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988B1 -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 Google Patents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988B1
KR101917988B1 KR1020180090332A KR20180090332A KR101917988B1 KR 101917988 B1 KR101917988 B1 KR 101917988B1 KR 1020180090332 A KR1020180090332 A KR 1020180090332A KR 20180090332 A KR20180090332 A KR 20180090332A KR 101917988 B1 KR101917988 B1 KR 101917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batement
eco
deposition
wat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연정
Original Assignee
추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연정 filed Critical 추연정
Priority to KR102018009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제체(100); 항만의 내측 수역을 차단하는 내부제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제체(200)는 상기 외부제체(100)와 육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측 수역에는 상기 외부제체(100), 상기 내부제체(200) 및 육지로 둘러싸이는 조지(300)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제체(200)에는 제1수로(20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수로(201)에는 제1수문(202)이 설치되어 있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Environment-friendly harbors to prevent sedimentation}
본 발명은, 외해로부터 풍랑을 막고 선박이 안전하게 입, 출항하고 정박할 수 있도록 하는 해역인 항만에 관한 것이다.
항만 및 어항의 개발은 선박의 안전과 안정적인 정박을 위하여 파랑, 유속 등 외력으로 부터 차단시켜 항내를 정온하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항내에 퇴적이 증대되는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항매몰이 발생하며, 특히 서남해 해안은 큰 조수간만의 차의 지역 특성상 퇴적이 진행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이다.
항만 내지 어항에 있어서 퇴적 현상은 항내 수심의 감소 및 매몰(埋沒)을 야기하여 항만 기능의 상실을 초래할 수 있는데 특히 주로 어선이 이용하는 소규모 항구인 어항은 항내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하여 퇴적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
항내에 퇴적물이 쌓이게 되면, 항만 내지 어항의 기능이 저하하게 되어 어민들의 불편을 초래하고(도 1 내지 도 6 참조), 소득이 줄어들어 지역경제가 쇠퇴하게 되며, 항만 및 어항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 및 지자체의 준설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현재까지 퇴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은 준설이 거의 유일했으나, 준설은 임시방편적인 대책에 불과하고, 준설, 운반, 처리 등에 막대한 비용이 수반된다는 점에서 국가 및 지자체의 큰 부담이 따르게 되며, 어민들은 퇴적이 진행된 어항에서 조수대기 등 이용 불편이 일반화된 상태이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0001에서는, 크레인을 이용한 퇴적물 준설장치에 있어서, 준설용 선박이 정지한 상태에서 크레인에 설치된 흡입호퍼의 위치를 가변하기 위한 크레인의 수평축 및 수직축; 상기 크레인의 수직축 하단에 고정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퇴적물 흡입구가 설치되어 퇴적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호퍼; 상기 흡입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퇴적물을 분쇄하여 퇴적물 흡입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회전로터; 상기 흡입호퍼의 상단에 설치되며, 퇴적물흡입구로 퇴적물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펌프; 상기 크레인의 수평축 및 수직축을 이용하여 설치되며, 상기 흡입펌프에 의하여 흡입되는 퇴적물을 준설용 선박 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퇴적물 흡입호스; 및 흡입호퍼의 일측에 설치되어 통신선(43)을 통해서 선상의 퇴적물 준설장치 제어부로 전송하여 준설 전, 준설 중 및 준설 후의 하저면의 지형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소나를 구비한 크레인을 이용한 퇴적물 준설장치(도 7 내지 도 10 참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퇴적물이 쌓일 때마다 그때그때 준설을 해야만 하고, 준설토의 처리에 또다른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항만 내지 어항 내의 퇴적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항만 내지 어항의 퇴적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항만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0-129434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자연력을 이용하여 항내의 퇴적을 근원적으로 저감하면서 환경을 보전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제체(100); 및 항만의 퇴적 수역이 되는 내측 수역을 차단하는 내부제체(200)를 포함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에 있어서, 상기 내부제체(200)는 상기 외부제체(100)와 육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측 수역에는 상기 외부제체(100), 상기 내부제체(200) 및 육지로 둘러싸이는 조지(300)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제체(200)에는 제1수로(20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수로(201)에는 제1수문(202)이 설치되어 있으며, 창조시 상기 제1수문(202)을 개방하여 해수를 조지 내로 유입시켜 조지 내에 물을 담아두고 있다가, 낙조시 상기 제1수문(202)을 개방하여 해수를 조지 밖으로 유출시킴으로써 항로의 퇴적이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을 제공한다.
상기 내부제체(200)는, 상기 제1수로(201)와 일정 거리 이격된 제2수로(2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로(203)에는 제2수문(20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수문(204)은 창조시 상층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1수문(202)는 낙조시 하층수가 유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상기 제2수문(204)은 평균해면 이상의 SILL표고를 갖는 수문 또는 전도식 수문 또는 하향식 수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로(203)에는 여과시설을 설치한다.
삭제
상기 내부제체(200)는 방조제(210)이고, 상기 외부제체(100)는 방파제 또는 방사제이며, 상기 방파제 또는 방사제 중 상기 조지(300)를 향한 면에는 불투수층으로 만들기 위한 단면보강층(110)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제체(100)는 기 설치된 제체이고, 상기 내부제체(200)는 새로이 설치하는 제체이거나, 상기 외부제체(100)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형이고, 상기 내부제체(200)는 새로이 설치하는 제체이거나, 상기 외부제체(100) 및 내부제체(200) 모두 새로이 설치하는 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제체(200)는 직립식 방조제(220)이고, 상기 직립식 방조제(2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수로(201)와 연통하고, 상기 직립식 방조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수로(222)가 형성되며, 상기 직립식 방조제(220)의 직립면(221) 하부에는 상기 제3수로(222)와 연통하여 바닷물을 배수하는 1개 이상의 배수공(223)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제체(100)는 방파제 또는 방사제이며, 상기 방파제 또는 방사제 중 상기 조지(300)를 향한 면에는 불투수층으로 만들기 위한 단면보강층(110)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의 상기 제1수로(201)에는, 조력발전수차(20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의 상기 조지(300) 내에는, 수상 태양광 발전 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공만 해놓으면 추가적인 설비나 준설없이 자연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퇴적이 저감될 수 있어, 준설에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을 절감하고, 해수의 흐름에 의해 항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창조시 일정수위 이상일 때 상층수를 제2수문을 통하여 조지내로 해수를 유입시키고, 낙조시 외측수위와 조지 내 수위가 적정 낙차고 일 때, 제1수문을 통하여 하루 2회 배출함으로써, 배출되는 해수의 물흐름에 의해 신설 안벽 또는 물양장의 전면수역 및 항로를 지속적으로 경유하게 하여 퇴적이 근원적으로 저감된다.
셋째, 제1수문과 제2수문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창조시 일정수위 이상일 때 상층수만으로 제2수문을 통해 조지 내로 유입시키므로 부유물과 토사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조지 내 퇴적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넷째, 제1수문과 제2수문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제2수문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고, 제1수문을 통해 해수가 방출되므로 조지 내에 하루 2회의 물 교환이 이루어지고, 지속적으로 물 흐름이 발생하므로 조지의 수질이 항상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섯째, 내부제체를 설치함으로써 생기는 조지는, 각종 위락시설, 낚시, 레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어, 물양장 수심 유지에 더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섯째, 조위차가 큰 지역에는 제1수문에 조력발전수차를 설치하여 조력에 의한 발전이 가능하고, 조지 내에는 수상 태양광발전 시설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준설 비용 절감에 더하여 추가적인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6은 퇴적물이 쌓여 수역시설의 기능이 저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 내지 10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수로와 제2수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수로와 제1수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수로에 조력발전수차가 설치된 모습이다.
도 24는 조지에 부유식 태양광 발전 패널을 설치한 모습이다.
도 25 내지 30은 조지의 다양한 활용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속적인 비용 지출 없이 유휴화된 시설을 활용하여 반복되는 자연의 힘(조차)을 이용하여 퇴적이 저감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남해 어항은 항내 퇴적으로 인하여 내측수역 및 물양장이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방파제 배면 인근에 운항수심이 확보되는 위치에 물양장을 건설하여 이용하고 있으므로, 퇴적이 진행된 내측 일부수역을 조지화하여 창조시 해수를 유입하고 수문을 닫아 높은 수위를 유지하고, 낙조시에 외측 수위가 낮아져 내외측 수위에 적정 낙차가 발생했을 때 수문을 통하여 배출하여, 일정 흐름이 물양장 전면수역 및 항로 등 수역시설을 경유하면서 퇴적이 방지되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도 6에는 방파제와 방사제로 둘러싸인 어항의 사진이 있는데, 방파제와 방사제로 둘러싸인 내측수역 중 물양장 주변에 퇴적이 누적되어 물양장의 기능을 상당부분 상실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6과 같이 기능이 저하된 기존의 내측수역에 적용하여 형성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인데, 도 11을 보면, 외부제체(100)와 방사제(500)가 설치되어 있고, 외부제체(100)와 방사제(500)로 둘러싸인 내부에 기존물양장(600)이 설치되어 있다.
조지(300)는 도 11과 같이 수역시설 중 기능이 저하된 내측수역에서 외부제체(100)와 육지를 연결하는 내부제체(200)를 설치함으로써 조성하게 되는데, 어항의 소요 수역면적을 제외한 여유수역에 조성하여 어항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한다.
조지(300)가 외측수위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해수가 조지(300) 내에 갇혀 있어야 하므로, 내부제체(200)를 방조제(210)로 할 수 있고, 외부제체(100) 역시 방조제 단면(필터사석+필터매트+배면토사)으로 보강하여 불투수층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외부제체(100)는 방파제 또는 방사제일 수 있다.
도 11에는 상기 외부제체(100) 중 상기 조지(300)를 향한 면에 불투수층으로 만들기 위한 단면보강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제체(200)에는 제1수로(20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수로(201)에는 제1수문(202)가 설치되어 있다.
창조시 상기 제1수문(202)을 개방하여 조지(300) 내로 해수를 유입시키고, 이후 제1수문을 닫아 조지 내에 물을 담아두고 있다가 낙조시에 조지와 내부제체(200) 밖 사이에 일정 수위차가 되었을 때 제1수문을 개방하여 해수를 조지 밖으로 유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해수의 흐름에 의해 신설물양장(400) 전면의 수역과 이후의 항로는 퇴적이 방지되는 환경이 유지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외부제체(100), 상기 외부제체(100)와 육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내부제체(200)를 포함하는 것은 상기 제1실시예와 차이가 없는데, 제2실시예에서는, 내부제체(200)에 제1수로(201)에 더하여, 상기 제1수로(201)와 일정 거리 이격된 제2수로(203)을 더 설치하고, 상기 제2수로(203)에는 제2수문(204)을 설치한다.
제2수로(203)는 창조시 해수를 조지(300) 내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고, 제1수로(201)는 낙조시 일정 수치 이상의 수위차가 발생했을 때 조지 내의 해수를 물양장 전면수역 및 항로에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조지 내의 퇴적은 담수량을 적게 하여 조지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조지 내의 수질을 깨끗하게 유지하면서 조지 내의 퇴적을 방지하기 위해 제2수로(203)와 제2수문(204)은 해수의 유입시 상층수만 유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2수로(203) 및 제2수문(204)은 일정조위 이상의 Sill 표고 갖추도록 설치할 수 있고(도 15, 17 참조), 현장의 여건에 따라 전도식 수문, 하향식 수문을 설치하여 상층수 만을 조지 내로 유입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서남해안에는 상층수에도 일정량의 부유토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필터, 필터매트 등의 여과시설을 설치하는 등 부유토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창조시 제2수로(203)를 통해 상층수가 조지(300)내로 유입되고,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낙조시 제1수로(201)를 통해 하층수가 배출되며, 제1수로를 통해 배출된 해수가 물양장 전면수역 및 항로에 퇴적이 저감되는 환경을 조성한다.
물양장과 제1수로 간의 이격거리와 제1수문에 의한 배출 유속은 계류 및 정박 선박의 안정성과 퇴적 저감 효과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고, 제1수로와 제2수로의 위치, 규모 및 상호간 이격 거리 역시 해수의 흐름, 조위차, 선박의 안정성, 퇴적 저감 효과, 제체의 제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조지 내의 수위는 배출시 일정유속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수위를 유지하여야 하고, 배출시 적정유속을 확보하기 위하여 2m이상의 내외수위차가 필요할 경우는 소조평균저조위보다 2m 높은 수위를 조지 관리수위로 결정하고 그보다 높게 관리할 수 있다.
제1수문(202)은 물양장 선석수심, 항로수심을 고려하여 조지 외측의 퇴적 저감 효과를 최대로 할 수 있는 SILL표고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제2실시예에서의 조지 내 수위와 외조위에 따른 제1수문(202)과 제2수문(204)의 유입, 배출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3실시예는 보다 넓은 수역시설의 퇴적 저감이 필요할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상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서는 물양장 전면수역과 항로구간에 퇴적 저감 효과를 집중시키므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지방어항 이하 어항에 적합한 실시예이나, 재적 및 외래어선 이용이 많은 국가어항이나 항만에서는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
제3실시예는 넓은 수역시설의 퇴적 저감이 필요할 경우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내부제체를 직립식 방조제(220) 형식을 채택하여 내부제체를 물양장으로 활용하고, 직립식 방조제(220)의 내부에는 제1수로(201)와 연통하고, 상기 직립식 방조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수로(222)가 형성되며, 상기 제3수로(222)에 의해, 조지 내의 해수가 제1수로(201)를 통해 바로 수역시설로 배출되지 않고, 제1수로(201)를 통과한 해수가 직립식 방조제(220) 내부의 제3수로(222)를 통해 여러 곳에서 동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서, 제2수로(203)와 제2수문(204)이 설치되는 것은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수로를 통해 배출된 해수가 제3수로(222)로 흘러 들어가고, 제3수로(222)와 연통하여 형성된 1개 이상의 배수공(223)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이다. 하나의 배출구인 제1수로(201)가 아니라 복수개의 배수공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배출유속이 작아지는 단점이 있으나, 넓은 지역에 걸쳐 퇴적저감 효과가 필요할 경우에 적합한 실시예이다.
따라서 제3실시예는 조차가 큰 지역, 넓은 여유수역이 있는 어항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수역시설이 협소한 지방어항 및 소규모어항은 조지로 활용할 수역시설이 없는데, 이러한 장소에서는 인근의 만이나, 폐염전을 조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오염된 만 또는 폐염전은 그대로 방치되고 있어, 해안경관을 훼손하고, 물이 정체되어 있어 악취발생 등 해안 이용의 잠재력을 저해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이러한 지형에 활용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도 22에는 제4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제4실시예에서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형이 외부제체(100)가 되고, 내부제체(200)는 상기 외부제체(100)와 육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조지(300)는 내부제체(200), 외부제체(100) 및 육지로 둘러싸여 형성되게 된다.
제4실시예는 자연 지형을 외부제체로 활용하는 실시예인데, 이때 내부제체에는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수로와 제1수문만 설치할 수도 있고, 제2실시예와 같이 제2수로와 제2수문도 설치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제3실시예와 같이 제3수로와 배수공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인근 지형 및 방치시설을 활용하여 조지를 구축하고 배출방향을 인근 어항으로 함으로써 소규모어항의 퇴적을 저감할 수 있고, 방치되어 있는 폐염전이나 오염된 만에 해수가 순환하게 되어 수질이 정화되고 활용가능한 조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예에서 조지(300)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조지를 활용한 해양에너지와 수상태양광 발전을 자연스럽게 도입할 수 있다.
즉, 제1수문을 통하여 조지 내 해수 배출시 소규모 조력발전이 가능하고(도 23 참조), 조지 내 수역은 정온지역으로 수상 태양광 발전의 최적지이므로 태양광 발전에 의한 청정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도 24 참조).
아울러, 내부제체, 외부제체 및 육지에 의해 형성되는 조지는 해수가 끊임없이 출입하여 깨끗한 수질이 유지될 수 있고, 일정 수준의 수위가 유지되므로, 조지 내에 정온하고 태풍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적은 넓은 양식장을 설치하여 어민의 소득을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어항은 육지의 최끝단에 위치하여 해안경관이 좋고 다양한 체험과 먹거리 등 관광 잠재력이 우수하나, 태풍에 의한 재해위험, 어민공간과의 상충, 쾌적성 부족 등으로 어항의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나, 본 발명을 통해 정온하고 깨끗한 해수를 보유한(하루 2회 순환) 조지를 활용할 경우 다양한 위락, 관광시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조지와 조지의 인근 지역을, 마리나, 수변카페, 레스토랑, 펜션단지, 피싱센터 및 낚시터, 해변공원 광장, 갯벌 체험장, 조개 체험장, 생태 체험장, 해수욕장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즉, 제1실시예에 제3실시예의 직립식 방조제(220), 제3수로(222), 배수공(223)의 구성을 부가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내부제체와 외부제체는 신설 제체 및/또는 기존 제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외부제체 110. 단면보강층
200. 내부제체
201. 제1수로 202. 제1수문
203. 제2수로 204. 제2수문
205. 조력발전수차 210. 방조제
220. 직립식 방조제 221. 직립면
222. 제3수로 223. 배수공
300. 조지 400. 신설물양장
500. 방사제 600. 기존물양장
700. 퇴적물

Claims (12)

  1. 외부제체(100);
    및 항만의 퇴적 수역이 되는 내측 수역을 차단하는 내부제체(200)를 포함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에 있어서,
    상기 내부제체(200)는 상기 외부제체(100)와 육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측 수역에는 상기 외부제체(100), 상기 내부제체(200) 및 육지로 둘러싸이는 조지(300)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제체(200)에는 제1수로(20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수로(201)에는 제1수문(202)이 설치되어 있으며,
    창조시 상기 제1수문(202)을 개방하여 해수를 조지 내로 유입시켜 조지 내에 물을 담아두고 있다가, 낙조시 상기 제1수문(202)을 개방하여 해수를 조지 밖으로 유출시킴으로써 항로의 퇴적이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제체(200)는, 상기 제1수로(201)와 일정 거리 이격된 제2수로(20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로(203)에는 제2수문(204)이 설치되어 있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문(204)은 창조시 상층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기 제1수문(202)는 낙조시 하층수가 유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문(204)은 평균해면 이상의 SILL표고를 갖는 수문 또는 전도식 수문 또는 하향식 수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로(203)에는 여과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제체(200)는 방조제(210)이고,
    상기 외부제체(100)는 방파제 또는 방사제이며, 상기 방파제 또는 방사제 중 상기 조지(300)를 향한 면에는 불투수층으로 만들기 위한 단면보강층(110)이 형성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제체(100)는 기 설치된 제체이고, 상기 내부제체(200)는 새로이 설치하는 제체이거나,
    상기 외부제체(100)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지형이고, 상기 내부제체(200)는 새로이 설치하는 제체이거나,
    상기 외부제체(100) 및 내부제체(200) 모두 새로이 설치하는 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제체(200)는 직립식 방조제(220)이고,
    상기 직립식 방조제(2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수로(201)와 연통하고, 상기 직립식 방조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수로(222)가 형성되며,
    상기 직립식 방조제(220)의 직립면(221) 하부에는 상기 제3수로(222)와 연통하여 바닷물을 배수하는 1개 이상의 배수공(223)이 형성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제체(100)는 방파제 또는 방사제이며, 상기 방파제 또는 방사제 중 상기 조지(300)를 향한 면에는 불투수층으로 만들기 위한 단면보강층(110)이 형성되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로(201)에는, 조력발전수차(205)가 설치되어 있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지(300) 내에는, 수상 태양광 발전 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KR1020180090332A 2018-08-02 2018-08-02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KR10191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332A KR101917988B1 (ko) 2018-08-02 2018-08-02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332A KR101917988B1 (ko) 2018-08-02 2018-08-02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988B1 true KR101917988B1 (ko) 2018-11-12

Family

ID=6439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332A KR101917988B1 (ko) 2018-08-02 2018-08-02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98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707A (ja) * 2001-03-06 2002-09-17 Shimizu Corp 遮水海域の浄化方法と海水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2707A (ja) * 2001-03-06 2002-09-17 Shimizu Corp 遮水海域の浄化方法と海水浄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ihy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in implementing coastal projects: lessons learned from the Egyptian Mediterranean Coast
US4645377A (en) Method of causing sedimentation of sedimentary solid material transported in a body of water, such as a lake, a sea, or an ocean
US11274408B2 (en) Flood mitigation system
CN109356080A (zh) 一种创造生态湿地促进环抱式港池或港湾水体交换的方法
CN114622514B (zh) 一种用于泥化海岸生态修复的人工清淤纳潮海湾系统
CN110984063B (zh) 一种人工沟渠排水沙滩减淤系统
WO2020044355A1 (en) Integration of multipurpose box tunnels with empty lakes and mini dam for effective flood control
CN114232663A (zh) 防治海水入侵和陆源污染的变渗透地下帷幕及其施工方法
KR101917988B1 (ko) 퇴적 저감 친환경 항만
JP3823998B2 (ja) 「海洋の空(utsuro)」による潮流発生装置を利用した治水および水利システム
Basson et al. Dealing with Reservoir Sedimentation: Dredging
KR101250027B1 (ko) 공유수면 개발을 통한 아쿠아 시티 조성 방법
KR20150051947A (ko)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harp et al. The Sarawak River barrage—hydrotechnical and geotechnical aspects
JPH06200508A (ja) 砂浜の安定化方法
Crompton Cardiff Bay Barrage
Hettiarachchi Drainage and exclusion of salt-water in low-lying coastal areas—a case study from the Southern Province of Sri Lanka
KR20140140911A (ko) 하천 복류수 활용을 위한 집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tharam et 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coastal reservoir development in India
JP4635318B2 (ja) 水域浄化システム
KR100937185B1 (ko) 해양 오염방지를 위한 해안 매립 언로딩공법
Brink et al. Sediment control at river abstraction works in South Africa
Burrows et al. Novel boom/skirt systems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estuarial impoundments subject to saline influx
Parchure et al. Lessons learned from existing projects on shoaling in harbors and navigation channels
Helledie et al. Shore protection with beach isl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