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011B1 - 분무식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방법 - Google Patents

분무식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011B1
KR100939011B1 KR1020090104000A KR20090104000A KR100939011B1 KR 100939011 B1 KR100939011 B1 KR 100939011B1 KR 1020090104000 A KR1020090104000 A KR 1020090104000A KR 20090104000 A KR20090104000 A KR 20090104000A KR 100939011 B1 KR100939011 B1 KR 100939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valve
pneumatic
supplier
oi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956A (ko
Inventor
김일부
Original Assignee
김일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부 filed Critical 김일부
Priority to KR102009010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01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011B1/ko
Priority to PCT/KR2010/007311 priority patent/WO201105293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oil being fed or carried along by another fluid
    • F16N7/32Mist 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2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 B23Q11/121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parts of the machine with lubricating effect for reducing friction
    • B23Q11/122Lubricant suppl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16N11/1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by pressure of an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00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 F16N3/02Devices for supplying lubricant by manual action delivering oil
    • F16N3/04Oil cans; Oil syringes
    • F16N3/08Oil cans; Oil syringes incorporating a piston-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으로 작동하는 각종 기계 및 공구류에 효과적인 방청과 윤활을 가하는 윤활 및 방청 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하나의 압력원으로 가동되는 다수의 공압기계들에게 각각 최적화된 방청제 또는 윤활제를 원하는 시점에 적정량만큼 토출시켜 주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방향전환밸브(22)에 의해 주배관(10)과 분리된 오일공급배관(11) 경로에 분무식 오일공급기(30)를 배치하고 감압밸브(20)를 통해 상기 오일공급배관이 대기압까지 떨어지면 구동밸브(21)에 의해 오일공급기(30)가 작동되는 오일공급구조를 갖고 있다.
이때 분무된 오일을 함유하고 있는 오일공급배관(11) 내의 공기는 상기 감압밸브(20)가 다시 닫히면서 압력이 재상승되어 주배관으로 유입된다.
이 과정에서 주배관(10)의 출구단, 즉 공압기계의 입력단에 연결된 플로우센서(40)의 감지량으로부터, 특정 공압기계의 사용빈도와 사용량, 그리고 기계의 윤활 및 방청특성에 알맞는 최적의 오일을 적정량 공급하는 제어방법이 도입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공압기계들에게 각각의 작동환경과 사용패턴에 맞는 최적의 윤활유 또는 방청유를 필요량만큼만 공급할 수 있으므로 오일낭비가 없으며 각 공압기계와 공압배관에 오일류가 과다 누적되어 일어나는 문제점도 원천적으로 막아준다. 또한 본 발명의 분무식 오일공급기(30)는 공압시스템의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공압실린더형 작동기구에 통상의 캔 타입 오일스프레이를 바로 장착하여 대기 압에 가까운 상태에서 분무하는 구성이므로 상용 오일스프레이캔 제품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있다.
공압, 윤활, 방청, 루브리케이터, 사출급유

Description

분무식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방법{Spraying type oil supplier for pneumatic machine and Lubricating or rust preventing method using the supplier}
본 발명은 윤활유 또는 방청유를 공압배관 내에 선택적으로 토출시키는 오일공급장치의 구성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압(空壓) 장치는 압축공기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구동되는 다양한 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실린더의 왕복운동을 이용한 것으로는 공압프레스나 공압해머, 공압리프트 등이 있고, 베인의 회전운동을 이용한 것으로는 공압액츄에이터, 공압모터 등 을 이용한 절단기 등이 있으며, 로터의 회전운동을 이용한 것으로는 공압드릴, 공압임팩트렌치 등이 있다.
또한, 비록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방식이 아니더라도 공압배관 상의 압축공기를 이용한 에어건이나 토치 등도 자주 사용되는 공압기계 중 하나이다.
위와 같이 다양한 공압기계들은 전기를 이용한 장치들과 비교할 때 총 소비에너지나 유효순간동력 등에서 여러모로 유리한 점이 많기 때문에 대다수의 정비공장이나 기계제작공장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압축공기는 탱크에 저장된 상태, 즉 출력대기상태에서 다수의 사용단(출력단)에 즉시 최대동력으로 공급 가능한 훌륭한 에너지 저장매체이며, 유압과 달리 동력을 전달한 공기는 그대로 대기 중에 방출 가능하고, 누설에 대한 위험도도 낮다. 따라서 공압 배관망은 전기 배선망과 대등한 정도의 자유도로 설치될 수 있고 전기 배선망을 능가하는 저렴한 유지비용으로 운영될 수 있다.
그러나 압축공기는 필연적으로 수분을 동반하므로, 공압기계의 구동부에 녹을 유발하며, 공압배관의 말단에 위치하는 각 공압기계들은 주요 구동부가 대기 중에 부분적으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완벽한 유체윤활(밀폐윤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공압시스템의 말단에 연결된 공압기계들에 있어서 주기적인 방청과 윤활은 그 성능유지와 사용수명유지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장치에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지만, 배관계통이 많은 공장 등에서는 공압기계의 입력단마다 윤활기(Lubricator)를 설치하지 않고, 주 배관 쪽에 특수구조의 윤활기를 설치하여 통합 급유 방식으로 윤활을 하는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전량식 윤활기로서 일반적으로 공압시스템의 주 배관 필터 다음에 설치하여 발생되는 윤활유(lubricating oil) 또는 방청유(rust preventive oil){이하 상기 2종의 오일을 통칭하여 오일(a sort of oil)이라 부르기로 한다} 입자를 배관 말단에 위치한 공압기계 쪽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주 배관 상에 고압 분사된 상기 오일입자는 수㎛이상의 크기로 되면 공압배관 내벽에 부착되기 쉽다.
따라서 말단에 위치한 공압기계까지의 배관경로가 긴 경우는 배관내벽에 윤활오일이 축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윤활기에서 발생된 오일입자 가운데서 2㎛ 전후 이하의 입자만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공기흐름 중에 혼합하는 선택식 윤활기를 장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각 공압기계의 사용단 마다 윤활기를 설치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수직 배관된 실린더 등 소모 공기량이 작은 경우에는 윤활조건이 나쁘게 되므로 확실한 급유를 위해서, 피스톤(32)으로 직접 기름을 일정량씩 보내어 공기 중에 공급하는 국부 사출급유 방식이 있다.
그 외에 보링, 탭핑, 밀링가공, 선반가공 등과 같이 절삭면의 냉각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는 절삭부 또는 핵심 작동부에 윤활유를 직접 분무시키는 미스트 스프레 이(Mist Spray) 방식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중소형 기계가공공장이나 정비공장에서는 다양한 방식의 공압기계를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각 기계에 최적화된 윤활 및 방청기기를 모두 완비하여 운전할 수 없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각 공압기계의 정밀한 윤활제어보다는 전체적인 성능유지 및 수명연장이 더 요구되는 중소형 기계제작 및 정비 시설에서는 공압배관의 입력단(압축탱크의 출구단)상에 윤활기를 설치하고, 압축공기에 방청기능이 첨가된 통상의 공압기기용 윤활유 1종(예컨대 ISO VG32 터빈유 1종)만을 선택하여 미소량 첨가하는 통합 급유 방식의 윤활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 급유 방식은 윤활유가 국부적으로 과다공급 또는 과소공급되는 문제가 있어 공압기계의 종류별 작동환경과 운전시간에 알맞는 윤활과 방청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상존하며, 먼지 및 불순물의 퇴적현상, 유로막힘 현상 등 부작용도 자주 발생한다.
예컨대 유로막힘과 같은 부작용은 정확한 고장부위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아 정비가 어렵다. 또한, 일부 기계의 일시적인 과다 사용시마다 전체 공압배관 경로상에 윤활유가 과다 송출되면 이는 곧 윤활유의 과다 소모로 이어지고 비용측면 및 관리측면에서 재보충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중소 작업현장에서는 만성적인 윤활유 부족상태에서 공압기계를 운전하고 있으며 이는 보유한 공압시스템 및 공압기계의 수명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착안된 것으로서, 공압실린더에서 공압로터까지 다양한 압력과 유량의 범위에서 작동하는 각종 공압기계의 작동부위에 별도의 개별 급유장치를 추가하지 않고도 최소한의 장비와 유지비용으로 각 기계의 사용환경과 구동방식에 최적화된 오일을 개별적으로 적당량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장 핵심적인 구조로서 공압배관을 주배관(10)과 별도로 보조적으로 간헐 작동하는 오일공급배관(11)으로 나누고, 각 연결지점 마다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방향전환밸브, 구동밸브, 감압밸브 등을 유기적으로 배치하여 대기압까지 오일공급배관(11) 내 압력이 대기압까지 떨어진 상태에서 분무식으로 오일을 투입하는 구성을 착안하였다.
압력이 차 있는 주배관(10) 상에 직접 오일을 투입하는 사출급유 방식은 액상의 분사가 이루어지므로 소량을 단속적으로 투입하기 어렵다. 그러나 주배관에서 분기된 별도의 배관을 대기압까지 떨어뜨렸다가 다시 상승시키는 방법을 적용한다면 분기된 배관(오일공급배관(11))이 대기압에 가까운 상태이므로 저압의 스프레이식 분사기를 단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오일의 단위 분사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구조이면서, 동시에 압력이 재상승하는 과정에서 단위부피당 유증기량이 매우 적어지는 구조, 다시 말해서 공압배관 내의 유증기압이 크게 낮아지는 구조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공압배관 내의 유증기압이 낮아지면 유동중인 오일입자가 서로 덜 뭉치게 되며, 이것은 공급되는 오일이 공압기계의 입력단 끝까지 관로 내 축적 없이 쉽게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별도 분기관(오일공급배관)의 감압 후 재가압 구조는 통상의 유압회로에서는 구현하기 어렵다. 회수경로가 반드시 필요한 유압회로에서는 폐회로 내에서 릴리프밸브와 동등한 정도의 속도로 급속 감압시키는 감압밸브는 적용 자체가 어려울 뿐 아니라, 유압유가 지닌 관성질량으로 인해 주배관 및 보조배관의 압력변동 및 압력 재일치 과정에서 심각한 맥동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회로구조 및 각 밸브의 유기적인 작동구조는 공기 및 오일입자의 누설에 대한 자유도와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의 관로 내 맥동현상, 그리고 공기의 빠른 유동성으로 인한 급속 재가압 특성 등 압축공기가 지닌 특유의 차별화된 성질을 유감없이 이용한 효과적인 구조이며, 종래의 일반적인 유공압 회로설계에서 쉽게 착안해내기 어렵다.
이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가 따른다.
종래의 윤활/방청장치는 특정 공압기계에 적합한 유종과 유량을 공급하기 위해서 해당 공압기계의 입력단 또는 작동부 자체에 직접 윤활기를 부착하여야만 하였고, 이에 따라 초기 투자비용의 증가는 물론, 이후에도 오일공급관리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본 발명의 확장설계에 따르면 다양한 송출량과 압력 범위 내에서 작동하는 다종, 다수의 공압기계에 각각 최적화된 오일류를 선택적으로 적정량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캔 형 스프레이를 실린더 카트리지에 끼우는 방식으로 오일 캔의 일부 또는 전부 교환이 가능하므로 시스템 작동 중에도 압력누설이나 운전정지 등 에 구애되지 않고 쉽게 오일을 재보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덧붙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50)가 구비된 하나의 오일 공급장치와 각 입력단에 부착되는 간단한 플로우센서(40) 만으로도 각 공압기계의 작동환경과 사용패턴에 맞는 최적의 오일류를 적정량 공급할 수 있다. 이는 곧 오일류의 소모를 줄여 시스템 유지비용을 절감해 줄뿐 아니라 각 공압기계와 공압배관에 오일류가 과다 누적되어 일어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막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과제해결수단을 바탕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도면에 포함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 기술하는 구체적인 실시예(specific example)에서 특정 기술용어를 포함한 구성요소들과 그들을 서로 결합한 특정 결합구조가 본 발명에 포괄적으로 내재한 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기초적인 공압기계 구동회로에 2개의 역류방지용 밸브, 3개의 작동밸브와 1개의 센서를 결합한 본 발명의 기초적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우측에서부터, 필터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압축기로 압축되어 탱크에 저장되며, 압축된 공기는 주배관(=main pipe)(10) 경로를 통해 공압기계(Pneumatic machine)로 공급된다.
상기 주배관(10)과 에어탱크 사이에는 방향전환밸브(22)가 배치되며, 여기에 본 발명에서 윤활 및 방청제가 투입, 공급되는 오일공급배관(11)이 연결된다.
오일공급배관(11)에는 제2지점(13)까지 이르는 경로 내에 분무식 오일공급기(30)와 역류방지용 밸브, 감압밸브(20)가 배치되며, 제2지점(13)을 지나 공압기계로 입력되는 주배관 출구단 쪽에는 플로우센서(40)가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공압기계가 소모하는 공기유량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로우센서(40)의 회로기호는 통상의 유량계 회로기호에다 누적합계를 의미하는 Σ기호가 표시된 누적제어형 유량감지 센서임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배관(10)과 오일공급배관(11)에는 제2지점(13)에서 서로 합류하기 전에 역류방지용 밸브(예컨대 통상적으로 쓰이는 체크밸브 등)가 각각 배치되는데 이들은 공압기계에서 에어탱크 쪽으로, 또는 공압기계에서 분무식 오일공급기(30) 쪽으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막아준다.
특히 오일공급배관(11) 경로 상에 배치되는 역류방지용 밸브로 인해 주배관(10) 의 공기의 흐름은 오일공급배관의 관로 내 압력저하량에 관계없이 공압기계 쪽으로만 흐르게 된다. 이것은 주배관(10)의 압력을 유지한 채로 오일공급배관(11)의 압력을 떨어뜨리는 데 있어 감압밸브(20)와 더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회로요소이다.
상기 오일공급배관(11)에서 분기되며, 상기 분무식 오일공급기(30)와 상기 제2지점(13) 사이에 배치되는 감압밸브(20)는 릴리프밸브기호로 표시하였는데, 이 의미는 통상적인 감압, 즉 압력을 서서히 떨어뜨리는 것뿐만이 아니라, 급속 배출, 다시 말해서 분무식 오일공급기(30) 내의 스프레이 캔이 분사될 수 있을 정도로 배관 내 압력을 대기압에 가깝게 급속히 떨어뜨리는 기능을 가진 밸브라는 뜻이다.
도 1a의 상태를 살펴보면, 방향전환밸브(22)는 주배관(10)에 압력을 유지시키고 있으며, 감압밸브(20)는 완전히 열린 상태, 즉 오일공급배관(11)은 대기압 상태이다.
상기 감압밸브(20)는 평소에는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해 닫혀 있다가 플로우센서(40)의 감지값에 의해 작동시점이 되면 먼저 열려서 오일공급배관(11) 내부가 스프레이 분사 가능할 정도의 압력으로 떨어지게 한다.
한편 구동밸브(21)는 주배관의 압력을 분무식 오일공급기(30)의 작동실린더에 전달하지 않고 있으므로, 현재 분무식 오일공급기(윤활기 회로기호와 공압실린더 회로기호의 합으로 표시되었다.)는 작동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도 1b는 도 1a에서 구동밸브(21)에 의해 오일공급기가 작동하여 대기압 상태에서 오일공급배관 내에 분무된 오일을 머금은 공기가 채워진 상태이다.
이때 도 1c와 같이 감압밸브(20)가 닫히고, 방향전환밸브(22)가 작동하면 오일공급배관에 탱크로부터의 공기압이 차오르고 이후 플로우 센서를 거쳐 공압기계 쪽으로 공급된다.
이 상태의 오일함유 공기는, 대기압에 가까운 상태에서 오일혼합공기를 만든 다음 개별적으로 공급하므로 재압축 과정에서 압력과 온도 상승으로 인해 유증기압이 낮아지면서 오일입자와 완전히 융화된 상태의 공기이므로 직분사식 액상의 윤활유 투입기보다 더 효율적으로 공압기계의 구동부 구석구석을 파고들 수 있다.
도 1a~1c의 과정을 시간에 따른 진행단계로 설명한다면,
1단계: 플로우센서(40)로부터 감지량이 (제어부에) 입력하는 단계,
2단계: 상기 감지량에 의해 감압밸브(20)를 조작하는 단계,
3단계: 상기 감압밸브(20)의 작동량에 의해 구동밸브(21)를 조작하여 오일공급기(30)가 오일을 분사하는 단계,
4단계: 상기 구동밸브(21)의 작동량에 의해 방향전환밸브(22)를 조작하여 오일공급배관(11) 내의 혼합기를 주배관(10)으로 압송하는 단계로 기술할 수 있다.
도 1a~1c에서 각 밸브의 작동량과 작동시간 조절은 플로우센서(40)를 통해서 얻어진 측정치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수행하는 것이 도 2의 제어부(50)이다.
도 2a에서 제어부(50)는 빨간색의 입력선으로 플로우센서(40)의 누적유량 측정값을 전송받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플로우센서에 연결된 공압기계의 현재시점 사용량을 판단하게 된다. 즉 공압기계가 상당량의 작업시간 동안 윤활 또는 방청제 투입이 되지 않았음이 유량 누적값에 의해 판단되면, 제어부는 파란색 출력선으로 밸브(20,21,22)에 신호를 보내어 오일공급기(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솔레노이드 등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밸브(20,21,22)들은 작동시간을 콘트롤할 수 있으므로 오일공급기(30)의 작동시간, 다시 말해서 분사량 제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b는 오일공급배관(11) 상에 두 개의 분무식 오일공급기(30)가 배치된 경우이다. 이때 각 공급기마다 서로 다른 유종(예컨대 윤활제와 방청제를 따로 쓰는 유동)을 탑재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유종만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각 오일공급기(30)의 공압피스 톤 작동단에는 피스톤 제어밸브(23)가 추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제어밸브(23)로 인해 구동밸브(21)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도 우측의 오일공급기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c는 4개의 공압기계에 각각 플로우센서(40)가 연결되고 이로부터 각 공압기계 당 사용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50)가 3종의 유종이 탑재된 3개의 분무식 오일공급기(30)를 제어하는 상태를 나타낸 공압회로도이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작동중인 부분이며, 예컨대 오일1과 오일3이 필요한 공압기계가 작동 중에 있을 때, 플로우센서(40)로부터 감지량을 전달받은 제어부가 이를 오일공급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나머지 공압기계는 작동하고 있지 않으므로 자연스럽게 오일공급이 되지 않을 것이나, 복수의 공압기계가 작동하고 있을 때 특정 공압기계에 오일을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면 별도의 제어밸브를 필요에 따라 추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분무식 오일공급기(3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인데 누름식 오일스프레이 캔(33)과, 상기 캔(33)이 장착되는 장착대(31)와, 상기 캔(33)의 누름작용을 수행하는 피스톤(32)과 상기 피스톤(32)을 작동후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
오일스프레이 캔(33)은 시판중인 제품의 전형적인 외관과 작동방식에 맞게 설정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캔 입구 부분의 확실한 리턴(분사중지)을 위해 별도의 작동판과, 추가 리턴스프링(35)을 배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2a에 도시된 공압회로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것이 다. 도 2a는 ISO VG32 터빈유와 같은 통상의 복합유로 윤활과 방청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도면에서 플로우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량을 누적 측정하고, 그에 따라 공압기계에 투입된 공기량 대비 오일 미분사량과 공압기계의 총 대기시간(운전 및 정지시간)에 따른 오일 미 분사시간이 산출된다. (감지단계)
상기와 같은 감지단계에 의해 오일의 분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되고(오일분사 판단단계), 공압기계의 사용량이 많이 누적되어 추가 윤활이 필요하다거나, 공압기계가 오랫동안 정지해 있어 방청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밸브작동단계에서 도면과 같이 감압밸브, 구동밸브, 방향전환밸브가 상호 유기적으로 동작하면서 오일공급배관 내에 오일을 분사하고 이를 공압기계 쪽으로 보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어패턴은 도 2a와 같은 특정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고, 플로우센서의 개수, 오일공급기의 개수에 따라 제어패턴은 적절히 수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구체화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 기재된 기술구성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단순한 변경제작 및 간단한 확장 설계를 추가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고유한 기술사상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장치는 탱크에 저장된 오일을 별도의 배관를 통해 공압 기계에 가압 방식으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공압배관의 압축공기로 작동되는 실린더형 작동기구에 통상의 스프레이 타입을 장착하여 대기압에 가까운 상태에서 분무되어 공급되는 구조여서 오일류로 상용화된 다양한 윤활제와 방청제 제품을 캔(33) 상태 그대로 끼워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오일류의 기밀저장을 위한 저장탱크, 또는 압력사출에 필요한 분사기와 같은 추가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초기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다양한 신제품 공압기계에 적합한 최신 오일류를 즉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오일공급기는 압력이 유지되는 별도의 폐회로 상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오일캔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곧 산업현장에서 전체시스템의 가동/정지 여부와 상관없이 유지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결과적으로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 방법은 시스템 운용압력에 관계없이 일단 대기압에 가까운 상태에서 오일혼합공기를 만든 다음 개별적으로 공급하므로 재압축 과정에서 압력과 온도 상승으로 인해 유증기압이 낮아지면서 오일입자가 압축공기와 완전히 융화되는, 고품질의 윤활유 함유공기를 생성시킨다. 따라서 강압과 승압 과정에서 시스템 전반에 발생하는 미소한 맥동 또는 압력지연현상을 없애고, 분사량과 누설량에 따른 총 투입 유량을 정밀 제어하는 추가설계가 뒤따른다면, 초고압에서 작동하는 고정밀 자동 공압머신에도 매우 유효한 윤활장치로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오일공급장치의 기본 실시예에 대한 공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 오일공급장치의 확장 실시예에 대한 공압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중 분무식 오일공급기 구조에 관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공급방법 중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흐름도.
*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 주배관 11: 오일공급배관
12: 제1지점 13: 제2지점
20: 감압밸브 21: 구동밸브
22: 방향전환밸브
23: 피스톤 제어밸브
30: 분무식 오일공급기
31: 장착대 32: 피스톤
33: 누름식 오일스프레이 캔
40: 플로우센서 50: 제어부

Claims (6)

  1. 주배관(10);
    상기 주배관(10)의 공기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22);
    상기 방향전환밸브(22)에서 분기되어, 상기 주배관(10)의 제2지점(13)에서 합류하는 오일공급배관(11);
    상기 오일공급배관(11) 경로상에 배치되는 분무식 오일공급기(30);
    상기 오일공급배관(11)에서 분기되어 배치되며, 상기 분무식 오일공급기(30)와 상기 제2지점(13) 사이에 배치되는 감압밸브(20); 및
    상기 주배관(10)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제2지점(13)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을 감지하는 플로우센서(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장치는, 주배관(10)의 공기압을 상기 분무식 오일공급기(30)의 작동동력으로 전환시키는 구동밸브(21)와;
    상기 플로우센서(40)와, 상기 감압밸브(20)와, 상기 구동밸브(21) 및 상기 방향전환밸브(22)과 연결되고, 상기 플로우센서(40)의 감지량에 따라 상기 감압밸브(20)와 상기 구동밸브(21) 및 상기 방향전환밸브(22)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센서(40)와 상기 분무식 오일공급기(30)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구동밸브(21)와 상기 분무식 오일공급기(30) 사이에는 상기 분무식 오일공급기(30)를 상기 구동밸브(21)와 연결 또는 차단하는 피스톤 제어밸브(2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식 오일공급기(30)는 누름식 오일스프레이 캔(33)과, 상기 캔(33)이 장착되는 장착대(31)와, 상기 캔(33)의 누름작용을 수행하는 피스톤(32)과 상기 피스톤(32)을 작동후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5.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센서(40)로부터 감지량이 입력되는 제1단계;
    상기 감지량에 의해 감압밸브(20)를 조작하는 제2단계;
    상기 감압밸브(20)의 작동량에 의해 구동밸브(21)를 조작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구동밸브(21)의 작동량에 의해 방향전환밸브(22)를 조작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방법.
  6. 적어도 하나의 플로우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량을 누적 측정하는 제1-(1)단계;
    상기 누적 측정된 감지량으로부터 특정 플로우센서(40)의 출력단에 공급될 오일종류와 오일량을 판단하는 제1-(2)단계;
    상기 판단된 결과에 의해 감압밸브(20)를 조작하는 제2-(1)단계;
    상기 판단된 결과에 의해 복수의 피스톤(32)을 선택적으로 구동밸브(21)에 연결하는 제2-(2)단계;
    상기 감압밸브(20)의 작동량에 의해 상기 구동밸브(21)를 조작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구동밸브(21)의 작동량에 의해 방향전환밸브(22)를 조작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방법.
KR1020090104000A 2009-10-30 2009-10-30 분무식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방법 KR10093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00A KR100939011B1 (ko) 2009-10-30 2009-10-30 분무식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방법
PCT/KR2010/007311 WO2011052937A2 (ko) 2009-10-30 2010-10-25 공압기계에 대한 윤활/방청용 오일공급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4000A KR100939011B1 (ko) 2009-10-30 2009-10-30 분무식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956A KR20090119956A (ko) 2009-11-23
KR100939011B1 true KR100939011B1 (ko) 2010-01-26

Family

ID=4160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4000A KR100939011B1 (ko) 2009-10-30 2009-10-30 분무식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9011B1 (ko)
WO (1) WO201105293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269B1 (ko) 2016-07-12 2017-09-13 박병권 고효율 자동 유체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97309A (zh) * 2013-11-28 2014-04-02 南通宝钢钢铁有限公司 一种容积计量式集中喷油润滑系统
CN105697967B (zh) * 2016-04-29 2018-02-16 桂林电器科学研究院有限公司 薄膜拉伸生产线链铗链节油气润滑装置
KR102148625B1 (ko) * 2020-02-20 2020-08-27 박민주 공압해머용 오일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578B1 (ko) * 1988-01-12 1996-01-09 가부시끼가이샤 고마쓰세이사꾸쇼 공장내에 배관된 공기 공급관로의 윤활장치
KR19990007488U (ko) * 1997-07-31 1999-02-25 김종진 에어실린더 오일공급장치
KR100247332B1 (ko) 1994-08-18 2000-05-01 오상수 공압식 기름분무장치
KR20040101268A (ko) * 2002-03-05 2004-12-02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롤링 베어링의 윤활 방법 및 윤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244A (ja) * 1996-06-17 1998-01-13 Toyo Kikaku Kk 空気作動機械の給油装置
KR100451568B1 (ko) * 2000-07-07 2004-10-06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 엑츄에이터의 윤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578B1 (ko) * 1988-01-12 1996-01-09 가부시끼가이샤 고마쓰세이사꾸쇼 공장내에 배관된 공기 공급관로의 윤활장치
KR100247332B1 (ko) 1994-08-18 2000-05-01 오상수 공압식 기름분무장치
KR19990007488U (ko) * 1997-07-31 1999-02-25 김종진 에어실린더 오일공급장치
KR20040101268A (ko) * 2002-03-05 2004-12-02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롤링 베어링의 윤활 방법 및 윤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269B1 (ko) 2016-07-12 2017-09-13 박병권 고효율 자동 유체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956A (ko) 2009-11-23
WO2011052937A3 (ko) 2011-11-03
WO2011052937A2 (ko) 201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011B1 (ko) 분무식 공압기계 오일공급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공압기계의 윤활 및 방청방법
CN201836626U (zh) 一种智能油润滑系统
US7665578B2 (en) Device and procedure for providing a fine mist of oil
JP2005509814A (ja) 潤滑剤噴射装置
CN201884908U (zh) 油气集中润滑系统
CN105888766A (zh) 大型柴油发动机
CN103140329A (zh) 用于破碎工具的润滑系统
CN201462373U (zh) 油气润滑系统检测控制装置
US8210318B2 (en) Minimum oil machining system
US20110120803A1 (en) Minimal lubrication device
CN201265378Y (zh) 高频钻机水雾化、油雾化集成系统
CN111425749A (zh) 基于间歇性有压流体的单循环定量添加阀及使用方法
ATE341728T1 (de) Hydraulische anordnung für fahrzeuggetriebe
CN105587985A (zh) 一种潜孔钻机用的油雾器
EP4217638A1 (en) Lubricant delivery apparatus
CN210567439U (zh) 一种自动加油装置
US6736155B1 (en) Air oiler filler
CN202070582U (zh) 拉丝机润滑补给结构
CN204044384U (zh) 专用曲轴深油孔清洗检漏堵装置
CN102310112A (zh) 拉丝机润滑补给结构
CN206373701U (zh) 一种机床冷却微润滑装置
CN206310214U (zh) 无气型润滑剂喷射润滑装置
KR20080071251A (ko) 운전 중 급유가 가능한 유체미스트 제조장치
CN220851683U (zh) 一种新型钻杆油脂润滑系统
KR101582496B1 (ko) 컴프레서 오일 퓸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