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589A -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589A
KR20120137589A KR1020110045738A KR20110045738A KR20120137589A KR 20120137589 A KR20120137589 A KR 20120137589A KR 1020110045738 A KR1020110045738 A KR 1020110045738A KR 20110045738 A KR20110045738 A KR 20110045738A KR 20120137589 A KR20120137589 A KR 20120137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inspection
inlet
gasolin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동훈
Original Assignee
(주)파서블에너지
민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서블에너지, 민동훈 filed Critical (주)파서블에너지
Priority to KR102011004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7589A/ko
Publication of KR2012013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휘발유 및 경유의 정품여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그 데이터를 처리하며 무선통신을 통해 서버에 저장함과 동시에 정품이 아닌 휘발유나 경유의 샘플을 채취 저장하며, 유사 휘발유나 경유의 정품여부 정보 및 판매하는 주유소 정보를 관리기관에 주기적으로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류의 정품여부를 분석하는 검사장치, 검사장치로부터 수신한 측정유류의 검사결과를 저장하고 관리기관에 제공하는 서버, 측정유류를 보관하고 정품여부 판단결과에 따라 추가검사용 시료를 채취하여 보관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휘발유 임시 검사장치가 지니고 있었던 문제점 중 하나인 유사유류 판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소비자에게 직접 공급하는 주유기에 설치하기 때문에 유사유류의 불법판매 행태를 원천적으로 근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The Test and The Data Acquisition/Processing System of The Adulterated Gasoline/Diesel for Gas Station}
본 발명은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주입되는 휘발유 또는 경유의 유전율(Dielectric constant), 전기전도율(Electric conductivity), 또는 이의 온도변화에 따른 변화율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정품 여부를 검사하고 관리기관에 보고하며 이상제품에 대해서는 추가 정밀검사용 시료를 보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산업이 발전하고 화석연료차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이의 동력원인 휘발유 및 경유의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급증의 결과로 2008년 말 기준 배럴당 30달러대에 머물던 두바이유, 브렌트유 등의 원유가가 2년 사이 3배 가까이 뛰어올라 2011년초 이미 100달러 선을 넘어서는 등 고유가 시대를 맞고 있으며, 그 결과 현대인의 필수품이자 대표적인 운송수단인 화석연료자동차의 유지비용은 급등하여 소비자는 물론 중간 유통단계의 판매자에게까지 경제적 부담을 크게 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일부 주유소에서는 불법 생산된 유사 휘발유 및 경유를 다른 경쟁업체보다 싼 가격으로 제시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유인하고, 일부 소비자들은 이러한 불법 유사 휘발유 및 경유를 직접 찾아다니기까지 한다.
여기서, 유사 휘발유 및 경유(이하, 유사유류라 한다.)란 정유회사에서 생산된 정상적인 연료(이하, 정품유류라 한다.)에 유통과정 중 다른 첨가물을 혼합하여 그 양을 불린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 정품유류에 용제인 소부코트신너와 에나멜신너를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솔벤트,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을 첨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경유의 경우에는 등유 또는 바이오디젤을 혼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사유류는 정품유류와는 달리 정상적인 연소가 되지 않아 차량의 출력이 저하되고 엔진의 피스톤이나 밸브를 손상시키며 불완전 연소에 따른 공해물질이 배출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원이 된다. 또한, 불법적인 경로를 거쳐 유통되기 때문에 세금포탈의 문제도 발생되는 등, 유사유류의 유통 및 사용은 자동차의 고장원인, 환경오염, 세금포탈 등 여러 방면에서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고 유류의 정품여부를 가리기 위하여 종래에는 HPLC-UV spectroscopy. 크로마토그래피, 적외선분광기 등의 장비가 소개되고 있으나 가격이 매우 고가이며 유류의 정품여부를 판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측정하고자 하는 유류샘플은 측정장비가 있는 실험실로 가져가서 실험을 해야만 하므로 주유소와 같은 현장에서 즉각적이고 실질적으로 유류의 정품여부를 판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검사장치를 차량 내지 별도의 실험실이 아닌 주유기에 설치하여 주유소 현장에서 주유 중인 유류에 대한 정품검사를 즉각적이고도 실질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정품검사에 대한 결과를 원격지의 관리기관에 보고하고 필요에 따라 시료를 채취보관하여 관리기관이 해당 시료를 추가적으로 정밀측정하는 것으로 관리기관의 철저한 관리 감독하에 유사유류의 유통을 원천봉쇄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유기본체와 주유건을 잇는 연결관의 일측에 연결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류를 일시 저장하는 유류측정용기와 상기 유류측정용기 내부에 설치된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유류의 정품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및 상기 유류가 정품이 아닐 경우,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유류의 일부를 채취하여 추가검사용 시료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류측정용기를 연결한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개폐하는 유입밸브; 상기 유류측정용기 중 상기 유입관의 타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밸브; 상기 유입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저장부로 연장된 분지관과 상기 분지관을 개폐하는 분지밸브; 및 주유의 시작과 끝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유입밸브와 상기 배출밸브와 상기 분지밸브와 상기 센싱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유입관 중 상기 유입부와 상기 분지관 사이에서 분지된 캘리브레이션관과 상기 캘리브레이션관을 개폐하는 캘리브레이션밸브;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관의 말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캘리브레이션용액이 담긴 캘리브레이션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유류측정용기 내부의 유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측정구; 유류와 반응하지 않는 금속재질의 얇은 복수 개의 원판이 상기 유류측정용기의 내부에서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전극; 유류와 반응하지 않는 금속재질의 얇은 복수 개의 원판이 상기 제 1 전극의 이격공간 내에 상기 제 1 전극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전극; 및 상기 유류측정용기 내부의 유류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상기 유류측정용기 내부로 유입된 유류의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 측정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류측정용기 내에 수용된 유류 샘플의 전기전도율, 유전율,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및 전기전도율의 스캔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데이터와 정품 유류의 기 설정된 전기전도율, 유전율,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및 전기전도율의 변화 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유류의 정품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분지관의 말단과 연결된 시료채취용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공인된 관리기관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정보를 상기 관리기관으로 실시간 또는 상기 관리기관의 요청 시 송출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구동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리기관은 상기 서버로 검사지시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검사지시정보 수신 후 주유 시 상기 유류측정용기 내부로 상기 유류를 유입시켜 정품 여부를 검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은 차량에 주입되는 유류 중 일부를 정품검사에 사용하여 판매되고 있는 유류에 대한 직접적인 정품검사가 가능하고 측정유류에 대한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 내지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유사유류의 정품여부 판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사유류에 대한 판단 정보를 관리기관으로 실시간 또는 요청 시 송출하여 관리기관이 보다 면밀하게 유사유류의 유통을 관리 감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사 시기, 검사 대상주유기 등을 임으로 지정하여 판매되는 유류에 대한 정품검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정품과 유사유류를 구분지어 보관하다가 단속 유무에 따라 정품 및 유사유류를 바꿔가며 판매하는 기존의 불법판매 행태를 원천적으로 근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의 검사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의 센싱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은 주유소에서 주유되는 휘발유 또는 경유 등의 유류에 대한 유전율(Dielectric constant), 전기전도율(Electric conductivity), 및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및 전기전도율의 변화율을 측정하여 정품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유류가 정품이 아닐 경우 추가검사용 시료로 일정량(바람직하게는 1 ~ 2리터) 샘플을 채취 보관하며 추후 관리기관에서는 이를 수거해 보다 정밀한 검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기본체(10)와 주유건(20)을 잇는 연결관(11)의 일측에 연결된 유입부(100); 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유류를 일시 저장하는 유류측정용기(211)와 유류측정용기(211) 내부에 설치된 센싱수단(210)과 센싱수단(210)으로부터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유류측정용기(211) 내부에 수용된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231)를 포함하는 검사장치(200); 및 상기 측정유류가 정품이 아닐 경우 유입부(100)로 유입되는 유류의 일부를 채취하여 추가검사용 시료로 저장하는 저장부(300)를 포함한다.
따라서, 주유소에서 판매하는 휘발유 및 경유 등의 유류에 대한 정품검사에 있어서 측정의 대상이 되는 유류 즉, 상기 측정유류는 차량 주유 시 공급되는 유류 중 일부를 사용하는 것으로 주유소에서 판매되고 있는 유류에 대한 직접적이고도 실질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은 유류의 정품여부를 판단한 검사정보를 공인된 관리기관(30)에 실시간 또는 요청 시 즉각적으로 보고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공인된 관리기관(30)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검사장치(200)의 상기 검사정보를 관리기관(30)으로 송출하는 서버(400)를 더 포함하고, 검사장치(200)는 데이터처리부(231) 및 후술하는 구동제어부(233)와 연결되고 서버(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24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측정유류에 대한 검사결과를 통신을 통해 주유소 내의 서버(400)에 전달하고 서버(400)는 상기 검사결과를 공인된 관리기관(30)에 실시간 또는 요청 시 자동으로 송출하는 것으로 관리기관(30)은 해당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유류의 위조 여부를 효율적이고 면밀하게 관리감독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측정유류가 정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때에는 주유 중인 해당 휘발유나 경유의 일부를 추가검사용 시료로 채취 보관하고 이와 같이 보관된 추가검사용 시료를 관리기관(30)이 수거하여 정밀 측정을 통해 유류의 불법 위조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센싱수단(210)은 상기 측정유류의 유전율(Permittivity), 전기전도율(Electric conductivity), 유전율의 주파수특성 그리고 유전율 및 전기전도율의 온도변화에 따른 변화특성 등을 측정하여 정품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정품 여부를 검사하는 것으로 그 장치가 간단하고 검사결과의 정밀도 또한 높은 효과가 있다.
여기서, 유전율(Permittivity : ε)이란 유전체(Dielectric Material), 즉 부도체의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특성값을 말한다. 이러한 유전율은 AC 전류, 특히 교류 전자기파의 특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즉, 부도체 내부에서 평소에 너저분한 방향으로 각자 흩어져있던 쌍극자모멘트 성분은 외부에서 걸린 전자계의 교류 변화에 맞추어 정렬된다. 이렇듯 외부의 전자계의 변화에 대해 물질 내부의 쌍극자 모멘트가 얼마나 민감하게 잘 반응(정렬)되느냐의 정도를 유전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전자기파의 파장과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유전율이 높다는 의미는 기본적으로 전기에너지가 잘 전달되고 상대적으로 전자파는 잘 투과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유전율이 낮은 흙에서는 전기가 잘 흐르지 않고 전자파는 잘 투과하지만, 수분에 젖어 유전율이 상승 된 토양의 경우에는 전기가 흐르고 전자파는 잘 투과되지 않는다. 즉 이러한 유전율은 유전체의 내부에 포함된 물질의 성분에 따라 그 값이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전기전도율(electric conductivity)이란 전기장이 가해졌을 때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물질의 능력으로, 저항의 역수이고, 단위는 S(Siemens)/m 또는 1/Ωm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금속은 전기저항이 적어 전기전도도가 좋은 대표적인 물질이다. 즉, 전기전도율이란 물질이나 용액이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용액 중의 이온세기를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이는 용액에 담겨 있는 2개의 전극에 일정한 전압을 가해주면 가한 전압이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때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용액의 전기전도율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온도의 변화에 따른 유전율 및 전기전도율의 변화를 스캔하여 정품의 유류와 비교하고 이에 따라 보다 정밀하게 정품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에서의 센싱수단(210)은 상기 측정유류 내부에 전자기파 또는 전류의 흐름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을 측정하여 데이터처리부(231)가 이와 같이 수집된 측정데이터와 기 설정된 정품의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을 비교하여 유류의 정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을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유입부(100)는 주유기본체(10)와 주유건(20)을 잇는 연결관(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주유기본체(10)로부터 연결관(11)을 통해 주유건(20)으로 이송되는 유류 중 일부를 분배하여 검사장치(200) 쪽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연결관(11)에 연결되어 양측으로 주유기본체(10)와 주유건(20)으로부터 각각 연장된 연결관(11)의 말단과 연결되고 나머지 일측은 유류측정용기(211) 쪽으로 분배된 T형 커넥터인 것이다.
그러나, 유입부(100)가 T형 커넥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같이 주유기본체(10)로부터 연결관(11)을 통해 주유건(20)으로 송출되는 유류의 일부를 유류측정용기(211) 측으로 이송되게 분배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를 갖는 것이면 그 어느 것의 사용도 무방하다.
이때, 유입부(100)는 바람직하게는 연결관(11)에서 유류의 흐름 여부에 따라 주유의 시작 또는 끝을 감지하고 후술하는 구동제어부(233)에 상기 주유의 시작 또는 끝에 관한 주유진행정보를 제공하는 유류감지수단(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주유기본체(10)의 작동으로 연결관(11)을 통해 주유건(20)으로 유류가 송출될 시 즉, 차량에 유류가 주입되는 시점을 유류감지수단(110)이 유입부(100)를 통과하는 유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주유의 시작에 관한 주유진행정보를 생성하거나 주유기본체(10)의 작동정지로 연결관(11)을 통한 유류의 이동이 없어 유입부(100)에서 유류 흐름의 감지가 상실된 때 주유의 끝에 관한 주유진행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후술하는 구동제어부(233)에 제공한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구동제어부(233)는 상기 주유의 시작 또는 끝에 관한 주유진행정보를 토대로 후술하는 밸브들 또는 센싱수단(2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사장치(200)는 주유 중인 유류의 일부를 유입부(100)로부터 전달받아 이에 대한 정품 여부를 검사 및 판단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유류를 일시 저장하는 유류측정용기(211)와 유류측정용기(211) 내부에 설치된 센싱수단(210)과 센싱수단(210)으로부터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유류측정용기(211) 내부에 수용된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실질적으로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231)를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처리부(231)는 구동제어부(233)와 함께 중앙처리부(230)를 이루고 중앙처리부(230)는 각종 밸브들과 센싱수단(210), 캘리브레이션공급부(220)와 연결되어 검사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이룬다.
아울러, 검사장치(200)는 주유 중인 유류의 일부를 유류측정용기(211)로 공급받고 필요에 따라 추가검사용 시료로 채취하며 주유 및 측정의 완료 후 유류측정용기(211)로부터 측정유류의 배출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유입부(100)와 유류측정용기(211)를 연결한 유입관(101)과 유입관(101)을 개폐하는 유입밸브(102, 103); 유류측정용기(211) 중 유입관(101)의 타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108)과 배출관(108)을 개폐하는 배출밸브(109); 유입관(101)에서 분지되어 저장부(300)로 연장된 분지관(104)과 분지관(104)을 개폐하는 분지밸브(104); 및 유류감지수단(110)에 따른 상기 주유의 시작 또는 끝에 관한 주유진행정보 및 데이터처리부(23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유입밸브(102, 103)와 배출밸브(109)와 분지밸브(104)와 센싱수단(2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233)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제어부(233)는 상기 주유의 시작에 관한 상기 주유진행정보를 수신한 경우 유입밸브(102, 103)는 열고 배출밸브(109) 및 분지밸브(104)는 닫으며, 데이터처리부(231)로부터 상기 측정유류의 비정품판단정보를 수신한 경우 유입밸브(102, 103)와 분지밸브(104)는 열고 배출밸브(109)는 닫으며, 상기 주유의 끝에 관한 상기 주유진행정보를 수신한 경우 배출밸브(109)를 연다.
이때, 유입밸브(102, 103)는 바람직하게는 유입관(101) 중 유입부(100)와 분지관(104) 사이에 마련된 메인유입밸브(102)와 유입관(101) 중 분지관(104)과 유류측정용기(211) 사이에 마련된 서브유입밸브(103)로 구분될 수 있고, 구동제어부(233)는 상기 주유의 시작에 관한 주유진행정보를 수신한 경우 메인유입밸브(102) 및 서브유입밸브(103)를 열어 유류측정용기 내에 측정유류를 채우고 상기 측정유류가 유류측정용기 내의 설정수준까지 채워진 경우 서브유입밸브(103)는 닫는다.
즉, 주유 시작 시 배출밸브(109)는 닫고 메인유입밸브(102)와 서브유입밸브(103)는 열어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된 유류를 유류측정용기(211) 내부에 자동으로 저장하고, 유류측정용기(211) 내부로 측정에 필요한 양만큼의 측정유류가 채워진 경우(이때, 유류측정용기(211) 내측 상부 또는 서브유입밸브(103)에는 바람직하게는 유류수위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유류측정용기(211) 내부에 측정유류가 채워지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당업자의 이해는 자명할 것이다.) 서브유입밸브(103)를 닫아 유류측정용기(211) 내부로 더 이상의 유류가 투입되지 않고 추후 진행될 정풍검사에 방해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구동제어부(233)는 데이터처리부(231)로부터 측정유류가 비정품인 것으로 판단된 상기 비정품판단정보를 수신한 경우 메인유입밸브(102)가 열린상태에서 분지밸브(104)를 열어 추가검사용 시료로서 유류의 샘플을 소정량(바람직하게는 1 ~ 2 리터) 분지관(104)을 통해 저장부(300)로 이송시킨다.
또한, 주유가 마쳐진 때 메인유입밸브(102), 서브유입밸브(103), 분지밸브(104)의 개폐여부에 상관없이 배출밸브(109)를 열어 유류측정용기(211) 내에 수용되어 정품 여부 측정이 완료된 측정유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구동제어부(233)는 유류감지수단(110)과 데이터처리부(231)와 연결되어 해당 감지정보 및 판단정보에 따라 유입밸브(102, 103), 배출밸브(109), 분지밸브(104)의 작동을 제어하고 나아가 센싱수단(210)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센싱수단(210)의 작동제어는 후술하는 센싱수단(210)의 해당부분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검사장치(200)는 유류측정용기(211)로 유입되어 정품 검사를 마친 측정유류가 배출된 후 유류측정용기(211) 내로 새로이 유입되어 검사를 받게 될 유류와 기존의 측정유류 찌꺼기가 혼합되어 새로이 유입된 유류에 대한 검사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검사장치(200)의 내부를 캘리브레이션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유입관(101) 중 유입부(100)와 분지관(104) 사이에서 분지된 캘리브레이션관(106)과 캘리브레이션관(106)을 개폐하는 캘리브레이션밸브(107); 및 캘리브레이션관(106)의 말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캘리브레이션용액이 담긴 캘리브레이션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캘리브레이션밸브(107)와 캘리브레이션공급부(220)는 구동제어부(233)와 연결되어 자동으로 검사장치(200) 내의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한다.
즉, 구동제어부(233)는 배출밸브(109)가 열려 유류측정용기(211)로부터 기존 측정유류의 배출이 완료된 후(이때, 바람직하게는 유류측정용기(211) 내측 하부 또는 배출밸브(109)에 별도 마련된 유류배출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유류 배출 완료의 감지가 가능할 것이고 이에 대한 당업자의 이해는 자명할 것이다.) 서브유입밸브(103)와 배출밸브(109)는 열리고 메인유입밸브(102)와 분지밸브(104)는 닫힌 상태에서 캘리브레이션밸브(107)를 열어 캘리브레이션용액을 캘리브레이션공급부(220)로부터 유류측정용기(211) 내부로 제공한다.
따라서, 캘리브레이션관(106)을 따라 이송된 캘리브레이션용액은 유입관(101)과 유류측정용기(211) 내부에 잔존하는 기존의 유류 찌꺼기를 씻어내고 다시 새로운 측정유류를 제공받아 오류 없이 측정할 수 있는 상태로 검사장치(200) 내부를 초기화한다.
여기서, 캘리브레이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Cyclohexane) 또는 톨루엔(Toluene)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제어부(233) 및 밸브의 작동으로 유류측정용기(211) 내부로 주유 시 자동 주입된 측정유류는 센싱수단(210)을 통해 성분물질의 특성이 측정되고 이러한 측정데이터를 데이터처리부(231)가 논리연산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센싱수단(210)은 측정유류의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 측정유류의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의 변화율을 측정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유류측정용기(211) 내부의 측정유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측정구(212); 상기 측정유류와 반응하지 않는 금속재질의 얇은 복수 개의 원판이 유류측정용기(211)의 내부에서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전극(214); 상기 측정유류와 반응하지 않는 금속재질의 얇은 복수 개의 원판이 제 1 전극(214)의 이격공간 내에 제 1 전극(214)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 2 전극(213); 및 상기 측정유류에 열(유류의 점화온도보다 낮은 안전한 온도 범위에서 측정할 수 있는 열)을 공급하는 히터(2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도측정구(212)는 바람직하게는 저온의 온도를 측정하는 정션(Junction) 온도계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즉, 두 종류의 금속을 조합하였을 때 접합 양단의 온도가 서로 다르면 이 두 금속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데 이러한 전류로 2 접점 간의 온도차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구(212)는 구동제어부(233) 및 데이터처리부(231)와 연결되어 구동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고 측정된 온도를 데이터처리부(231)로 전달한다.
한편, 위와 같은 센싱수단(210)이 내부로 실장된 유류측정용기(211)는 센서와의 반응 또는 간섭을 막기 위해 내벽이 측정유류와 반응이 없거나 아주 적은 절연막(215)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절연막(215)으로는 테프론 코팅 내지 세라믹 코팅이 가능하다.
한편, 제 1 전극(214) 및 제 2 전극(213)은 구동제어부(233)와 연결되어 구동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고 제 1 전극(214)과 제 2 전극(213) 사이로 전기적 전달을 이루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에 대한 측정을 측정유류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히터(216)는 바람직하게는 유류측정용기(211)의 외벽에 결합되고 유류의 정품 여부 측정 시 측정유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거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의 변화를 스캔하기 위해 필요한 열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종의 열선 또는 펠티어(Peltier cell)소자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히터(216)는 구동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측정유류의 온도를 변화시킨다.
따라서, 센싱수단(210)의 온도측정구(212), 제 1 전극(214) 및 제 2 전극(213), 히터(216)는 구동제어부(233)의 제어에 따라 각각 인가된 전기를 제공받아, 제 1 전극(214) 및 제 2 전극(213)은 측정유류에 잠긴 두 전극 사이로 흐르는 전자기파의 파장을 측정하거나 두 전극 사이에 전압차로 인해 발생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고, 온도측정구(212)와 히터(216)는 측정 시 측정유류가 기 설정된 온도 내지 온도변화를 갖도록 작동한다.
또한, 센싱수단(210)은 유류의 옥탄가를 측정하는 옥탄가센서(219)를 더 포함하여 보다 정밀한 측정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데이터는 데이터처리부(231)를 통해 측정유류의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로 산출되고, 히터(216)의 작동과 온도측정구(212)를 이용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의 변화량도 산출 가능하다.
즉, 데이터처리부(231)는 센싱수단(210)으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산출된 측정유류의 전기전도율, 유전율,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및 전기전도율의 변화량과 정품유류의 기 설정된 기준값 즉, 정품유류의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 내지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측정유류가 비정품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데이터처리부(231)는 비정품판단정보를 생성하고 구동제어부(233)에 시료채취지시정보를 송출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구동제어부(233)가 분지밸브를 열어 주유 중인 유류의 일부를 추가검사용 시료로서 소정량(바람직하게는 1 ~ 2 리터)의 샘플을 저장부(300)로 이송시킨다.
지금까지 설명된 검사장치(200)는 외부의 서버(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검사장치(200) 내에서 생성된 정품여부 판단정보를 외부의 서버(400)로 전달하거나 서버(400)로부터 작동에 관한 검사지시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데이터처리부(231) 및 구동제어부(233)와 연결되고 외부의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처리부(231)는 정품여부 판단정보를 통신모듈(240)을 통해 서버(400)로 송출하고 상기 판단정보와 함께 주유기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 등의 데이터도 서버(400)로 함께 전달한다.
다음으로, 저장부(300)는 측정유류가 정품이 아닐 경우, 유입부(100)로 유입되는 유류의 일부를 채취하여 추가검사용 시료로 저장하는 저장소를 제공하는 것으로 분지관(104)의 말단과 연결된 시료채취용기(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료채취용기(310)는 관리기관(30)에서 추후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요한 양을 보관하는 용기로서 관리기관(30)에서만 수거 관리할 수 있도록 밀폐 및 보안이 유지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300)는 배출관(108)의 말단과 연결된 폐기물용기(320)를 별도로 더 포함하여 측정이 완료되 유류측정용기(211)로부터 배출된 측정유류, 검사장치(200) 내부를 캘리브레이션한 캘리브레이션용액 및 기존 측정유류의 찌꺼기를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폐기물용기를 주기적으로 수거하여 별도의 처리를 통해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폐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400)는 검사장치(200)의 정품여부 판단정보를 관리기관(30)으로 전송하고 관리기관(30)으로부터의 검사지시정보를 검사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주유기본체(10)와 이격된 주유소 내에 배치되고 일측으로는 관리기관(30)과 유무선 통신하며 타측으로는 검사장치(200)의 통신모듈(240)과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검사장치(200)로부터 생성된 정품여부 판단정보는 실시간 또는 관리기관(30)의 요청 시 서버(400)를 통해 관리기관(30)으로 송출된다.
또한, 서버(400)는 데이터처리부(231)로부터 전송된 설치 주유소, 주유기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 판단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해당 데이터를 별도 저장/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관리기관(30)은 서버(400)로 검사지시정보를 송출하고, 검사장치(200)는 서버(400)로부터 상기 검사지시정보의 수신 후 주유 시 유류측정용기(211) 내부로 주유 중인 유류의 일부를 유입시켜 정품 여부의 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서버(400)는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관리기관(30)은 임의의 검사시간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검사시간정보를 서버(400)로 전달하여 서버(400)는 상기 검사시간정보와 매칭되는 시간에 검사지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검사장치(200)로 송출하여 랜덤하게 유류 측정을 하는 것도 불법 위조 유류 단속에 효과적일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유소에서 판매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미 언급된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고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동일한 명칭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인용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정품검사는 주유 시마다 수행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는 관리기관(30)에서 임의로 생성된 검사지시정보 또는 검사시간정보에 따라 검사가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주유 시마다 정품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고 상기 검사지시정보 또는 검사시간정보에 따라 검사가 수행되는 경우는 앞서 설명된 서버(400) 및 관리기관(30)의 설명으로 당업자가 자명하게 응용 가능하다.
차량에 주유소에 진입하고 주유기본체(10)의 작동으로 주유건(20)을 통해 주유가 시작되면 유류감지수단(110)은 유입부(100)를 통과하는 유류의 흐름을 감지하고 상기 주유의 시작에 관한 주유진행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구동제어부(233)로 전달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제어부(233)는 배출밸브(109), 분지밸브(104), 캘리브레이션밸브(107)를 닫은 상태에서 메인유입밸브(102)와 서브유입밸브(103)를 열어 유입부(100)에서 분배된 주유 중 유류의 일부를 유입관(101)을 통해 유류측정용기(211)로 이송시킨다.
유류측정용기(211) 내에 측정유류가 채워지면 서브유입밸브(103)를 닫아 유류측정용기(211) 내부로 더 이상 유류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한 상태에서 구동제어부(233)는 센싱수단(210)에 전기를 인가하고 센싱수단(210)은 유류측정용기(211) 내 측정유류의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 내지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데이터는 데이터처리부(231)로 전달되어 정품유류의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되어 측정유류의 정품여부가 판단된다.
이때, 측정유류가 유사유류로서 불법 위조가 의심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처리부(231)는 비정품판단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구동제어부(233)로 전달한다.
상기 비정품판단정보를 수신한 구동제어부(233)는 메인유입밸브(102)가 열려있고 서브유입밸브(103) 및 캘리브레이션밸브(107)가 닫힌 상태에서 분지밸브(104)를 열어 주유 중 유류의 일부를 분지관(104)을 통해 시료채취용기(310)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이송된 소정량(바람직하게는 1 ~ 2 리터)의 샘플유류는 추가검사용 시료가 되는 것으로 관리기관(30)이 수거하여 보다 정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판단된 측정유류의 판단정보는 데이터처리부(231)로부터 통신모듈(240)을 통해 이격지의 서버(400)로 전달되고 이때, 주유기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 등의 데이터가 함께 전달된다.
이와 같이 주유기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 판단정보(검사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실시간으로 설치 주유소 정보와 함께 위와 같은 주유기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 정품여부 판단정보를 관리기관으로 송출하거나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하고 추후 관리기관(30)의 요청 시 해당 정보를 송출한다.
한편, 측정유류에 대한 정품여부 판단이 완료된 후 구동제어부(233)는 아직 주유 중인 것을 대비하여 메인유입밸브(102)는 닫고 분지밸브(104)와 캘리브레이션밸브(107)가 닫힌 상태에서 서브유입밸브(103)와 배출밸브(109)를 열어 유류측정용기(211) 내에 채워진 측정유류를 폐기물용기(320)로 배출한다.
측정유류가 유류측정용기(211) 내에서 모두 배출된 상태에서 구동제어부(233)는 메인유입밸브(102)와 분지밸브(104)가 닫혀있고 서브유입밸브(103)와 배출밸브(109)가 열린 상태에서 캘리브레이션밸브(107)를 열고 캘리브레이션공급부(220)를 작동시켜 캘리브레이션용액을 유류측정용기(211) 내부로 이송시킨다. 이 과정에서 캘리브레이션용액은 유입관(101)과 유류측정용기(211)의 내벽에 잔존하는 기존의 측정유류 찌꺼기를 제거하여 새로이 유입되는 측정유류에 대한 정품여부를 판단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검사장치(200) 내부를 초기화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10: 주유기본체 11: 연결관
20: 주유건 30: 관리기관
100: 유입부 101: 유입관
102: 메인유입밸브 103: 서브유입밸브
104: 분지관 105: 분지밸브
106: 캘리브레이션관 107: 캘리브레이션밸브
108: 배출관 109: 배출밸브
110: 유류감지수단 200: 검사장치
210: 센싱수단 211: 유류측정용기
212: 온도측정구 213: 제 2 전극
214: 제 1 전극 215: 절연막
216: 히터 219: 옥탄가센서
220: 캘리브레이션공급부 230: 중앙처리부
231: 데이터처리부 233: 구동제어부
240: 통신모듈 300: 저장부
310: 시료채취용기 320: 폐기물용기
400: 서버

Claims (8)

  1. 주유기본체와 주유건을 잇는 연결관의 일측에 연결된 유입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유류를 일시 저장하는 유류측정용기와 상기 유류측정용기 내부에 설치된 센싱수단과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센싱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유류의 정품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및
    상기 유류가 정품이 아닐 경우, 상기 유입부로 유입되는 유류의 일부를 채취하여 추가검사용 시료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류측정용기를 연결한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개폐하는 유입밸브;
    상기 유류측정용기 중 상기 유입관의 타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밸브;
    상기 유입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저장부로 연장된 분지관과 상기 분지관을 개폐하는 분지밸브; 및
    주유의 시작과 끝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유입밸브와 상기 배출밸브와 상기 분지밸브와 상기 센싱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유입관 중 상기 유입부와 상기 분지관 사이에서 분지된 캘리브레이션관과 상기 캘리브레이션관을 개폐하는 캘리브레이션밸브;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관의 말단에 연결되고 내부에 캘리브레이션용액이 담긴 캘리브레이션공급부를 포함하는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유류측정용기 내부의 유류 온도를 체크하는 온도측정구;
    유류와 반응하지 않는 금속재질의 얇은 복수 개의 원판이 상기 유류측정용기의 내부에서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전극;
    유류와 반응하지 않는 금속재질의 얇은 복수 개의 원판이 상기 제 1 전극의 이격공간 내에 상기 제 1 전극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2 전극; 및
    상기 유류측정용기 내부의 유류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를 포함하여,
    상기 유류측정용기 내부로 유입된 유류의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 측정하는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센싱수단으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유류측정용기 내에 수용된 유류 샘플의 전기전도율, 유전율,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및 전기전도율의 스캔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데이터와 정품 유류의 기 설정된 전기전도율, 유전율, 온도변화에 따른 유전율 및 전기전도율의 변화 값을 비교하여 측정된 유류의 정품여부를 판단하는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분지관의 말단과 연결된 시료채취용기를 더 포함하는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인된 관리기관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정보를 상기 관리기관으로 실시간 또는 상기 관리기관의 요청 시 송출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구동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리기관은 상기 서버로 검사지시정보를 송출하고,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검사지시정보 수신 후 주유 시 상기 유류측정용기 내부로 상기 유류를 유입시켜 정품 여부를 검사하는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KR1020110045738A 2011-05-16 2011-05-16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KR20120137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38A KR20120137589A (ko) 2011-05-16 2011-05-16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738A KR20120137589A (ko) 2011-05-16 2011-05-16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589A true KR20120137589A (ko) 2012-12-24

Family

ID=4790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738A KR20120137589A (ko) 2011-05-16 2011-05-16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75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260B1 (ko) * 2014-01-06 2014-06-20 길주형 연료유 성분 표시장치 및 그 측정방법
CN104239669A (zh) * 2013-06-24 2014-12-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监测加油站的系统和方法
CN104931536A (zh) * 2015-07-17 2015-09-23 山东方锐智能科技有限公司 远程校验式原油含水监测系统及其校验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9669A (zh) * 2013-06-24 2014-12-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监测加油站的系统和方法
KR101410260B1 (ko) * 2014-01-06 2014-06-20 길주형 연료유 성분 표시장치 및 그 측정방법
CN104931536A (zh) * 2015-07-17 2015-09-23 山东方锐智能科技有限公司 远程校验式原油含水监测系统及其校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5352B (zh) 油品氧化安定性测试方法
JP4213173B2 (ja) 車両搭載型燃料検査装置
BR112019015343A2 (pt) Mistura controlada de biodiesel em fluxos de destilados
US7983851B2 (e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at least one chemical property in an oil and a data storing device obtainable by said method
KR20120137589A (ko)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CN110300723A (zh) 带有燃油分析器的加油机
WO2014014320A1 (ko) 주유기 조작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KR100763592B1 (ko)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
KR101409453B1 (ko)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WO2008064010A2 (en) Fuel storage tank monitoring and phase separation detection system
KR20130049438A (ko) 주유구 정품 정량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US9448112B2 (en) Multifunctional fluid 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coolant, bio-diesel, gas-ethanol and DEF
KR20050011697A (ko) 그을음 농도 모니터링 방법
CN102338743A (zh) 一种识别发动机燃料种类和牌号中红外光谱方法
KR100932012B1 (ko) 차량탑재형 연료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료 주입량과 적합성 검사 방법
Ejofodomi et al. Automated volume measurement, adulteration detection, and tracking of petroleum products
US11034573B2 (en) Fuel delivery system having corrosive detection assembly
KR20140098359A (ko) 주유소용 유사 오일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CN108680212B (zh) 多相流磁共振流量计刻度装置及其含水率、流速刻度方法
CN202562874U (zh) 地沟油鉴别装置
KR100718697B1 (ko)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
KR200398775Y1 (ko) 차량탑재형 연료 검사창치
CN205562335U (zh) 模拟实际工作状态下的机油检测装置
KR200427718Y1 (ko)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
CN205277996U (zh) 一种低压系统液压油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