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683B1 - 슬랫 구조체 - Google Patents

슬랫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683B1
KR100937683B1 KR1020080017244A KR20080017244A KR100937683B1 KR 100937683 B1 KR100937683 B1 KR 100937683B1 KR 1020080017244 A KR1020080017244 A KR 1020080017244A KR 20080017244 A KR20080017244 A KR 20080017244A KR 100937683 B1 KR100937683 B1 KR 100937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ver plate
slat structure
connection member
s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1991A (ko
Inventor
한중근
김기연
문광훈
Original Assignee
메코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코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코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6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랫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랫 구조체는, 실내로 투입되는 일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장치의 슬랫 구조체로서, 슬랫 구조체의 뼈대를 이루도록 다수의 파일이 조립된 프레임; 프레임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 연결부재; 및 프레임의 앞면과 뒷면을 커버하도록 연결부재와 결합된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연결부재와 결합된 커버플레이트는 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일정 각도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랫 구조체, 프레임, 커버플레이트, 연결부재, 회동

Description

슬랫 구조체{Slat structure}
본 발명은 루버장치용 슬랫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랫 구조체의 커버플레이트의 탈착이 용이하고, 슬랫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슬랫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장치는 창틀 상부에 부착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차양용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차양용 부재는 통상적으로, 실내로 투입되는 일사량를 조절하기 위한 슬랫, 슬랫을 레일에 설치하는 장착부 및 슬랫을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루버장치는 소형과 대형으로 구분되어 지는데, 대형의 루버장치의 경우 대략 3 내지 4개의 슬랫을 설치하여 사용되어 진다. 즉, 슬랫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슬랫을 슬랫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을 성형, 압출하여 조립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슬랫은 사각형상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앞면과 뒷면에 설치되어 일조조정을 하는 커버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슬랫은 프레임에 커버플레이트를 볼트 등으로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루버장치는 차양은 물론, 채광, 일조조정, 통풍, 환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바, 일정시간이 흐르면, 청결, 위생을 위하여 루버장치의 슬랫을 분해하여 세척하거나, 파손시 교체 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형 루버장치의 슬랫의 경우 슬랫을 조립하거나 분해하는데 볼트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립과 분해가 어려우며. 또한 부피가 커 슬랫에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대형 루버장치의 슬랫을 용이하게 조립하거나 분해하며,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랫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랫 구조체는, 실내로 투입되는 일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장치의 슬랫 구조체로서, 슬랫 구조체의 뼈대를 이루도록 다수의 파일이 조립된 프레임; 프레임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 연결부재; 및 프레임의 앞면과 뒷면을 커버하도록 연결부재와 결합된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연결부재와 결합된 커버플레이트는 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일정 각도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부재는 회전가능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커버플레이트가 끼워지도록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은 커버플레이트가 끼워지는 부분의 입구가 좁아지도록 기울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임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지지파일이 더 설치되어, 연결부재가 지지파일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은 사각형상으로 조립되고, 프레임의 꼭지점과 사선방향의 꼭지 점을 이어주는 와이어가 교차되도록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보조파일이 더 설치되고, 보조파일에 의하여 앞면과 뒷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네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네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커버플레이트가 네 개의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플레이트에는 투광을 위한 홀이 전면(全面)에 걸쳐 복수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랫 구조체는 회전가능한 연결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연결부재와 체결된 커버플레이트가 회동되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또한, 지지파일, 보조파일, 와이어 등을 설치하여 부피가 큰 슬랫 구조체의 비틀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플레이트에 홀을 형성하여 차양기능은 물론, 미려함의 향상 및 흡차음성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커버플레이트에 그림을 인쇄하여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 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슬랫 구조체는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나, 지지파일이 설치된 프레임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 모드이기 때문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지파일이 설치된 프레임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지지파일이 없어도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랫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슬랫 구조체의 커버플레이트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태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슬랫 구조체(100)는, 슬랫 구조체(100)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파일(115)에 마련된 연결부재(120) 및 연결부재(120)와 결합된 커버플레이트(130)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다수의 파일이 조립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10)은 상부파일(111), 하부파일(112), 좌측파일(113) 및 우측파일(114)이 조립되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지지파일(115)이 설치된다. 즉, 프레임(110)은 지지파일(115)을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의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110) 및 지지파일(115)은 알루미늄 소재로 압출 되거나 성형되어 조립된다.
상기 상부파일(111)은 루버장치(미도시)의 레일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하부파일(112), 좌측파일(113) 및 우측파일(114)은 결합되어 후술할 커버플레이트(13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의 프레임(110)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파일(115)에는 서로 대향된 방향, 즉 좌측파일(113) 및 우측파일(114)과 마주보는 방향의 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결부재(120)가 끼워지도록 결합홈(116)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홈(116)은 좌측파일(113) 및 우측파일(114)과 마주보는 방향의 면에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지지파일(115)에 형성된 결합홈(116)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결합홈(116)은 연결부재(120)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점차적으로 기울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된다.
연결부재(120)는 결합홈(116)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부재(120)의 일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커버플레이트(130)가 끼워지도록 체결홈(122)이 형성된다(도 3 참조). 체결홈(122)은 커버플레이트(130)가 끼워지는 부분의 기울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체결홈(122)은 연결부재(120)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커버플레이트(130)가 체결홈(122)에 끼워져 쉽게 빠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120)는 탄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30)는 연결부재(120)의 체결홈(122)에 끼워져 프레 임(110)에 설치된다. 즉, 커버플레이트(130)의 일측은 체결홈(122)에 끼워지도록 편평하게 형성되고, 타측은 프레임(110)에 좌측파일(113) 또는 우측파일(114)의 바깥면과 결합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커버플레이트(130)는 연결부재(120)에 끼워져 회동된다(도 2 참조). 즉, 종래와는 다르게, 볼트 등을 이용하지 않고, 연결부재(120)에 직접 끼워져 탈착이 용이하고, 또한 연결부재(120)의 회전에 의하여 조립과 분해가 더욱 용이하다.
한편, 커버플레이트(130)에는 전면에 걸쳐 홀(131)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홀(131)은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일정 패턴 또는 랜덤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131)은 프레임(110)의 앞면에 설치된 커버플레이트(130)와 뒷면에 설치된 커버플레이트(130)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실내로 투입되는 일사량을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홀(131)은 통풍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미려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레임(110)의 앞면과 뒷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 커버플레이트(130) 사이에 직물체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커버플레이트(130)의 홀(131)을 통해 입사되는 일사량을 일정부분 차단하여 실내로 입사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정량의 일사량의 차단은 물론 통풍의 역할도 함께 수행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커버플레이트(130)의 전면에 그림(광고) 등을 인쇄(미도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외부로는 광고의 효과를 얻고, 내부로는 차양 및 통풍 등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홀(131)이 형성된 커버플 레이트(130)에 그림을 인쇄하더라도 비교적 먼 거리에서 식별시 홀(131)이 보이지 않아 광고 효과에 지장이 없으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식별시 홀(131)로인하여 미려함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랫 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랫 구조체(200)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지지파일(115)에 마련된 연결부재(120), 프레임(110) 각 꼭지점에 교차되도록 연결된 와이어(240) 및 연결부재(120)와 결합된 커버플레이트(130)를 구비한다. 이때, 도 4에서의 슬랫 구조체(200)는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의 슬랫 구조체(100)의 프레임(110), 지지파일(115), 연결부재 (120)및 커버플레이트(130)와 동일한 참조부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르킨다. 다만, 와이어(240)가 더 구비되는 것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와이어(240)는 프레임(110)의 꼭지점과 사선 방향의 꼭지점이 교차되어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즉, 지지파일(115)의 좌측의 좌측영역을 이루는 프레임(110)의 상부 꼭지점에 각각 와이어(240)가 설치되고 서로 교차되어 하부의 꼭지점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우측영역의 프레임(110)에 와이어(240)가 교차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와이어(240)의 설치는 슬랫 구조체(200)의 부피가 커, 슬랫 구조체(200)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슬랫 구조체(200)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파일(115) 이외에 와이어(240)를 더 설치함으로써 슬랫 구조체(200)의 비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슬랫 구조체(100),(200)들은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지지파 일(115)을 프레임(110)의 중심에 설치하여 체결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파일(115)이 설치되지 않은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 구조체(300)의 수평 방향으로 보조파일(35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슬랫 구조체(300)의 각 구성요소는 앞선 실시예의 슬랫 구조체(200)의 프레임(110), 지지파일(115), 연결부재(120), 커버플레이트(130) 및 와이어(240)와 동일한 참조부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르킨다. 다만, 보조파일(350)이 더 구비되는 것에 있어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즉, 보조파일(350)은 슬랫 구조체(300)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이때, 보조파일(350)이 설치됨에 따라 프레임(110)이 네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이에 프레임(110)의 각 영역별로 커버플레이트(13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즉, 프레임(110)의 앞면 및 뒷면 중 어느 한면에 적어도 네 개의 커버플레이트(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프레임(110)의 좌측영역과 우측영역으로 구분하여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보조파일(350)이 설치됨으로써 와이어(24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파일(350)을 기준으로 각 영역별로 와이어(240)가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랫 구조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랫 구조체의 커버플레이트가 회동되는 상태를 나태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랫 구조체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랫 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랫 구조체의 프레임에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에에 따른 슬랫 구조체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프레임 115 : 지지파일
120 : 연결부재 122 : 체결홈
130 : 커버플레이트 131 : 홀
240 : 와이어 350 : 보조파일
100, 200, 300 : 슬랫 구조체

Claims (9)

  1. 실내로 투입되는 일사량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장치의 슬랫(slat) 구조체에 있어서,
    슬랫 구조체의 뼈대를 이루도록 다수의 파일이 조립된 프레임;
    프레임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 연결부재; 및
    프레임의 앞면과 뒷면을 커버하도록 연결부재와 결합된 커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연결부재와 결합된 커버플레이트는 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일정 각도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회전가능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커버플레이트가 끼워지도록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체결홈은 커버플레이트가 끼워지는 부분의 입구가 좁아지도록 기울기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구조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부재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프레임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지지파일이 더 설치되어, 연결부재가 지지파일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사각형상으로 조립되고, 프레임의 꼭지점과 사선방향의 꼭지점을 이어주는 와이어가 교차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구조체.
  7. 제5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수평 방향으로 보조파일이 더 설치되고, 보조파일에 의하여 앞면과 뒷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이 네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네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프레임을 커버하도록 커버플레이트가 네 개의 커버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구조체.
  9. 제5항에 있어서,
    커버플레이트에는 투광을 위한 홀이 전면(全面)에 걸쳐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구조체.
KR1020080017244A 2008-02-26 2008-02-26 슬랫 구조체 KR100937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244A KR100937683B1 (ko) 2008-02-26 2008-02-26 슬랫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244A KR100937683B1 (ko) 2008-02-26 2008-02-26 슬랫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991A KR20090091991A (ko) 2009-08-31
KR100937683B1 true KR100937683B1 (ko) 2010-01-19

Family

ID=4120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244A KR100937683B1 (ko) 2008-02-26 2008-02-26 슬랫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6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976A (ja) 1997-08-29 1999-03-16 Masami Tanaka ルーバー付き網戸
KR200176147Y1 (ko) 1999-10-27 2000-03-15 주식회사한국비철무역 셔터 도어
KR200363450Y1 (ko) 2004-06-28 2004-10-02 곽재석 방충망의 양측단 지지구조
KR200438310Y1 (ko) 2006-12-22 2008-02-04 박인철 도어 및 칸막이용 조립식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976A (ja) 1997-08-29 1999-03-16 Masami Tanaka ルーバー付き網戸
KR200176147Y1 (ko) 1999-10-27 2000-03-15 주식회사한국비철무역 셔터 도어
KR200363450Y1 (ko) 2004-06-28 2004-10-02 곽재석 방충망의 양측단 지지구조
KR200438310Y1 (ko) 2006-12-22 2008-02-04 박인철 도어 및 칸막이용 조립식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991A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3018A1 (en) Retractable Barrier Assembly
KR101256039B1 (ko) 일체형 스크린 루버 구조체
WO2008015762A1 (fr) Dispositif d&#39;affichage
JP7352690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並びに照明装置の組込構造
KR100937683B1 (ko) 슬랫 구조체
KR101284733B1 (ko) 조명유닛 및 조명장치
JP2008223346A (ja) 庇及び建物
JP3927592B1 (ja) Ledモジュール及びled表示装置
KR200439059Y1 (ko) 갤러리 창호
KR20090091993A (ko) 슬랫 구조체
KR100985344B1 (ko) 조명기능을 갖는 커튼월
JP737082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の取付構造
KR100937684B1 (ko) 슬랫 구조체
KR200461641Y1 (ko) 회동 가능한 불투명 패널이 구비된 이중 방음벽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20090002813U (ko) 슬랫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루버
KR101887597B1 (ko) 분리 가능한 차양 조립용 브라켓
KR101331246B1 (ko) 시스템 루버 장치
KR101259325B1 (ko) 후방조명에 의한 배너광고용의 발광장치
KR200470547Y1 (ko) 블라인드 창
JP2538953Y2 (ja) パネル固定具
CN220725578U (zh) 一种遮阳装置和遮阳建筑
JP2006161469A (ja) 透光性目隠しパネル
JP3142639U (ja) 二重網戸
CN219528886U (zh) 一种可调角度玻璃百叶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