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511B1 - 망사포트 - Google Patents

망사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511B1
KR100819511B1 KR1020070024042A KR20070024042A KR100819511B1 KR 100819511 B1 KR100819511 B1 KR 100819511B1 KR 1020070024042 A KR1020070024042 A KR 1020070024042A KR 20070024042 A KR20070024042 A KR 20070024042A KR 100819511 B1 KR100819511 B1 KR 100819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pot
mesh port
plan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준
Original Assignee
이관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준 filed Critical 이관준
Priority to KR102007002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6Devices for repot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사 포트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망사포트는 측벽과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면은 균근균과 천연섬유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균근균과 천연섬유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망사 포트는 실제 조경 공사 식재시 원예용 포트와 분을 분리할 때 망사 포트로 인해 분의 깨짐을 방지하여 분의 원형을 그대로 식재하기 때문에 식물의 고사율을 낮추고 뿌리의 활착률을 높여 하자 보수율을 낮출 수가 있다.
원예용포트, 균근균, 황마

Description

망사포트 {Mesh po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망사 포트의 사시도 및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망사 포트가 안착 된 원예용 포트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망사 포트 200: 원예용 포트
300: 혼합상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3062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5063호
본 발명은 망사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망사포트는 측벽과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면은 균근균과 천연섬유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원예용 포트는 비닐 포트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식물을 정식 또는 조경공사 식재시 비닐 포트와 분을 분리할 때 분이 깨지는 경우가 많아서 식물 뿌리 활착률이 떨어져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비닐 포트만으로 재배한 모종과 현재 재배되고 있는 식물 중에는 다습한 환경이나 관수시 너무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 졌을 때에는 고사하는 경우가 많아서 배수가 좋은 마사를 혼합한 흙을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혼합한 흙은 마사의 비율이 높아져서 뿌리와 혼합한 흙과의 응집력이 약해지고, 심근성 뿌리 형태를 지닌 식물은 잔뿌리 형성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조경 식재 공사시 비닐 포트와 분을 분리하여 식재할 때 분이 깨지는 경우가 많아서 새로운 토양에 초기 활착률이 낮아지게 되어서 고사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고사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다시 추가되는 노동력과 인건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수입용 상토가 많이 수입되고 있으며, 코이어 또는 황마에서 얻은 천연섬유를 사용하여 만든 제품이 이미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입용 상토의 우수성은 인정되었지만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식물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을 갖게 되며 정식 또는 조경공사시 분이 깨지는 단점이 있다.
코이어 또는 황마에서 얻은 천연섬유를 이용하여 대표적으로 조경에서 사용 하는 식생매트를 예로 할 수 있으며 이미 여러 분야에서 검증된 친환경 소재이다.
하지만 식생매트는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생산할 대규모 생산체계를 갖춘 곳에서만 생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식생매트 생산원가가 높아서 조경 식재 시 가격이 비싼 이유로 부담을 느끼는 실정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과 유사한 발명으로는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생장매트[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999-0030622]가 있다.
상기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생장매트는 잔디 생장매트에 균근균을 함유한 것이 아니고 잔디종자나 잔디포복경에 균근균을 접종한 것으로써 본 발명과의 차이는 균근균의 사용범위에 있다.
또한, 기존 비닐 포트만으로 재배한 모종과 현재 재배되고 있는 식물 중에는 다습한 환경이나 관수시 너무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 졌을 때에는 고사하는 경우가 많아서 배수가 좋은 코코피스를 주원료로 하는 상토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혼합한 상토는 뿌리와 혼합한 흙과의 응집력이 약해지고, 심근성 뿌리 형태를 지닌 식물은 잔뿌리 형성이 잘 되지 않는 단점 때문에 조경 식재 공사 시 비닐 포트와 분을 분리하여 식재할 때 분이 깨지는 경우가 많아서 새로운 토양에 초기 활착률이 낮아지게 되어서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항균성 상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식재 화분[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555063]이 있으며, 이 발명은 코코피트 35~45 부피%, 피트모스 35~45 부피%, 제오라이트 8~12 부피% 및 규산염광물 6~10 부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성물로서 규산염광물은 8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피트모스는 보수력이 지나치게 좋아 과습의 우려가 있고 한번 건조된 후에는 재흡수가 다소 어려우며 토양에 정식할 경우에는 토양과의 친화력이 낮아 정식조기 3~4일 이내에는 수분 관리에 상당한 주의를 하지 않으면 활착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므로 고가이고 수급이 불안정할 수 있으며 생산자에 따라서도 질이 현저하게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과 일반 식물 재배 농가에서 규산염광물을 구입과 활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사용 용도가 대량생산 체계를 가지고 있는 재배 농가에는 다소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식물을 정식 또는 조경공사 식재시 원예용 포트와 분을 분리할 때 분이 깨지는 경우를 방지하며, 식물 뿌리 활착률을 높일 수 있는 망사 포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식물을 재배한 후 정식 또는 조경 공사 식재시 하자율을 낮춰 고정 비용을 줄이고, 재배농가에서도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며,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져 환경오염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망사 포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망사 포트는, 측벽과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면은 균근균과 천연섬유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망사포트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는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망사포트는, 상기 망사포트에 채워지는 혼합상토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상토는 황토 또는 참숯가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망사 포트의 사시도 및 확대도 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망사 포트가 안착 된 원예용 포트의 단면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망사 포트는, 측벽과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면은 균근균과 천연섬유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망사 포트(100)의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식물에서 채취한 상기 천연섬유를 이용하여 원사를 만들고, 여러 개의 원사가닥을 꼬아 천연섬유로프(110)를 만든다.
그 후 상기 천연섬유로프(110)를 이용해 천연섬유 망을 만든 후 상기 천연섬유 망을 이용해 망사 포트를 제작하게 된다.
식물에서 채취한 천연섬유를 이용해 원사를 만드는 방법은 종래의 한국 등록실용 제 20-0373753 호에 나와 있으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망사 포트(100)는 측벽과 상기 측벽에 연결된 바닥면에 의하여 상부가 개구 된 원통 형상을 이루게 되며, 측벽과 바닥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갖게 된다.
상기 망사 포트(100)는 두께 1mm의 천연섬유로프(110)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만든 가로(113) 3~ 5mm, 세로(115) 3~ 5mm의 천연섬유 망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망사 포트(100)에 균근균을 첨가한 후 균근균이 첨가된 망사 포트(100)에 상토를 넣어 모종을 키우게 된다.
균근(Mycorrhizae)이란 식물의 어린 뿌리가 토양 중에 있는 곰팡이와 공생하는 형태로서 구체적으로 곰팡이가 기주식물에 무기염을 대신 흡수하여 전달해 주고, 기주식물이 곰팡이에 탄수화물을 전해줌으로써 공생관계를 유지하는 균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망사포트는, 비닐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원예용 포트(200)에 상기 망사포트(100)를 안착시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망사 포트(100)만을 이용하여 망사 포트(100) 내부 공 간에 모종을 심어 재배할 수 있다.
하지만 망사포트(100) 자체 만으로는 망사포트(100) 내부에 수용되는 상토의 모양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받지 못해 손상될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망사포트(100)를 원예용포트(200) 내부에 안착시켜 모종을 키우고, 모종이 자란 후에는 원예용포트(200)와 망사포트(100)를 분리한 후 망사포트(100)를 토양에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제 조경 공사 식재 시 원예용 포트(200)와 분을 분리할 때 망사 포트(100)로 인해 분의 깨짐을 방지하여 분의 원형을 그대로 식재하기 때문에 식물의 고사율을 낮추고 뿌리의 활착률을 높여 하자 보수율을 낮출 수가 있다.
그리하여 많은 노동력과 인건비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으며 분이 깨지지 않기 때문에 원예용 포트(200)에 형성되어 있는 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조경 공사에 활용하면 빠른 시간 내에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망사 포트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는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사포트(100)는 상기 황마와 같은 천연섬유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등록실용 제 20-0186499 호에서 밝힌 바와 같이 황마섬유는 잔디밭에 식재된 후 2개월 정도가 경과 하면 자연히 분해되는 반면 코코넛 껍질 섬 유(코이어)는 식재 후 약 2년 정도 경과해야 자연 분해되어 없어진다.
따라서, 토양에 식재된 후 균근균이 혼합된 망사포트(100)가 빠른 기간에 자연분해가 분이 됨으로써, 모종 뿌리의 활착과 성장에 보다 효과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를 망사포트(100)의 재료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사 포트(100)에 함유되는 상기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와 상기 균근균의 중량비는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중량비가 변화될 수 있지만, 상기 망사 포트(100)는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 80~90% 중량비, 균근균 10~20% 중량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라 균근균을 함유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 포트(100)에서 재배한 식물과 일반 원예용 포트에 넣어서 재배한 식물의 성장과정을 비교해 보기로 한다.
지피 식물 중에서 많은 식물들이 조경 공사에 사용되고 있지만 그 중에 초롱꽃과 벌개미취를 예로 하겠다.
[표1]
실험기간: 식물성장이 원활한 5월 기준으로 한다.
활착률: 포트 면적당 단위당 비율을 의미한다.
크기: 식물의 크기를 의미한다.
A-1: 일반 원예용 포트 (초롱꽃)
A-2: 균근균을 혼합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 포트(100) (초롱꽃)
B-1: 일반 원예용 포트 (벌개미취)
B-2: 균근균을 혼합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포트(100) (벌개미취)
15일 경과 1달 경과
구분 활착률(%) 크기(cm) 활착률(%) 크기(cm)
A-1 15 10 50 30
A-2 20 20 80 50
B-1 20 5 60 25
B-2 25 10 85 50
이 구성에 의하면, 망사 포트(100)로 인해 분이 깨지지 않기 때문에 망사 포트(100)에 형성되어 있는 균근균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망사포트에 첨가된 균근균에 의해 빠른 기간 내에 뿌리의 활착률을 높일 수 있고 건강한 식물 모종을 재배할 수 있으며 재배 농가에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는 친환경 소재로서 땅에 매입 시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 되면 자연 소멸 되는 장점이 있어 환경오염에 대한 부분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의해 상기 망사포트(100)에 수용된 상토와 분의 모양이 안정적으로 지지 될 수 있도록 상기 망사포트(100)를 원예용포트(200)에 안착시켜 모종을 재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망사 포트에 있어서, 상기 망사 포트(100)에 채워지는 혼합상토(300)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상토(300)는 황토 또는 참숯가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망사포트(100) 내부에 혼합상토(300)를 넣고 모종을 재배한다.
상기 혼합상토(300)는 코코넛 화이버와 초기 식물 생장에 있어서 필수적인 5대 영양소인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칼슘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상토(300)는 황토 또는 참숯가루가 더 포함되거나 황토와 참숯가루가 혼합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코넛 화이버는 열대지방 야자수의 섬유물질로 리그닌의 함량이 높아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미생물 침투에 저항성이 있고 산화조건이 안정적이고 상당한 유기 양분과 미량요소를 함유하고 있어 보비력이 양호한 무독 무취의 상토용 소재이다.
상기 혼합상토(300)에 함유되는 코코넛화이버, 황토, 참숯가루, 그리고 5대 영양소의 중량비는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중량비가 변화될 수 있지만, 상기 혼합상토(300)는 코코넛화이버 50~90% 중량비, 황토 20~30% 중량비, 참숯가루 10~20% 중량비, 5대 영양소인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또는 칼슘 5~10% 중량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상토(300)는 상기 균근균이 함유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 포트(100) 내부에 형성된 홈에 채워져 모종이 재배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균근균이 함유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 포트(100)의 크기와 두께는 망사포트(100) 내부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보수력, 보비력, 통기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생산될 수 있다.
특히 계절의 온도 변화가 심한 우리 나라의 경우 화분에 식재되는 식물의 생육 조건이 더욱 열악하다.
즉, 기온이 높은 여름철의 경우 토양이 가지고 있는 습기가 외기에 뜨거운 열에 의해 쉽게 증발되어 식재된 식물에 말라죽거나, 기온이 낮은 동절기의 경우에는 화분의 외벽 및 바닥면이 외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토양이 얼어 들어오면서 식물을 동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 균근균이 함유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 포트(100)의 두께를 두텁게 함으로써 단열층을 형성시킬 수 있어 단열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망사포트(100) 내부의 상토가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해 얼거나 너무 과열되는 것을 억제시켜 식물의 고사와 동사를 방지하고 망사 포트(100)의 유지 관리에 따른 노동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주재료로 사용하는 코코넛화이버는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고 통기성이 좋으며 용적밀도가 낮고 양이온치환용량이 높아서 풍부한 식물 영양과 탄소 함유물질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코코넛화이버는 질소, 인, 규산, 석회, 유황 등 이외에도 식물 양분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들 성분은 부식이 분해로 인하여 유효화된다. 그러므로 부식은 식물 양분의 저장고와 같은 역할을 한다.
코코넛화이버는 다른 용토에 비해 저렴하고 취급이 간편하며, 토양을 암갈색이나 흙 색으로 변화시켜 태양열의 흡수율을 높이며, 토양 산도는 Ph 5.5~6.5 사이에 고정시키는 중화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여 토양에 유용한 화학 반응을 촉진 시킨다.
다음 [표2]는 코코넛화이버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예시한 것이다.
[표2] 코코넛화이버의 물리 화학적 특성
구분 내용 구분 내용
유기질 함량(%) 95~99 Organic 29.00
PH 5.5~6.5 N 0.3~0.6%
양이온 교환용량 60~120meu/100g NH3 0
전기 전도도 200~400us/cm Mn 0.001%
보수력 약 8~9배 Potassium(%) 0.78
공극률 94% Calcium(%) 0.40
C : N ratio 80~112:1 Magnesium(%) 0.36
독성 없음 Zinc(ppm) 7.50
악취 없음 Copper(ppm) 3.10
Lignin(%) 41~45 Phosphorous(%) 0.01
Cellulose(%) 36~43
황토는 공기 순환이 잘 되는 구조단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투수성을 향상시켜 건조하거나 수축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 코코넛화이버의 엉킴성을 좀 더 높게 해준다.
또한, 황토는 살균작용과 정화작용 그리고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중 다수 가수분해효소가 있어 식물 생장 활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 으며 PH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준다.
참숯가루는 식물 잔뿌리의 발근력이 좋아져 흡비력이 높아지며 땅의 투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여 물 빠짐과 공기 유통이 좋아져 뿌리 썩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주고 토양 속의 유해물질을 흡착 분해하여 준다.
그리고 온도편차를 완화시키는 능력이 있어서 땅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준다.
본 발명은 코코넛화이버의 여러 가지 특성과 코코넛화이버가 가지고 있지 않는 기능을 보완하기 위해서 황토와 참숯가루를 첨가했으며, 또한 초기 식물 생장에 있어서 필수적인 5대 영양소인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칼슘을 첨가하였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물의 종류와 생장조건 그리고 외부의 온도를 고려하여 균근균이 함유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 포트(100)의 크기와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망사포트(100)의 유지 관리에 따른 노동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혼합상토(300)는 코코피트로 인해 보수성, 통기성과 보비성을 높이고 황토에 의해 PH의 안정도를 유지하고 미생물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한 살균 및 정화작용을 이끌어 내고, 참숯가루는 땅의 온도편차를 완화하여 안정된 온도를 유지하며, 투수성과 통기성의 우수성으로 인한 병충해 면역강화 발근력의 촉진으로 뿌리 활착률을 높이고 5대영양소는 안정적으로 건강한 모종을 육모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 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망사포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균근균과 천연섬유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망사 포트는 실제 조경 공사 식재 시 원예용 포트와 분을 분리할 때 망사 포트로 인해 분의 깨짐을 방지하여 분의 원형을 그대로 식재하기 때문에 식물의 고사율을 낮추고 뿌리의 활착률을 높여 하자 보수율을 낮출 수가 있다.
그리하여 많은 노동력과 인건비를 상당 부분 줄일 수 있으며 분이 깨지지 않기 때문에 화분에 형성되어 있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조경 공사에 활용하면 빠른시간에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망사포트에 있어서, 균근균을 함유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 포트로 인해 분이 깨지지 않기 때문에 망사 포트에 형성되어 있는 균근균은 그대로 유지가 된다.
따라서 균근균에 의해 보다 빠른 기간 내에 뿌리의 활착률을 높일 수 있어서 보다 건강한 식물 모종을 재배할 수 있으며 재배 농가에서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는 친환경 소재로서 땅에 매입 시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 되면 자연 소멸 되는 장점이 있어 환경오염에 대한 부분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망사 포트는 식물의 종류와 생장조건 그리고 외부의 온도를 고려하여 균근균이 함유된 황마에서 얻어지는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 포트의 크기와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망사 포트의 유지 관리에 따른 노동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혼합상토(300)는 코코피트로 인해 보수성, 통기성과 보비성을 높이고 황토에 의해 PH의 안정도를 유지하고 미생물의 활발한 활동으로 인한 살균 및 정화작용을 이끌어 내고, 참숯가루는 땅의 온도편차를 완화하여 안정된 온도를 유지하며, 투수성과 통기성의 우수성으로 인한 병충해 면역강화 발근력의 촉진으로 뿌리 활착률을 높이고 질소, 인, 칼륨, 마그네슘, 칼슘는 안정적으로 건강한 모종을 육모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측벽;
    상기 측벽에 연결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되,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면은 균근균과 천연섬유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포트에 있어서,
    상기 망사포트에 채워지는 혼합상토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상토는 황토 또는 참숯가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사포트.
KR1020070024042A 2007-03-12 2007-03-12 망사포트 KR10081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042A KR100819511B1 (ko) 2007-03-12 2007-03-12 망사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042A KR100819511B1 (ko) 2007-03-12 2007-03-12 망사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511B1 true KR100819511B1 (ko) 2008-04-04

Family

ID=3953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042A KR100819511B1 (ko) 2007-03-12 2007-03-12 망사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51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552B1 (ko) 2009-05-08 2010-10-25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식물 재배용 포트
KR101098253B1 (ko) * 2008-12-30 2011-12-23 이관준 식생포트
KR20120068244A (ko) * 2010-12-17 2012-06-27 (주)에코원 식생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64281Y1 (ko) 2010-08-03 2012-12-21 한국자생식물생산자영농조합법인 망사포트를 갖는 원예용 포트
CN104186198A (zh) * 2014-07-02 2014-12-10 贵州大学 用于植物间的养分转移作用装置
KR20190040147A (ko) * 2019-03-29 2019-04-17 전태평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
FR3096870A1 (fr) * 2019-06-05 2020-12-11 patrick megueddem dispositif pour extraire et rempoter une plante adaptable à tous diamètres et formes de pot ainsi qu’à tous substrats.
KR20210017812A (ko) 2019-08-09 2021-02-17 김형준 식재용 포트설비
KR102284174B1 (ko) * 2021-01-05 2021-07-29 전태평 벽면 조경용 종이화분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230036082A (ko) 2023-02-13 2023-03-14 문병렬 식물재배용 포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5745U (ko) * 1988-04-15 1989-10-26
KR960004332B1 (ko) * 1993-11-02 1996-04-02 송연섭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JPH08140504A (ja) * 1994-11-16 1996-06-04 Sakanaka Ryokka Shizai:Kk 植物根の梱包用シート材
JPH0974907A (ja) * 1995-09-18 1997-03-25 Nishimura Fuukouen:Kk 植物栽培用具
JPH09322658A (ja) * 1996-06-10 1997-12-16 Shin Etsu Polymer Co Ltd 育苗ポット
KR19990030622A (ko) * 1997-10-02 1999-05-06 차동천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KR20030058622A (ko) * 2001-12-31 2003-07-07 강기호 배양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5745U (ko) * 1988-04-15 1989-10-26
KR960004332B1 (ko) * 1993-11-02 1996-04-02 송연섭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JPH08140504A (ja) * 1994-11-16 1996-06-04 Sakanaka Ryokka Shizai:Kk 植物根の梱包用シート材
JPH0974907A (ja) * 1995-09-18 1997-03-25 Nishimura Fuukouen:Kk 植物栽培用具
JPH09322658A (ja) * 1996-06-10 1997-12-16 Shin Etsu Polymer Co Ltd 育苗ポット
KR19990030622A (ko) * 1997-10-02 1999-05-06 차동천 균근균을 함유한 잔디 생장매트
KR20030058622A (ko) * 2001-12-31 2003-07-07 강기호 배양토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253B1 (ko) * 2008-12-30 2011-12-23 이관준 식생포트
KR100989552B1 (ko) 2009-05-08 2010-10-25 초록마당영농조합법인 식물 재배용 포트
KR200464281Y1 (ko) 2010-08-03 2012-12-21 한국자생식물생산자영농조합법인 망사포트를 갖는 원예용 포트
KR20120068244A (ko) * 2010-12-17 2012-06-27 (주)에코원 식생포트 및 그 제조방법
CN104186198A (zh) * 2014-07-02 2014-12-10 贵州大学 用于植物间的养分转移作用装置
KR20190040147A (ko) * 2019-03-29 2019-04-17 전태평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
KR102160879B1 (ko) * 2019-03-29 2020-09-28 전태평 공기 정화 기능을 포함하는 벽면 조경용 화분
FR3096870A1 (fr) * 2019-06-05 2020-12-11 patrick megueddem dispositif pour extraire et rempoter une plante adaptable à tous diamètres et formes de pot ainsi qu’à tous substrats.
KR20210017812A (ko) 2019-08-09 2021-02-17 김형준 식재용 포트설비
KR102284174B1 (ko) * 2021-01-05 2021-07-29 전태평 벽면 조경용 종이화분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230036082A (ko) 2023-02-13 2023-03-14 문병렬 식물재배용 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511B1 (ko) 망사포트
KR101081389B1 (ko) 토사침식방지와 조기식생,활착을 위한 무복토 활성탄 식생매트와 그의 제조 방법
CN105830886A (zh) 一种无土栽培基质
CN105027910A (zh) 中山杉扦插工艺
KR100876008B1 (ko) 카펫형 천연 지피식물에 의한 옥상녹화장치
CN103733842A (zh) 利用原生态材料制作容器培育牡丹的方法
KR101136872B1 (ko) 인삼 재배용 복합퇴비 및 그 제조방법
CN104140337A (zh) 一种漂浮育苗基质配方及应用
CN110226489B (zh) 一种边坡绿化喷播纤维基质材料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7082697B (zh) 一种蔬菜育苗用基质及利用其的蔬菜育苗方法
CN107853046A (zh) 一种湿地松工厂化扦插育苗方法
KR20130110903A (ko) 국화의 장기 저장묘 생산을 위한 식생매트의 조성방법
KR20130068290A (ko) 화단용 국화의 식재를 위한 매트 시스템
CN102415263B (zh) 矮生铺地柏扦插繁殖方法
CN110036811A (zh) 植被护坡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70034243A (ko) 무토잔디용 생육포
KR101140041B1 (ko) 척박지에 식재되는 수목의 활착을 촉진하는 멀칭매트
CN102415269B (zh) 欧洲刺柏扦插繁殖方法
KR101098253B1 (ko) 식생포트
KR100402827B1 (ko) 식생매트의 배합토 조성방법과 식생매트 제조방법
US20170013792A1 (en) Micro-Biologically Favoring Fungus Based Organic Biocomposite Substrate Having Superior Capillary Dynamics
KR20100088308A (ko) 무농약 채소밭 겸 지피식물 재배를 위한 빗물저수조를 구비한 옥상용 화분
KR20060033756A (ko) 수목의 생육 촉진을 위한 액체 비료가 함유된 숯볼의제조방법
RU2539206C1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овощных и бахчевых культур
CN218125627U (zh) 一种高效经济的柽柳扦插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