방법
KR100974457B1 (ko) 2008-04-28 2010-08-06 일광콘크리트공업 (주) 황토 코아 식생매트
KR101129338B1 (ko) 2011-08-11 2012-03-26 방승준 식생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5538B1 (ko) * 2020-10-28 2022-03-18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지반 보강층을 구비한 인조잔디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622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790B2 (en) Method of propagation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CN104542220B (zh) 一种边坡修复用植生网毯及边坡修复方法
CN102754572B (zh) 一种植物培育基体及其制造和应用
KR100224467B1 (ko)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KR100876007B1 (ko) 무토양잔디
CN105028011B (zh) 高原地区树木种植坑及树木种植方法
CN204539762U (zh) 一种用于边坡修复的麻椰土工格室植生网毯
JP2000139113A (ja) 荒廃地の樹林化方法
CN107135802A (zh) 一种混凝土坡面绿化方法以及混凝土坡面绿化种植毯
RU2751851C1 (ru) Способ интенсив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газона с обогащением почвы водой с помощью суперабсорбента при орошении
KR200178009Y1 (ko) 종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KR100580927B1 (ko) 다공질 필름을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CN107960266A (zh) 一种香樟树营养杯育苗方法
KR100510082B1 (ko) 유기생태형 무토(無土)잔디
CN207040411U (zh) 一种混凝土坡面绿化种植毯
KR100779502B1 (ko) 벼의 부산물을 활용한 잔디재배방법
JPH0526117Y2 (ko)
Decker Producing Sods over Plastic
JP2002186349A (ja) 緑化基材及びこれを用いた植物の栽培方法。
KR20020084795A (ko) 자생식물 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932350B2 (ja) 芝生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717368B2 (ja) 法面植栽工法
JPH09172817A (ja) マット状花苗及びその生産方法
JPH0543807U (ja) 植生袋
JP3088216U (ja) 緑化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