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825B1 - 연료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825B1
KR100937825B1 KR1020070130853A KR20070130853A KR100937825B1 KR 100937825 B1 KR100937825 B1 KR 100937825B1 KR 1020070130853 A KR1020070130853 A KR 1020070130853A KR 20070130853 A KR20070130853 A KR 20070130853A KR 100937825 B1 KR100937825 B1 KR 100937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ignal
quality
sensor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477A (ko
Inventor
김용은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3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8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by investigating the di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88Lubricating oil characteristics, e.g. deteri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의 품질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품질 검사가 필요한 연료와 접촉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일정한 신호를 송출하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로부터 송출된 후, 상기 연료를 통과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와; 상기 변환된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푸리에 변환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연료의 품질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그리고 상기 판단된 연료의 품질의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연료, 품질, 검사, 휘발유, 정품

Description

연료 검사장치{Fuel Te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등에 주입되는 연료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유되는 연료에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보낸 후, 그 신호의 푸리에 변환 값을 이용하여 주유되는 연료가 정품 연료인지 또는유사 연료인지를 검사할 수 있는 연료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유가 시대에 휘발유를 대신하여 유사 휘발유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이 유사 휘발유를 제조 및 판매하는 행위는 불법에 해당되나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소비가 증가하고, 유사 휘발유를 정품 휘발유로 속여 판매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유사 휘발유의 거래를 근절하고자,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는 합동단속반을 구성 및 배치하여 유사 휘발유의 제조 및 판매를 단속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휘발유의 정품, 유사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가스크로마토그라피(Gas Chromatography), 적외선분광계(FT-IR) 등과 같은 고가의 정밀 분석기기 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방법은 고가인 관계로 특정 기관에서만 보유하고 있으며, 기기의 이동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즉시 또는 수시 검사에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분석법을 이용하여 전국에 약 2만여 개소에 이르는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휘발유를 모두 수시로 검사하기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등에 주유되는 연료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쉽고 간편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장기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연료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는, 품질 검사를 원하는 연료가 흘러가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일정한 신호를 송출하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로부터 송출되고 상기 연료를 통과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와; 상기 변환된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푸리에 변환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연료의 품질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된 연료의 품질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접지된 다수의 철심과 상기 발진기에 연결된 다수의 철심이 칫솔모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연료의 품질을 영상 또는 음성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정품 연료를 통과한 신호의 푸리에 변환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연료와 상기 센서의 접촉시간을 일정시간 동안 확보 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의 일부를 일정시간 동안 보관하는 임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는, 차량, 오토바이 등에 장착되는 휴대용 연료 검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는, 주유되는 다양한 연료가 정품 연료 즉, 가솔린 차량의 경우, 정품 휘발유인지 유사 휘발유인지를 실시간으로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는, 상기 주유구의 일측에 주유구를 통하여 주유되는 연료의 일부를 일정시간 동안 보관하여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는, 차량 등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여 실시간으로 연료의 정품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 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는, 품질 검사가 필요한 연료와 접촉하는 센서(110)와; 상기 연료와 상기 센서(110)의 접촉시간을 일정시간 동안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의 일부를 일정시간 동안 보관하는 임시 저장부(180)와; 상기 센서(110)에 일정한 신호를 송출하는 발진기(120)와; 상기 발진기(120)로부터 송출된 후, 상기 연료를 통과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130)와; 상기 변환된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는 변환부(140)와; 정품인 양질의 연료에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보낸 후, 그 신호의 푸리에 변환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170)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값과 상기 푸리에 변환된 신호 값을 근거로 상기 연료의 품질을 판단하는 판단부(150)와; 상기 판단된 연료의 품질의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110)는, 접지된 다수의 철심과 상기 발진기에 연결된 다수의 철심이 칫솔모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사 연료의 불순물들이 상기 센서(110)에 접촉되어 정확한 센싱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한 푸리에 변환 값을 얻기에 바람직한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연료의 품질을 영상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료가 정품이 아니고, 유사품인 경우, 이를 알리 는 경고음을 내거나 또는 경고등이 켜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차량, 오토바이 등에 장착되어 휘발유 또는 경유 등의 정품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휴대용 연료 검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차량 등에 장착되어 휘발유의 정품 여부를 검사하는 휴대용 연료 검사장치의 일시예를 도 2 ~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차량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의 센서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주유구(210)를 통해서 연료 즉, 가솔린 차량의 경우, 휘발유가 주유되면 그 일부가 임시 저장부(180)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임시 저장부(180)의 저면에는 작은 구멍(18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임시 저장부(180)에 저장된 연료가 조금씩 상기 작은 구멍(181)을 통해 주유탱크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임시 저장부(180) 내에 위치한 센서(110)는 상기 주유된 연료와 일정시간동안 계속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센서(110)는 상기 차량의 주유구(210)에 주유되는 연료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그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도 3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형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110)는 인쇄회로기 판(Printed Circuit Board, PCB)(111)에 다수의 철심(112)이 다수의 열의 형태로 꽂혀 있는 칫솔모 형태이다. 여기서, 홀수 열의 다수의 철심(112a)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진기(120)에 연결되고, 짝수 열의 다수의 철심(112b)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된다. 또는, 마찬가지로 홀수 열의 다수의 철심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에 연결되고, 짝수 열의 다수의 철심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진기(1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진기(120)는 상기 주유된 연료와 접촉한 상태에 있는 상기 센서(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계속 송출한다.
그리고,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130)는 상기 발진기(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발진기(120)로부터 송출된 후 상기 센서(120) 및 상기 연료를 통과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변환부(140)는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130)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변환된 신호를 푸리에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부(140)는 64포인트 고속 푸리에 변환기(Fast, Fourie Transformer)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 경제적이고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판단부(150)는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값과 상기 변화부(140)의 출력 값인 상기 푸리에 변환된 신호 값을 비교하여 상기 연료의 품질을 판단한다. 즉, 상기 판단부(150)는 상기 주유되는 연료가 정품 연료인지 아니면 유사 연료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70)에는 정품 연료인 양질의 연료에 상기 발진기(120)의 송출 신호를 통과시킨 후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푸 리에 변환한 값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170)에는 다양한 연료의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즉, 정품 휘발유, 정품 경유, 정품 등유 그리고 정품 항공유 등 다양한 연료의 기준 값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검사하고자 하는 연료의 종류별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170)를 근거로 유사 휘발유, 유사 등유, 그리고 유사 항공유 등을 검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판단부(150)로 부터 판단된 결과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60)는 정품 연료인 경우에는,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지만, 질이 나쁜 유사 연료인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160)는 경고음 소리를 내거나 또는 경고등 켜서 사용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현된 본 발명은 주유되는 다양한 연료가 정품 연료 즉, 가솔린 차량의 경우, 정품 휘발유인지 유사 휘발유인지를 실시간으로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값싼 비용으로 구현 가능하여 생산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주유구의 일측에 주유구를 통하여 주유되는 연료의 일부를 일정시간 동안 보관하여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센서의 형태가 다수개의 철심이 칫솔모 형태로 구현되어, 유사 연료의 찌꺼기 등에 의해 막히거나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확하고, 장시간 동안 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는, 차량 등에 쉽고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여 실시간으로 연료의 정품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량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검사장치의 센서를 확대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Claims (6)

  1. 품질 검사가 필요한 연료와 접촉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일정한 신호를 송출하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로부터 송출된 후, 상기 연료를 통과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와; 상기 변환된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푸리에 변환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연료의 품질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그리고 상기 판단된 연료의 품질의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는,
    접지된 다수의 철심과 상기 발진기에 연결된 다수의 철심이 칫솔모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연료의 품질을 영상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검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양질의 연료를 통과한 신호의 푸리에 변환 값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검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와 상기 센서의 접촉시간을 일정시간 동안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연료의 일부를 일정시간 동안 보관하는 임시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검사장치.
  5. 품질 검사가 필요한 연료와 접촉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일정한 신호를 송출하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로부터 송출된 후, 상기 연료를 통과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와; 상기 변환된 신호를 푸리에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푸리에 변환된 신호를 근거로 상기 연료의 품질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그리고 상기 판단된 연료의 품질의 상태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량, 오토바이에 장착되는 휴대용 연료 검사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검사장치.
  6. 삭제
KR1020070130853A 2007-12-14 2007-12-14 연료 검사장치 KR100937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853A KR100937825B1 (ko) 2007-12-14 2007-12-14 연료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853A KR100937825B1 (ko) 2007-12-14 2007-12-14 연료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477A KR20090063477A (ko) 2009-06-18
KR100937825B1 true KR100937825B1 (ko) 2010-01-20

Family

ID=4099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853A KR100937825B1 (ko) 2007-12-14 2007-12-14 연료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8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172U (ko) * 1998-12-15 2000-07-05 홍종만 연료품질 검사 장치
KR20000048376A (ko) * 1998-12-23 2000-07-25 존 씨. 메티유 유체 상태 모니터
US6268737B1 (en) * 1999-10-07 2001-07-31 Detroit Dies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oil quality
KR20030033486A (ko) * 2001-10-23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단응력 측정을 이용한 생분자들간의 결합 여부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172U (ko) * 1998-12-15 2000-07-05 홍종만 연료품질 검사 장치
KR20000048376A (ko) * 1998-12-23 2000-07-25 존 씨. 메티유 유체 상태 모니터
US6268737B1 (en) * 1999-10-07 2001-07-31 Detroit Dies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oil quality
KR20030033486A (ko) * 2001-10-23 2003-05-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단응력 측정을 이용한 생분자들간의 결합 여부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477A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80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particle accumulation in a medium
US8515614B2 (en) Emissio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100937825B1 (ko) 연료 검사장치
US839755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ignitability of a fuel
CA2708667C (en) Method for testing for the presence of a leak hole in a fluid container
KR101057860B1 (ko) 자기변형기술을 이용한 저장탱크의 저장량 및 누출 측정 장치
KR100879938B1 (ko) 차량장착용 휘발유 검사장치
Castagné et al. New knock localization methodology for SI engines
WO2016026891A1 (en) Determination of fame content in fuel
CN1991336A (zh) 移动式油品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7356386A (zh) 一种振动设备确认的方法
KR20120137589A (ko)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CN209101969U (zh) 套圈检测执行件及套圈检测仪
Goodnight et al. Automotive Engine Performance: CDX Master Automotive Technician Series
CN110361506A (zh) 一种机动车尾气智能诊断及治理解决方案系统及其应用
KR20140121980A (ko) 차량용 유사연료 검사장치
Hemachandiran et al. A digital image colorimetry approach for identifying fuel types in downstream petroleum sector
Gonçalves et 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gasoline adulteration on lubricant degradation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performance
Salim et al. $\Sigma_ {\mathrm {SFR}} $-M* Diagram: A Valuable Galaxy Evolution Diagnostic to Complement (s) SFR-M* Diagrams
Baker et al. Thickness measurement of JFTOT tube deposits by ellipsometry
CN110848063A (zh) 一种喷油器匹配整机性能检查方法
CN109541015A (zh) 隔水管边管内检测器
CN118067845A (zh) 实心橡胶超声检测装置及方法
Álvarez-Hurtado et al. Characterizing the MZR at global scales
Rivas et al. Control charts for defining the pollutant gas limits in a spark ignition combustion engine with fa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