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453B1 -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453B1
KR101409453B1 KR1020120024904A KR20120024904A KR101409453B1 KR 101409453 B1 KR101409453 B1 KR 101409453B1 KR 1020120024904 A KR1020120024904 A KR 1020120024904A KR 20120024904 A KR20120024904 A KR 20120024904A KR 101409453 B1 KR101409453 B1 KR 101409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inspection
measured
genuin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902A (ko
Inventor
유성훈
Original Assignee
유성훈
(주)파서블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훈, (주)파서블에너지 filed Critical 유성훈
Priority to KR1020120024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453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는,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주유장치 및 주입기에 연결되어, 상기 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측정유류를 수집하는 유입장치; 상기 유입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되며, 다수의 주유소에 설치된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수집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정보를 총괄적으로 관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장치; 상기 서비스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서비스 수신그룹; 및 상기 검사장치를 거친 상기 측정유류를 보관 및 폐기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Real-Time Service Method and System to Providing Test Result about Adulterated Oil for Gas S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일부분을 추출하여 화학적, 물리적, 전기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한 검사장치를 통해 정품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정유회사 및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 사회는 산업이 발전하고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차량의 수요 및 그 쓰임새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차량의 동력원인 휘발유 및 경유의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비급증을 반영하듯이, 2008년 말 기준 배럴당 30달러대에 머물던 두바이유, 브렌트유 등의 원유가 2년 사이 3배 가까이 뛰어올라 2011년 초 이미 배럴당 100달러 선을 넘어서는 고유가 시대를 맞이하였다. 그 결과 차량의 유지비용이 급등하였으며 소비자는 물론 휘발유 및 경유를 판매하는 중간 유통단계 업자에게까지 경제적 부담이 크게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일부 주유소에는 불법 제조한 유사 휘발유 및 경유를 싼 가격에 제시하여 소비자의 구매를 유인하는 한편, 일부 소비자들 역시 높은 과태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사 휘발유 및 경유를 찾아 사용하기도 한다. 그 결과 실제로 유사 휘발유 적발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오히려 저렴한 가격대에 주유소를 찾아다니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유사 휘발유 및 경유를 주유 받게 되는 피해자 역시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유사유류의 경우는 정품유류와 달리 정상적인 연소가 되지 않아 차량의 출력을 저하시키는 한편, 엔진의 피스톤이나 밸브를 손상시켜 불완전 연소에 따른 공해물질을 배출하여 심각한 환경오염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불법적인 경로를 거쳐 유통되기 때문에 세금포탈, 횡령 등 여러 방면에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고 유류의 정품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크로마토그래피, 적외선 분광기 등의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고 있으나, 높은 가격대와 주유소와 같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유류의 정품여부를 판별할 수 없어 그 효율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일부분을 추출하여 화학적, 물리적, 전기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한 검사장치를 통해 정품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정유회사 및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유사유류로 인한 차량 및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는,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주유장치 및 주입기에 연결되어, 상기 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측정유류를 수집하는 유입장치; 상기 유입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되며, 다수의 주유소에 설치된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수집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정보를 총괄적으로 관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장치; 상기 서비스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서비스 수신그룹; 및 상기 검사장치를 거친 상기 측정유류를 보관 및 폐기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입장치에 의해 수집된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정유회사 및 소비자 중 일부 또는 전부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장치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검사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 결과 데이터를 기 저장된 정품유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 전기적, 화학적, 물리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유류검사부;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 이후, 상기 검사장치를 세척하는 세정액을 제공하는 세정액 공급부; 및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결과를 수신하고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여부 결과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측정유류를 수집하는 과정; 화학적, 물리적, 전기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상기 정품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동일한 기법을 사용한 검사를 통해 추출된, 기 저장되어 있는 정품유류의 검사결과와 상기 측정유류의 상기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정품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통신모듈부를 통해, 추출한 상기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주유소에 설치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다수의 주유소에 설치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집한 상기 측정유류의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총괄적으로 관리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 수신 그룹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일부분을 추출하여 화학적, 물리적, 전기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한 검사장치를 통해 정품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정유회사 및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유사유류로 인한 차량 및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장치 및 저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유류의 정품여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실질적인 검사 과정만을 거치는 다른 형태의 검사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검사하는 경우의 유류검사부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유회사 및 소비자 중 일부 또는 전부에게 측정유류의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과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은 주유장치(10), 주입기(20), 유류감지기(110)를 포함하는 유입장치(100), 검사장치(200), 저장장치(300), 관리서버(400), 서비스 관리장치(410), 서비스 수신그룹(420)을 포함한다.
유사유류는 정유회사에서 생산된 정상적인 연료에 유통과정 중 다른 첨가물을 혼합하여 그 양을 불리거나 성분을 변화시킨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 정품유류에 용제인 소부코트신너와 에나멜신너를 혼합하거나 솔벤트,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을 첨가하여 제조하며 경유의 경우에는 등유 또는 바이오디젤을 혼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장치(10) 및 주입기(20)를 통해 주유되고 있는 주류의 일부분을 유입장치(100)를 통해 유입하고, 유입된 측정유류는 검사장치(200)로 이동되어 전기적, 화학적 및 물리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한다. 검사장치(200)를 통해 검사된 측정유류의 정품여부에 관한 결과 및 데이터는 주유소에 설치된 관리서버(400)로 전송되며, 다수의 주유소에 설치된 관리서버(400)를 통해 수집된 측정유류의 검사정보는 서비스 관리장치(410)에 의해 모니터링(Monitoring) 및 재수집되어 서비스 수신그룹(420)에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이때 검사가 끝난 측정유류는 저장장치(300)로 이동한다.
유입장치(100)는 주유장치(10) 및 주입기(20)에 연결되어, 주유장치(10)로부터 주입기(20)으로 이송되는 유류 중 일부를 분배하여 검사장치(200) 쪽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유입장치(100)는 유류의 흐름 여부에 따라 주유의 시작 또는 종료를 감지하고 주유의 시작 또는 종료에 관한 주유진행정보를 검사장치(200)에 제공하는 유류감지기(110)을 포함한다. 즉, 차량에 유류가 주입되는 경우, 유류감지기(110)는 유입장치(100)를 통과하는 유류의 흐름을 감지하여 주유의 시작에 관한 진행정보를 생성하고 유류의 흐름이 없어 유입장치(100)에 유류 흐름의 감지가 상실되었을 때 주유의 종료에 관한 진행정보를 생성하여 정품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측정유류를 검사장치(200)에 제공한다.
검사장치(200)는 유입장치(110)를 통해 유입된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로 전기적, 화학적 및 물리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측정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측정유류의 검사 결과 데이터를 기 저장된 정품유류 데이터와 비교하여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실질적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 또한 측정유류의 정품여부 검사가 끝나면 세정액을 이용하여 검사장치(200) 내부에 잔존하는 기존의 측정유류를 세정하여 새로운 측정유류가 유입 되었을 때 정품여부 측정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저장장치(300)는 정품여부의 측정이 완료된 측정유류를 보관하기 위한 장치로써,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수거가 가능하며 측정유류가 정품이 아닌 경우에는 좀더 정확한 검사를 위해 측정유류의 일부분을 보관할 수 있다.
관리서버(400)는 각각의 주유소의 내부에 설치되어 검사장치(200)를 통해 전달되는 측정유류의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한다. 이때 측정유류의 정보는 측정유류를 주유한 주유장치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여부 판단정보 및 결과를 포함한다.
서비스 관리장치(410)는 각각의 주유소에 설치된 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측정유류에 관한 정보를 총괄적으로 수집 및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하는 관제장치로서 측정유류의 정품여부에 관한 최종 결과를 실시간으로 서비스 수신그룹(420)에 전달한다. 이때 서비스 관리장치(410)는 유류와 관련된 기관인 석유관리원, 지식경제부 및 한국석유공사 중 일부 또는 전부 내에 설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서비스 수신그룹(420)은 서비스 관리장치(410)를 통해 측정유류의 정품여부에 관한 최종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수신그룹으로서, 소비자(422) 및 정유회사(424)를 포함한다. 이때, 소비자(422)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이메일, 불법주유소 검색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영수증, 홈페이지를 통해 측정유류에 관한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정유회사는 실시간으로 측정유류에 관한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전송받아, 측정유류를 주유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각각 공유하는 한편, 측정유류가 정품유류가 아닌 경우, 측정유류에 관한 정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장치(200) 및 저장장치(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장치(200) 및 저장장치(300)는 주유장치(10), 연결관(11), 주입기(20), 유입장치(100), 유입관(101), 제1 유입밸브(102), 제2 유입밸브(103), 분지관(104), 분지밸브(105), 세정액 공급부관(106), 세정액 공급밸브(107), 배출관(108), 배출밸브(109), 구동제어부(212) 및 데이터처리부(214)를 포함하는 중앙처리부(210), 유류검사부(220), 세정액 공급부(230), 통신모듈부(240)를 포함하는 검사장치(200) 및 시료채취용기(310), 폐기물용기(320)를 포함하는 저장장치(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200)는 구동제어부(212)를 통해 유입장치(110) 및 검사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며, 데이터처리부(214)를 통해 검사장치(200) 내부에 수용된 측정유류의 데이터 정보를 판별하여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실질적으로 판단한다. 이때,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정보 데이터의 추출은 유류검사부(220)에 의해 진행된다. 검사를 마친 측정유류는 세정액을 제공하는 세정액 공급부(230)에 의해 세정되며, 측정유류의 검사결과는 통신모듈부(240)를 통해 관리서버(400)에 전송된다. 이후 검사가 끝난 측정유류는 저장장치(300)로 이동된다.
한편, 검사장치(200)는 주유 중인 유류의 일부를 유류검사부(220)로 공급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검사용 시료를 저장 및 측정이 완료된 측정유류를 처리하기 위해, 유류검사부(22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유입관(101)과 유입관(101)을 개폐하는 제1, 제2 유입밸브(102, 103), 유입관(101)에서 분기되어 저장장치(300)로 연결된 분지관(104)과 분지관(104)을 개폐하는 분지밸브(105), 유입장치(100)와 분지관(104) 사이에서 분지된 세정액 공급부관(106)과 세정액 공급부관(106)을 개폐하는 세정액 공급밸브(107), 유류검사부(220)의 타단부에 연결된 배출관(108)과 배출관(108)을 개폐하는 배출밸브(109)를 포함한다.
구동제어부(212)는 유입장치(110) 및 검사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유류감지기(110)로부터 주유의 시작에 관한 주유진행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제2 유입밸브(102, 103)를 열고 배출밸브(109) 및 분지밸브(104)를 닫아 유류검사부(220) 내에 측정유류를 채우고 측정유류가 유류검사부(220) 내의 설정수준까지 채워진 경우 제2 유입밸브(103)를 닫는다.
즉, 주유가 시작되는 경우, 배출밸브(109)는 닫고 제1, 제2 유입밸브(102, 103)를 열어 유입관(101)을 통해 유입된 측정유류를 유류검사부(220) 내부에 저장하고,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양만큼의 측정유류가 유류검사부(220) 내부에 채워진 경우, 제2 유입밸브(103)를 닫아 유류검사부(220) 내부로 더 이상의 측정유류가 투입되지 않도록 하여 유류검사부(220)에서 실행되는 정품여부 검사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측정유류가 정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분지밸브(104)를 열어 측정유류에 관한 정밀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추가검사용 시료 샘플을 분지관(104)을 통해 시료채취용기(310)로 전달하며, 측정유류의 정품여부 검사가 완료된 유류검사부(2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측정유류는 배출밸브(109)를 열어 배출관(108)을 통해 폐기물용기(320)로 배출시킨다.
이후, 배출관(108)을 통해 유류검사부(220)로부터 기존의 측정유류의 배출이 완료된 경우, 제2 유입밸브(103)과 분지밸브(104)는 닫힌 상태에서 세정액 공급밸브(107)를 열어 세정액 공급부(230)로부터 세정액을 유류검사부(220) 내부로 제공한다.
데이터처리부(214)는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실질적으로 판단하는 장치로서, 유류검사부(220)로부터 진행된 전기적, 화학적, 물리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한 검사를 통해 추출한 측정유류의 검사결과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 저장되어 있는, 동일한 기법을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한 정품유류의 검사결과 데이터와 비교 및 분석하여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파악한다.
이때, 측정유류가 정품이 아닌 유사유류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처리부(214)는 측정유류에 대한 비정품 판단정보를 생성하고, 정밀한 검사를 위한 시료채취지시정보를 구동제어부(212)에 송출한다. 이후, 데이터처리부(214)에 의해 판단된 측정유류의 판단정보는 통신모듈부(240)로 재송출된다.
유류검사부(220)는 전기적, 화학적, 물리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측정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에 전기적, 화학적, 물리적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화학부, 물리부, 전기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화학부는 예컨대 유사유류에 포함된 톨루엔이나 메탄올이 장치 내에 설치된 키트의 나노 섬유 외부 보호막을 녹이고, 그 안의 고분자 센서와 반응해 측정유류와 실험용액의 색깔을 변화시키는 화학적 원리를 이용하고, 물리부는 예컨대 적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투여했을 때, 측정유류에 혼합된 화학물질의 성분에 따라 정품유류와 다른 투과 투과도를 나타내는 물리적 원리를 이용하고, 전기부는 예컨대 측정유류의 유전율, 전기전도율 및 유전율, 전기전도율의 온도적 변화에 따른 전기적인 변화특성을 측정하는 전기적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처리부(214)로 송출한다.
세정액 공급부(230)는 측정유류의 정품여부에 대한 판별이 완료되었을 때, 세정액 공급부관(106)을 통해 세정액을 유류검사부(220) 내부로 공급하여 새로운 측정유류에 대한 정품여부 검사가 오류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유입관(101)과 유류검사부(220) 내부에 잔존하는 기존의 측정유류의 찌꺼기를 제거한다. 여기서 세정액은 시클로헥산(Cyclohexane) 또는 톨루엔(Toluene)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모듈부(240)는 데이터처리부(214)에 의해 판별된 측정유류의 정품여부 판단정보를 수신하고, 정품여부 판단정보와 측정유류를 주유한 주유기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의 추가데이터를 확인하여 이를 관리서버(400)로 함께 전달한다.
저장장치(300)는 시료채취용기(310) 및 폐기물용기(320) 포함하며 측정유류가 정품이 아닌 경우, 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되는 측정유류의 일부를 추후 보다 정확한 검사에 사용하기 위하여 분지관(104)를 통해 추출하여 시료채취용기(310)에 보관한다. 이 경우 시료채취용기(310)는 전문기관에서만 수거 관리할 수 있도록 밀폐 및 보안이 유지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폐기물용기(320)는 배출관(108)의 말단에 연결되어 측정이 완료된 유류검사부(220)로부터 배출된 측정유류, 유류검사부(220) 내부를 세정한 세정액용액 및 세정과정에서 걸러진 기존의 측정유류 찌꺼기를 보관한다. 이후 폐기물용기(320)는 주기적으로 수거되고 별도의 처리를 통해 환경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폐기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330)를 구비한 다른 형태의 검사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30)를 구비한 다른 형태의 검사장치는 유입장치(100), 유입관(101), 제1 유입밸브(102), 제2 유입밸브(103), 분지관(104), 분지밸브(105), 세정액 공급부관(106), 세정액 공급밸브(107), 배출관(108), 배출밸브(109), 유류검사부(220), 세정액 공급부(230), 시료채취용기(310), 폐기물용기(320)를 포함한다.
즉, 다른 형태의 검사장치는 기존의 검사장치(200)에서 중앙처리부(210) 및 통신모듈부(240)를 제거하고 디스플레이부(330)를 첨가하여 실질적인 검사 과정이 이루어지는 장치만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형태의 검사장치는 실질적인 검사 과정을 거쳐 측정유류에 대한 정품여부 검사가 마친 후,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330)에 실시간으로 나타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측정유류에 대한 정품여부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다른 형태의 검사장치 내의 유입장치(100), 유입관(101), 제1 유입밸브(102), 제2 유입밸브(103), 분지관(104), 분지밸브(105), 세정액 공급부관(106), 세정액 공급밸브(107), 배출관(108), 배출밸브(109), 유류검사부(220), 세정액 공급부(230), 시료채취용기(310), 폐기물용기(32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되 검사장치의 제어 및 정품여부 판별은 유입장치(100)와 유류검사부(220)에 의해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측정유류의 정품여부에 대한 실험이 완료되어 정품여부가 판별되면, 주유소에서 주유를 하고 있는 사용자가 그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화면에 표시한다. 화면에는 정품여부 판단정보와 측정유류를 주유한 주유기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의 정보가 포함되며 이를 영수증에 프린트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전기적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검사하는 경우의 유류검사부(220)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검사하는 경우의 유류검사부(220)는 유입관(101), 배출관(108), 배출밸브(109), 중앙처리부(210), 유류검사부(220), 유류측정용기(221), 온도측정구(222), 제1 전극(223), 제2 전극(224), 절연막(225), 히터(226), 옥탄가센서(22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된 측정유류와 반응하지 않는 금속재질의 원판으로 이루어진 유류측정용기(221) 내부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어 제1 전극(223)을 배치하고, 제1 전극(223)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제 2 전극(224)을 배치한다. 이후 중앙처리부(21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제1 전극(223)과 제2 전극(224) 사이로 전기적 흐름을 가지게 하여, 유전율 또는 전기 전도율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히터(226)는 측정유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거나 온도의 변화에 따른 유전율(Permittivity) 또는 전기전도율(Electric Conductivity)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열을 공급하며, 옥탄가센서(227)는 측정유류가 이상 폭발을 일으키지 않도록 측정유류를 감지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히터(226)를 통해 온도를 조절한다.
즉, 온도측정구(222), 제1 전극(223) 및 제2 전극(224), 히터(226)는 중앙처리부(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제1, 제2 전극(223, 224)은 측정유류에 잠긴 두 전극 사이로 흐르는 전자기파의 파장을 측정하거나 두 전극 사이에 전압차로 인해 발생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고, 온도측정구(222)와 히터(226)는 측정유류가 기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적절하게 작동된다.
유전율은 부도체의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특성값을 말한다. 부도체 내부에서 각각 흩어져있던 쌍극자모멘트 성분은 외부에서 걸린 전자계의 교류 변화에 맞추어 정렬된다. 이렇듯 외부의 전자계의 변화에 대해 물질 내부의 쌍극자모멘트가 얼마나 잘 반응되는가의 정도를 유전율이라 한다. 따라서, 내부 전자기파의 파장과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유전율이 높다는 의미는 기본적으로 전기에너지가 잘 전달되고 상대적으로 전자파는 잘 투과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전율은 유전체의 내부에 포함된 물질의 성분에 따라 그 값이 변동될 수 있다.
전기전도율은 전기장이 가해졌을 경우,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물질의 능력으로 물질이나 용액이 전류를 운반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즉, 용액 속의 이온세기를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액의 내부에 포함된 물질의 성분을 파악할 수 있다.
유류검사부(220) 내부에 측정유류를 수용하기 위한 유류측정용기(221)는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하는데 있어서 측정유류와의 반응으로 인한 검사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측정유류와 반응이 없거나 아주 적은 절연막(225)으로 코팅된다. 이때 절연막(225)는 테프론 코팅 내지 세라믹 코팅이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온도측정구(222)는 중앙처리부(210)와 연결되어, 중앙처리부(210)의 제어에 따라 측정유류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중앙처리부(210)에 전달한다. 이때, 온도측정구(222)는 저온의 온도를 측정하는 정션(Junction) 온도계를 이용하며 두 종류의 금속을 조합하였을 경우 접합 양단의 온도가 서로 다르면 금속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특성을 이용하여, 전류로부터 제1, 제2 전극(223, 224)의 온도차를 파악한다.
제1, 제2 전극(223, 224)은 중앙처리부(210)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고, 제1, 제2 전극(223, 224)에 흐르는 전기적 흐름을 통하여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에 대한 측정을 측정유류에 대해 실행할 수 있다.
히터(226)는 유류측정용기(221)의 외벽에 결합되어,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측정할 경우 측정유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온도의 변화에 따른 유전율 또는 전기전도율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열을 공급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정유회사 및 소비자 중 일부 또는 전부에게 측정유류의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과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제1 내지 제4 주유소에 설치된 관리장치(400)는 차량에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여부의 판단결과 및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된 판단결과 및 데이터는 유무선망을 통하여 서비스관리장치(410)로 전송되며 서비스관리장치(410)는 실시간으로 이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정유회사(424)에 통보하는 한편, 소비자(422)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핸드폰의 검색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홈페이지에 그 내역을 바로 공지한다. 또한, 소비자(422)는 주유장치 내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통해 차량에 주유된 유류의 순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결과는 소비자(422)의 이메일 및 영수증에 프린트되어 소비자(422)가 소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하듯이,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먼저 주유소에서 차량에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유입장치(100)를 통해 측정유류를 수집한다(S600).
유사유류에 포함된 톨루엔이나 메탄올이 검사장치(200) 내에 설치된 키트의 나노 섬유 외부 보호막을 녹이고, 그 안의 고분자 센서와 반응해 측정유류와 실험용액의 색깔을 변화시키는 화학적 원리, 적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투여했을 때, 측정유류에 혼합된 화학물질의 성분에 따라 정품유류와 다른 투과 투과도를 나타내는 물리적 원리, 측정유류의 유전율, 전기전도율 및 유전율, 전기전도율의 온도적 변화에 따른 전기적인 변화특성을 측정하는 전기적 원리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측정유류의 정보데이터를 추출한다(S610).
데이터처리부(214)를 통해 검사가 완료된 측정유류의 정보데이터를 수집하고 기 저장되어 있는, 동일한 기법을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한 정품유류의 검사결과 데이터와 비교 및 분석하여(S620)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파악한다(S630).
단계 S630에서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확인하여 측정유류의 검사가 유사유류로 판별된 경우, 측정유류에 관한 정밀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추가검사용 시료 샘플을 분지관(104)을 통해 시료채취용기(310)로 전달한다(S640).
단계 S630에서 측정유류에 대한 정품여부가 판별이 되면, 측정이 완료된 측정유류에 대한 정품여부 판단정보와 측정유류를 주유한 주유기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의 추가데이터를 확인하여 이를 관리서버(400)로 전송한다(S650).
각각의 주유소에 설치된 관리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측정유류에 관한 정보를 유류와 관련된 기관인 석유관리원, 지식경제부 및 한국석유공사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서비스관리장치(410)에 재전송하고, 서비스관리장치(410)는 실시간으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측정유류의 정품여부에 관한 최종 결과를 실시간으로 서비스 수신그룹(420)에 전달한다(S660).
소비자(422) 및 정유회사(424)를 포함한 서비스 수신그룹(420)은 SMS(Short Message Service), 이메일, 불법주유소 검색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영수증, 홈페이지를 통해 측정유류에 관한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다(S670).
측정이 완료된 후, 유류검사부(220)로부터 배출된 측정유류, 유류검사부(220) 내부를 세정한 세정액용액 및 세정과정에서 걸러진 기존의 측정유류 찌꺼기를 폐기물용기(320)으로 이동시킨다(S680).
도 6에서는 단계 S600 내지 단계 S68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600 내지 단계 S68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디스플레이부(330), 화학부, 물리부 및 전기부를 포함하는 검사장치(200)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주유장치 11: 연결관
20: 주입기 100: 유입장치
101: 유입관 102: 제1 유입밸브
103: 제2 유입밸브 104: 분지관
105: 분지밸브 106: 세정액 공급부관
107: 세정액 공급밸브 108: 배출관
109: 배출밸브 110: 유류감지기
200: 검사장치 210: 중앙처리부
212: 구동제어부 214: 데이터처리부
220: 유류검사부 221: 유류측정용기
222: 온도측정구 223: 제1 전극
224: 제2 전극 225: 절연막
226: 히터 227: 옥탄가센서
230: 세정액공급부 240: 통신모듈부
300: 저장장치 310: 시료채취용기
320: 폐기물용기 330: 디스플레이부
400: 관리서버 410: 서비스관리장치
420: 서비스수신그룹 422: 소비자
424: 정유회사

Claims (18)

  1.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주유장치 및 주입기에 연결되어, 상기 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측정유류를 수집하는 유입장치;
    상기 유입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와 연동되며, 다수의 주유소에 설치된 상기 관리서버를 통해 수집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정보를 총괄적으로 관리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관리장치;
    상기 서비스 관리장치를 통해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서비스 수신그룹; 및
    상기 검사장치를 거친 상기 측정유류를 보관 및 폐기하는 저장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유입장치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및 상기 검사장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측정유류의 데이터 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실질적으로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측정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유류검사부, 상기 검사장치를 세척하는 세정액을 제공하는 세정액 공급부,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결과를 수신 및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장치는 상기 주유장치를 통해 상기 주입기로 송출되는 유류의 흐름 여부에 따라 주유의 시작 또는 종료를 감지하고, 이에 관한 주유진행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검사장치에 제공하는 유류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장치는 석유관리원, 지식경제부 및 한국석유공사 중 일부 또는 전부 내에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정보를 총괄적으로 모니터링(Monitoring) 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받는 서비스 수신그룹은 정유회사 및 소비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는 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검사에 필요한 상기 측정유류의 일부를 보관하는 시료채취용기 및 측정이 완료된 상기 측정유류를 보관 및 수거할 수 있는 폐기물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7. 유입장치에 의해 수집된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정유회사 및 소비자 중 일부 또는 전부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장치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
    상기 검사장치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 결과 데이터를 기 저장된 정품유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
    전기적, 화학적, 물리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유류검사부;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 이후, 상기 검사장치를 세척하는 세정액을 제공하는 세정액 공급부; 및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결과를 수신하고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모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유류 검사장치는 상기 유입장치와 상기 유류검사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을 개폐하는 제1, 제2 유입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관에서 분지되어 저장창치로 연결된 분지관과 상기 분지관을 개폐하는 분지밸브, 상기 유입장치와 상기 분지관 사이에서 분지된 세정액 공급부관과 상기 세정액 공급부관을 개폐하는 세정액 공급밸브, 상기 유류검사부의 타단부에 연결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유입밸브 및 상기 분지밸브, 상기 세정액 공급밸브, 상기 배출밸브는 상기 구동제어부에 의해 개폐 여부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류검사부는 상기 측정유류에 포함된 톨루엔이나 메탄올의 함유량에 따라, 상기 측정유류와 실험용액의 색깔이 변하는 화학적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화학부, 적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투여했을 때, 혼합된 화학물질의 성분에 따라 정품유류와 다른 투과도를 나타내는 물리적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물리부, 상기 측정유류의 유전율, 전기전도율 및 상기 유전율, 전기전도율의 온도적 변화에 따른 전기적 변화특성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전기부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공급부의 상기 세정액은 시클로헥산(Cyclohexane) 또는 톨루엔(Toluene)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부는 상기 측정유류를 주유한 주유장치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여부 판단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유사유류 검사장치.
  13. 유입장치, 검사장치 및 서비스 관리장치를 구비하는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이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여부 결과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입장치 및 상기 검사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
    상기 유입장치가 상기 유류의 정품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측정유류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검사장치가 화학적, 물리적, 전기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상기 정품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검사장치가 상기 검사장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측정유류의 검사결과를 기 저장된 정품유류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검사장치에 구비된 세정액 공급부가 상기 검사장치를 세척하는 세정액을 제공하는 과정;
    상기 검사장치에 구비된 통신모듈부를 통해, 추출한 상기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주유소에 설치된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서비스 관리장치가 다수의 주유소에 설치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집한 상기 측정유류의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총괄적으로 관리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 수신 그룹에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유류에 포함된 톨루엔이나 메탄올의 함유량에 따라, 상기 측정유류와 실험용액의 색깔 변화 특성을 이용하는 화학적 기법, 적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유류에 특정 파장의 적외선을 투여했을 때, 혼합된 화학물질의 성분에 따라 정품유류와 다른 투과도를 나타내는 특성을 이용하는 물리적 기법, 상기 측정유류의 유전율, 전기전도율 및 상기 유전율, 전기전도율의 온도적 변화에 따른 전기적 변화특성을 측정하는 전기적 기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상기 측정유류의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수신 그룹에 전송하는 과정은 석유관리원, 지식경제부 및 한국석유공사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측정유류의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모니터링(Monitoring) 또는 상호 간 상기 측정유류에 관한 정보공유 하는 과정을 거친 후, 정유회사 및 소비자에 상기 측정유류에 관한 상기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및 검사결과는 상기 측정유류를 주유한 주유장치 번호, 측정 날짜 및 시간, 상기 측정유류의 정품여부 판단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회사는 상기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전송받아, 상기 측정유류가 정품유류가 아닌 경우, 상기 측정유류를 주유한 주유소에 대한 정보를 각각 공유하는 한편 상기 측정유류에 관한 정밀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이메일, 불법주유소 검색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영수증, 홈페이지 및 주유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Display) 되는 방식을 통해 상기 측정유류에 관한 상기 데이터 및 검사결과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방법.
KR1020120024904A 2012-03-12 2012-03-12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409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04A KR101409453B1 (ko) 2012-03-12 2012-03-12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904A KR101409453B1 (ko) 2012-03-12 2012-03-12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902A KR20130103902A (ko) 2013-09-25
KR101409453B1 true KR101409453B1 (ko) 2014-06-20

Family

ID=4945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904A KR101409453B1 (ko) 2012-03-12 2012-03-12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882A (ko) *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스타코어스 유류 공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88801A (zh) * 2020-12-15 2021-03-12 北京易兴元石化科技有限公司 一种石油订单数据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414777B (zh) * 2021-12-08 2024-01-1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燃油留样监测系统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387A (ko) * 2001-01-22 2002-02-01 이일경 유류 정보 시스템 및 유류 가격 정보 수집 방법
KR20030023910A (ko) * 2001-09-14 2003-03-26 주식회사 제니큐 주유소관리 및 정보제공 시스템
KR100763592B1 (ko) * 2006-05-26 2007-10-09 한국석유품질관리원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
KR20100109665A (ko) * 2009-04-01 2010-10-11 이호근 유사 연료 판별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387A (ko) * 2001-01-22 2002-02-01 이일경 유류 정보 시스템 및 유류 가격 정보 수집 방법
KR20030023910A (ko) * 2001-09-14 2003-03-26 주식회사 제니큐 주유소관리 및 정보제공 시스템
KR100763592B1 (ko) * 2006-05-26 2007-10-09 한국석유품질관리원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
KR20100109665A (ko) * 2009-04-01 2010-10-11 이호근 유사 연료 판별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1882A (ko) * 2015-09-14 2017-03-22 주식회사 스타코어스 유류 공급시스템
KR101869293B1 (ko) * 2015-09-14 2018-06-20 주식회사 스타코어스 유류 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902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5352B (zh) 油品氧化安定性测试方法
RU2533820C2 (ru)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коррозии и осаждения продуктов коррозии в блоке перегонки сырой нефти
CN105065085B (zh) 一种多传感器信息融合的机油品质在线监测系统及其方法
US8589087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orrosion or corrosive contaminants associated with liquid fuel
KR101409453B1 (ko)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BR112019015343A2 (pt) Mistura controlada de biodiesel em fluxos de destilados
WO2014014320A1 (ko) 주유기 조작 검사 장치 및 그 검사 방법
CN102608194B (zh) 一种液体油中腐蚀性硫的在线检测装置
CN103149345A (zh) 一种油中溶解气体智能组件的检验方法及装置
CN110779966A (zh) 轻瓦斯告警特征气体检测方法及装置
KR100763592B1 (ko) 차량탑재형 연료검사장치
KR20120137589A (ko) 주유소용 유사 휘발유/경유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Vráblík et al. Rapid Models for Predicting the Low‐Temperature Behavior of Diesel
CN1576834A (zh) 柴油发动机实时运行时润滑剂中炭黑的检测
Shinde et al.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ioration of engine oil in terms of change in viscosity, conductivity and transmittance
Ejofodomi et al. Automated volume measurement, adulteration detection, and tracking of petroleum products
US11034573B2 (en) Fuel delivery system having corrosive detection assembly
CN207648473U (zh) 一种电磁超声管道腐蚀远程无线监测装置
KR20140098359A (ko) 주유소용 유사 오일 검사 및 데이터 수집/처리 시스템
CN207408304U (zh) 基于紫外荧光法的在线含油污水检测装置
Hrynkiv Operational evaluation of motor oils of trucks by their thermal oxidative stability
CN205562335U (zh) 模拟实际工作状态下的机油检测装置
US11639919B1 (en) Headspace gas monitor
Zaharia et al. Diagnosing the operation of a locomotive diesel engine based on the analysis of used oil in the period between two technical revisions
CN103575573A (zh) 分析式铁谱仪制谱油样的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