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247B1 - 기체내장유닛 - Google Patents

기체내장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247B1
KR100937247B1 KR1020090022788A KR20090022788A KR100937247B1 KR 100937247 B1 KR100937247 B1 KR 100937247B1 KR 1020090022788 A KR1020090022788 A KR 1020090022788A KR 20090022788 A KR20090022788 A KR 20090022788A KR 100937247 B1 KR100937247 B1 KR 10093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ube member
reinforcement
unit
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riority to JP201151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JP5527319B2/ja
Priority to ES09794656.0T priority patent/ES2617220T3/es
Priority to EP09794656.0A priority patent/EP2311723B1/en
Priority to DK09794656.0T priority patent/DK2311723T3/en
Priority to CN2009801267074A priority patent/CN102089201A/zh
Priority to PT97946560T priority patent/PT2311723T/pt
Priority to US13/003,082 priority patent/US8925476B2/en
Priority to PCT/KR2009/003770 priority patent/WO2010005250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2Inflatable having part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2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043/14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pneumatic, e.g. inflatable o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0Board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B63B32/51Inflatable boards, e.g. drop-stitch inflatabl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63C9/04Life-rafts
    • B63C2009/042Life-rafts inflat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Bag Fram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내장유닛에 관한 것으로, 외주연이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보드와;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내측에 구비되며 기체의 주입여부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체적이 가변될 수 있도록 기밀을 유지하며 내부에 충진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보강보드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기밀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기체의 주입여부에 따라 형상이 2차원에서 3차원으로 가변되며 내부에 충진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어 큰 내구성과 강도를 갖는 기체내장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기체내장, 튜브부재, 강도, 배, 보트

Description

기체내장유닛{UNIT HAVING GAS}
본 발명은 기체내장유닛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강부재의 내부에 기체가 충진된 기체내장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는 기체의 주입 여부에 따라 체적이 가변적으로 마련되며, 그 비중이 가벼워 물체를 물 위에 뜨게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1은 일반적인 튜브가 장착된 보트(1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0)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보트본체(20)의 양측에 구비되어 보트본체(20)가 물위에 안정적으로 떠 있을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종래 튜브(30)는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은 다양한 연질재질로 형성된다. 폴리염화비닐은 그 재질 특성이 연성이므로 날카로운 물질에 접촉할 경우 표면이 쉽게 찢어진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트(10)가 암초 또는 산호초가 있는 곳으로 이동할 경우 튜브(30)가 이들 암초 표면과 접촉하며 쉽게 찢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렇게 튜브(30)가 찢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안전이 위험해지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력을 가지며 쉽게 찢어지지 않고 내구성과 강도를 갖는 기체내장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무게가 가벼우며 공기 충진여부에 따라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한 기체내장유닛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기체내장유닛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체내장유닛은 외주연이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보드와;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내측에 구비되며 기체의 주입여부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체적이 가변될 수 있도록 기밀을 유지하며 내부에 충진된 기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보강보드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기밀유지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밀유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내측면에 구비된 코팅층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밀유지부재는 기체의 주입여부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튜브부재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브부재는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 사이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 사이의 결합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를 상호 결합시키며 체적가변시 상기 튜브부재의 형상을 지지하는 결합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기체의 주입여부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의 상하에 배치되며 적어도 양측면이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체내장유닛은 보강보드의 내측면에 수용된 기체가 누설되지 않 도록 기밀이 유지되는 코팅층을 구비하여 별도의 튜브부재 없이도 충분한 부력을 발생할 수 있다. 경질의 보강보드가 기체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암초 표면과 접촉하더라도 쉽게 손상되지 않으므로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체내장유닛은 연질의 튜브부재를 내부에 수용하더라도 경질의 보강보드가 감싸고 있으므로 튜브를 보호할 수 있어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강보드 내부의 기체 주입 여부에 따라 2차원에서 3차원으로 그 부피가 가변되므로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하기 간편하다.
또한, 보강보드 내부에 기체가 주입될 경우 기체가 보강보드를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보강부재의 강도가 증가하므로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변형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은 기체의 주입 여부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튜브부재(110)와, 튜브부재(110)의 상하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와,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의 적어도 양측면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40)를 포함한다.
튜브부재(110)는 기체가 주입되는 소정 체적을 갖는다. 튜브부재(110)는 폴리염화비닐(PVC), 고무, 우레탄비닐, 자동차타이어튜브, EVA, 합성소재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튜브부재(110)는 한 겹으로 구비되거나 복수개 겹으로 겹쳐 구비될 수 있다. 즉, 외부 튜브부재 내부에 내장형 튜브부재가 수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튜브부재(110)의 일측에는 튜브부재(110)의 내부로 기체가 주입되는 기체주입구(111)가 구비된다. 기체주입구(111)는 보강보드(120,130)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된 주입구노출공(12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는 판 상의 부재로 튜브부재(1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된다. 보강보드(120,130)는 튜브부재(110)의 체적변화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경질재질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플라스틱과 금속재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보드(120,13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물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으며 기체내장유닛(100)이 결합되어 사용될 물품의 용도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는 결합부재(140)에 의해 적어도 양측면이 상호 결합된다. 여기서,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 중 어느 하나에는 튜브부재(110)의 기체주입구(11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주입구노출공(121)이 구비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기체주입구(111)로 간편하게 기체를 주입할 수 있다.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의 두께는 튜브부재(110)의 직경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110)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경우 2차원적으로 상호 적층된 형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전체 부피도 최소화될 수 있어 사용자가 기체내장유닛(100)을 이동시키기 편리해진다.
반면, 튜브부재(110)에 기체가 주입되는 경우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부재(110)의 체적이 증가하는 것과 비례하여 보강보드(120,130)도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3차원적인 형상을 갖게 된다. 이 때, 기체가 채워진 튜브부재(110)는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의 내벽면에 밀착되면서 끼워지게 되고, 튜브부재(110) 내부에 충진된 기체는 보강보드(120,130)에 의해 수용공간이 제한되므로 보강보드(120, 130) 내벽면으로 반발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반발압력은 외부로부터 보강보드(120,130)에 외력을 가했을 때 외력에 반발하는 힘으로 작용하여 보강보드(120,130)가 쉽게 굽혀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일례로, 직경 35cm의 튜브부재(110)에 기체를 가득(약 300mbar) 주입했을 경우 성인 1명이 올라타면 손으로 눌러도 쉽게 굽힘 변형이 발생하지만, 직경 35cm의 튜브부재(110)의 상하면을 두께 3mm의 보강보드(120,130)로 감싸고 기체를 가득 주입할 경우 성인 3명이 올라타더라도 굽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게 되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결합부재(140)는 보강보드(120,130)의 적어도 양측면을 결합시켜 튜브부재(110)에 기체가 주입될 때 보강보드(120,13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한다. 결합부재(140)는 보강보드(120,130)의 두께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리벳, 나사, 스테이플러,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결합부재(140)는 튜브부재(110)에 기체가 주입되어 튜브부재(110)와 함께 보강보드(120,130)가 탄성변형될 때 결합영역에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여 수직한 방향으로의 보강보드(120,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은 튜브부재(110)의 전방과 후방이 외부로 노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a)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40)가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의 테두리영역 전체를 결합시켜 튜브부재(110)가 보강보드(120,130) 내에 수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에는 보강보드(120,130)의 내부로 청소액을 유입시켜 튜브부재(110)의 표면을 청소하도록 하는 청소액유입구(125a)와 청소액유출구(125b)가 구비될 수 있다. 청소액유입구(125a)와 청소액유출구(125b)는 경우에 따라 한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b)은 튜브부재(110)의 일단부영역(A)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재(140)는 보강보드(120,130)의 일부영역에는 구비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c)은 개방된 일단부영역(A)에 개폐가능한 개폐부재(150)를 구비한다. 개폐부재(150)는 보강보드(120,1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개폐부재본체(153)와, 개폐부재본체(154)를 보강보드(120,130)에 회동시키는 경첩(151)과, 보강보드(120,13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개폐부재본체(153)가 보강보드(120,130)의 내측방향만 회동되도록 개폐부재본체(153)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155)를 포함한다.
개폐부재(150)는 튜브부재(110)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경우 보강보드(120,130)와 함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튜브부재(110)에 기체가 주입되는 경우 보강보드(120,130)의 탄성변형과 함께 보강보드(120,130)로부터 회동되어 개구영역을 폐쇄한다.
한편,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보드(120,130)가 튜브부재(110) 전체를 밀폐하는 구조일 경우 기체가 주입되기 전의 2차원 형상에서 기체가 주입된 후 3차원 형상이 될 때 튜브부재(110) 전체에 기체가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튜브부재(110) 내부로 기체가 공급될 때 보강보드(120, 130) 내부 공간의 형상과 튜브부재(110)의 팽창속도 및 튜브부재(110)의 접힘형상 등에 의해 상호 간섭이 발생되어 튜브부재(110) 전체에 기체가 고르게 분포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튜브부재(110)가 원활히 팽창되지 못하므로 보강보드(120,130)도 3차원 형상으로 부풀어 오를 때 일부 영역에서 찌그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d)는 이러한 보강보드의 찌그 러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 의 외주연 사이에 결합파이프(160)를 삽입하였다. 결합파이프(160)는 튜브부재(110) 내부로 기체가 주입되어 보강보드(120,130)가 3차원 형상으로 팽창할 때 보강보드(120,130)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일부 영역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보강보드(120,130) 내부 공간도 찌그러짐이 없게 유지되므로 튜브부재(110) 내부로도 고르게 기체가 충진될 수 있다.
각각의 보강보드(120,130)는 도5b 및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파이프(160)와 결합부재(140)에 의해 결합된다. 결합파이프(160)는 보강보드(120,130)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되거나 보강보드(120,130)에 비해 강도가 조금 더 센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파이프(160)는 보강보드(120,130)의 형상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초기 결합파이프(160)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보드(120,130)에 직선형태로 결합되나 보강보드(120,130)의 형상에 따라 곡선형으로 변화될 수 있다. 결합파이프(160)는 보강보드(120,130)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어 부풀어 오를 경우 보강보드(120,130)의 골격을 이루면서 전체 형상의 안정감을 유지시킨다. 결합파이프(160)의 단면형상과 두께는 보강보드(120,130)의 두께와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것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보강보드(120,130) 사이에 결합파이프(140)를 두고 있으나, 이 외에 보강보드(120,130)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킬 수 있는 여타 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e)은 튜브부재(110)의 전방과 후방이 유선형으로 구비된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보강보드(120,130) 의 부분적인 일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도6a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름부재(170)를 포함한다. 튜브부재(110)의 전방과 후방이 유선형일 경우 기체가 공급되기 전과 공급된 후의 튜브부재(110)의 전체 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보강보드(120, 130) 내부에서 튜브부재(110)가 팽창하게 되면 부분적인 일그러짐이 발생하거나 기체가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한다. 주름부재(170)은 보강보드(120,130)의 전방영역과 후방영역에 각각 결합되며 기체가 공급되어 팽창되면 주름형상이 팽창하며 튜브부재(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된다. 즉, 주름부재(170)에 형성된 복수의 주름(171)은 기체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되면서 부풀어 오르고 이에 따라 주름부재(170)의 전체길이도 튜브부재(110)와 마찬가지로 줄어들게 된다(l1>l2). 이렇게 주름부재(170)가 튜브부재(110)에 대응되게 길이와 체적이 변화되므로 기체가 공급되더라도 형태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체내장유닛들에서는 보강보드(120,130) 내에 한 개의 튜브부재가 수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기체내장유닛(100f)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복수개의 튜브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튜브부재(110a,110b)가 상하로 배치되거나,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튜브부재(110a,110b,110c)가 삼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튜브부재(11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각각의 튜브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7a와 도7b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4개 이상의 튜브부재가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g)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보드(120,130)의 내벽면에 일정두께의 기밀유지용 코팅층(121,131)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g)은 코팅층(121,131)이 보강보드(120,130)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앞서 설명한 튜브부재(11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기체내장유닛(100g)은 별도의 튜브부재(110) 없이 보강보드(110,120) 만으로 기체의 주입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을 하게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동일한 강도를 갖는 장점을 갖는다.
코팅층(121,131)은 한 쌍의 보강보드(120,130)가 결합되기 전에 각각의 내벽면에 도포되어 형성되거나, 한 쌍의 보강보그(120,130)가 상호 결합된 후 내벽면에 코팅물질을 충진시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121,131)의 재질은 종래 방수 및 기밀유지를 위해 사용하는 여타 재료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은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경우 2차원적인 형상을 갖고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되는 경우 3차원적인 형상을 갖게 된다. 3차원적인 형상을 갖게 됨과 동시에 튜브부재와 보강보드 사이의 압력에 의해 튜브부재만 있는 경우와 대비하여 5-7배의 강도가 보강되게 된다.
또한, 보강부재가 튜브부재를 감싸고 있어 날카로운 부재와 접촉하더라도 튜브부재가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그리고, 튜브부재의 내부에는 기체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의 보강재들과 비교할 때 무게가 가벼워 이동 및 사용용도가 다양화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체를 빼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공간활용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이 적용될 수 있는 물품을 설명한다.
먼저, 도9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이 결합된 보트(200)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200)의 양측에 기체내장유닛(100)을 결합한 경우 암초 등에 부딪치더라도 튜브부재(110)에 손상이 가지 않으므로 오랫동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튜브부재(110)에 비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의 보강보드(120,130)의 표면이 더욱 매끄러우므로 물에 대한 저항이 약해 보트(200)의 이동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9b는 선착장 등에 사용되는 프로트(300)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기체내장유닛(100)은 나무 등으로 구비되는 프로트본체(310)의 하부면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종래 프로트(300)에는 스티로폼 등의 부력부재가 결합되어 사용되었으나 스티로폼 등은 장기간 사용할 경우 표면이 부식되거나 손상이 가는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은 보강보드(120,130)가 쉽게 손상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포로트본체(310)의 하부면에 복수의 기체내장유닛(100)이 상호 인접하게 구비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두 개의 기체내장유닛(100)을 수갑의 단면형상과 같이 결합시키고, 기체내장유닛(100) 사이의 판상의 재질로 사용자가 통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9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이 각종 행사에서 사용되는 천막(400)의 지지부재로 사용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체내장유닛(100)이 천막본체(410)의 하부에 결합되어 땅에 천막본체(41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기체내장유닛(100)은 기체의 주입여부에 따라 부피가 가변적이므로 이동할 때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금속소재의 지지부재와 비교할 때 무게는 가벼운 반면 더 강한 강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일례들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이 사용될 수 있는 일례를 열거한 것일 뿐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체내장유닛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튜브부재가 사용된 보트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기체 주입 여부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6a와 도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기체주입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7a와 도7b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기체주입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9a 내지 도9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이 결합된 실시예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체내장유닛 110 : 튜브부재
120, 130 : 보강보드 140 : 결합부재
160 : 결합파이프 170 : 주름부재

Claims (5)

  1. 외주연이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보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내측에 구비되며 기체의 주입여부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어 상기 보강보드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튜브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 사이의 결합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를 상호 결합시키며 체적가변시 상기 튜브부재의 형상을 지지하는 결합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재는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 사이에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5. 삭제
KR1020090022788A 2008-07-09 2009-03-17 기체내장유닛 KR10093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517352A JP5527319B2 (ja) 2008-07-09 2009-07-09 気体内蔵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含んだ水上運送装置
ES09794656.0T ES2617220T3 (es) 2008-07-09 2009-07-09 Unidad de gas incorporada y equipo de transporte acuático que incluye la misma
EP09794656.0A EP2311723B1 (en) 2008-07-09 2009-07-09 A built-in gas unit and aquatic transportation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DK09794656.0T DK2311723T3 (en) 2008-07-09 2009-07-09 Built-in gas unit and water transport equipment comprising such unit
CN2009801267074A CN102089201A (zh) 2008-07-09 2009-07-09 气体内藏单元以及包含气体内藏单元的水上运输装置
PT97946560T PT2311723T (pt) 2008-07-09 2009-07-09 Uma unidade de gás embutida e equipamento de transporte aquático incluindo a mesma
US13/003,082 US8925476B2 (en) 2008-07-09 2009-07-09 Built-in gas unit and aquatic transportation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PCT/KR2009/003770 WO2010005250A2 (ko) 2008-07-09 2009-07-09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724 2008-07-09
KR20080066724 2008-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247B1 true KR100937247B1 (ko) 2010-01-15

Family

ID=4180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788A KR100937247B1 (ko) 2008-07-09 2009-03-17 기체내장유닛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925476B2 (ko)
EP (1) EP2311723B1 (ko)
JP (1) JP5527319B2 (ko)
KR (1) KR100937247B1 (ko)
CN (1) CN102089201A (ko)
DK (1) DK2311723T3 (ko)
ES (1) ES2617220T3 (ko)
PT (1) PT2311723T (ko)
WO (1) WO201000525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55B1 (ko) * 2016-07-14 2016-12-30 주식회사 씨라이프 튜브부를 갖는 부표
WO2018012909A1 (ko) * 2016-07-14 2018-01-18 주식회사 씨라이프 튜브부를 갖는 부표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4098B (zh) * 2011-11-16 2014-04-16 国家电网公司 用于水上运输特高压钢管塔的钢管的气囊组件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5898A (en) * 1944-06-20 1949-10-25 Charles B Mathews Inflatable core for use in casting hollow concrete units
US2494316A (en) * 1946-02-16 1950-01-10 William J Sanderson Pontoon construction
US2627077A (en) * 1947-07-12 1953-02-03 Albert E Forsyth Cushioning device
US2644449A (en) * 1952-06-03 1953-07-07 Berger Brothers Co Inflatable pad
US2744267A (en) * 1954-07-07 1956-05-08 Horace H Roby Water scooter
US3559222A (en) * 1968-10-28 1971-02-02 Nolte Albert C Jr Boat with adjustable bottom
JPS5317273Y2 (ko) * 1973-06-30 1978-05-09
IT1084003B (it) * 1976-01-09 1985-05-25 Carn Patrick Perfezionamenti apportati a corpi flottanti,in particolare tavole a vela
JPS63193996U (ko) * 1987-05-30 1988-12-14
CN2270693Y (zh) * 1996-03-15 1997-12-17 张骐纬 具有压舱隔层充气艇之结构
US5687664A (en) * 1996-04-10 1997-11-18 Sofian; Terry N. Foldable inflatable rescue pontoon
US5732650A (en) 1996-04-16 1998-03-31 Sportsstuff, Inc. Inflatable reinforced plastic pontoon for aquatic vehicles
CN2334670Y (zh) * 1998-06-08 1999-08-25 李明川 一种吹气船筏外护套结构
US6352460B1 (en) * 2000-07-14 2002-03-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Neutral buoyancy recovery device
JP2002321684A (ja) * 2001-04-27 2002-11-05 Hivix Co Ltd エア充填バッグ及びボート
US6860220B2 (en) * 2002-08-13 2005-03-01 Zodiac Hurricane Technologies, Inc. Watercraft and inflatable flooring therefor
FR2856008B1 (fr) * 2003-06-13 2005-09-16 Pennel Ind Sa Procede de fabrication en continu d'une gaine en tissu enduit et gaine en tissu enduit obtenue par un tel procede
FR2858802B1 (fr) * 2003-08-14 2007-01-19 Eco Creation Plateforme et structure flottantes gonflables et leur utilisation pour des activites aquatiques
KR20070089388A (ko) * 2006-02-28 2007-08-31 김석근 고무보트의 현측 보강구조
US7421968B1 (en) 2007-02-20 2008-09-09 Yen-Lu Hu Boat that is provided with floating tubes in a multi-layer desig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455B1 (ko) * 2016-07-14 2016-12-30 주식회사 씨라이프 튜브부를 갖는 부표
WO2018012909A1 (ko) * 2016-07-14 2018-01-18 주식회사 씨라이프 튜브부를 갖는 부표 및 제조 방법
CN109561669A (zh) * 2016-07-14 2019-04-02 株式会社Clife 配备管部的浮标及其制造方法
CN109561669B (zh) * 2016-07-14 2021-08-31 株式会社Clife 配备管部的浮标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5250A2 (ko) 2010-01-14
JP5527319B2 (ja) 2014-06-18
US8925476B2 (en) 2015-01-06
PT2311723T (pt) 2017-03-03
JP2011527651A (ja) 2011-11-04
WO2010005250A3 (ko) 2010-04-29
CN102089201A (zh) 2011-06-08
US20110155041A1 (en) 2011-06-30
DK2311723T3 (en) 2017-03-06
EP2311723B1 (en) 2017-01-25
EP2311723A4 (en) 2015-04-15
EP2311723A2 (en) 2011-04-20
ES2617220T3 (es)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247B1 (ko) 기체내장유닛
US5833053A (en) Inflatable eyeglass case
CN1180183C (zh) 用于可充气物的内置气泵
CN101610953A (zh) 可折叠/可收缩的结构
WO2009059155A1 (en) Carrying case with pressure relief valve
CN107074331B (zh) 鳍稳定器、盖元件以及船只
US20150041342A1 (en) Protective cas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779622B2 (en) Luggage article frame structure
WO2004065728A2 (en) Collapsible swimming pool
US3381420A (en) Insulation material
US9181669B2 (en) Bladder-containing wall assemblies for containment berms
KR101812224B1 (ko) Lng선의 멤브레인 저장탱크에 부착되는 멤브레인 보호막
JP5648486B2 (ja) 災害用ゴム水嚢
CN220315250U (zh) 一种易于叠放的塑料浮桶
AU2018205133A1 (en) Collapsible boat hull hinge arrangement
KR20120004570A (ko)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
WO2013046241A1 (en) Simplified actuation device for moving fender members
AU2016100703A4 (en) Surf board device
JP2014156284A (ja) 貯液袋
CN215884680U (zh) 一种防震缓冲的瓦楞纸袋
CN212556657U (zh) 带有储物仓的气动船
JP2591230Y2 (ja)
KR200252190Y1 (ko) 이물질 대책용 돗자리
KR200185614Y1 (ko) 기낭에 기체 주입용 체크 밸브
GB2353252A (en) Surf board having flexible chamber propulsion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