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332B1 -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332B1
KR960004332B1 KR1019930023307A KR930023307A KR960004332B1 KR 960004332 B1 KR960004332 B1 KR 960004332B1 KR 1019930023307 A KR1019930023307 A KR 1019930023307A KR 930023307 A KR930023307 A KR 930023307A KR 960004332 B1 KR960004332 B1 KR 960004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strands
pot
binder
ma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356A (ko
Inventor
송연섭
Original Assignee
송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연섭 filed Critical 송연섭
Priority to KR1019930023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332B1/ko
Publication of KR95001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3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포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포트 사용상태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이식된 후 식물 재배상태를 보인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매트 2 : 섬유가닥
4 : 급면기 5 : 타면기
9 : 성형기 10 : 결합제
11 : 포트
본 발명은 식물의 성장상태가 우수하며 성장속도가 보다 빠르게 재배할 수 있도록 한 포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육묘용 포트는 야채류나 과일류 및 꽃류들은 파종하여 발과 같은 재배용지에 이식하기 전 단계까지 재배토록하는 재배용기이다.
종래, 포트는 합성수지 및 종이재로 대략 상부가 트여지는 용기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종래 포트에 의하면, 식물씨를 파종하여 키운 뒤 이를 배양토와 함께 포트에서 빼낸 뒤 이식할 토양에 묻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포트에 끼우던 식물을 포트에서 빼낸뒤 다시 이를 이식할 곳에 파묻는 방식이므로 여러번에 걸친 작업을 하는 결과로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하게 되었던 것이다. 또, 종래 포트에서 성장하는 과정에서 상부를 제외한 주변이 통기가 되지 않토록 합성수지 및 종이재등으로 외부와 차단되어 있으므로 성장하는 뿌리가 외부로 뻗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포트 내부의 토양조건에서 성장하기 좋은 뿌리는 포트 내벽을 따라 계속히 성장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던 것이다. 이와같이 어느 특정 뿌리만이 계속 길게 성장하게 되면 그 뿌리를 제외한 타위치에서는 뿌리가 성장하지 못하게 되어, 이식후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뿌리의 숫자가 제한적으로 보다 적게 발생되어 수분이나, 기타 영양분의 흡수능력이 떨어져 성장속도가 느리고 열매나 과일등의 수확량이 줄어드는 등의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감안하여 재배자가 포트에서 성장중에 길게 성장하는 큰 뿌리 즉, 원근(原根)은 절단하여 여러 위치에서 가는 세근(細根)가 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하건, 2-3회에 걸쳐 육묘시기에 옮기는 이식작업을 일일이 수행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그 작업이 복잡하고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비하므로 실제 적용하여 작업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트와 함께 식물을 이식할 토양에 묻어서 재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작업효율을 증대시켜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포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세근의 발달을 유도하여 보다 성장속도가 빠르고 발육이 우수하도록 한 포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포트는 상부가 트여지는 용기형상의 포트(11)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 포트(11)는 섬유가닥(2)을 적어도 외기와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망눈이 형성되도록 결합제로 접착하여서 구성된다.
따라서, 섬유가 얽힌 불규칙한 망눈이 포트에 형성되어 식물뿌리에 산소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또한 통수성이 좋게 되어 식물의 성장상태가 좋아진다.
또, 본 발명의 중요한 요소로 뿌리가 포트에서 성장할 때 망눈사이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올수가 있어, 외부로 나온 뿌리가 수분부족으로 자연히 건조되어 성장을 정지하는 뿌리절단, 즉 단근(斷根)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따라서, 많은 세근(細根)이 형성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결과로 이식상태에서 수분과 영양분의 흡수가 양호해져, 결과적으로 식물이 빠른 성장과 양질의 많은 내용물을 수확할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포트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포트(11)의 형상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토양이 채워지고 식물이 성장될 수 있도록 상부가 트여지는 대략 컵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동일하다.
이 포트(11)에서 가장 중요한 본 발명의 구성은 섬유가닥(2)를 결합제로 접착하여 성형하는 것에 의해 외기와 통풍이 이우러지는 망눈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포트(11)의 재질이 되는 섬유가닥(2)는 천연으로 얻어지는 식물의 줄기, 뿌리, 잎, 열매등에서 추출된 섬유를 말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 포트의 재질이 가져야 할 성질로는 식물씨가 파종되어 발아된 뒤 완전 성숙시기까지는 부패에 의해 자연 분해되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식물이 이식된 후에도 당분간은 포트의 형태를 유지하여 이식된 토양에 충분히 뿌리가 내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 뿌리의 성장을 도와주는 포트(11)의 내부와 외부의 통기성과 통수성의 윤활을 갖기 위한 충분한 망눈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너무 쫌쫌하게 가는 섬유로 접착 성형할 경우 통수성 및 통기성이 거의 차단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식작업이 완전히 끝나기 전에는 포트가 재배 및 이식된 토양에 분해되어 버리지 않고 적정한 굵기를 유지하는 합당한 섬유가닥(2)원료로는 야자나무 열매를 분쇄하여 얻은 섬유가 있다. 이 야자열매는 분쇄되었을때 약 10~40cm정도 길이의 섬유가닥으로 나누어지며 질기면서도 1년정도 자연적으로 토양에 의해 분해되므로 본 발명 식물육묘용 포트로써 가장 적당하다 하겠다. 그리고 코코넛열매, 야자줄기, 마의 줄기 및 잎 등 여러가지 식물성 섬유는 물론 공업적으로 제작되어 상기와 같이 자연 분해되며 유기성 비료 성분을 가지며 포트(11)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통기 및 통수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목적에만 합당하면 포트(1)의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섬유가닥(2)을 접착하기 위한 결합제 조성물로는 그 성분이 식물성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포트(11)가 토양에 분해되면서 결합제도 분해되어야 하고, 특히 식물을 이식한 토양에서 공해물질을 남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부폐되어 분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토양에서 쉽게 분해되고 공해물질을 남기질 않는 다면 화학적 결합제로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결합제 조성물로는 고무성분을 기재로 하는 결합제의 일종인 라텍스를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이때, 포트(11)의 형상은 원통형의 컵형상일 수도 있고, 사각형상의 컵형상일 수도 있는 바, 이때 포트의 형상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같이 구성된 포트(11)에 의하면, 망눈 사이로 공극이 형성되어 식물뿌리에 산소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또한 통수성이 좋게 되어 식물의 성장상태가 좋아진다. 그리고, 망눈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사이로 뿌리가 외부로 성장될 수 있어, 대기에 의해 수분 및 영양분등과 차단되는 것에 의해 자연히 단근(斷根)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매우 많은 세근을 성장시키는 역효과를 가지도록 하므로, 이식상태에서 토양의 많은 영양분을 식물에 공급시킬 수 있어, 빠르게 양질의 열매등을 수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이식상태에서 제3도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뿌리들이 포트(11)의 망눈 사이를 뚫고나와 뿌리 내리기를 용이하게 하고, 포트(11)내의 양분과 이식된 토양의 양분을 동시에 흡수하므로, 이식된 토양에 대한 식물의 적응력이 높아지게 되고, 당연히 성장발육 및 생존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포트를 사용하게 되면 이식 중 뿌리에서 흙이 떨어져 나갈 것을 염려하지 않아도 되며, 포트에서 식물을 배양토와 뿌리채 조심스럽게 분리시킬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노동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작업능률이 향상되게 한다. 그리고, 식물이 이식된 토양에 완전히 뿌리를 내리게 되면 포트가 섬유질이므로 자연히 땅속에서 분해되어 유기질 거름성분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전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도 종래의 포트에 의한 식물의 생산비보다 저렴하고 적은 노동력을 요구하며 이식후 적응력과 생존율이 높은 포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하 이처럼 섬유가닥(2)을 원료로 하는 식물육묘용 포트(11)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 섬유를 원료로 하는 식물육묘용 포트(pot)의 제작방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 포트를 제작 공정은 먼저 천연식물을 분쇄하고 건조하여 ㅅ얻은 소정 길이의 섬유가닥(2)들을 호퍼(3)에 채워지게 하여 급면기(4)에 의해 일정량씩 공급되게 하는 공급단계와, 이 급면기(4)로부터 섬유가닥(2)이 타면기(5)로 공급되어 소정의 두께와 넓이로 펼쳐져 매트(1)향상으로 갖도록 정리시키는 매트성형단계와, 이 타면기(5)에서 형성된 매트(1)를 제1로울러쌍(6)에 끼워넣어 압착토록 하는 압착단계와, 제1로울러쌍(6)과 제2로울러쌍(8) 사이에 설치한 결합제 분무용 스프레이건(7)으로 매트(1)에 결합제(10)를 뿌려 각각의 섬유가닥(2)들이 접착력을 가지도록 하는 결합제 분무단계와, 접착력을 가지는 섬유가닥(2)들을 제2로울러쌍(8)으로 눌러 섬유가닥(2)들 끼리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와, 각각의 섬유가닥(2)이 접착되어 불규칙한 망눈이 형성된 매트(1)를 포트형상의 상, 하 몰드로 된 성형기(9)에 포트의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성형단계와, 이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포트(11)의 상부 주연부 재료를 절단시키는 절단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완성된다.
이때, 성형기(9)는 결합제(10)의 성질을 유지한 상태로 형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약 70~8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공급단계는 천연으로 건조된 섬유가닥(2)들을 호퍼(3)에 채워지게 하면 급면기(4)에 의해 타면기(5)로 공급된다. 상기 급면기(4)는 거칠은 편이 불규칙하게 배열된 도시하지 않은 로울러가 구비되어, 이 로울러가 일정히 회동되는 것에 의해 섬유가닥(2)이 공급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매트형성단계는 급면기(4)로부터 공급된 섬유가닥(2)들을 소정의 두께와 너비를 갖는 매트(1)형상으로 펼쳐지게 하는 단계로서, 타면기(5)는 섬유가닥(2)들이 서로 엉켜서 부풀어진 상태를 탄력이 우수한 타격봉들이 두들기는 타격작업에 의해 일정 두께를 갖도록 펼쳐지며 하는 것이다.
이때, 그 두께 및 너비는 포트(11)의 크기나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압착단계는 타면기(5)에서 형성된 매트(1)를 한쌍의 제1로울러(6)에 끼워넣어 비교적 치밀한 조직상태를 갖도록 압착시키는 공정으로, 제1로울러(6)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그 압착력과 두께를 설정하게 된다.
상기 결합제 분무단계는 결합제(10)를 결합제 분무용 스프레이건(7)으로 분무시켜, 섬유가닥(2)의 사이로 결합제(10)가 공급되어 추후 압착에 의해 매트(1)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접착단계는 접착력을 가지는 섬유가닥(2)들은 제2로울러쌍(8)으로 눌러 섬유가닥(2)들끼리 상호 접착시키게 하는 공정으로, 이때 압착력은 섬유가닥(2) 사이로 통기를 위한 망눈이 형성되는 정도를 유지하며, 결합제(10)로는 식물성 재료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암, 수의 포트형상을 갖는 상하 몰드로 된 성형기(9)가 매트(1)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것에 대략 컵 형상의 포트를 성형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포트(11)의 상부 주연부 재료를 절단시키는 절단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 절단단계는 수작업에 의해 작업자가 포트(11)의 상부 주연부를 따라 절단토록 하거나, 기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절단인이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며 자동으로 절단되는 자동공정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포트(11)의 성형방법에 의하면 자동공정에 의해 대량으로 생산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기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 포트를 널리 보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이 공정으로 생산되는 포트는 옮기지 않고 직접 이식시킬 수가 있어, 옮기는 과정에서 세근이 잘리거나 하여 영양분 공급이 멈추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식 토양에서 자연 분해되어 비료의 역할을 갖는 결과로 보다 우수한 토양을 유지함과 아울러, 공해방지의 효과도 갖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천연식물을 분쇄하고 건조하여 소정 길이의 섬유가닥(2)들을 호퍼(3)에 채워지게 하여 급면기(4)에 의해 일정량씩 공급되게 하는 공급단계와, 이 급면기(4)로부터 섬유가닥(2)이 타면기(5)로 공급되어 소정의 두께와 넓이로 펼쳐져 매트(1)형상을 갖도록 정리시키는 매트성형단계와, 이 타면기(5)에서 형성된 매트(1)를 제1로울러쌍(6)에 끼워넣어 압착토록 하는 압축단계와, 제1로울러쌍(6)과 제2로울러쌍(8) 사이에 설치한 결합제 분무용 스프레이건(7)으로 매트(1)에 결합제(10)를 뿌려 각각의 섬유가닥(2)들이 접착력을 가지도록 하는 결합제 분무단계와, 접착력을 가지는 섬유가닥(2)들을 제2로울러쌍(8)으로 눌러 섬유가닥(2)들끼리 접착시키는 접착단계와, 각각의 섬유가닥(2)이 접착되어 불규칙한 망눈이 형성된 매트(1)를 포트형상의 상, 하 몰드로 된 성형기(9)에 포트의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성형단계와, 이 성형단계에서 성형된 포트(11)의 상부 주연부 재료를 절단시키는 절단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육묘용 포트의 제조방법.
  2. 상부가 트여지는 용기형상의 포트(11)를 구성함에 있어서, 이 포트(11)는 섬유가닥(2)을 적어도 외기와 통풍이 이루어 지도록 망눈이 형성되도록 결합제로 접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육묘용 포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닥(2)은 천연 식물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육묘용 포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식물성 천연 라텍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육묘용 포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닥(2)은 야자열매에서 얻어지는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육묘용 포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닥(2)은 코코넛열매에서 얻어지는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육묘용 포트.
KR1019930023307A 1993-11-02 1993-11-02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KR960004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307A KR960004332B1 (ko) 1993-11-02 1993-11-02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307A KR960004332B1 (ko) 1993-11-02 1993-11-02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356A KR950013356A (ko) 1995-06-15
KR960004332B1 true KR960004332B1 (ko) 1996-04-02

Family

ID=1936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307A KR960004332B1 (ko) 1993-11-02 1993-11-02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3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511B1 (ko) * 2007-03-12 2008-04-04 이관준 망사포트
KR100832336B1 (ko) * 2007-03-21 2008-05-26 김인한 섬유포트를 수생식물의 하천바닥 식재에 이용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511B1 (ko) * 2007-03-12 2008-04-04 이관준 망사포트
KR100832336B1 (ko) * 2007-03-21 2008-05-26 김인한 섬유포트를 수생식물의 하천바닥 식재에 이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356A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154B1 (ko) 육묘용 매트형 상토 및 그 제조방법
KR100718867B1 (ko) 모종 재배용 매트형 상토 및 그 제조방법
CN105130688B (zh) 一种可卷的地毯式混合基质块
WO2013108196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casing for cultivating mushrooms and/or plants
KR20100000217U (ko) 천연섬유재질로 직조된 식물재배용 포트
CN107853046A (zh) 一种湿地松工厂化扦插育苗方法
CN106508641A (zh) 一种芽苗菜有机基质水培方法
KR101278758B1 (ko) 음식물쓰레기 및 우분이 주재료로 사용된 육묘용 포트
CN103749104B (zh) 一种用于种植草坪的植生纱线以及生产工艺及其织成品
KR960004332B1 (ko) 식물육묘용 포트(pot) 및 그 제조방법
JP3806732B2 (ja) 植物育成用容体
TWI504340B (zh) 混合介質栽植片之製作方法及以該方法所製成之栽植片
CN108849347A (zh) 一种一年生云当归的营养袋直播育苗方法
CN108967104A (zh) 薰衣草育苗方法
JP2003047335A (ja) 培植資材とその製造法
KR100380531B1 (ko) 육묘용 유기질 상토매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상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960004330B1 (ko) 잔디 재배용 매트(mat) 및 이의 제조방법
JP3811802B2 (ja) 繊維製育苗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52174A (ja) 完熟堆肥成形体からなる育苗栽培ポット及び製造方法
CN107637430A (zh) 一种樱桃番茄育苗方法
KR100422983B1 (ko) 파종용 매트 및 그 제조방법
RU2735335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грунт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орхидей
JPH08107729A (ja) 養液栽培用マット
JPH0755097B2 (ja) 樹皮を利用した植物植込み材料とその製造方法
KR980009425A (ko) 육묘용 상토의 압축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