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051B1 -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모발 처리제와 상기처리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 Google Patents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모발 처리제와 상기처리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051B1
KR100938051B1 KR1020057019447A KR20057019447A KR100938051B1 KR 100938051 B1 KR100938051 B1 KR 100938051B1 KR 1020057019447 A KR1020057019447 A KR 1020057019447A KR 20057019447 A KR20057019447 A KR 20057019447A KR 100938051 B1 KR100938051 B1 KR 100938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ilicone
formula
hai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800A (ko
Inventor
이치로 오노
기요미 다치바나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2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1 분자 중에 1 개 이상의 가수분해성 실일기를 갖는 A)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모발 처리제 및 상기 모발 처리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가 제공된다. 상기 모발 처리제 및 화장료는 양호한 컨디셔닝 효과를 보다 길게 유지시킨다.

Description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모발 처리제와 상기 처리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HAIR TREATMENT COMPRISING ACRYLIC/SILICONE COPOLYMER AND COSMETIC HAIR PREPARATION CONTAINING THE TREATMENT}
본 발명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모발 처리제와 상기 처리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모발 처리제는 헤어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등의 모발으로의 부여 효율을 높이고, 또한 이들 효과의 지속성을 향상시킨다.
종래부터 매일같이 머리를 감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파마나 컬러링을 함으로써 이들 물리적ㆍ화학적 영향에 의한 모발의 손상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손상된 모발에 대해서는 컨디셔닝이 필요하다. 컨디셔닝제로서는 유분, 양이온 계면활성제, 단백질 및 그 가수분해물, 보습제, 고급 알콜, 유화물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유분, 양이온 계면활성제, 단백질 및 이의 가수분해물, 보습제, 고급 알콜, 유화물 등에 의한 컨디셔닝 효과는 1 회의 세발(洗髮)에 의해 사라져 지속성이 없다.
그러므로, 내세발성(耐洗髮性)이 뛰어난 컨디셔닝 효과가 지속되는 모발 처리제의 개발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컨디셔닝 효과를 지속하는 방법으로서는 예 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26236호에는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 모발을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 폴리실록산에 의한 처리는 일정한 효과가 있지만, 충분하지 않으며 처리 후에도 미반응의 Si-H가 잔존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수소 가스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양호한 컨디셔닝 효과를 보다 길게 지속하는 모발 처리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연구의 결과, 1 분자 중에 1 개 이상의 가수분해성 실일기를 갖는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 모발 처리제 및 상기 처리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모발 화장료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종래의 처리제의 문제가 해결되어 컨디셔닝 효과가 높으며, 또한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1 분자 중에 1 개 이상의 가수분해성 실일기를 갖는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모발 처리제 및 상기 처리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모발 화장료이다.
상기 가수분해성 실일기로서 -Si(CH3)3-m(OR)m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아미노 변성 실리콘, 아미노산 변성 실리콘 및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개 이상을 함유하는 제 1제와 상기 모발 처리제를 함유하는 제 2제로 이루어진 2제계 모발 화장료, 또한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제 3제로 이루어지고, 3제계 모발 화장료에도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는 유제, 물, 알콜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수팽윤성 고분자, 계면활성제, 가교형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등의 수지 및 분체 및/또는 착색제 중 1 종류 이상을 함유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액상, 유액 타입, 크림 타입, 고형 타입, 페이스트 타입, 겔 타입, 다층상, 무스 타입, 스프레이 타입, 또는 스틱 타입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는 1 분자 중 1 개 이상의 가수분해성 실일기를 갖는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의 구조에 대해서는 1 분자 중 1 개 이상의 가수분해성 실일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블록 공중합체나 그래프트 공중합체이어도 상관없다. 바람직하게는 모발으로의 흡착성ㆍ반응성 및 처리 효과란 점에서 간폴리머가 아크릴계 중합체로 지폴리머가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아크릴 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이다.
가수분해성의 실일기로서는 -Si-O-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알콕실일기 및 아세톡시실일기를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Si(CH3)3-m(OR)m이며, 여기에서 R은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아랄킬기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개 내지 4개인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다. 가장 바람직한 R은 에틸기이다. 또한, m은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m이 2 또는 3인 경우에는 R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가수분해성 실일기의 예로는 디메틸에톡시실일기, 메틸디에톡시실일기 및 트리에톡시실일기가 포함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톡시실일기이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5057881121-pct00001
Figure 112005057881121-pct00002
Figure 112005057881121-pct00003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R1 내지 R3는 탄소수 1개 내지 30개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및 불소 치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기이며,
R4 및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2개 내지 11개인 알킬렌옥시카르보닐기 또는 페닐렌기이며,
R7은 탄소수 1개 내지 30개인 알킬기이고,
X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수분해성 실일기이며,
n은 3 내지 500인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아크릴 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중합체와 오르가노 폴리실록산을 반응시켜 수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조 및 분자 설계의 용이한 점에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오르가노 폴리실록산화합물,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모노머 및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 실란 화합물을 공중합시키는 이른바 마크로모노머법이 이용된다.
Figure 112005057881121-pc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R1 ~ R3은 탄소수 1개 내지 30개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및 불소 치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유기기이며,
A는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는 라디칼 중합성기이며,
Figure 112005057881121-pct00005
(상기 화학식 7에서, R4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5는 탄소수 2개 내지 11개인 알킬렌옥시카르보닐기 또는 페닐렌기임) 및
n은 3 내지 500인 정수이다.]
Figure 112005057881121-pct00006
(상기 화학식 5에서,
R6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7은 탄소수 1개 내지 30개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5057881121-pct00007
[상기 화학식 6에서,
B는 A에 대해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로부터 단 A와는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기이며,
X는 상술한 가수분해성 실일기이며, 바람직하게는 Si(CH3)3-m(OR8)m이다(여기서, R8은 탄소수 1개 내지 4개인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며, m은 1 내지 3인 정수이 고, m이 2 또는 3인 경우에 R8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화합물은 실리콘 마크로모노머라는 것이며, 한쪽 말단에만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상기 화합물에 의해, 상술한 화학식 1은 유도할 수 있다. 화학식 4에서 A는 라디칼 중합성을 갖는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될 수 있다. A의 예로서는 (메타)아크릴옥시메틸기,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기, (메타)아크릴옥시데실기, 스틸기, α-메틸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옥시프로필기이다.
화학식 1 및 화학식 4에서, R1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톨일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아랄킬기, 트리플로로프로필기, 노나플로로부틸에틸기 등의 불소 치환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촉 등의 점에서 대부분이 메틸기이다.
화학식 1 및 화학식 4에서, n은 3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0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하한값 미만에서는 콘디셔닝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아크릴계 모노머나 라디칼 중합성 실란 화합물과의 공중합성이 나빠져 목적하는 공중합체를 얻기 힘들다.
화학식 5의 아크릴계 모노머에 의해 화학식 2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의 예로서 (메타)아크릴산 메틸, (메타)아크릴산 에틸, (메타)아크릴산 이소프로 필, (메타)아크릴산 n-부틸, (메타)아크릴산 t-부틸, (메타)아크릴산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 트리데실, (메타)아크릴산 스테아릴, (메타)아크릴산 이소스테아릴, (메타)아크릴산 베헤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도 2 종류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산 메틸, 또는 상기 모노머 중 높은 Tg(유리 전이 온도)의 호모폴리머를 부여하는 모노머와 낮은 Tg의 호모폴리머를 부여하는 모노머를 배합하여 사용한다.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 실란 화합물에 의해 상기 화학식 3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의 예로서는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디메틸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부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이소프로페녹시실란, γ-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크릴옥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γ-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스티릴트리에톡시실란, α-메틸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도 2 종류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이 사용된다.
상기 화학식 4, 화학식 5 및 화학식 6의 사용 비율은 화학식 4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이 1 중량% 내지 97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90 중량%, 화학식 5의 아크릴계 모노머가 0 중량%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60 중량%, 화학식 6의 라디칼 중합성 실란 화합물이 1 중 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7 중량%이다. 화학식 4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이 너무 적으면 모발용 처리제에 배합할 때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으며, 너무 많으면 모발료의 흡착성 또는 반응성이 저하된다. 화학식 5의 아크릴계 모노머가 많으면 내수성 등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 또한, 화학식 6의 라디칼 중합성 실란 화합물이 너무 적으면 반응성이 저하되고, 너무 많으면 모발 표면과의 반응만이 아닌 처리제 사이의 반응도 일어나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들 사항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반응비가 결정된다.
상기 성분에 추가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의 양의 다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공중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메타)아크릴산, 푸말산, 말레인산 등의 카르본산, (메타)아크릴산 히드록시에틸, (메타) 아크릴산 히드록시프로필 등의 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산아미드, (메타)아크릴산 퍼플루오로옥틸에틸, (메타)아크릴산 퍼플루오로부틸에틸 등의 불소 치환알킬에스테르,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비닐, 비닐피롤리돈, 폴리옥시에틸렌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프로필렌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옥시 (에틸렌ㆍ프로필렌)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 (트리메틸실록시)실일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트리스 (트리메틸실록시)실일스틸렌 등이 예시된다.
공중합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종래 공지의 용액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괴상(塊狀) 중합 중 어떠한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의 균일성이나 분자량 조정의 용이함에서 용액 중합이 사용된다. 이 경우에 사 용되는 용매로서는 상기 성분 및 중합체를 균일하게 용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는 톨루엔, 크실렌,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n-부탄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n-부틸, 아세트산 이소부틸,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 디쿠밀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 등의 통상의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중합체의 분자량 제어를 목적으로 도데실머캅탄이나 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머캅토 화합물을 연쇄이동제로 사용할 수 있고, 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가수분해성 실일기 함유 화합물의 경우에는 중합체 말단에 가수분해성 실일기가 도입되는 이점도 있다. 수득된 중합체 용액은 그 대로 또는 희석하여 모발 처리에 함께 해도 좋지만, 용제를 제거하여 중합체만을 꺼내어 사용하고, 또는 다른 용제에 재용해하여 사용해도 좋다.
수득된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의 분자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개 내지 200,000개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0개 내지 100,000개이다. 상기 하한값 미만에서는 모발에 처리한 경우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면 화장료에 배합한 경우의 사용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A) 성분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모발 처리제의 사용방법으로서는 (A) 성분 단독으로 예를 들면, 유기용매에 분산시키거나 또는 용해하여 모발에 직접 적용하는 방법에 추가로 수계(水系) 또는 비수계(非水系)의 제 1제로서 아 미노 변성 실리콘, 아미노산 변성 실리콘,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 등을 이용하고, 비수계의 제 2제로서 본 발명의 모발용 처리제를 이용하는 방법 및 수계 또는 비수계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배합한 제 1제, 본 발명의 모발용 처리제를 배합한 비수계의 제 2제, 또한 수계 또는 비수계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제 3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제로서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모발용 처리제를 배합한 비수계의 제 2제를 사용한다. 또는 제 1제로서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모발용 처리제를 배합한 비수계의 제 2제를 사용하고, 또한 수계 또는 비수계의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제 3제를 사용한다. 2제계(劑系), 3제계 어떠한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 아미노 변성 실리콘과 본 발명의 모발 처리제의 상승 효과에 의해 컨디셔닝 효과의 지속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했다.
상기 아미노 변성 실리콘의 예로서는 실리콘 주쇄에 아미노기가 그래프트된 것, 실리콘 주쇄의 한쪽 말단에 아미노기가 부가된 것, 실리콘 주쇄의 양쪽 말단에 아미노기가 부가된 것, 실리콘 주쇄의 양쪽 말단에 아미노기가 부가되고, 또한 아미노기가 그래프트된 것, 실리콘 주쇄에 실리콘쇄와 아미노기가 그래프트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이 사용된다.
Figure 112005057881121-pct00008
[상기 화학식 8에서,
A는 -R10NH2 또는 -R10NHR11NH2(여기에서 R10 및 R11은 탄소수 1개 내지 8개의 알킬렌기임)이며,
R9는 탄소수 1개 내지 30개인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및 불소 치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기이며,
m 및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500인 정수이며, s 및 t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고,단 1≤n+s+t임]
상기 R9의 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의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톨일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아랄킬기, 트리플로로프로필기, 헵타데카플로로데실기 등의 불소 치환 알킬기로 표시되는 유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페닐기, 트리플로로프로필기이다.
또한, R10 및 R11의 예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통상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양한 성분을 포함해도 좋다. 이들 성분은 (A)성분 단독에서의 1제계 뿐만 아니라, 2제계 또는 3제계의 화장료 전체에 대해서 배합할 수 있고, 즉, 제 1제 내지 제 3제 중 어느 하나에 배합해도 2 이상의 것에 배합해도 좋다. 이하, 이들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B)유제를 배합할 수 있다.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고체, 반고체, 액상, 어떤 유제도 사용할 수 있다.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고체, 반고체, 액상, 어떤 유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B)유제의 예로서는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 탄화수소유, 고급 알콜 유제, 에스테르유 및 관용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로서는 아보카드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백랍, 들기름, 올리브유, 카카오 기름, 케이폭 왁스, 비자나무유, 카르나바 왁스, 간유, 칸데릴라 왁스,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 우지, 살구씨 기름, 고래 왁스, 경화유, 소맥 배아유, 참기름, 쌀 배아유, 쌀겨유, 사탕수수 왁스, 산다화유, 샤플라워유, 셰어버터, 뽕나무유, 계피유, 조조바 왁스, 셸락 왁스, 터틀유, 대두유, 차실유, 동백나무유, 달맞이꽃유, 옥수수유, 돼지기름, 유채씨 기름, 일본 오동나무유, 쌀겨 왁스, 배아유, 마지, 살구기름,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피마자유, 피마자유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 기름, 포도기름, 월계 수 왁스, 호호바 오일, 마카데미아너트유, 밀랍, 밍크유, 면실유, 면왁스, 목랍, 목랍핵유, 몬탄왁스, 야자유, 경화야자유, 트리야자유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양기름,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 알콜, 경질 라놀린, 아세트산 라놀린,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POE 라놀린 알콜 에테르, POE 라놀린 알콜 아세테이트,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첨가 라놀린 알콜 에테르, 난황유 등을 들 수 있다. 단,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한다.
탄화수소유로서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스쿠알렌, 셀레신, 파라핀, 파라핀왁스, 유동 파라핀, 프리스탄, 폴리이소부틸렌, 미세 결정 왁스, 바세린 등;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라울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렌산, 아라퀴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도코사헥사엔산(DHA), 이소스테아린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라우릴알콜, 미리스틸알콜, 팔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헥사데실알콜, 올레일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알콜,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POE 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콜),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세라킬알콜)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로서는 아디핀산 디이소부틸, 아디핀산 2-헥실데실, 아디핀산 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린산 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린산 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이소노난산 이소노 닐, 디-2-에틸헥산산 에틸렌글리콜, 2-에틸헥산산 세틸,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옥탄산 세틸, 옥틸도데실검 에스테르, 올레인산 올레일, 올레인산 옥틸도데실, 올레인산 데실,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구연산 트리에틸, 숙신산 2-에틸헥실, 아세트산 아밀,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스테아린산 이소세틸, 스테아린산 부틸, 세바신산 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 디-2-에틸헥실, 젖산 세틸, 젖산 미리스틸, 팔미틴산 이소프로필, 팔미틴산 2-에틸헥실, 팔미틴산 2-헥실데실, 팔미틴산 2-헵틸운데실, 12-히드록시스테아릴산 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미리스틴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 옥틸도데실, 미리스틴산 2-헥실데실, 미리스틴산 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 헥실데실, 라우린산 에틸, 라우린산 헥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등; 글리세라이드유로서는 아세토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탄산 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린산 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 글리세릴, 트리미리스틴산 글리세릴, 미리스틴산 이소스테아린산 디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관용의 실리콘유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저점도로부터 고점도, 바람직하게는 점도 0.65 ㎟/s 내지 1,000,000 ㎟/s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하이드로젠시클로테트라실록산,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등의 환형 실록산, 고중합도의 검 타입 디메틸폴리실록산, 검 타입의 디메틸실록산ㆍ메틸페닐실록산 공중합체 등의 실리콘 고무 및 실리콘 고무의 환형 실록산 용액, 트리메틸실록시 규산, 트리메틸실록시 규산의 환형 실록산 용액, 스테알옥시 실리콘 등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실리콘올, 불소 변성 실리콘, 실리콘 수지 및 실리콘 수지의 환형 실록산 중의 용해물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제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데카린, 퍼플루오로옥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B)유제의 배합량은 제계(劑系)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모발 화장료 전체의 0.1 중량% 내지 99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C)물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배합량은 제계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화장료 전체의 1 중량% 내지 95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D)분자 구조 중에 알콜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할 수 있는 알콜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콜, 소르비톨, 말토스 등의 당(糖)알콜 등이며,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피토스테롤, 라노스테롤 등의 스테롤,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콜 등이다.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중량% 내지 98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E)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를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아라비아고무, 트라 가칸트, 갈락탄, 카로브검, 구아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쿠인스시드(마르멜로),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알게콜로이드, 트란트검, 로커스트빈검 등의 식물계 고분자, 크산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루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등의 전분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니트로셀룰로스, 셀룰로스황산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결정셀룰로스, 셀룰로스말(末)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계 고분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 아미드 또한 피롤리돈이나 타우린계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고분자,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 폴리머 등, 그 외의 합성 수용성 고분자, 벤토나이트,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데라이트, 논토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무수 규산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등이다. 또한, 이들 수용성 고분자에는 폴리비닐알콜이나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피막형성제도 포함된다.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중량% 내지 25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F) 계면활성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성의 활성제가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화장 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떤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예시하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스테아린산 나트륨이나 팔미틴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 비누, 알킬에테르카르본산 및 이의 염, 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축합물염, 알칸설폰산염, 알켄설폰산염, 지방산 에스테르 설폰산염, 지방산 아미드의 설폰산염, 포르말린 축합계 설폰산염,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제 2급 고급 알콜황산 에스테르염, 알킬 및 아릴에테르황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에스테르의 황산 에스테르염, 지방산 알킬올아미드의 황산 에스테르염, 로트유 등의 황산 에스테르염류, 알킬인산염, 에테르인산염, 알킬아릴에테르인산염, 아미드인산염, N-아실아미노산계 활성제 등;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및 아미노알콜 지방산 유도체 등의 아민염, 알킬 사급 암모늄염, 방향족 사급 암모늄염, 피리듐염, 이미다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탄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탄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폴리옥시알킬렌ㆍ알킬 공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알칸올아미드, 당에테르, 당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베타인, 아미노카르본산염, 이미다졸인 유도체, 아미드아민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 전체의 0.1 중량% 내지 2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G)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자중(自重) 이상의 량인 0.65 ㎟/s(25 ℃) 내지 10.0 ㎟/s (25 ℃)의 저점도 실리콘으로 팽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가교제는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알케닐기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Si-H 결합을 함유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의 반응생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폴리글리세린 부분, 알킬 부분, 알케닐 부분, 아릴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부분을 함유하는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이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으로서는 화장료의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3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관용의 H) 실리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로서는 아크릴/실리콘 그래프트 또는 블럭 공중합체의 아크 릴실리콘 수지로서 가수분해성 실일기를 갖지 않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루오로알킬 부분, 카르본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가수분해성 실일기를 갖지않은 아크릴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성성분으로서 MQ, MDQ, MT, MDT, MDTQ로 나타내는 실리콘 망형상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및 플로우로알킬 부분, 아미노 부분 중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실리콘 망형상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으로서는 모발 화장료의 총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20 중량%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I) 분체 및/또는 착색제를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분체로서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 형상(구형상, 침형상, 판형상 등)이나 입자 직경(연무 타입, 미립자, 안료급 등), 입자구조(다공질, 무공질 등)를 불문하고,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기 분체, 유기 분체,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 유색 안료, 펄 안료, 금속 분말 안료, 천연색소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무기분체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 바륨, 황산 칼슘, 황산 마그네슘,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백운모, 합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운모, 규산, 무수규산, 규산 알루미늄, 규산 마그네슘, 규산 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 칼슘, 규산 바륨, 규산 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바미큐라이트, 하이드라이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스 파우더, 제 2 인산 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브롬,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분체로서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폴리에스테르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폴리프로필렌 파우더, 폴리스티렌 파우더, 폴리우레탄, 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셀룰로스, 실크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12나일론, 6나일론, 디메틸실리콘을 가교한 구조를 가진 가교형 실리콘 미분말,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의 미분말, 가교형 실리콘상에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이 결합한 복합분체, 스티렌ㆍ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비닐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규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미결정 섬유 분체, 전분말, 라우로일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 금속염 분체(금속 비누)로서는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미리스틴산 아연, 미리스틴산 마그네슘, 세틸인산 아연, 세틸인산 칼슘, 세틸인산 아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유색 안료의 구체예로서는 산화철, 수산화철, 티탄산철의 무기 적색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블랙 등의 무기 흑색 안료, 망간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 안 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 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 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천연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및 이들 분체를 복합화한 합성 수지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펄 안료로서는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티탄 피복 마이카, 옥시염화 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 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탈크, 어린박(魚鱗箔), 산화티탄 피복 착색 운모 등; 금속 분말 안료로서는 알루미늄 파우더, 카파 파우더, 스테인레스 파우더 등; 타르 색소로서는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오렌지색 201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오렌지색 206호, 오렌지색 207호 등; 천연색소로서는 카르민산, 락카인산, 카르사민, 브라질린, 크로신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분체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분체를 복합화한 것이나 일반 유제, 실리콘유, 불소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으로 처리한 것도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배합량으로서는 모발 화장료 전체의 0.1 중량% 내지 99 중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유용성 겔화제, 유기 변성 점토광물, 수지, 자외선 흡 수제, 자외선 흡수 산란제, 보습제, 방부제, 항균제, 향료, 염류, 산화방지제, pH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 미용용 성분[미백제, 세포 부활제, 피부 거침 개선제, 혈행(血行)촉진제, 피부수렴제, 항지누제(抗脂漏劑) 등],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화합물(包接化合物), 모발용 고형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유용성 겔화제로서는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징크미리스테이트 등의 금속 비누,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 α,γ-디-n-부틸아민 등의 아미노산 유도체, 덱스트린팔미틴산 에스테르, 덱스트린스테아린산 에스테르, 덱스트린2-에틸헥산산 팔미틴산 에스테르 등의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락토올리고당 스테아린산 에스테르, 이누린2-에틸헥산산 스테아린산 에스테르 등의 프락토올리고당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팔미틴산 에스테르, 자당 스테아린산 에스테르 등의 자당 지방족산 에스테르, 모노벤질리덴소르비톨, 디벤질리덴소르비톨 등의 소르비톨의 벤질리덴 유도체, 디메틸벤질도데실암모늄몬모릴로나이트클레이, 디메틸디옥타데실암모늄몬모릴나이트클레이 등의 유기 변성 점토광물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겔화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 흡수제, 안트라닐산 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 흡수제, 살리실산 메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 파라메톡시 계피산 옥틸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 흡수제,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우로카닌산 에틸 등의 우로카닌산계 자외선 흡수제,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계 자외 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자외선 흡수산란제로서는 미립자 산화티탄, 미립자 철함유산화티탄,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산화 세륨 및 이들의 복합체 등, 자외선을 흡수산란하는 분체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글루코스, 크실리톨, 말티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히알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피롤리돈카르본산염,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시드 등이 있다.
방균방부제(防菌防腐劑)로서는 파라옥시 안식향산 알킬에스테르,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 칼륨, 페녹시에탄올 등, 항균제로서는 안식향산, 살리실산, 석탄산, 소르빈산, 파라옥시 안식향산 알킬에스테르, 파라클로로메타크레졸, 헥사클로로펜, 염화벤잘코늄, 염화클로로헥시딘,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 감광소(感光素), 페녹시에탄올 등이 있다.
산화방지제로서는 토코페롤,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피틴산 등, pH 조정제로서는 젖산, 구연산, 글리콜산, 숙신산, 주석산, d1-말산,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등, 킬레이트제로서는 알라닌, 에디트산나트륨염,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인산 등, 청량제(淸凉劑)로서는 L-멘톨, 캄퍼 등, 항염증제로서는 아란토인, 글리틸리틴산 및 이의 염, 글리틸리틴산 및 글리틸리틴산 스테아릴, 트라넥삼산, 아쥴렌 등을 들 수 있다.
피부 미용용 성분으로서는 태반 추출액, 알부틴, 글루타티온, 유키노시타추출물 등의 미백제, 로얄젤리, 감광소, 콜레스테롤 유도체, 송아지 혈액 추출액 등 의 세포부활제, 피부 거침 개선제, 노닐산 바레닐아미드, 니코틴산 벤질에스테르,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에스테르, 캅사이신, 징겔론, 칸타리스팅크, 익터몰, 카페인, 탄닌산, α-보로네올, 니코틴산 토코페롤, 이노시톨헥사니코티네이트, 시클란디레이트, 신날리딘, 트라졸린, 아세틸콜린, 페라파밀, 세파란틴, γ-올리자놀 등의 혈행촉진제, 산화아연, 탄닌산 등의 피부수렴제, 유황, 티안트롤 등의 항지누제 등을 들 수 있다.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 A 종류, 레틴올, 아세트산레티놀, 팔미틴산 레틴올 등의 비타민 A 종류, 리보플라빈, 락산 리보플라빈, 플라빈아데닌누클레오티드 등의 비타민 B2 종류, 피리독신염산염, 피리독신디옥탄올에이트, 피리독신트리팔미테이트 등의 비타민 B6 종류, 비타민 B12 및 이의 유도체, 비타민 B15 및 이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 B 종류, L-아스코르빈산, L-아스코르빈산 디팔미틴산 에스테르, L-아스코르빈산-2-황산 나트륨, L-아스코르빈산 인산 디에스테르디칼륨 등의 비타민 C 종류, 에르고칼시페롤, 콜레칼시페롤 등의 비타민 D 종류,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아세트산 d1-α-토코페롤, 니코틴산 d1-α-토코페롤, 숙신산 d1-α-토코페롤 등의 비타민 E 종류, 비타민 H 종류, 비타민 P, 니코틴산, 니코틴산 벤질, 니코틴산 아미드 등의 니코틴산 종류, 판토테인산 칼슘, D-판토테닐알콜,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아세틸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의 판토테인산 종류, 비오틴 등이 있다.
아미노산 종류로서는 글리신,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페닐알라닌, 알기닌, 리진,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 닌, 트리프토판 등, 핵산으로서는 디옥시리보핵산 등, 호르몬으로서는 에스트라디올, 에테닐에스트라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모발고정용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양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인 각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고,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비닐피롤리돈계 고분자 화합물, 메틸비닐에테르/무수말레인산 알킬하프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산성 비닐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 아세트산 비닐/크로톤산 공중합체 등의 산성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고분자, (메타)아크릴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알킬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산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 N-메타크릴로일에틸-N, N-디메틸암모늄ㆍα-N-메틸카르복시베타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옥틸아미드 공중합체 등의 양성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셀룰로스 또는 이의 유도체, 케라틴 및 콜라겐 또는 이의 유도체 등의 천연 유래 고분자 화합물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액상, 유액 타입, 크림 타입, 고형 타입, 페이스트 타입, 겔 타입, 다층상, 무스 타입, 스프레이 타입, 스틱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히 지적하지 않는 한, 이하에 기재하는 「%」는 「중량%」를 의미한다.
(합성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냉각기를 구비한 유리로 제작한 플라스크에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5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 중량%,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40 중량%,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5 중량%, 상기 모노머 종류 합계 중량과 동일 중량의 톨루엔 및 모노머 종류와 톨루엔과의 합계 중량에 대해 1 중량%의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토릴을 넣고, 질소 기류하에 가열하여 100 ℃에서 10시간 중합 반응을 실시했다. 다음으로, 톨루엔을 감압하에 증류제거하여 모발용 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것은 담황색의 고체로 융점은 30 ℃이었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2,000이었다.
Figure 112005057881121-pct00009
(합성예 2)
제조예 1과 동일한 조작으로 상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5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 부틸메타크릴레이트 7.5 중량%,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5 중량% 및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5 중량%의 공중합 반응을 실시하고, 모발용 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것은 담황색의 투명한 수지이며, 연화점은 93 ℃이었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5,000이었다.
(합성예 3)
제조예 1과 동일한 조작으로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90 중량%,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 중량% 및 γㆍ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5 중량%의 공중합 반응을 실시하고, 모발용 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얻었다. 이것은 무색 투명한 액체이며, 25 ℃에서의 점도는 270 ㎟/s, 비중은 0.981, 굴절율은 1.4152이었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1,000이었다.
Figure 112005057881121-pct00010
실시예 1 헤어스프레이 ( 1제 타입)
(성분) 중량(%)
1 합성예 2 5.0
2 에탄올 95.0
상기 성분을 혼합하여 스프레이 용기에 충전하여 헤어스프레이를 조제했다.
수득된 헤어스프레이에 대해 여성 5 명의 전문 패널에 의해 사용 테스트를 실시하고, 이들 모발의 빗질감, 촉촉함, 유연성, 광택을 헤어스프레이를 적용하지 않은 부분의 머리카락과 비교하여 관찰하고, 하기에 표시한 기준에 따라 평가를 실시했다.
빗질감 촉촉함, 유연성, 광택
5 점 좋다 있다
4 점 약간 좋다 약간 있다
3 점 보통 보통
2 점 약간 나쁘다 약간 없다
1 점 나쁘다 없다
수득된 평균점에 대해 하기의 기준에 따라 A 내지 E로 판정했다.
평균점의 판정:
수득된 평균점이 4. 5 점 이상 A
수득된 평균점이 3. 5 점 이상 4. 5 점 미만 B
수득된 평균점이 2. 5 점 이상 3. 5 점 미만 C
수득된 평균점이 1. 5 점 이상 2. 5 점 미만 D
수득된 평균점이 1. 5 점 미만 E
비교예 1
합성예 2를 대신하여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헤어스프레이를 조제 및 평가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57881121-pct00011
상기 표 1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스프레이에서 처리한 모발은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으로 처리한 모발에 비해 빗질감이 좋고, 촉촉하며, 유연하고, 광택이 있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2 내지 5, 비교예 2 내지 4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각 모발 처리료를 조제했다.
Figure 112005057881121-pct00012
(주 1) 아미노 변성 실리콘; KF-8005(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주 2)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용액; KF-9013(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
다음으로, 각 모발 처리 화장료의 평가를 시험용 모발을 이용하여 실시했다.
시험용 모발은 샴프를 한 통상의 모발 6.0 g(길이 20 ㎝)을 이용하고, 브리치제로 브리치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했다.
시험용 모발의 각각에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은 각 모발 처리 화장료의 제 1제 1 g을 각각 도포하고, 물로 세정을 실시한 후에 제 2제 1 g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실시예 4는 제 1제 및 제 2제로 상기와 동일하게 모발을 처리하고, 또한 제 3제 1 g을 도포한 후, 실시예 5는 물로 세정한 후 제 2제 1 g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각 모발을 통상의 조건으로 헤어트리트먼트를 이용하여 처리한 후, 흐르는 물에 헹구고, 건조시켰다.
또한, 통상의 조건에서 샴프, 헤어트리트먼트, 건조처리를 1 사이클로 하여, 연속 20 사이클을 반복하여 처리를 실시했다.
수득된 처리 직후 및 연속 20 사이클 처리 후의 모발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여성 5 명의 전문 패널에 의해 모발의 빗질감, 촉촉함, 유연성, 광택을 통상의 모발과 비교하여 관찰하고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5057881121-pct0001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발 처리 화장료는 비교예에 비해 빗질감, 촉촉함, 유연성, 광택 모든 점에서 뛰어나고, 또한 헤어트리트먼트제의 모발으로의 부여효율을 높인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는 연속 20 사이클 처리 후의 모발에 대해서도 처리 직후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고, 뛰어난 내세발성(耐洗髮性)을 나타낸다. 특히, 실시예 2와 실시예 5 또는 비교예 4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처리제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과 병용됨으로써 모발에 대해 지속성이 있는 피막을 형성하고, 빗질감 및 광택을 지속시킨다는 것을 알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이용하여 상기 지속 효과를 나타냈지만, 아미노산 변성 실리콘 및 카르복시 변성 실리콘의 모발 처리제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28)

  1.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구성단위를 포함하고, 가수분해성 실일기를 갖는 A)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처리제(毛髮處理劑).
    (화학식 1)
    Figure 112009052629366-pct00022
    (화학식 2)
    Figure 112009052629366-pct00023
    (화학식 3)
    Figure 112009052629366-pct00024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에서,
    R1 내지 R3는 탄소수 1개 내지 5개인 알킬기이며,
    R4 및 R6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5는 탄소수 2개 내지 11개인 알킬렌옥시카르보닐기이며,
    R7은 탄소수 1개 내지 5개인 알킬기이고,
    X는 -Si(CH3)3-m(OR)m 으로 표시되는 가수분해성 실일기이며,
    (여기에서, R은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며, m은 1 내지 3인 정수이고, m이 2 또는 3인 경우에는 R은 서로 상이할 수 있음)
    n은 9 내지 200의 정수이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 내지 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처리제.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모발 처리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7. 실리콘 주쇄에 아미노기가 그래프트된 것, 실리콘 주쇄의 한쪽 말단에 아미노기가 부가된 것, 실리콘 주쇄의 양쪽 말단에 아미노기가 부가된 것, 실리콘 주쇄의 양쪽 말단에 아미노기가 부가되고 또한 아미노기가 그래프트된 것, 및 실리콘 주쇄에 실리콘쇄(鎖)와 아미노기가 그래프트된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제 1 제와, 제 1 항에 기재된 모발 처리제를 포함하는 제 2 제로 이루어진 2제계(劑系) 모발 화장료.
  8. 제 7 항에 기재된 2제계 모발 화장료와,
    실리콘 주쇄에 아미노기가 그래프트된 것, 실리콘 주쇄의 한쪽 말단에 아미노기가 부가된 것, 실리콘 주쇄의 양쪽 말단에 아미노기가 부가된 것, 실리콘 주쇄의 양쪽 말단에 아미노기가 부가되고 또한 아미노기가 그래프트된 것, 및 실리콘 주쇄에 실리콘쇄(鎖)와 아미노기가 그래프트된 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을 포함하는 제 3 제로 이루어진 3제계 모발 화장료.
  9. 삭제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아미노 변성 실리콘은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화학식 8)
    Figure 112009052629366-pct00017
    [상기 화학식 8에서,
    A는 -R10NH2 또는 -R10NHR11NH2(여기에서 R10 및 R11은 탄소수 1개 내지 8개인 알킬렌기임)이며,
    R9는 탄소수 1개 내지 30개인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및 불소 치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기이고,
    m 및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500인 정수이며,
    s 및 t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고, 단 1≤n+s+t이다.]
  11. 제 6 항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천연 동식물 유지, 반합성 유지, 탄화수소유, 고급 알콜유,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및 불소계유로부터 선택되는 유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 유제는 점도 0.65 ㎟/s 내지 1,000,000 ㎟/s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환형상 실록산 및 환형상 실록산에 용해되거나 또는 분해된 실리콘 고무 또는 실리콘 수지 또는 레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13. 삭제
  14. 제 6 항에 있어서,
    C) 성분으로서 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15. 제 6 항에 있어서,
    D) 성분으로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소르비톨, 말토스, 콜레스테롤, 시트스테롤, 피트스테롤, 라노스테롤,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부틸렌글리콜, 및 펜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분자구조 중에 알콜성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16. 삭제
  17. 제 6 항에 있어서,
    F) 성분으로서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F) 계면활성제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F) 계면활성제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20. 제 6 항에 있어서,
    G) 성분으로서 1분자 중에 2개의 알케닐기를 함유하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Si-H 결합을 함유하는 오르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의 반응 생성물인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G)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자중(自重) 이상의 양의 점도 0.65 ㎟/s 내지 10.0 ㎟/s의 실리콘에 팽윤된 형태로 화장료에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22. 삭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G)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폴리글리세린 부분, 알킬 부분, 알케닐 부분, 아릴 부분, 플루오로알킬 부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부분을 상기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구조 중에 갖는 가교형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24. 제 6 항에 있어서,
    H) 성분으로서 가수분해성 실일기를 함유하지 않은 아크릴실리콘 수지, MQ, MDQ, MT, MDT 또는 MDTQ로 표시되는 실리콘 그물형상 화합물 및 피롤리돈 부분, 장쇄 알킬 부분, 폴리옥시알킬렌 부분, 플루오로알킬 부분 및 아미노 부분으로부터 선택되는 부분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실리콘 그물형상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25. 제 6 항에 있어서,
    I) 성분으로서 분체, 착색제 또는 분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I) 분체, 착색제 또는 분체 및 착색제는 디메틸실리콘을 가교시킨 구조를 가진 가교형 실리콘 미분말(微粉末),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의 미분말, 소수화 실리카 또는 구형상 실리콘 고무 표면을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로 피복된 복합 미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27. 제 6 항에 있어서,
    액상, 유액 형상, 크림 형상, 고형상, 페이스트 형상, 겔 형상, 다층 형상, 무스 형상, 스프레이 형상 또는 스틱 형상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28. 제 1 항에 기재된 모발 처리제를 조제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오르가노폴리실록산 화합물 1 중량% 내지 97 중량%,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모노머 0 중량% 내지 95 중량%, 및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실란 화합물 1 중량% 내지 10 중량%를 공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09052629366-pct00018
    [상기 화학식 4에서,
    R1 내지 R3은 탄소수 1개 내지 5개인 알킬기이며,
    A는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기이고,
    (화학식 7)
    Figure 112009052629366-pct00019
    (상기 화학식 7에서, R4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5는 탄소수 2개 내지 11개인 알킬렌옥시카르보닐기임),
    n은 9 내지 200의 정수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9052629366-pct00020
    (상기 화학식 5에서,
    R6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7은 탄소수 1개 내지 5개인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6)
    Figure 112009052629366-pct00021
    (상기 화학식 6에서,
    B는 A에 대해 상술한 것과 동일한 기로부터 선택되며, 단 A와는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기이며,
    R8은 탄소수 1개 내지 4개인 알킬기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m이 2 또는 3인 경우에 R8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KR1020057019447A 2003-04-14 2003-04-14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모발 처리제와 상기처리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KR100938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4706 WO2004091563A1 (ja) 2003-04-14 2003-04-14 アクリルシリコーン共重合体からなる毛髪処理剤及び該処理剤を含有する毛髪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800A KR20050120800A (ko) 2005-12-23
KR100938051B1 true KR100938051B1 (ko) 2010-01-21

Family

ID=3319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447A KR100938051B1 (ko) 2003-04-14 2003-04-14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모발 처리제와 상기처리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198804A1 (ko)
EP (1) EP1618926B1 (ko)
JP (1) JP4377339B2 (ko)
KR (1) KR100938051B1 (ko)
AU (1) AU2003236257A1 (ko)
DE (1) DE60327897D1 (ko)
WO (1) WO2004091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2899B2 (en) * 2001-06-07 2010-05-25 Shin-Etsu Chemical Co., Ltd. Surface-treated powder and cosmetic preparation
JP5402063B2 (ja) * 2008-03-13 2014-01-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US9243113B2 (en) * 2009-10-23 2016-01-26 Dow Corning Corporation Silicone compositions comprising a swollen silicone gel
WO2011137563A1 (en) 2010-05-07 2011-11-10 Unilever Plc High solvent content emulsions
US8592376B2 (en) * 2011-12-06 2013-11-26 Avon Products, Inc Hair care compositions
US9492363B1 (en) 2012-01-16 2016-11-15 American Spraytech, L.L.C. Aerosol sprayable color composition
US10903106B2 (en) * 2014-06-10 2021-01-26 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Layered body of temporary adhesive
KR102641156B1 (ko) * 2018-11-06 2024-02-28 주식회사 케이씨씨실리콘 에멀젼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0356A1 (en) 2001-06-07 2002-12-19 Shin-Etsu Chemical Co., Ltd. Surface-treated powder and cosmetic pr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1477A (en) * 1989-08-07 1991-06-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siloxane-grafted copolymer topical binder composition with novel hydrophilic monomers and method of coating therewith
JP3192159B2 (ja) * 1991-04-18 2001-07-23 大阪有機化学工業株式会社 整髪剤用基剤
DE19642623A1 (de) * 1996-10-16 1998-04-23 Wella Ag Haarreinigungsmittel mit Festigungseigenschaften
DE19642622A1 (de) * 1996-10-16 1998-04-23 Wella Ag Haarbehandlungsmittel mit langanhaltenden Festigungseigenschaften
WO1998054255A1 (fr) * 1997-05-30 1998-12-03 Shiseido, Co., Ltd. Copolymere contenant des groupes silyles reactifs, compositions contenant ce copolymere et methode de traitement afferente
US6280748B1 (en) * 1998-06-12 2001-08-28 Dow Corning Toray Silicone, Ltd. Cosmetic raw material cosmetic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 products
JP4376989B2 (ja) * 1998-12-22 2009-12-02 東レ・ダウコーニング株式会社 固体材料用撥水処理剤
JP3726119B2 (ja) * 2000-02-18 2005-12-14 玉理化学株式会社 毛髪コンディショニング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毛髪のコンディショニ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100356A1 (en) 2001-06-07 2002-12-19 Shin-Etsu Chemical Co., Ltd. Surface-treated powder and cosmetic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8926A1 (en) 2006-01-25
JPWO2004091563A1 (ja) 2006-07-06
US20060198804A1 (en) 2006-09-07
WO2004091563A1 (ja) 2004-10-28
JP4377339B2 (ja) 2009-12-02
KR20050120800A (ko) 2005-12-23
EP1618926B1 (en) 2009-06-03
DE60327897D1 (de) 2009-07-16
EP1618926A4 (en) 2006-07-10
AU2003236257A1 (en)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403B1 (ko) 표면처리 분체 및 화장료
KR101108723B1 (ko) 실리콘 중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US7862895B2 (en) Organopolysiloxane combination for surface treatment, powder treated with the combination, and cosmetic comprising the powder
KR101078077B1 (ko) 유기폴리실록산과 그 제법 및 상기 유기폴리실록산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8997B1 (ko) 복합 입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화장료
KR100938050B1 (ko)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모발 처리제와 상기 처리제를 함유하는모발 화장료
JP5508209B2 (ja) 化粧料
JP5402063B2 (ja) 化粧料
TWI812674B (zh) 化妝料及其製造方法
KR20070090823A (ko)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분체 처리제, 상기 처리제에 의해처리된 분체, 및 상기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KR20060037267A (ko) 화장료
CN115209870A (zh) 化妆品组合物
JP4491305B2 (ja) 化粧料用組成物
KR100938051B1 (ko) 아크릴 실리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모발 처리제와 상기처리제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JP2009084187A (ja) 化粧料
KR20190134611A (ko) 화장료
JP2009084188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