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099B1 -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 Google Patents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099B1
KR100939099B1 KR1020080094018A KR20080094018A KR100939099B1 KR 100939099 B1 KR100939099 B1 KR 100939099B1 KR 1020080094018 A KR1020080094018 A KR 1020080094018A KR 20080094018 A KR20080094018 A KR 20080094018A KR 100939099 B1 KR100939099 B1 KR 100939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nhole
piston
sludg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9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2Adaptations of pumping plants for lifting sew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노출되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맨홀(10)과; 바닥면에 맨홀(10) 내부와 연통되는 수평통로(21)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수평통로(21)와 연통된 수직통로(22)가 구비되며, 지하에 매설되는 유로관(20)과; 유로관(20)의 바닥에 내설되는 실린더(31)와, 실린더(31)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이동부재(32)와, 이동부재(32)를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3)과, 실린더(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이동부재(32)가 상방으로 압을 받도록 실린더(31)로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34)로 구성된 진동기구(30)와;유로관(20)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진동기구(30)의 이동부재(32)를 덮는 탄성시트(40)와; 탄성시트(40)의 하부에 배치되어, 탄성시트(4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50)와; 맨홀(10)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61)와, 가이드부재(61)에 승강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수평통로(21)를 개폐하는 개폐판(62)과, 가이드부재(61)에 내설되어 개폐판(62)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63)을 갖춘 개폐기구(60)와; 바닥면에 그물망(71a)이 설치된 오니수용부(71)와, 상부보다 하부가 좁은 다수의 관통홀(72a)이 구비되어 오니수용부(71)의 상부에 배치되는 역류방지부(72)와, 일단이 유로관(20)의 수평통로(21)와 연통되는 연통부(73)와, 개폐판(62)을 눌러서 수평통로(21)가 개구되도록 걸리는 걸림부(74)를 갖추고서, 맨홀(10)에 설치되는 오니수거부재(70)와; 일단이 오니수거부재(70)의 연통부(73)에 타단과 연결되는 가요성 재질의 가요성파이프(80)와; 유로관(20)의 수직통로(22)와 연통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출력파이프(90)와; 가요성파이프(80)의 타단과 연결되는 에어펌프(100)와; 감지센서(50)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압력신호가 수신되면 에어펌프(100)를 동작시키는 제어유닛(110)과; 제어유닛(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와이어(L)를 매개로 오니수거부재(7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120)로 이루어져, 항상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Water pipe for preventing the closure of water line}
본 발명은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의 흐름을 위해 다수의 하수관이 지하에 매설되고, 하수관의 유지보수를 위해 하수관과 하수관 사이에 맨홀이 구비된다.
한편, 하수관에 하수가 흐를 시, 하수에 썩인 오니는 하수에 의해 쓸리면서, 맨홀과 연결된 끝단의 하수관에 집중적으로 쌓이게 된다.
따라서, 맨홀과 연결된 하수관에서 하수의 흐름이 지체되면서 하수의 흐름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하수관이 폐쇄되어 하수가 역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수의 흐름이 원활한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은, 상면이 노출되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맨홀과; 바닥면에 맨홀 내부와 연통되는 수평통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수평통로와 연통된 수직통로가 구비되며, 지하에 매설되는 유로관과; 유로관의 바닥에 내설되는 실린더와, 실린더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를 탄발지지하는 스프링과, 실린더의 하단에 설치되어 이동부재가 상방으로 압을 받도록 실린더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진동기구와; 유로관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진동기구의 이동부재를 덮는 탄성시트와; 탄성시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탄성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와; 맨홀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에 승강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수평통로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가이드부재에 내설되어 개폐판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을 갖춘 개폐기구와; 바닥면에 그물망이 설치된 오니수용부와, 상부보다 하부가 좁은 다수의 관통홀이 구비되어 오니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역류방지부와, 일단이 유로관의 수평통로와 연통되는 연통부와, 개폐판을 눌러서 수평통로가 개구되도록 걸리는 걸림부를 갖추고서, 맨홀에 설치되는 오니수거부재와; 일단이 오니수거부재의 연통부에 타단과 연결되는 가요성 재질의 가요성 파이프와; 유로관의 수직통로와 연통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출력파이프와; 가요성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되는 에어펌프와; 감지센서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압력신호가 수신되면 에어펌프를 동작시키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와이어를 매개로 오니수거부재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과 연결된 하수관에 퇴적된 오니를 수시로 제거해 줌으로써, 항상 하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을 나타낸 전체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은, 지하에 매설되는 맨홀(10)과, 지하에 매설되어 맨홀(10)과 연결되는 유로관(20)과, 유로관(20)에 내설되는 진동기구(30)와, 유로관(20)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진동기구(30)를 덮는 탄성시트(40)와, 탄성시트(40)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감지센서(50)와, 유로관(20)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맨홀(10) 내면에 설치되는 개폐기구(60)와, 유로관(20) 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맨홀(10)에 설치되는 오니수거부재(70)와, 오니수거부재(70)와 연결되는 가요성 재질의 가요성파이프(80)와, 유로관(20)에 연통되는 출력파이프(90)와, 가요성파이프(80)와 연결된 에어펌프(100)와, 감지센서(50)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압력신호가 수신되면 에어펌프(100)를 동작하는 제어유닛(110)과, 제어유닛(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와이어(L)를 매개로 오니수거부재(7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맨홀(10)은 하수라인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통상의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된 사각관 형상을 가지며, 하부에 하수의 유입을 위한 유로관(20)이 설치되며, 덮개(CV)에 의해 상부가 폐쇄된다.
상기 유로관(20)은, 사각관 형상으로, 맨홀(10)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부(21a)를 갖춘 수평통로(21)가 하단부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통로(21)와 연통되는 수직통로(22)가 측단부에 형성되어, 하수가 유로관(20)을 통해 맨홀(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로관(20)은 수평통로(21)의 형성 및 진동기구(30)의 내설을 위해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두껍다.
상기 진동기구(30)는, 유로관(20)의 하단부에 내설되는 실린더(31)와, 실린더(31)에 내설되는 이동부재(32)와, 이동부재(32)를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3)과, 실린더(31)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31)는, 구획부(31c)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하부에 하방으로 개구되어 수평통로(21)와 연통되는 스프링설치부(31a)가 구비되고,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되어 유로관(20) 내부로 노출되는 제1피스톤안착부(31b)가 구비된다. 이때, 구획부(31c)에는 관통홀(H)이 형성되어, 스프링설치부(31a)와 제1피스톤안착부(31b)가 상호 연통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32)는, 제1피스톤안착부(31b)에 안착되는 제1피스톤(32a)과, 스프링설치부(31a)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32b)과, 구획부(31c)의 관통홀(H)에 삽입되어 제1피스톤(32a)과 제2피스톤(32b)을 연결하는 로드(32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33)은, 일단이 스프링설치부(31a)의 상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피스톤(32b)에 고정되어, 제2피스톤(32b)을 하방향으로 탄발지지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34)는, 수평통로(21)로 공기가 흐를 시 스프링설치부(31a)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맨홀(10) 쪽을 향하도록 경사진다.
상기 탄성시트(40)는, 탄성재질을 가지며, 실린더(31)의 상부를 덮도록 유로관(20)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때, 탄성시트(40)는 양단만 유로관(2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어, 진동기구(30)의 이동부재(32)가 상하 이동할 시 중앙부가 상하로 떨린다.
상기 감지센서(50)는, 실린더(31) 상면에 설치되어 탄성시트(40)에 씌어지며, 탄성시트(40)에 하중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한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50)는, 탄성시트(40)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면, 오니의 퇴적상태를 더욱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개폐기구(60)는, 유로관(20)의 수평통로(21)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맨홀(10) 내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61)와, 가이드부재(61)에 승강가능하게 고정되는 개폐판(62)과, 가이드부재(61)에 내설되어 개폐판(62)을 상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6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61)는, 상부에 상호 마주보는 가이드바(61a)가 구비되고, 가이드바(61a)의 선단에 개폐판(62)의 이탈을 방지하기 걸림부(61a1)가 형성되며, 각각의 가이드바(61a) 사이에 가이드부(61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62)은 상부에 맨홀(10) 내부를 향해 돌출된 눌림부(62a)와, 눌림부(62a)의 하부로 연장되어 가이드부(61b)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유입관(20) 수평통로(21)의 개폐구(21a)를 개폐하는 개폐부(62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63)은 가이드부(61b)에 삽입되어 개폐판(62)을 상방향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오니수거부재(70)는, 용기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 그물망(71a)이 설치된 오니수용부(71)와, 상부보다 하부가 좁은 다수의 관통홀(72a)이 구비되어 오니수용부(71)의 상부에 형성되는 역류방지부(72)와, 일측에 유로관(20)의 수평통로(21)와 연통되는 제1연결부(73a)가 형성되고 타측에 맨홀 내부와 연통되는 제2연 결부(73b)가 형성된 연통부(73)와, 연통부(73)의 하부에 위치하여 개폐판(62)과 맞닿는 걸림부(74)를 갖추고서, 유로관(20) 보다 아래에 배치되도록 맨홀(10)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73a)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수평통로(21)와 연통되고, 제2연결부(73b)는 상부로 형성되어 맨홀(10) 내부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오니수용부(71)의 바닥면에 그물망(71a)이 구비되어, 오니수거부재(7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오니는 오니수용부(71)에 수용되고 하수는 오니수용부(71)를 빠져나가서, 오니만 수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부(72)에 다수의 관통홀(72a)가 형성되어, 낙엽과 같이 부피가 큰 물체가 오니수용부(71)에 수용되면, 다시 오니수용부(71) 밖으로 나가기 어렵다.
상기 가요성파이프(80)는, 가요성 재질로서, 일단이 밴드(B)를 매개로 오니수거부재(70)의 제2연결부(73b)에 삽입연결된다. 이때, 가요성파이프(80)는 유연하기 때문에 오니수거부재(70)가 상방으로 이동할 시 오니수거부재(80)의 이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지하에는 일단이 에어펌프(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밴드(B)를 매개로 가요성파이프(80)의 타단에 연결되는 입력파이프(IP)가 매설되며, 가요성파이프(80)의 타단과 연결되는 입력파이프(IP)의 선단이 맨홀(10) 상부의 측벽을 관통하여 맨홀(10) 내부로 노출된다. 이때, 입력파이프(IP)는 경질의 재질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입력파이프(IP)가 구비됨으로써, 손상된 가요성파이프(80)의 교 체가 용이하다.
상기 에어펌프(100)는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통상의 펌프로써 제어유닛(11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입력파이프(IP)와 연결되어 입력파이프(IP)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한다. 이때, 에어펌프(100)은 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파이프(90)는, 유로관(20)의 수직통로와 연결되어 지상으로 노출된다. 이때, 출력파이프(90)는 경질재질을 갖는다.
상기 제어유닛(110)은,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며, 감지센서(50)으로부터 수신되는 압력신호를 판별하여, 감지센서(50)로부터 탄성시트(40)에 가해지는 압력이 기준값을 넘었다는 압력신호가 수신되면, 에어펌프(100)를 가동한다. 이때, 제어유닛(110)은 에어펌프(100)가 고압분사와 저압분사를 번갈아 가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유닛(110)은 별도의 입력유닛(I)에 의해 ON-OFF 등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20)는, 맨홀(10) 상부 외벽과 맞대어지게 지하에 매설되는 보호케이스(G)에 내설되어, 제어유닛(11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따라서 별도로 마련된 입력유닛(I)을 통해 제어유닛(110)에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유닛(110)은 입력된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20)의 구동축에는 와이어(L)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L)의 타단은 오니수거부재(70)의 상면에 고정되어, 구동모터(120)가 와이어(L)를 매개로 오니수거부재(70)를 승강시킨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20)는 오니수거부재(70)의 안정적인 승강을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D부분을 나타낸 확대도로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로관(20)이 장시간 사용되다 보면, 도 8과 같이 유로관(20)에 오니가 퇴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니가 퇴적되게 되면, 오니의 하중에 의해 탄성시트(40)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를 감지센서(50)가 감지하여 제어유닛(110)에 기준값 이상의 오니가 퇴적되었다는 압력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압력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110)은 에어펌프(100)를 가동하고, 에어펌프(100)는 고압의 공기를 분사한다. 분사된 공기는 입력파이프(IP)와 가요성파이프(80)를 경유하여 수평통로(21)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수평통로(21)로 들어온 고압의 공기는 진동기구(30)의 가이드부(34)에 의해 실린더(31)의 스프링설치부(31a)로 인입된다.
상기 스프링설치부(31a)로 인입된 공기는 이동부재(32)의 제2피스톤(32b)를 밀어올리고, 제2피스톤(32b)이 밀리면서 스프링(33)이 상방으로 가압된다. 이때, 이동부재(32)의 제1피스톤(32a)은 도 9와 같이 탄성시트(40)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탄성시트(40) 위에 얹혀진 오니에 압력을 가한다.
한편, 고압의 공기를 분사한 에어펌프(100)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저압의 공기를 분사한다. 따라서, 이동부재(32)의 제2피스톤(32b)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지면서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제2피스톤(32b)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32)가 상하 이동을 반복하면, 탄성시트(4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탄성시트(40)에 퇴적된 오니가 탄성시트(40)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유로관(20)을 흐르는 하수와 함께 맨홀(10) 내부로 흘러들어가 맨홀(10) 내부에 설치된 오니수거부재(70)에 퇴적된다.
이때, 주기적으로 하수관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오니의 퇴적상태를 확인한 후, 제어유닛(110)에 구동모터(120) 작동신호를 입력하면, 구동모터(1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L)을 감는다.
따라서, 상기 오니수거부재(70)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오니수거부재(70)에 수용된 하수가 그물망(71a)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오니만 오니수거부재(70)에 수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오니수거부재(7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유로관(20)의 유입부(21a)가 맨홀(10)로 노출되게 되는데, 이때 개폐기구(60)의 개폐판(62)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유입부(21a)를 폐쇄한다. 따라서, 오니수거부재(70)가 상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유로관(20)의 수평통로(21)로 하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오니수거부재(70)가 상방으로 이동할 시, 가요성파이프(80)는 상하로 접혀져, 오니수거부재(70)의 이동이 자유롭다.
상기 오니수거부재(70)가 맨홀(10)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관리자는 구동모 터(120)의 작동을 멈추고, 가요성파이프(80)와 와이어(L)를 오니수거부재(70)로부터 분리한 후, 오니수거부재(70)를 맨홀(10) 외부로 꺼내어 오니를 제거한다.
상기와 같이 오니를 제거한 후, 관리자는 오니수거부재(70)을 맨홀(10) 내부 상부에 배치시키고, 가요성파이프(80)와 와이어(L)를 오니수거부재(70)에 연결한다.
이후, 관리자는 제어유닛(110)을 통해 구동모터(120)를 역방향으로 돌려, 구동모터(120)의 구동축에 감긴 와이어(L)를 푼다. 따라서, 오니수거부재(70)는 하방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맨홀(10) 내부의 하부로 내려간다.
이때, 상기 오니수거부재(7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부(74)가 개폐판(62)의 눌림부(62a)를 누르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개폐판(62)은 하부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오니수거부재(70)의 연통부(73)와 유로관(20)의 수평통로(21)가 연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은, 유로관(20) 내에 퇴적된 오니를 수시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맨홀(10) 내의 오니도 깔끔하게 제거할 수 있어, 오니에 의해 하수관이 막히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을 나타낸 전체부분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C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을 나타내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D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 맨홀 20; 유로관
30; 진동기구 40; 탄성시트
50; 감지센서 60; 개폐기구
70; 오니수거부재 80; 가요성파이프
90; 출력파이프 100; 에어펌프
110; 제어유닛 120; 구동모터

Claims (1)

  1. 상면이 노출되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맨홀(10)과;
    바닥면에 형성되어 맨홀(10) 내부와 연통되는 수평통로(21)와, 상부가 개구되며 수평통로(21)와 연통된 수직통로(22)를 갖추고서, 지하에 매설되는 유로관(20)과;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부(31c)와, 구획부(31c)의 하부에 위치하며 유로관(20)의 수평통로(21)와 연통되는 스프링설치부(31a)와, 구획부(31c)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제1피스톤안착부(31b)를 갖추고서, 유로관(21)의 수평통로(21)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유로관(20)의 하부에 내설되는 실린더(31)와, 실린더(31)의 제1피스톤안착부(31b)에 안착되는 제1피스톤(32a)과, 실린더(31)의 스프링설치부(31a)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32b)과, 구획부(31c)를 관통하여 제1피스톤(32a)과 제2피스톤(32b)을 연결하는 로드(32c)를 갖추고서, 실린더(3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이동부재(32)와, 일단이 실린더(31)의 스프링설치부(31a)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피스톤(32b)의 상부에 고정되어, 제2피스톤(32b)를 하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33)과, 실린더(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이동부재(32)가 상방으로 압을 받도록 실린더(31)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34)로 구성된 진동기구(30)와;
    유로관(20)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실린더(31)의 상부 및 이동부재(32)의 제1피스톤(32a)를 덮는 탄성시트(40)와;
    실린더(31)의 상부에 설치되고, 탄성시트(40)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가해진 하중이 기준값 이상이면 압력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50)와;
    상부에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61a)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61)와, 가이드부재(61)의 한쌍의 가이드바(61a) 사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통로(21)를 개폐하는 개폐판(62)과, 일단이 가이드부재(61)에 고정되고 타단이 개폐판(62)에 고정되어 개폐판(62)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63)을 갖춘 개폐기구(60)와;
    바닥면에 그물망(71a)이 설치된 오니수용부(71)와, 상부보다 하부가 좁은 다수의 관통홀(72a)이 구비되어 오니수용부(71)의 상부에 배치되는 역류방지부(72)와, 일측에 유로관(20)의 수평통로(21)와 연통되는 제1연결부(73a)가 형성되고 타측에 맨홀(10) 내부를 향해 개구된 제2연결부(73b)가 형성된 연통부(73)와, 개폐판(62)을 하향 가압하는 걸림부(74)를 갖추고서, 맨홀(10)에 설치되는 오니수거부재(70)와;
    일단이 오니수거부재 연통부(73)의 제2연결부(73b)와 연결되는 가요성 재질의 가요성파이프(80)와;
    유로관(20)의 수직통로(22)와 연통되어 지상으로 노출되는 출력파이프(90)와;
    맨홀(10) 상부 주변에 설치되며, 가요성파이프(80)의 타단과 연결되는 에어펌프(100)와;
    감지센서(50)로부터 압력신호가 수신되면, 에어펌프(100)를 작동제어하여, 에어펌프(100)가 고압의 공기분사와 저압의 공기분사를 번갈아 하도록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110)과;
    맨홀(10) 상부 주변에 설치되며, 제어유닛(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일단이 오니수거부재(70) 상면에 고정되는 와이어(L)를 감거나 풀어 오니수거부재(70)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12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KR1020080094018A 2008-09-25 2008-09-25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KR10093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018A KR100939099B1 (ko) 2008-09-25 2008-09-25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018A KR100939099B1 (ko) 2008-09-25 2008-09-25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099B1 true KR100939099B1 (ko) 2010-01-28

Family

ID=4181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018A KR100939099B1 (ko) 2008-09-25 2008-09-25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09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73B1 (ko) * 2015-11-03 2016-08-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뭄과 홍수재해 대비를 위한 수재생 저류장치
CN107587580A (zh) * 2017-09-30 2018-01-16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带液动下开式堰门和泵排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2024707B1 (ko) 2019-03-14 2019-09-25 (주)단엔지니어링 상하수 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구조
CN111501969A (zh) * 2020-04-23 2020-08-07 张永利 一种基于海绵城市的雨水截污净化装置
KR20210001028U (ko) * 2019-11-04 2021-05-12 윤기찬 악취 차단 기능이 구비된 우수 처리 장치
CN114508128A (zh) * 2022-03-29 2022-05-17 绍兴春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中泥沙收集设备的检修井
CN114775780A (zh) * 2022-04-07 2022-07-22 中铁十六局集团地铁工程有限公司 一种污水井临时跳排的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7505A (en) 1980-03-10 1981-10-06 Inst Gorunogo Dera Sibirsk Oto Vibrator
KR20070095521A (ko) * 2005-11-01 2007-10-01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수용 맨홀 퇴적물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7505A (en) 1980-03-10 1981-10-06 Inst Gorunogo Dera Sibirsk Oto Vibrator
KR20070095521A (ko) * 2005-11-01 2007-10-01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수용 맨홀 퇴적물 수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873B1 (ko) * 2015-11-03 2016-08-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뭄과 홍수재해 대비를 위한 수재생 저류장치
CN107587580A (zh) * 2017-09-30 2018-01-16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带液动下开式堰门和泵排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CN107587580B (zh) * 2017-09-30 2024-03-26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一种带液动下开式堰门和泵排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2024707B1 (ko) 2019-03-14 2019-09-25 (주)단엔지니어링 상하수 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구조
KR20210001028U (ko) * 2019-11-04 2021-05-12 윤기찬 악취 차단 기능이 구비된 우수 처리 장치
KR200494625Y1 (ko) * 2019-11-04 2021-11-17 윤기찬 악취 차단 기능이 구비된 우수 처리 장치
CN111501969A (zh) * 2020-04-23 2020-08-07 张永利 一种基于海绵城市的雨水截污净化装置
CN111501969B (zh) * 2020-04-23 2021-05-18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基于海绵城市的雨水截污净化装置
CN114508128A (zh) * 2022-03-29 2022-05-17 绍兴春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中泥沙收集设备的检修井
CN114508128B (zh) * 2022-03-29 2024-03-12 绍兴春润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中泥沙收集设备的检修井
CN114775780A (zh) * 2022-04-07 2022-07-22 中铁十六局集团地铁工程有限公司 一种污水井临时跳排的施工方法
CN114775780B (zh) * 2022-04-07 2024-04-16 中铁十六局集团地铁工程有限公司 一种污水井临时跳排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099B1 (ko) 상하수라인의 폐쇄방지형 하수관
US6651825B2 (en) Disposable net assemblies for apparatus for collecting floating debris
KR20030011901A (ko) 배수조 부착물
WO2009008712A1 (en) Sound-damping housing for a pump and for a drive motor for said pump
KR100856388B1 (ko) 지하수 배수 구조물
KR100601227B1 (ko) 감소된 월류수 발생 개소를 갖는 지하수 배수 장치
JP2008069726A (ja) 水中ポンプ装置及び水中ポンプのシール室の浸入水排出方法
CA2513358C (en) Fluid hydrant with sleeve
KR20110110959A (ko) 수세식 하수관 세척장치
JP4871048B2 (ja) 真空弁ユニット
US1063468A (en) Automatic cellar-drainer.
KR102514308B1 (ko) 유체의 임의 유출 방지를 위한 플로우 콘트롤 시스템
KR100559601B1 (ko) 디젤연료필터의 공기/물 배출장치
KR102326266B1 (ko) 침전식 용수여과장치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KR101070244B1 (ko) 저층수 배출장치
US7216664B2 (en) Device for blocking the water outlet of a light liquid separator
KR20070039337A (ko) 영구배수시스템
KR101833926B1 (ko) 하수관거의 자동 세척장치
JP6333526B2 (ja) 仮設トイレ設置用配管ユニット
JPH08296600A (ja) 吸引装置の吸引調整装置
KR101150853B1 (ko) 지중전선 설치장치
KR101323486B1 (ko) 차집시설용 오수관로 개폐장치
KR100830205B1 (ko) 저비중세척액을 사용하는 수세식 변기
KR102524636B1 (ko) 선택적 개방을 통한 개별적 유체 분배 컨트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