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314B1 - 선재 페이오프 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페이오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314B1
KR100938314B1 KR1020070122860A KR20070122860A KR100938314B1 KR 100938314 B1 KR100938314 B1 KR 100938314B1 KR 1020070122860 A KR1020070122860 A KR 1020070122860A KR 20070122860 A KR20070122860 A KR 20070122860A KR 100938314 B1 KR100938314 B1 KR 100938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plate
wire
rotating plate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959A (ko
Inventor
윤종서
이상헌
신윤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3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28Turntables, i.e. package resting on a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34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packages

Landscapes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선재가 권취되는 보빈; 상기 보빈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봉이 상면에 형성되고 하면이 축중심 하방으로 경사진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된 보빈플레이트; 중심부가 상기 다각뿔 형상의 꼭지점과 연결되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 운동하는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회전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된 돌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하면과 맞닿아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기울어진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권취된 선재의 송출 시 선재와 플렌지 등과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장력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선재의 단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미세한 장력에도 단선의 위험이 있는 극세선의 송출시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페이오프, 송출기, 보빈, 극세선

Description

선재 페이오프 장치{APPARATUS OF WIRE PAY-OFF}
본 발명은 선재를 효과적으로 송출하는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권취된 선재의 송출 시 보빈의 기울어진 방향을 변화시켜 선재에 가해질 수 있는 장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장력발생에 의한 단선을 줄일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선재가 권취된 보빈을 일정한 축에 보빈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하여 선재를 송출하거나, 보빈을 바닥에 놓고 상기 보빈에 권치된 선재를 끌어 올리는 형태로 선재를 송출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방법은 선재가 송출되는 경우 송출되는 선재가 보빈의 플랜지 등에 엉키거나 꼬일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바닥에 놓고 끌어올리는 경우에는 보빈 플랜지에 선재가 닿으면서 과도한 장력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그로 인해 상기 선재가 단선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보빈축의 회전을 제어하여 선재가 과도하게 풀리거나 과도한 장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 방법은 정밀한 전자기계적 장치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상기 방법을 선재의 송출작업이 대량으로 빈번히 이루어지는 작업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페이 오프 장치보다 구현비용을 줄일 수 있고, 권취된 선재의 송출 시 보빈 플랜지에 선재가 닿아 선재에 가해질 수 있는 장력을 방지함으로써 단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선재가 권취되는 보빈; 상기 보빈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봉이 상면에 형성되고 하면이 축중심 하방으로 경사진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된 보빈플레이트; 중심부가 상기 다각뿔 형상의 꼭지점과 연결되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 운동하는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회전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된 돌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하면과 맞닿아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기울어진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기울어진 방향을 더욱 자연스럽게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다각뿔 형상을 원추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하면 중심부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최하부 또는 최상부에 이탈방지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 또는 상기 보빈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설치된 상기 이탈방지 플랜지가 유격되어 설치되도록 중심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 플랜지와 상기 삽입홈의 접면에는 제1베어링이 개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된 받침판과 연결되어 지지되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보빈플레이트와 맞닿는 최상부에 제2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보빈플레이트는 상기 돌출수단과 맞닿는 면이 윤활면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원은 회전운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보빈에 권취된 선재가 송출되는 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수단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돌출수단이 설치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상기 돌출수단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통공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지름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딩홈이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가이딩홈에 결합되고 슬라이딩되어 설치위치가 조정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봉은 상기 보빈의 장착시 보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장치가 일단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기계, 전기적 제어방식의 페이 오프 장치보다 구현비용을 줄일 수 있고, 권취된 선재의 송출 시 보빈 플랜지에 선재가 닿아 선재에 가해질 수 있는 장력을 방지함으로써 단선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미세한 장력에도 단선의 위험이 있는 극세선의 송출시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선재(10)가 권취되는 보 빈(20), 보빈플레이트(30), 회전플레이트(50), 돌출수단(60) 및 구동원(90)을 포함한다.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거치봉(40)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봉(40)에 상기 선재(10)가 권취된 보빈(20)이 장착된다. 작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선재가 권취된 보빈의 교체 등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므로 상기 거치봉(40)은 상기 보빈(20)이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플레이트(50)는 중심부가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상기 다각뿔 꼭지점과 연결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하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원추 꼭지점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원(90)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한다. 이때 상기 회전플레이트(50)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상기 회전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된 돌출수단(60)은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다각뿔 또는 원추형 하면과 맞닿아 상기 회전플레이트(5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며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기울어진 방향을 변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기울어진 방향이 변화된다는 것의 의미를 도 1을 참조하여 추가 설명하면,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수단(60)은 좌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우측이 바닥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상기 돌출수단(60)은 상기 구동원(9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플레이트(50)의 회전 운동에 따라 같은 동선을 그리며 움직이게 되고 그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기울어진 방향이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수 단(60)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여 180도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보빈플레이트(30)는 앞서 예와 반대로 좌측이 바닥을 향해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돌출수단(60)이 상기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보빈플레이트(30)는 후면부가 바닥을 향해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설명은 반시계방향에 따른 특정 각도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플레이트(50)가 반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예 각각에 대한 연속성 상에서 보빈플레이트의 기울기가 연속적으로 변하게 되므로, 돌출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거치봉(40)에 장착된 보빈(20)의 기울어진 방향도 또한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기울어진 방향과 함께 변화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보빈플레이트는 세차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함께 보빈도 선재의 송출과 함께 세차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상기 보빈(20)의 변화하는 기울기에 맞춰서 상기 선재(10)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선재가 상기 보빈의 플랜지에 닿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창출하여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과 같이 상기 선재의 송출 시 상기 보빈의 플랜지에 상기 선재가 맞닿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장력의 증가로 인해 상기 선재가 단선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하면이 다각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돌출수단이 상기 다각뿔 형상의 면을 따라 회전하다 모서리에 위치하여 회전하게 될 때에는 면과 접하여 이동되는 경우보다 큰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마찰력이 극복되는 순간 힘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회전력이 응축되는 효과가 있고, 그로 인한 반동으로 상기 선재의 송출시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기울기의 변화와 함께 반동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동력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권취된 선재의 송출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하지만,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하면은 더욱 연속적인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원추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작업현장의 상황이나 작업내용에 따라 당업자 간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력을 상기 보빈플레이트(30)에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보빈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50)의 연결 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한 힘이 상기 보빈플레이트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빈플레이트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 1 및 2에서는 상기 구동원(90)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면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면 설치된 위치에 대한 다양한 변형례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상기 돌출수단(60)에 의해 움직이는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기울어짐의 방향 변화가 더욱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70)가 설치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도 3처럼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하면 중심부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 도 3에 일 예로 도시된 용수철과 같이 유연하면서 탄성력이 존재하는 다양한 부재를 의미하며,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수직방향으로의 지지력을 유지하면서 외부 힘에 의하여 방향성이 변화될 수 있는 부재라면 어떠한 탄성부재라도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상기 보빈플레이트(30) 또는 회전플레이트(5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에 삽입홈(53)이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부재(70)의 최하부 또는 최상부에 도 4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보다 직경이 큰 이탈방지 플랜지(7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 플랜지(71)와 상기 삽입홈(53)의 접면에는 제1베어링(52)이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 플랜지(71) 및 상기 삽입홈(53)은 선재의 송출 시 수행되는 회전운동이나 원하지 않은 외부 충격이나 구성요소 간의 오동작 등에 의해 상기 보빈플레이트(3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50)의 연결상태가 분리 및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 및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제1베어링(52)은 선재(10)의 송출시 수행되는 회전플레이트의 회전력이 상기 보빈(20)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력을 흡수하여 분산시키기 위해서 개재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53)은 상기 도 4a 및 4b처럼 상기 보빈플레이트(30)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회전플레이트(5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력의 전달을 더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1베어링의 측면에도 베어링을 개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운동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이 상기 보빈플레이트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탄성부재(70)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된 관통공(51)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된 받침판(80)과 연결되어 지지되되, 상기 관통공이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가 회전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보빈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50)에는 상기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70)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80)과 상기 보빈플레이트(30)를 연결하고, 상기 보빈플레이트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70)가 상기 관통공(51)을 통과하는 부분을 살펴보면 상기 관통공은 상기 탄성부재가 통과한 후에도 여유 공간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관통공은 접촉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회전플레이트(50)의 회전운동은 상기 탄성부재(70)나 상기 보빈플레이트(30)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 플레이트(50)의 지지방법에 대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추론 가능하고, 자명한 내용에 해당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수단의 최상부에 제2베어링이 설치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상기 돌출수단(60)의 동선에 따라 상기 돌출수단과 상기 보빈플레이트(30)가 맞닿은 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 마모 등과 같은 작업방해요소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수단(60)의 상기 보빈플레이트(30)와 맞닿는 최상부에 제2베어링(67)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시된 원활한 회전운동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한정되어 해석되기보다는 상기 제2베어링(67)이 사용된 것과 같이 돌출수단(60)의 동선에 따라 생성되는 마찰력이 보빈플레이트(30)에 전달되지 않도록 동선에 따라 회전하는 도르레 등이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당업자 간에 다양한 변형례가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돌출수단(60)과 맞닿는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면을 윤활면(31)으로 구성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며 더욱 부드럽고 원활한 회전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상기 윤활면(31)의 구체적인 위치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하부를 의미한다.
상기 윤활면은 오일 또는 구리스 등과 같이 표면 마찰력이 작은 물리적 성질을 가진 재료를 도포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에서 상기 구동원(90)은 상기 회전플레이트(5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구동원이 가능하며, 회전 또는 토크 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회전모터(9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에 권치된 선재가 송출되는 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91)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상기와 같이 작업의 환경에 따라 선재의 송출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선재에 가해지는 장력을 더 효과적으로 조율함은 물론 송출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를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연결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나 상기 회전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의 구성방법은 송출이 요구되는 선재의 속도와 이에 따른 선재의 권취 길이 및 보빈의 플랜지의 직경에 대한 정보 등을 사전에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변수에 대응되는 회전모터의 속도 또는 토크 등을 연산함으로써 간단히 실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 방법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자명하므로 그 구체적이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권취된 선재를 걸림없이 송출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보빈 및 플랜지의 크기나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기울어지는 방향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그 기울기의 크기 또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1실시예로 상기 돌출수단의 높낮이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도 7a 및 7b을 참조하여 그 자세한 구성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기 돌출수단(60)은 핀(63)이 삽입될 수 있는 하나의 홈을 가진 제1부재(62)와 하나 이상의 홈을 가진 제2부재(61)로 나누어 구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부재(62)와 제2부재(61)의 홈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조절하여 결합하고, 조절된 홈에 핀(63)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돌출수단(6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 상기 제1부재(62)의 홈과 상기 제2부재(61)의 가장 하단에 위치한 홈을 같은 높이로 조절하고 핀을 삽입하면 돌출수단(60)의 높이는 가장 높게 조절되는 것이고, 상기 제1부재의 홈과 상기 제2부재의 가장 상단에 위치한 홈을 같은 높이로 조절하고 핀을 삽입하면 돌출수단(60)의 높이는 가장 낮게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수단(60)은 상기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안테나의 형식으로 구성하여 그 높이를 자유로이 신축가능하도록 구성하고 그 모양이 지속될 수 있도록 지지핀이나 너트 등의 지지수단(미도시)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기울기는 상기 돌출수단(60)이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된 위치 즉,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같은 높이의 돌출수단을 사용하는 것이여도 돌출수단이 설치된 위치가 회전플레이트의 중심부에서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보빈플레이트의 기울기가 더 크게 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기초로 보빈플레이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제 2실시예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상기 돌출수단이 설치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치조정수단이 구비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회전플레이트(50)의 지름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딩홈(54)이며, 상기 돌출수단(60)은 상기 가이딩홈(54)에 결합되고 슬라이딩되어 설치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68)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68)은 너트에 의한 볼트결합으로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볼트결합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조정수단이 구비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 도 9처럼 상기 회전플레이트(50)에 상기 돌출수단(60)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통공(55)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돌출수단(60)이 착탈 가능하여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기울기를 작업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9에서는 상기 통공(55)의 위치가 원의 지름에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되었지만 이것은 지그재그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회전플레이트(50)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통공이 형성되는 형태보다 상기 통공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른 회전플레 이트의 중심부로부터의 이격된 정도에 의하여 상기 기울기의 조절기능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설치 위치에 대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더라도 상기 통공이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해당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봉에 형성된 이탈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는 상기 보빈(20)이 상기 보빈플레이트(30)의 상면에 형성된 거치봉(4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보빈이 회전운동을 하게 되므로 더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상기 거치봉(40)에 상기 보빈(20)의 장착시 보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41)를 일단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장치(41)의 구성을 상기 도 10에서는 핀과 홀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마개나, 너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20)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상기 이탈방지장치 또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재 페이오프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플레이트의 하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홈이 형성된 보빈플레이트 또는 회전플에이트에 탄성부재가 연결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탄성부재가 회전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보빈플레이트와 회전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수단의 최상부에 제2베어링이 설치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수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치조정수단이 구비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조정수단이 구비되는 일실시예를 도 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봉에 형성된 이탈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재 20 : 보빈
30 : 보빈플레이트 40 : 거치봉
50 : 회전플레이트 60 : 돌출수단
70 : 탄성부재 80 : 받침대
90 : 구동원 91 : 제어모듈

Claims (14)

  1. 선재가 권취되는 보빈;
    상기 보빈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거치봉이 상면에 형성되고 하면이 축중심 하방으로 경사진 다각뿔 형상으로 형성된 보빈플레이트;
    중심부가 상기 다각뿔 형상의 꼭지점과 연결되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 운동하는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된 회전플레이트 상면에 설치된 돌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하면과 맞닿아 회전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기울어진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뿔 형상은,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플레이트의 하면 중심부는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회전플레이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최하부 또는 최상부에 이탈방지 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 또는 상기 보빈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에 설치된 상기 이탈방지 플랜지가 유격되어 설치되도록 중심부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 플랜지와 상기 삽입홈의 접면에는 제1베어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부에 구비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된 받침판과 연결되어 지지되되, 상기 관통공은 상기 탄성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보빈플레이트와 맞닿는 최상부에 제2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플레이트는,
    상기 돌출수단과 맞닿는 면이 윤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회전운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에 권취된 선재가 송출되는 속도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수단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돌출수단이 설치되는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상기 돌출수단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중심과 이격된 거리가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지름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딩홈이며, 상기 돌출수단은 상기 가이딩홈에 결합되고 슬라이딩되어 설치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봉은,
    상기 보빈의 장착시 보빈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가 일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페이오프 장치.
KR1020070122860A 2007-11-29 2007-11-29 선재 페이오프 장치 KR100938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860A KR100938314B1 (ko) 2007-11-29 2007-11-29 선재 페이오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860A KR100938314B1 (ko) 2007-11-29 2007-11-29 선재 페이오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59A KR20090055959A (ko) 2009-06-03
KR100938314B1 true KR100938314B1 (ko) 2010-01-22

Family

ID=4098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860A KR100938314B1 (ko) 2007-11-29 2007-11-29 선재 페이오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7035A (zh) * 2019-08-28 2019-11-05 南通鑫唐纺织印染有限公司 一种防断线防尘纱线筒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7465U (ko) 1974-06-14 1975-12-26
JPS53159472U (ko) 1977-05-20 1978-12-14
EP0180909A1 (de) 1984-11-03 1986-05-14 Max Refflinghaus Maschinen- und Werkzeugfabrik GmbH & Co. KG Ablaufhaspel
JPH09507268A (ja) * 1993-12-29 1997-07-22 ヌオーヴァ・ロイ・エレクトロテックス・ソシ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織機用の糸口の出口において糸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7465U (ko) 1974-06-14 1975-12-26
JPS53159472U (ko) 1977-05-20 1978-12-14
EP0180909A1 (de) 1984-11-03 1986-05-14 Max Refflinghaus Maschinen- und Werkzeugfabrik GmbH & Co. KG Ablaufhaspel
JPH09507268A (ja) * 1993-12-29 1997-07-22 ヌオーヴァ・ロイ・エレクトロテックス・ソシ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織機用の糸口の出口において糸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59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5004B2 (ja) 回転クランプ装置
KR101773150B1 (ko) 페이즈 쉬프터를 위한 멀티 구동 장치
KR100938314B1 (ko) 선재 페이오프 장치
JP2012051680A (ja) 移載装置
NL1031566C2 (nl) Beluchtingsinrichting.
CN106181929B (zh) 一种稳定性高的设备支撑台机构
KR100540420B1 (ko) 케이블 구조
CN110748563B (zh) 磁悬浮装置及其旋转升降机构
KR102029419B1 (ko) 높이 조절 장치
JP2011037552A (ja) エレベータの荷重検出装置
JP2010228027A (ja) ねじ締め機
KR101667529B1 (ko) 수술용 로봇
JP6745683B2 (ja) 液体塗布ユニット、液体塗布装置および液体塗布方法
KR102217662B1 (ko)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JP4610303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給油装置
CN106224728B (zh) 一种易调节的设备支撑台机构
WO2015019384A1 (ja) 風力発電装置
CN106205740A (zh) 一种精密仪器用的支撑台装置
CN106122717B (zh) 一种结构稳固的设备支撑台组件
CN106217025B (zh) 一种方便调节的设备支撑台机构
CN106151803A (zh) 一种可指示的仪器设备用支撑台装置
JP5066506B2 (ja) コイルバネ形成方法およびコイルバネ
CN106247117B (zh) 一种仪器用的支撑台结构
CN103158963A (zh) 挡药组件
JP5674967B1 (ja) 多自由度ロック装置付き支持ア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