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185B1 -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공법 - Google Patents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185B1
KR100937185B1 KR1020090092201A KR20090092201A KR100937185B1 KR 100937185 B1 KR100937185 B1 KR 100937185B1 KR 1020090092201 A KR1020090092201 A KR 1020090092201A KR 20090092201 A KR20090092201 A KR 20090092201A KR 100937185 B1 KR100937185 B1 KR 100937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ed soil
landfill
seawater
wastewater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철
Original Assignee
부경산업개발(주)
(주)부경엔지니어링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산업개발(주), (주)부경엔지니어링,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filed Critical 부경산업개발(주)
Priority to KR102009009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저에서 준설된 준설토를 토운선에 적재하여 해안 매립지에 투기시 준설토로부터 유출되는 오탁수를 집수하여 재활용 함으로써, 오탁수가 바다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해양 매립지 조성을 위한 언로딩 공법으로서, 그라브 준설선으로 해저에서 토사를 준설하여 토운선에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준설토가 적재된 토운선을 운행하여 매립지 근처에 위치하는 언로딩 펌프선에 정박시켜 준설토의 하역 작업을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토운선에 적재된 준설토의 용이한 흡입 펌핑을 위해 해수 또는 오탁수를 공급하여 교란하는 단계와; 상기 해수 또는 오탁수가 공급되어 교란된 준설토를 상기 언로딩 펌프선에 형성된 메인펌프를 이용하여 흡입한 후 매립지와 연결된 준설토 이송관을 통해 매립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매립지로 이송된 오탁수가 포함된 준설토를 고르게 매립함과 동시에 준설토에서 유출되는 오탁수를 매립지의 일측에 형성된 오탁수 저장지로 모으는 단계와; 상기 오탁수 저장지에 모은 오탁수를 펌프로 흡입하여 오탁수 이송관을 통해 준설토의 흡입 펌핑시 재사용하도록 언로딩 펌프선에 이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립지, 해양 오염, 오탁수 재활용

Description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공법{A seashore reclamation for a sea contamination prevention the unloading method}
본 발명은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저에서 준설된 준설토를 토운선에 적재하여 해안 매립지에 투기시 준설토로부터 유출되는 오탁수를 집수하여 재활용 함으로써, 오탁수가 바다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척(干拓)은 얕은 바다를 육지로 활용하기 위해 인공 제방을 쌓고 해수를 퍼내며 일부분을 인공호수를 만들어 땅을 고르는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간척은 공사의 성격과 토지에 대한 조수(潮水)의 유무에 따라 무감조지간척(無感潮地干拓)과 감조지간척(感潮地干拓)으로 구분할 수 있고, 무감조지간척은 호수와 늪 또는 하천연안의 낮은 지대로서 바닷물의 영향이 없는 곳에 제방을 수축하고 그 지구 안의 물을 빼내어 토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감조지간척은 하구간척(河口干拓)과 해면간척(海面干拓)으로 구분되는데, 하구간척은 조수의 영향을 받는 주요하천의 하류부에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하구언(河口堰:바닷물이 거슬러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강어귀에 쌓은 둑) 및 배 수갑문(排水閘門)을 축조하고 하천의 일부를 농업 및 공업용수를 위한 저수지로 이용하고 하구연변의 간석지를 개답(開畓:생땅이나 밭을 처음 논으로 만드는 일)하여 농경지로, 또는 이를 정지하여 주택 및 공업단지 등으로 이용하는 것을 말하며, 해면간척은 조석간만의 차가 심하지 않은 광활한 간석지에 바닷물을 막는 방조제를 설치하고, 해면을 정지 또는 구획정리함과 동시에 암거 또는 명거 배수시설을 하여 소금기를 제거하고 농업용지·공업용지 또는 택지 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매립하는 작업이다.
상기한 간척들 중, 해면간척은 접안 시설을 확보하여 굴삭기, 덤프트럭,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한 육상 운송 또는 토운선에 적재한 준설토를 매립지역 가호안 근처 해상에 투기 후 흡입장치가 달린 펌프 준설선에 송토관을 연결하여 호안 너머로 투기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접안시설을 이용한 육상운송의 경우는 많은 비용과 오랜 공사기간이 소요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최근에는 언로딩 펌프선을 이용하여 토운선에 적재된 준설토를 해상에 투기하지 않고 적재 상태에서 해수를 가수하여 해수와 함께 직접 흡입하여 매립지로 이송하는 언로딩 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언로딩 공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브 준설선을 이용하여 해저에서 준설된 준설토를 토운선에 적재하는 제 1 단계(S1)와; 상기 준설토가 적재된 토운선을 운행하여 언로딩 펌프선에 정박시키는 제 2 단계(S2)와; 상기 정박된 토운선에 적재된 준설토의 용이한 흡입 이송을 위해 해수를 공급하여 파쇄 및 교란하는 제 3 단계(S3)와; 상기 해수와 준설토를 흡입하여 배사관을 통해 호안 내의 매립지로 이송하여 언로딩을 행하는 제 4 단계(S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공법들은 매립지에 준설토를 투사하기 전 또는 투사 후에 준설토에 포함된 다량의 오탁수가 유출되나, 이를 마땅히 처리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부유물질 등이 그대로 바다로 유입되어 해양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해양 오염에 의해 인근 바다의 생태계가 파괴되어 어패류의 생존이 어려워져 어업으로 생활하는 어민들에게 경제적 타격을 줄 뿐만 아니라, 해양 생태계 복원이 아주 늦어지거나 어렵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척시 준설토와 함께 투기되는 오탁수를 유도 저장하여 토운선에 적재된 준설토의 교란시 재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오탁수가 바다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양 매립지 조성을 위한 언로딩 공법으로서, 그라브 준설선으로 해저에서 토사를 준설하여 토운선에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준설토가 적재된 토운선을 운행하여 매립지 근처에 위치하는 언로딩 펌프 선에 정박시켜 준설토의 하역 작업을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토운선에 적재된 준설토의 용이한 흡입 펌핑을 위해 해수 또는 오탁수를 공급하여 교란하는 단계와; 상기 해수 또는 오탁수가 공급되어 교란된 준설토를 상기 언로딩 펌프선에 형성된 메인펌프를 이용하여 흡입한 후 매립지와 연결된 준설토 이송관을 통해 매립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매립지로 이송된 오탁수가 포함된 준설토를 고르게 매립함과 동시에 준설토에서 유출되는 오탁수를 매립지의 일측에 형성된 오탁수 저장지로 모으는 단계와; 상기 오탁수 저장지에 모은 오탁수를 펌프로 흡입하여 오탁수 이송관을 통해 준설토의 흡입 펌핑시 재사용하도록 언로딩 펌프선에 이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탁수 저장지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오탁수의 양이 준설토의 교란시 부족할 경우에는 해수가 보충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탁수 저장지는 매립지의 평균 높이 보다 낮은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탁수 이송관은 일단부로 펌핑된 오탁수를 필요한 여러 곳으로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오탁수 개폐밸브를 형성한 오탁수이송분배관과, 오탁수공급분배관 및 오탁수분사분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준설토 이송관의 흡입구와 중간부에는 준설토의 용이한 흡입과 이송을 위한 해수이송분배관 및 해수공급분배관과 연결된 오탁수이송분배관 및 오탁수공급분배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준설토와 함께 투사되는 오탁수를 유도 저장하고, 저장된 오탁수를 오탁수 이송관을 통해 언로딩 펌프선으로 이송시켜 준설토의 교란시 재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오탁수가 바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해양 생태계를 보호함은 물론 어민들의 민원 발생방지와 어업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호안 내에 위치하는 매립예정지 또는 매립지(230)의 일측에 준설토의 투기시 유출되는 오탁수를 유도하여 저장하기 위한 오탁수 저장지(231)를 형성한다.
상기 오탁수 저장지(231)는 매립지(230)에 투기된 준설토로부터 유출되는 오탁수를 보다 용이하게 유도 및 저장하기 위해 상기 매립지(230) 보다 낮은 곳에 형 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탁수 저장지(231)에는 오탁수의 펌핑을 위한 양수기 즉, 오탁수 공급펌프(222)가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립 예정지 또는 매립지(230)를 형성하기 위해 그라브 준설선(미도시)을 이용하여 해저에서 준설한 토사 등을 준설토를 흙을 실어 나르는 배인 토운선(土運船)(210)에 적재한다.(S201)
여기서, 상기 준설선의 준설작업시 준설토에 경토반 점성토가 다량 포함된 경우, 상기 토운선(210)에 적재되는 준설토의 하역 작업인 언로딩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그라브 준설선에 형성되어 토사 등을 퍼 올리는 버킷에 삽날을 형성하여 토사 등을 담는 과정에서 점성토가 잘게 파쇄되어 적재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준설토가 적재된 토운선(210)을 운행하여 매립지(230) 근처에 위치하는 언로딩 펌프선(220)에 정박시켜 준설토의 하역작업을 세팅한다.(S202)
여기서, 상기 언로딩 펌프선(220)에는 상기 토운선(210)에 적재된 준설토를 매립지(230)로 이송, 투기하기 위한 준설토 이송관(221a)을 갖는 메인펌프(2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준설토 이송관(221a)의 일측단은 상기 매립지(230)로 연결되고, 타 일측단은 상기 토운선(210)으로 연결 형성된다.
또, 상기 언로딩 펌프선(220)에 형성된 메인펌프(221)의 일측으로는 상기 오탁수 공급펌프(222)와 연결되어 펌핑된 오탁수를 준설토의 교란이나 이송 등을 위해 필요한 곳으로 공급하기 위한 오탁수 이송관(222a)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오탁수 이송관(222a)의 일단부로는 펌핑된 오탁수를 필요한 여러 곳으로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오탁수 개폐밸브를 형성한 오탁수이송분배관(222b)과, 오탁수공급분배관(222c) 및 오탁수분사분배관(222d)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오탁수이송분배관(222b)과, 오탁수공급분배관(222c) 및 오탁수분사분배관(222d)의 일측으로는 공급되는 오탁수가 부족할 경우, 해수가 보충 공급되도록 해수 개폐밸브를 갖는 해수이송분배관(223b)과, 해수공급분배관(223c) 및 해수분사분배관(223d)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해수이송분배관(223b)과, 해수공급분배관(223c) 및 해수분사분배관(223d)의 일측으로는 해수 또는 오탁수를 필요한 곳으로 펌핑 이송시키기 위한 제 1,2,3 해수공급펌프(223),(224),(22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해수이송분배관(223b)과, 해수공급분배관(223c) 및 해수분사분배관(223d)의 일단은 상기 언로딩 펌프선(220)의 바닷물 출입 설비인 해수상자(226)와 통하는 해수관(223a)과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오탁수이송분배관(222b)과 연결된 해수이송분배관(223b)은 상기 준설토 이송관(221a)의 중간부분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탁수공급분배관(222c)과 해수공급분배관(223c)은 상기 준설토 이송관(221a)의 흡입구 일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오탁수분사분배관(222d)과 연결된 해수분사분배관(223d)은 상기 토운선(210)에 적재된 준설토 부근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오탁수분사분배관(222d)과 해수분사분배관(223d)은 복수로 형성하여 준설토의 교란시 보다 용이한 교란을 이루도록 한다. 즉,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두개의 분배관을 열어 교란을 하거나, 복수의 분배관 전부를 열어 교란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준설토의 하역작업을 세팅한 후에는 상기 언로딩 펌프선(220)에 정박된 토운선(210)에 적재된 준설토의 용이한 이송을 위해 해수 또는 상기 오탁수 저장지(231)에 저장된 오탁수를 공급하여 교란한다.(S203)
이때, 상기 토운선(210)에 적재된 준설토에는 물기가 빠져 거의 없는 상태이므로 준설토를 매립지(230)로 용이하게 이송 및 투기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탁수 저장지(231)에 집수된 오탁수를 오탁수 펌프(222)로 펌핑하여 오탁수 이송관(222a)과 오탁수이송분배관(222b)과, 오탁수공급분배관(222c) 및 오탁수분사분배관(222d)으로 공급하게 되고, 그중 준설토의 교란은 상기 준설토 부근으로 배치된 복수의 해수분사분배관(223b)을 형성한 복수의 제 1 해수공급펌프(223)를 구동하여 오탁수를 강하게 분사하여 교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준설토의 교란을 위해 공급되는 물은 매립지(230)의 형성을 위해 투기되는 준설토에서 유출되는 오탁수를 유도 저장한 것을 재사용하는 것이 기본적이나, 오탁수가 부족할 경우에는 상기 해수상자(226)에 설치된 해수관(223a)과 연결된 복수의 해수분사분배관(223b)에 형성된 해수개폐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부족한 만큼의 해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오탁수 또는 해수의 공급을 위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유체의 유동량이나 압력 등을 일정한 기준으로 셋팅한 후, 셋팅된 기준일 때와 아닐 때를 감지하여 오탁수 또는 해수 공급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공급되도록 각 오탁수 개폐밸브 및 해수 개폐밸브를 각각 자동으로 개폐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오탁수의 공급 양에 따라 수동으로 개방하거나 폐쇄시켜 공급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해수 또는 오탁수가 공급되어 교란된 준설토를 상기 언로딩 펌프선(220)에 형성된 메인펌프(221)를 이용하여 흡입한 후 매립지(230)와 연결된 준설토 이송관(221a)을 통해 매립지(230)로 이송 투사한다.(S204)
이때, 상기 준설토 이송관(221a)의 흡입구 측과 중간부에 연결된 해수이송분배관(223b) 및 해수공급분배관(223)와 연결된 오탁수이송분배관(222b) 및 오탁수공급분배관(222c)의 오탁수 개폐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 2, 3 해수공급펌프(224),(225)를 동작시켜 오탁수를 공급하게 되어, 준설토의 흡입 및 이송을 보다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오탁수가 부족할 경우에는 상기 해수상자(224)에 설치된 해수관(223a)과 연결된 해수이송분배관(223b) 및 해수공급분배관(223c)에 형성된 해수개폐밸브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부족한 만큼의 해수를 공급하게 된다.
다음, 상기 매립지(230)로 이송 투사된 준설토에서 유출되는 오탁수를 매립지의 일측에 형성된 오탁수 저장지(231)로 모은다.(S205)
여기서, 상기 오탁수 저장지(231)는 상기 매립지(230) 보다 낮은 곳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기된 준설토로부터 유출되는 오탁수의 흐름을 구배(높낮이)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보다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오탁수 저장지(231)에 유도하여 저장한 오탁수를 상기 오탁수 펌 프(222)를 이용하여 흡입하여 오탁수 이송관(222a)과 오탁수이송분배관(222b)과, 오탁수공급분배관(222c) 및 오탁수분사분배관(222d)을 통해 준설토의 교란 및 준설토 이송을 위해 재사용하도록 언로딩 펌프선(220)으로 이송한다.(S206)
이와 같은 순서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오탁수의 부족시에는 해수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오탁수와 해수가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여 준설토의 교란 및 이송을 보다 용이하게 이루고, 해저에서 준설된 준설토를 매립지(230)에 투기시 준설토로부터 유출되는 오탁수를 집수하여 재활용 함으로써, 오탁수가 바다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해양오염을 방지하여 생태계를 보호함은 물론 어민들의 민원 발생방지하여 어업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언로딩 공법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토운선 220 : 언로딩 펌프선
221 : 메인펌프 221a : 준설토 이송관
222 : 오탁수 공급펌프 222a : 오탁수 이송관
222b : 오탁수이송분배관 222c : 오탁수공급분배관
222d : 오탁수분사분배관 223 : 제 1 해수공급펌프
223a : 해수관 223b : 해수이송분배관
223c : 해수공급분배관 223d : 해수분사분배관
224 : 제 2 해수공급펌프 225 : 제 3 해수공급펌프
226 : 해수상자 230 : 매립지
231 : 오탁수 저장지

Claims (5)

  1. 해양 매립지 조성을 위한 언로딩 공법으로서,
    그라브 준설선으로 해저에서 토사를 준설하여 토운선에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준설토가 적재된 토운선을 운행하여 매립지 근처에 위치하는 언로딩 펌프선에 정박시켜 준설토의 하역 작업을 세팅하는 단계와;
    상기 토운선에 적재된 준설토의 용이한 흡입 펌핑을 위해 해수 또는 오탁수를 공급하여 교란하는 단계와;
    상기 해수 또는 오탁수가 공급되어 교란된 준설토를 상기 언로딩 펌프선에 형성된 메인펌프를 이용하여 흡입한 후 매립지와 연결된 준설토 이송관을 통해 매립지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매립지로 이송된 오탁수가 포함된 준설토를 고르게 매립함과 동시에 준설토에서 유출되는 오탁수를 매립지의 일측에 형성된 오탁수 저장지로 모으는 단계와;
    상기 오탁수 저장지에 모은 오탁수를 펌프로 흡입하여 오탁수 이송관을 통해 준설토의 흡입 펌핑시 재사용하도록 언로딩 펌프선에 이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 저장지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오탁수의 양이 준설토의 교란시 부족할 경우에는 해수가 보충 공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 저장지는 매립지의 평균 높이 보다 낮은 곳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탁수 이송관은 일단부로 펌핑된 오탁수를 필요한 여러 곳으로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오탁수 개폐밸브를 형성한 오탁수이송분배관과, 오탁수공급분배관 및 오탁수분사분배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토 이송관의 흡입구와 중간부에는 준설토의 용이한 흡입과 이송을 위한 해수이송분배관 및 해수공급분배관과 연결된 오탁수이송분배관 및 오탁수공급분배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 공법.
KR1020090092201A 2009-09-29 2009-09-29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공법 KR100937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201A KR100937185B1 (ko) 2009-09-29 2009-09-29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201A KR100937185B1 (ko) 2009-09-29 2009-09-29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185B1 true KR100937185B1 (ko) 2010-01-19

Family

ID=4180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201A KR100937185B1 (ko) 2009-09-29 2009-09-29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452B1 (ko) 2011-08-03 2013-04-09 심종빈 접안용 바지를 이용한 회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835A (ja) * 1993-04-23 1994-11-01 Nobuo Nakanishi 埋立て装置
JP2001262538A (ja) 2000-03-16 2001-09-26 Penta Ocean Constr Co Ltd 土砂埋立方法及び装置
KR100846228B1 (ko) 2008-04-15 2008-07-15 주식회사 씨엔텍 수중 준설토 운반 및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6835A (ja) * 1993-04-23 1994-11-01 Nobuo Nakanishi 埋立て装置
JP2001262538A (ja) 2000-03-16 2001-09-26 Penta Ocean Constr Co Ltd 土砂埋立方法及び装置
KR100846228B1 (ko) 2008-04-15 2008-07-15 주식회사 씨엔텍 수중 준설토 운반 및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452B1 (ko) 2011-08-03 2013-04-09 심종빈 접안용 바지를 이용한 회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anchini et al. Sediment management in coastal infrastructures: Techno-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lternative technologies to dredging
Lawson Geotextile containment for hydraulic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JP4658880B2 (ja) ダムの堆積物排出システム
CN107386195A (zh) 一种排洪渠的清淤施工方法
US515098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silt on the bottom and slopes of the wet open working or dredging
KR100937185B1 (ko)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공법
JP2003138598A (ja) 屈曲部に開口部を有するパイプを用いた浚渫方法とその装置
KR101544196B1 (ko) 하천 수중 오니 준설작업용 굴삭장치
Basson et al. Dealing with Reservoir Sedimentation: Dredging
KR101249452B1 (ko) 접안용 바지를 이용한 회처리 방법
IE47896B1 (en) Method of removing mud from waters
JP4500064B2 (ja) ダムの排砂設備
Staniszewska et al. Dredging works in the Polish open sea ports as an anthropogenic factor of development of sea coastal zones
JP2002018499A (ja) 泥水の脱水処理台船
KR101875497B1 (ko) 해상 폐기물처리장의 하이브리드 파이프라인 수송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TW420744B (en) Reservoir silt treatment
KR101917988B1 (ko)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KR20120117607A (ko) 부상토 채집 설비가 구비된 심층혼합처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심층혼합처리 공법
Abulnaga et al. De-silting lake Nasser with slurry pipelines
Bruun BYPASSING PLANTS OR ARRANGEMENTS. PRICES ON TRASFERS
KR100812820B1 (ko) 매립토 이송 장치
Marlin Potential use of innovative dredge technology and beneficial use of sediment for river restoration
JP4099477B2 (ja) 骨材保管搬送方法および骨材ストックヤード
JP2771681B2 (ja) 建設残土の搬送方法
JP6437372B2 (ja) 水中堆積土砂の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