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570A -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 - Google Patents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570A
KR20120004570A KR1020100065124A KR20100065124A KR20120004570A KR 20120004570 A KR20120004570 A KR 20120004570A KR 1020100065124 A KR1020100065124 A KR 1020100065124A KR 20100065124 A KR20100065124 A KR 20100065124A KR 20120004570 A KR20120004570 A KR 20120004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tube member
buoyancy unit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riority to KR1020100065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570A/ko
Publication of KR20120004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3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with fold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부력유닛은, 경질의 보강 케이스와, 상기 보강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연질의 적어도 하나의 튜브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부력유닛으로, 상기 보강 케이스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접힘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측판 구조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질의 튜브 부재를 보호하고 전체적인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요구되는 부력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Foldable buoyancy unit, water vehicle and float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에 사용되는 부력유닛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는 기체의 주입 여부에 따라 체적이 가변적으로 마련되며, 그 비중이 가벼워 물체를 물 위에 뜨게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튜브는 상대적으로 가볍고 휴대가 편리하여 주로 크기가 작은 보트 등의 수상운송장치에서 부력체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통상의 튜브는 폴리염화비닐(PVC), 우레탄비닐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보트 등의 수상운송장치의 부력체로 사용될 경우, 수상운송장치가 운행 중 암초, 산호초 등의 날카로운 물체와 충돌하면 긁히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쉽게 발생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09년 7월 9일자로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2009-62681호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도 1은 상기 기체내장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상기 기체내장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3은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기체내장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체내장유닛(100)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내측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튜브부재(130)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외주를 따라 마련되어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판재 형상을 갖고,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튜브부재(130)와 함께 팽창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면부호 '151'는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를 지지프레임(14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이고, 도면부호 '141' 및 142'는 지지프레임(140)을 구성하는 제1 파이프 및 제2 파이프이며, 도면부호 '143'은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매워지는 스티로폼이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체내장유닛(100)은 내부에 수용된 튜브부재(13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튜브부재(130)의 팽창압에 의해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변형될 수 있는 한계가 있고 이상적으로 변형된다 하더라도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데 불과하므로, 보강보드(110,120)의 크기에 비해 부력 성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체내장유닛(100)은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에 항복점 이상의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탄성 변형이 아닌 소성 변형이 이루어져 튜브부재(130)에서 기체를 제거하더라도 원래의 판재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질의 튜브 부재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전체적인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운반 및 보관이 쉽고 부력 성능이 뛰어난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경질의 보강 케이스와, 상기 보강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연질의 적어도 하나의 튜브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부력유닛으로, 상기 보강 케이스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접힘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측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측판 구조체는,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고,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펼쳐져서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케이스는,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 케이스는,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보강 케이스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판면 형상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는 원호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은 평평한 판재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측판 구조체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판 구조체는, 상기 상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상판의 테두리와 결합하는 상부 측판; 상기 하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하판의 테두리와 결합하는 하부 측판; 및 상기 상부 측판과 상기 하부 측판이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측판과 상기 하부 측판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판은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상부측판 접힘부와 상기 상부측판 접힘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측판에 결합되는 상부측판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측판은 상기 하판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하부측판 접힘부와 상기 하부측판 접힘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상부 측판에 결합되는 하부측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측판 접힘부와 상기 하부측판 접힘부는,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상부측판 체결부와 상기 하부측판 체결부 각각에 대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상부측판 접힘부와 상기 상부측판 체결부의 경계 부분 및 상기 하부측판 접힘부와 상기 하부측판 체결부의 경계부분에는, 얇게 패인 골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상부 측판과 상기 하부 측판의 연결 부분에 완충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일측이 절개된 파이프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측판 체결부와 상기 하부측판 체결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튜브 부재는 복수의 튜브 부재이고, 상기 접이식 부력유닛은, 상기 보강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튜브 부재의 팽창 시 상기 튜브 부재가 미리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튜브 부재를 지지하는 격벽 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구조체는, 상기 튜브 부재가 팽창함에 따라 변형되며 좌우 대칭 구조로 마련되는 띠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띠판은, 상기 보강 케이스의 전후 방향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격벽 구조체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띠판을 위와 아래에서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 부재는, 일자형 튜브 및 고리형 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접이식 부력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상운송장치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접이식 부력유닛; 상기 한 쌍의 접이식 부력유닛에 장착되는 데크; 및 상기 접이식 부력유닛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파 구조체를 포함하는 보트일 수 있다.
상기 수상운송장치는, 보트, 뗏목 및 수상 텐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접이식 부력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설치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경질의 보강 케이스와 보강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연질의 튜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연질의 튜브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경질의 보강 케이스에서 상판과 하판을 상호 연결하는 측판 구조체를 보강 케이스의 내부 공간 측으로 접힘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함으로써, 연질의 튜브 부재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전체적인 구조 강도를 향상시키면서도, 튜브 부재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판과 하판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컴팩트(compact)한 형상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튜브 부재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판과 하판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여 요구되는 부력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2009-62681호에서 기체내장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Ⅱ-Ⅱ'에 따른 상기 기체내장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기체내장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부력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접이식 부력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다.
, 도 6은 도 4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접이식 부력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접이식 부력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접이식 부력유닛을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Ⅹ-Ⅹ'에 따른 접이식 부력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로서 쌍동선 구조를 갖는 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로서 뗏목 혹은 수상이동식 좌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로서 수상 텐트 혹은 보트 텐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부력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접이식 부력유닛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접이식 부력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4의 접이식 부력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4의 접이식 부력유닛을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Ⅹ-Ⅹ'에 따른 접이식 부력유닛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4는 튜브 부재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의 접이식 부력유닛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간결한 도시를 위해 튜브 부재와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생략하였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부력유닛(10)은 경질의 보강 케이스(100) 및 연질의 튜브 부재(200)를 포함한다.
튜브 부재(200)는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튜브 부재(200)는 폴리염화비닐(PVC), 우레탄비닐 또는 합성고무 등의 다양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 부재(200)는 한 겹으로 마련되거나 복수개의 겹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튜브 부재(200)는 내부에 기체(통상,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하여 소정의 내부 체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튜브 부재(200)는 2개의 튜브 부재(210,220), 즉 제1 튜브 부재(210)와 제2 튜브 부재(220)로 마련된다. 제1 튜브 부재(210)와 제2 튜브 부재(220) 각각은 통상 작은 쌍동선에서 부력체로 흔히 사용되는 일자형 튜브이다. 제1 튜브 부재(210)와 제2 튜브 부재(220)는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서 후술할 격벽 구조체(150) 중심으로 좌우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튜브 부재(200)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1개의 일자형 튜브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격벽 구조체(15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튜브 부재(200)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튜브 부재(200)의 개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튜브 부재(200)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일자형 튜브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자동차의 타이어 튜브와 같은 고리형 튜브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예컨대 2개의 고리형 튜브가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서 격벽 구조체(150)에 의해 구획되는 좌우 공간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 구조체(150) 이외에 보강 케이스(100)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고리형 튜브를 관통하여 지지하는 격벽(미도시)이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서 튜브 부재(200)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되는 공지의 튜브들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보강 케이스(100)는 상판(110), 하판(120) 및 측판 구조체(130)를 포함한다. 보강 케이스(100)는 그 내부 공간에 수용된 튜브 부재(20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접이식 부력유닛(10)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보강 케이스(100)는 본 발명이 부력유닛으로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보강 케이스(100)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부품, 예컨대 상판(110), 하판(120) 등은 가벼우면서도 기계적 강도 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등의 범용 플라스틱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와 다르게 보강 케이스(100)는 스테인리스강(SUS)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판(110)과 하판(120)은 평평한 판재 형상으로 위아래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판(110)과 하판(120)은 실질적으로 상호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상판(110)과 하판(120)의 판면 형상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는 원호 모양을 이루는 것이 물의 저항을 줄이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때, 상판(110)과 하판(120)은 그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체결구(143~146)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다만, 상판(110)과 하판(120)의 판면 형상은 본 실시예와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판(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부재(210,220)의 내부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기체주입구(141,14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판(1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부재(160)가 장착될 수 있다. 보호 부재(160)는 접이식 부력유닛(10)의 운반 시 보강 케이스(100) 자체에 긁힘 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예컨대 하판(120)에서 외부로 돌출된 볼트(B4)의 머리가 유속 저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는 등 물살 직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접이식 부력유닛(10)은 운반 시 보강 케이스(100)의 긁힘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물살 직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강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보호 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 부재(160)는 폴리에틸렌(PE, polyetylene) 등의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파이프(pipe) 형태로 마련되며, 하판(120)의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중앙선을 따라 길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판(120)에 체결수단을 통해 장착된다. 다만, 보호 부재(160)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측판 구조체(130)는 상판(110)과 하판(1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판(110)과 하판(120)을 상호 연결한다. 측판 구조체(130)는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측으로 접힘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측판 구조체(130)는 튜브 부재(200)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내부 공간 측으로 접혀지고, 튜브 부재(200)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즉, 튜브 부재(200)가 팽창함에 따라) 보강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펼쳐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측판 구조체(130)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부력유닛(10)은, 튜브 부재(200)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판(110)과 하판(120)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컴팩트(compact)한 형상이 가능하므로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부재(200)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판(100)과 하판(120)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여 요구되는 부력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이때, 접이식 부력유닛(10)은 튜브 부재(200)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보강 케이스(100)가 전단부와 후단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측판 구조체(13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동일한 크기의 상판(110) 혹은 하판(120)에 대해서 보강 케이스(100)는 타원형 또는 원형의 단면 형상보다는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때 더 큰 부력 성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부력유닛(10)은 튜브 부재(200)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게 됨에 따라, 수면에 잠기는 부분이 적고 바닥이 평면이므로 활주가 쉽다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튜브 부재(200)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판(110)과 하판(120)은 평평한 판재 형상을 유지하고 측판 구조체(130)는 상판(110)과 하판(12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하여, 측판 구조체(130)는 상부 측판(131), 하부 측판(132) 및 연결 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은 전술한 상판(110)과 하판(12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측판(131)은 상판(1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그 상단부가 상판(110)의 테두리와 결합한다. 이때, 상부 측판(131)와 상판(110)의 결합은 볼트(B1)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부 측판(131)은 본 실시예와 다르게 상판(110)과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부 측판(131)이 내부 공간 측으로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상판(110)과 상부 측판(131)의 경계 부분의 내면에 얇게 패인 골(고랑)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 측판(13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케이스(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보강 케이스(10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원호 형상을 이루면서 근접 배치된다.
하부 측판(132)은 연결 부재(135)의 아래에 배치되어 하판(120)과 결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상부 측판(1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하판(1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그 하단부가 하판(120)의 테두리와 결합한다. 이때, 하부 측판(132)와 하판(120)의 결합은 볼트(B2)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하부 측판(132)은 본 실시예와 다르게 하판(120)과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하부 측판(132)이 내부 공간 측으로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판(120)과 하부 측판(132)의 경계 부분의 내면에 얇게 패인 골(고랑)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 측판(1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케이스(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보강 케이스(10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원호 형상을 이루면서 근접 배치된다.
상부 측판(131)은 상판(110)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상부측판 접힘부(131a)와, 상부측판 접힘부(131a)로부터 연장되고 연결 부재(135)를 통해 하부 측판(132)에 결합되는 상부측판 체결부(131b)를 포함한다. 상부측판 접힘부(131a)는 상부 측판(131)에서 하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을 이루고, 상부측판 체결부(131b)는 상부 측판(131)의 하단부를 이룬다. 마찬가지로, 하부 측판(132)은 하판(120)의 테두리와 결합하는 하부측판 접힘부(132a)와, 하부측판 접힘부(132a)로부터 연장되고 연결 부재(135)를 통해 상부 측판(131)(구체적으로, 상부측판 체결부(131b))에 결합되는 하부측판 체결부(132b)를 포함한다. 하부측판 접힘부(132a)는 하부 측판(131)에서 상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을 이루고, 하부측판 체결부(132b)는 하부 측판(132)의 상단부를 이룬다. 상부측판 체결부(131b)와 하부측판 체결부(132b)는 연결 부재(135)가 개재된 상태에서 볼트(B5) 등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이때, 상부측판 체결부(131b) 및 하부측판 체결부(132b)는 상판(110) 및 하판(12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부측판 접힘부(131a)와 하부측판 접힘부(132a)는, 튜브 부재(200)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판 체결부(131b)와 하부측판 체결부(132b)와 거의 나란하게 배치되고, 튜브 부재(200)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상부측판 체결부(131b)와 하부측판 체결부(132b) 각각에 대해 절곡되어 튜브 부재(200)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0)과 하판(12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측판 구조체(130)의 구성에 의해, 보강 케이스(100)는 튜브 부재(200)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이 튜브 부재(200)에 기체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은 절곡되는 부분에 항복점 이상의 응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소성 변형되어 복원력을 상실할 여지가 있고, 이는 보강 케이스(100)를 컴팩트하게 접는 것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부측판 접힘부(131a)와 상부측판 체결부(131b)의 경계 부분 및 하부측판 접힘부(132a)와 하부측판 체결부(132b)의 경계부분의 내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게 패인 골(131c,132c)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튜브 부재(200)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상부측판 접힘부(131a)와 하부측판 접힘부(132a)가 상부측판 체결부(131b)와 하부측판 체결부(132b) 각각에 대해 큰 무리 없이 원활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하여, 위와 같이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이 복원력을 상실할 정도 변형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얇게 패인 골((131c,132c)은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연결 부재(135)는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을 상호 연결한다. 연결 부재(13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케이스(10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보강 케이스(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보강 케이스(10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원호 형상을 이루면서 근접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1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판 체결부(131b)와 하부측판 체결부(132b)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볼트(B5) 등에 의해 상부측판 체결부(131b) 및 하부측판 체결부(132b)와 체결됨으로써,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연결 부재(135)은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의 연결 부분에 소정의 완충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135)는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의 연결 부분에서 완충 부재로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부재(1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135a)이 절개된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pipe)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 부재(135)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파이프를 압착하여 타원형 단면 형상으로 변형시키고 그 일 부분을 컷팅(cutting)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연결 부재(135)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부재(135)는 일측이 절개되지 않은 파이프로 마련될 수 있고, 그 단면 형상이 타원형이 아닌 원형 또는 'ㄷ'자 등의 각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연결 부재(135)는 가볍고 유연한 폴리에틸렌(PE, polyetylene)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연결 부재(135)는 고무재질의 띠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부력유닛(10)은,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결 부재(135)에 의해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이 상호 결합하기 때문에, 보강 케이스(100)를 접는 과정에는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이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튜브 부재(200)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보강 케이스(100)가 펴지는 과정에서는 상판(110), 상부 측판(131), 하부 측판(132), 하판(120) 등에 항복점 이상의 응력이 가해져 복원력을 상실할 정도로 변형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연결 부재(135)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 상부 측판(131)과 하부 측판(132)은 연결 부재(135) 없이 상호 직접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부력유닛(10)은 격벽 구조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벽 구조체(150)는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복수의 튜브 부재(200)가 수용되는 경우,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튜브 부재(200)의 팽창 시 튜브 부재(200)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튜브 부재(200)를 지지한다. 더 구체적으로, 격벽 구조체(150)는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튜브 부재(200)가 팽창함에 따라 변형되어 튜브 부재(200)를 지지한다. 즉, 격벽 구조체(150)는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서 복수의 튜브 부재(200)의 자리를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복수의 튜브 부재(200)가 수용되더라도, 튜브 부재(200)에 기체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각 튜브 부재(200)가 미리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고 요구되는 형상으로 팽창할 수 있으므로, 보강 케이스(100)가 부분적인 일그러짐 혹은 찌그러짐 없이 펼쳐져 요구되는 보강 케이스(100)의 단면 형상,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은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격벽 구조체(150)는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둘 이상의 튜브 부재(200)가 수용되는 경우, 튜브 부재(200)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구현되는 보강 케이스(100)의 형상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2개의 튜브 부재(210,220)가 수용되기 때문에, 격벽 구조체(150)는 보강 케이스(100) 내의 중앙 위치에서 하나가 마련되어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격벽 구조체(150)는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부재(210,220)가 팽창함에 따라 변형(예컨대, 탄성 변형)되며 좌우 대칭 구조로 마련되는 띠판(151,152)을 포함한다. 띠판(151,152)은 튜브 부재(210,220)가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형상을 유지하다가, 튜브 부재(210,220)가 팽창함에 따라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어 좌우 양쪽에 배치된 튜브 부재(210,220)를 지지한다. 띠판(151,152)은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튜브 부재(210,220)의 팽창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두께)를 선택하도록 한다. 띠판(151,152)은 바람직하게는 상호 동일한 재질, 형상 및 크기를 갖는 2개의 띠판, 즉 제1 띠판(151)과 제2 띠판(152)으로 구성된다. 제1 띠판(151)과 제2 띠판(152)은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볼트(B3,B4) 등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이와 다르게, 띠판(151,152)은 제1 띠판(151)과 제2 띠판(152)으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띠판(151,15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케이스(100)의 전후 방향 혹은 종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띠판(151,152)은 조립의 편의성을 위해 보강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대(153)와 하부 지지대(15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격벽 구조체(150)는 상판(110)과 하판(120)에 각각 고정되고 복수의 띠판(151,152)을 위와 아래에서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153)와 하부 지지대(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지지대(153)는 띠판(151,152)의 상단부와 함께 상판(110)과 볼트(B3)로 체결될 수 있고, 하부 지지대(154)는 띠판(151,152)의 하단부와 함께 하판(120)과 볼트(B4)로 체결될 수 있다.
다만, 격벽 구조체(150)는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보강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튜브 부재(200)의 팽창 시 튜브 부재(200)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다른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접이식 부력유닛(10)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상운송장치의 몇 가지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로서 쌍동선 구조를 갖는 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인 보트(1)는 상호 나란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접이식 부력유닛(10)과, 한 쌍의 접이식 부력유닛(10)에 장착되는 데크(20)와, 한 쌍의 접이식 부력유닛(10) 각각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조파(造波) 구조체(30)를 포함한다. 이때, 데크(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이식 부력유닛(10)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한 쌍의 접이식 부력유닛(10)에 장착된다. 또한, 데크(20)는 도 11에는 명확히 표현되지 않았지만,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접이식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크(20)의 후미에는 보트용 모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조파 구조체(30)는 보트(1)의 선수를 제공하며 보트(1)의 운행 시 물을 가르는 기능을 한다. 또한, 조파 구조체(30)는 보트(1)의 전장(全長)을 길게 하여 보트(1)의 운전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조파 구조체(30)는 본 실시예에서 한 쌍으로 마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나의 조파 구조체(30)만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보트(1)는 접이식 부력유닛(10)이 수면 위로 돌출된 부위가 낮고 데크(20)가 한 쌍의 접이식 부력유닛(10) 사이에 배치되어 데크(20)의 높이가 낮으므로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낮출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인 보트(1)는, 전술한 접이식 부력유닛(10)이 갖는 이점들을 그대로 포함하면서도, 쌍동선 구조를 가지고 조파 구조체(30)가 접이식 부력유닛(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보트(1)의 운행 시 유입되는 물의 자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보트(1)의 운반 및 보관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조파 구조체(30)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됨에도 불구하고 한 쌍의 접이식 부력유닛(10)의 각각에 겹합되는 동선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종래의 보트의 선수 구조와 달리 방수의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로서 뗏목 혹은 수상이동식 좌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인 뗏목(2)은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접이식 부력유닛(10)과, 접이식 부력유닛(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판재 형상의 데크(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접이식 부력유닛(10)이 마련되지만, 접이식 부력유닛(10)의 개수는 뗏목(2)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인 뗏목(2)은, 전술한 접이식 부력유닛(10)이 갖는 이점들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로서 수상 텐트 혹은 보트 텐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인 수상 텐트(3)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접이식 뷰력유닛(10)과 접이식 부력유닛(10)의 상부에 장착되는 텐트유닛(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접이식 부력유닛(10)이 마련되지만, 접이식 부력유닛(10)의 개수는 수상 텐트(3)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운송장치인 수상 텐트(3)는, 전술한 접이식 부력유닛(10)이 갖는 이점들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접이식 부력유닛은 전술한 수상운송장치(1~3)뿐만 아니라, 다른 수상운송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선착장 등에 설치되는 플로트(float)나 수상 천막 등의 수상설치구조물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접이식 부력유닛
100 : 보강 케이스
200 : 튜브 부재
110 : 상판
120 : 하판
130 : 측판 구조체
131 : 상부 측판
132 : 하부 측판
135 : 연결부재
150 : 격벽 구조체

Claims (19)

  1. 경질의 보강 케이스와, 상기 보강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연질의 적어도 하나의 튜브 부재를 포함하는 접이식 부력유닛으로,
    상기 보강 케이스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접힘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측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구조체는,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접혀져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고,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펼쳐져서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케이스는,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케이스는,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보강 케이스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판면 형상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되 전단부와 후단부에서는 원호 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 주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은 평평한 판재 형상을 유지하고,
    상기 측판 구조체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구조체는,
    상기 상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상판의 테두리와 결합하는 상부 측판;
    상기 하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하판의 테두리와 결합하는 하부 측판; 및
    상기 상부 측판과 상기 하부 측판이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원활하게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측판과 상기 하부 측판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측판은 상기 상판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상부측판 접힘부와 상기 상부측판 접힘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하부 측판에 결합되는 상부측판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측판은 상기 하판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하부측판 접힘부와 상기 하부측판 접힘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상부 측판에 결합되는 하부측판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측판 접힘부와 상기 하부측판 접힘부는, 상기 튜브 부재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상부측판 체결부와 상기 하부측판 체결부 각각에 대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측판 접힘부와 상기 상부측판 체결부의 경계 부분 및 상기 하부측판 접힘부와 상기 하부측판 체결부의 경계부분에는, 얇게 패인 골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상부 측판과 상기 하부 측판의 연결 부분에 완충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일측이 절개된 파이프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측판 체결부와 상기 하부측판 체결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튜브 부재는 복수의 튜브 부재이고,
    상기 접이식 부력유닛은, 상기 보강 케이스의 상기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튜브 부재의 팽창 시 상기 튜브 부재가 미리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튜브 부재를 지지하는 격벽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구조체는,
    상기 튜브 부재가 팽창함에 따라 변형되며 좌우 대칭 구조로 마련되는 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띠판은, 상기 보강 케이스의 전후 방향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격벽 구조체는,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띠판을 위와 아래에서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와 하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부재는,
    일자형 튜브 및 고리형 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부력유닛.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이식 부력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운송장치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접이식 부력유닛;
    상기 한 쌍의 접이식 부력유닛에 장착되는 데크; 및
    상기 접이식 부력유닛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파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운송장치는,
    보트, 뗏목 및 수상 텐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
  19.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이식 부력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설치구조물.
KR1020100065124A 2010-07-07 2010-07-07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 KR20120004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124A KR20120004570A (ko) 2010-07-07 2010-07-07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124A KR20120004570A (ko) 2010-07-07 2010-07-07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570A true KR20120004570A (ko) 2012-01-13

Family

ID=45611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124A KR20120004570A (ko) 2010-07-07 2010-07-07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57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120A1 (ko) * 2012-04-25 2013-10-31 Cho Dong-Jin 부력유닛이 구비된 보트
KR101640528B1 (ko) * 2015-12-18 2016-07-18 주식회사 아이에스컴퍼니 부피가변수단이 구비된 분리형 수상보드
FR3092080A1 (fr) * 2019-01-28 2020-07-31 2R Aventure Tente gonflable flottante, notamment destinée à la pratique du campi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2120A1 (ko) * 2012-04-25 2013-10-31 Cho Dong-Jin 부력유닛이 구비된 보트
CN104302541A (zh) * 2012-04-25 2015-01-21 赵东镇 具有浮力部件的艇
JP2015514636A (ja) * 2012-04-25 2015-05-21 チョ,ドン−ジン 浮力ユニットが具備されたボート
US9567046B2 (en) 2012-04-25 2017-02-14 Dong-Jin Cho Boat having buoyancy unit
KR101640528B1 (ko) * 2015-12-18 2016-07-18 주식회사 아이에스컴퍼니 부피가변수단이 구비된 분리형 수상보드
FR3092080A1 (fr) * 2019-01-28 2020-07-31 2R Aventure Tente gonflable flottante, notamment destinée à la pratique du camping
WO2020157419A1 (fr) * 2019-01-28 2020-08-06 2R Aventure Tente gonflable flottante, notamment destinée à la pratique du camp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339B2 (en) Rigid inflatable boat
AU2010337008B2 (en) Collapsible boat with inflatable members
JP5567666B2 (ja) 海洋構造物用保護装置
US10780958B2 (en) Open/non-closed, buoyant hull collar assemblies
KR20120004570A (ko)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
KR20130120148A (ko) 보트
US5483914A (en) Longitudinally extended floats
WO2004065728A2 (en) Collapsible swimming pool
KR101347957B1 (ko) 부력유닛이 구비된 보트
KR101030432B1 (ko)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US20210078675A1 (en) Hull for a water craft
US10926615B2 (en) Protective vehicle enclosure
KR101253604B1 (ko) 평탄성을 갖는 공기 주입식 보트 및 그 제조방법
JP5527319B2 (ja) 気体内蔵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含んだ水上運送装置
US7069873B2 (en) Watercraft with inflatable stabilization ring
KR20180059908A (ko) 접이식 구조체
WO2013020910A1 (en) Boat fender
KR102081189B1 (ko) 공기주입식 카약
CN221820189U (zh) 一种充气船
KR101347953B1 (ko) 수상운송장치
KR20130009284A (ko) 수상운송장치
KR101541995B1 (ko) 인플레이터블 에어시트 프레임을 가지는 차량 루프랙 장착형 접이식 카약
CN112208701A (zh) 外置式船骨架船体
RU2317911C1 (ru) Наду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ред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гибких деталей для него (объемный ш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