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432B1 -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 Google Patents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432B1
KR101030432B1 KR1020090062681A KR20090062681A KR101030432B1 KR 101030432 B1 KR101030432 B1 KR 101030432B1 KR 1020090062681 A KR1020090062681 A KR 1020090062681A KR 20090062681 A KR20090062681 A KR 20090062681A KR 101030432 B1 KR101030432 B1 KR 10103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air
pipe
unit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132A (ko
Inventor
조현철
Original Assignee
조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철 filed Critical 조현철
Priority to KR102009006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43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6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having parts of non-rigid material
    • B63B7/08Inflatable
    • B63B7/082Inflatable having parts of rigi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Abstract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송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체내장유닛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보드; 한 쌍의 보강보드의 내측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튜브부재; 및 한 쌍의 보강보드의 외주를 따라 마련되어 한 쌍의 보강보드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연질의 튜브부재가 긁히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튜브, 부력체, 보트

Description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UNIT HAVING GAS AND WATER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에 강하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체내장유닛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는 기체의 주입 여부에 따라 체적이 가변적으로 마련되며, 그 비중이 가벼워 물체를 물 위에 뜨게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튜브는 상대적으로 가볍고 휴대가 편리하여 주로 크기가 작은 보트 등의 수상운송장치에서 부력체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통상의 튜브는 폴리염화비닐(PVC), 우레탄비닐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보트 등의 수상운송장치의 부력체로 사용될 경우, 수상운송장치가 운행 중 암초, 산호초 등의 날카로운 물체와 충돌하면 긁히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쉽게 발생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연질의 튜브부재가 긁히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보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내측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튜브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외주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상기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판재 형상을 갖고, 상기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튜브부재와 함께 팽창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기체내장유닛은,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열 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외주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원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내부는, 스티로폼을 포함한 부력부재로 매워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는, 상호 결합되는 복수개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파이프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는, 전체적으로 유선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2 파이프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파이프의 양단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를 결합시키는 결합용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상기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체내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보강보드의 내측에 튜브부재가 구비되어 한 쌍의 보강보드가 튜브부재를 보호하는 구조이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연질의 튜브부재가 긁히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한 쌍의 보강보드가 튜 브부재와 함께 팽창하는 과정에서 지지프레임이 한 쌍의 보강보드의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한 쌍의 보강보드가 부분적으로 찌그러지지 않고 균일하게 팽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한 쌍의 보강보드가 평평한 판재 형상을 가지므로, 기체내장유닛의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기체내장유닛에서 지지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은, 보트 등의 수상운송장치를 물 위에 뜨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부력체로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내측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튜브부재(130)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외주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프레임(14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평평한 판재 형상으로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선단부에서 곡률반경이 후단부에서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선단부가 후단부에 비해 뾰족한 형상을 갖는다. 다만,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유선형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체내장유닛(100)의 사용 태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사각 판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그 내측에 구비된 튜브부재(130)를 보호하고 기체내장유닛(100)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열성 등이 뛰어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재질로 이루어진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공업재료·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으로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은보다도 내약품성이 강한 고분자 구조의 고기능 수지를 말한다. 다만, 이와 다르게,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다른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스테인리스강(SUS)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튜브부재(130)와 함께 팽창 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어야 하므로(도 5 및 도 6 참조), 이를 감안하여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재질 및 두께를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튜브부재(130)는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와 지지프레임(140)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튜브부재(130)는 폴리염화비닐(PVC), 우레탄비닐 또는 합성고무 등의 다양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부재(130)는 한 겹으로 마련되거나 복수개의 겹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튜브부재(130)의 일측에는 튜브부재(130)의 내부에 기체를 주입하기 위한 기체주입구가 마련된다. 튜브부재(130)는 기체주입구를 통해 내부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하여 소정의 내부 체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튜브부재(130)는 다양한 구조로 구현되는 공지의 튜브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 중 튜브부재(130)의 기체주입구에 인접한 보강보드(110,120)에는 튜브부재(130)의 기체주입구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주입구노출공이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입구노출공이 형성된 보강보드(110,120)에는 주입구노출공을 개폐시키기 위한 마개 혹은 뚜껑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내측에 1개의 튜브부재(130)가 마련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내측에 복수개의 튜브부재(130)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튜브부재(130)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내측에서 상하로 배치되거나, 3개의 튜브부재(130)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내측에서 삼각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개의 튜브부재(130)가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튜브부재(130)의 위 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내측에는 각각의 튜브부재(130)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40)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외주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 유선형 구조를 가지므로, 지지프레임(140) 또한 전체적으로 유선형 구조를 갖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40)은 기체내장유닛(100)의 골격을 이루면서 기체내장유닛(100)의 전체적인 형상의 안정감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특히, 지지프레임(140)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튜브부재(130)와 함께 팽창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부분적인 찌그러짐 없이 고르게 팽창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파이프(141,142, 긴 길이의 파이프와 짧은 길이의 파이프)를 소정의 열을 가한 상태에서 벤딩 가공한 후 상호 결합하여 지지프레임(140)을 제작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40)은 만곡된 부분을 갖고 상호 결합되는 2개의 파이프(141,142)를 포함한다. 여기서, 2개의 파이프(141,142)는 원형 단면을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이다. 한편, 2개의 파이프(141,142)의 내부는 부력부재인 스티로폼(143,144, styrofoam)으로 메워지는데, 이러한 스티로폼(143,144)은 기체내장유닛(100)의 부력을 증가시키는 한편, 파이프의 내부로 물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2개의 파이프(141,142) 중 긴 길이의 파이프(이하 '제1 파이프'라 함)는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후단부의 곡률반경과 일치하는 곡률반경을 갖는 만곡된 부분(141a)을 포함하고, 2개의 파이프(141,142) 중 짧은 길이의 파이프(이하 '제2 파이프'라 함)는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선단부의 곡률반경과 일치하는 곡률반경을 갖는 만곡된 부분(142a)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프레임(140)은 제1 파이프(141)와 제2 파이프(142)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용 파이프(145)를 더 포함한다. 결합용 파이프(145)는 제2 파이프(142)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양단부(145b,145c)가 제2 파이프(142)의 양단부(142b,142c)로부터 돌출된다. 결합용 파이프(145)는 제2 파이프(14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되, 제2 파이프(142)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파이프(14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고, 그 양단부(145b,145c)가 제2 파이프(142)의 양단부(142b,142c)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제2 파이프(142)보다 약간 긴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결합용 파이프(145)의 돌출된 양단부(145b,145c)는 제1 파이프(141)의 양단부(141b,141c)에 삽입됨으로써 제1 파이프(141)와 제2 파이프(142)는 상호 결합된다. 다만, 제1 파이프(141)와 제2 파이프(142)의 결합 방식은 본 실시예에서 개시된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공지의 결합 방식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처럼, 지지프레임(140)은 긴 길이의 제1 파이프(141)와 짧은 길이의 제2 파이프(142)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므로, 제2 파이프(142)를 제1 파이프(141)로부터 분리하여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선단부를 개방시킨 후에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내측에 구비된 튜브부재(130)를 새로운 튜브부재(130)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한 쌍이 보강보드(110,120)의 내측에 구비된 튜브부재(130)가 파손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기체내장유닛(10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튜브부재(130)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튜브부재(130)의 교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다르게, 지지프레임(140)은 1개의 파이프를 벤딩 가공하여 일체로 제작되거나 3개 이상의 파이프를 벤딩 가공한 후 상호 결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40)을 구성하는 파이프는 플라스틱 재질이 아닌 다른 재질, 예컨대 다른 일반적인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스테인리스강(SUS)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지지프레임(140)은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솔리드 바아(solid bar) 또는 'ㄷ' 단면 형상의 앵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수많은 실험에 의할 때, 벤딩 가공성, 전체적인 형상의 안정성 등의 측면에서, 지지프레임(140)은 원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를 지지프레임(14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로서 복수개의 리벳(151)을 더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리벳 체결 방식에 의해 지지프레임(140)에 체결된다. 복수개의 리벳(151)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 각각의 외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사용되는 리벳(151)의 개수는 기체내장유닛(100)의 크기,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 및 지지프레임(140)의 재질 등으로 감안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부재(13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지지프레임(140)을 구성하는 제2 파이프(142)를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2 파이프(142)에 체결된 리벳(151)을 제거하고, 튜브부재(130)의 교체가 완료되면 제2 파이프(142)를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에 다시 리벳(151) 체결한다. 이때, 플라스틱 재질의 제2 파이프(142)의 내부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의 결합용 파이프(145)가 삽입 배치되므로, 제2 파이프(142)에 대해 리벳(151)을 제거하고 다시 레벳을 체결하는 작업을 일정 횟수 반복하여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결합용 파이프(145)는 제1 파이프(141)와 제2 파이프(142)를 결합시키는 한편, 반복적인 리벳 체결 작업에 대한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를 지지프레임(140)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로서 복수개의 리벳(151)을 개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와 지지프레임(140)의 체결 방식은 볼트 체결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참고로, 볼트 체결 방식은 분해 작업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볼트가 풀릴 여지가 있으므로, 기체내장유닛(100)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 확보 측면에서 리벳 체결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와 지지프레임(140)은 전술한 리벳 또는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열 융착 방식으로 지지프레임(140)에 결합될 수 있다. 열 융착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와 지지프레임(140)은 모두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의 기체내장유닛(100)에서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기체내장유닛(10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튜브부재(130)와 함께 팽창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즉,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판재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도 1 및 도 2 참조),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하는 튜브부재(130)에 의해 가압되어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된다. 이때,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지지프레임(1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튜브부재(130)와 함께 팽창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찌그러짐 없이 균일하게 팽창하여 원래 요구되는 형상, 예컨대 매끄러운 유선형을 갖출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그 내측면이 튜브부재(130)에 의해 밀착 가압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한 구조적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평평한 판재 형상을 갖고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튜브부재(130)와 함께 팽창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지만, 이와 다르게,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는 평면 형상의 판재를 일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갖도록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은,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내측에 튜브부재(130)가 구비되어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튜브부재(130)를 보호하는 구조이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연질의 튜브부재(130)가 긁히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은,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튜브부재(130)와 함께 팽창하는 과정에서 지지프레임(140)이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의 테두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부분적으로 찌그러지지 않고 균일하게 팽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100)은, 튜브부재(130)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한 쌍의 보강보드(110,120)가 평평한 판재 형상을 가지므로, 기체내장유닛(100)의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을 사용한 수상운송장치로서 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보트(1)는, 좌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기체내장유닛(100)과, 한 쌍의 기체내장유닛(100)을 상호 결합시키는 제1 및 제2 구조체(200,300)와, 제1 및 제2 구조체(200,300)의 상부에 장착되어 탑승 공간을 제공하는 데크(미도시, deck)를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기체내장유닛(100)에는 제1 구조체(200)의 단부들이 삽입 결속되는 4개의 제1 결속구(211~214)와, 제2 구조체(300)의 단부들이 삽입 결속되는 4개의 제1 결속구(311~314)가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체내장유닛은 전술한 보트뿐만 아니라, 다른 수상운송장치(예컨대, 뗏목)에도 부력체로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체내장유닛은 선착장 등에 설치되는 플로트(float)나 수상 천막 등의 수상 설치물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체내장유닛에서 지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기체내장유닛에서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기체내장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체내장유닛을 사용한 수상운송장치로서 보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체내장유닛
110,120 : 한 쌍의 보강보드
130 : 튜브부재
140 : 지지프레임
150 : 체결부재
1 : 수상운송장치(보트)

Claims (17)

  1.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보강보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내측에 배치되고 기체 주입이 가능한 튜브부재; 및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외주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상기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판재 형상을 갖고, 상기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됨에 따라 상기 튜브부재와 함께 팽창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열 융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중앙부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유선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의 외주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원형 단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내부는,
    스티로폼을 포함한 부력부재로 매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는,
    상호 결합되는 복수개의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파이프는,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1 파이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파이프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는,
    전체적으로 유선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제2 파이프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파이프의 양단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 파이프와 상기 제2 파이프를 결합시키는 결합용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상기 튜브부재에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보강보드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내장유닛.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기체내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운송장치.
KR1020090062681A 2009-07-09 2009-07-09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KR10103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81A KR101030432B1 (ko) 2009-07-09 2009-07-09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81A KR101030432B1 (ko) 2009-07-09 2009-07-09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32A KR20110005132A (ko) 2011-01-17
KR101030432B1 true KR101030432B1 (ko) 2011-04-20

Family

ID=4361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681A KR101030432B1 (ko) 2009-07-09 2009-07-09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399B1 (ko) * 2013-07-04 2014-07-28 위니코니 주식회사 다기능 레저 보드
KR101691455B1 (ko) * 2016-07-14 2016-12-30 주식회사 씨라이프 튜브부를 갖는 부표
CN110254623B (zh) * 2019-06-28 2021-08-2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潜体分段的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5787A1 (en) 1993-12-06 1995-06-15 Per Stefenson Inflatable construction
US5732650A (en) 1996-04-16 1998-03-31 Sportsstuff, Inc. Inflatable reinforced plastic pontoon for aquatic vehicles
JP2001311112A (ja) 2000-04-28 2001-11-09 Molten Corp フロート装置
US6461210B2 (en) 2000-03-03 2002-10-08 Timoty A. Lorenzo Wakeboard with tubular frame and binding footplate having multidirectional adjustabi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5787A1 (en) 1993-12-06 1995-06-15 Per Stefenson Inflatable construction
US5732650A (en) 1996-04-16 1998-03-31 Sportsstuff, Inc. Inflatable reinforced plastic pontoon for aquatic vehicles
US6461210B2 (en) 2000-03-03 2002-10-08 Timoty A. Lorenzo Wakeboard with tubular frame and binding footplate having multidirectional adjustability
JP2001311112A (ja) 2000-04-28 2001-11-09 Molten Corp フロー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32A (ko) 201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5399A (en) Artificial reef assembly construction and a method
KR101030432B1 (ko) 기체내장유닛 및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AU2001239463B2 (en) Combined foam and inflatable collar assemblies for watercraft
CN113226916A (zh) 海上结构物用浮体
KR101349966B1 (ko) 조립식 폰툰
JP5527319B2 (ja) 気体内蔵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含んだ水上運送装置
US20040069203A1 (en) Foam and inflatable collar assemblies for watercraft
KR20130120148A (ko) 보트
KR101775720B1 (ko) 보강 비드를 구비한 부표
KR101147624B1 (ko) 선박용 균형유지장치
KR20120004570A (ko) 접이식 부력유닛, 이를 포함한 수상운송장치 및 수상설치구조물
KR200477781Y1 (ko) 합성수지 이중주름관을 이용한 콤비보트
JP2015514636A (ja) 浮力ユニットが具備されたボート
KR20170136088A (ko) 코팅층이 마련된 부력체
KR20190009011A (ko) 자동 팽창식 부력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US1568486A (en) Boat
US7530323B1 (en) Double-layer boat hull structure
KR101977105B1 (ko) 조립식 부유체
KR20140006399U (ko) 드라이 도크용 게이트
JPS5917958Y2 (ja) フロ−ト構成部材
JP2007297891A (ja) タイヤ構造体
JP3101707U (ja) 発泡成形体
KR20230149023A (ko) 폴리에틸렌 선체상의 방현대 결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결합된 방현대를 포함하는 선박
SE525245C2 (sv) Skrov för lastfartyg bestående av längsgående rörformade lastrum som insluts av ett ytterskrov
JP2007077627A (ja) オイルフェンス及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