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672B1 -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이용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672B1
KR100936672B1 KR1020070116898A KR20070116898A KR100936672B1 KR 100936672 B1 KR100936672 B1 KR 100936672B1 KR 1020070116898 A KR1020070116898 A KR 1020070116898A KR 20070116898 A KR20070116898 A KR 20070116898A KR 100936672 B1 KR100936672 B1 KR 100936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information
user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459A (ko
Inventor
윤성현
이순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1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672B1/ko
Priority to US12/137,932 priority patent/US8117316B2/en
Publication of KR20090050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3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participants; by removing partici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y using authentication-authorization-accounting [AAA] servers o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4Inter-user-equipment sessions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3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the control of the source by the dest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이용중인 IP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소유한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가입자 단말 인증 시스템(AAA)으로부터 인증된 단말기와 그 사용자에 대하여 고정속성을 가지는 고유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AAA 인터페이스부와; 인증완료된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와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에 대하여 가변속성을 가지는 상태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고유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고유정보 관리부와; 상기 상태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상태정보 관리부와; 단말기 변경 요청시 상기 고유정보와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선택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고, 그 중 선택된 이동 대상 단말기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세션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서, 단말기 이용자는 IP 서비스 이용중 편리하게 단말기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끊김 없는 IP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단말, 이동, 단말제어서버.

Description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이용방법{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ERMINAL-SHIFTED SERVICE}
본 발명은 단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이용중인 IP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소유한 별도의 단말기를 통해 해당 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 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6-S-064-02, 과제명: BcN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기술연구].
IP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란 PC, PDA, 랩 탑 컴퓨터, 휴대전화, IPTV, STB등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통칭한다. 이러한 단말들은 각각 해당 서비스에 적합한 고유 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IP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단말들은 서로 결합 혹은 융합되어 하나의 복합 단말기 형태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동 중에 VOD(Video On Demand), IPTV 등의 다양한 I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랩 탑 컴퓨터, 웹 서핑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 등이 복합 단말기의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복합 단말기라 하더라도 기능 자체의 구성은 주기능과 부가기능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유형의 서비스에 적합한 단말은 휴대 전화기의 형태와 같이 작고 가벼우며 휴대하기가 용이한 형태가 되어야 하며, 영상 서비스에 적합한 단말은 시각적 효과와 청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대화면 및 고품질 스피커 등이 요구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만족도는 서비스에 대한 단말의 특화 정도에 비례하므로, 사용자는 항상 복합 단말이 제공하는 부가적인 기능보다 더 나은 성능의 전용 단말기를 요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동중 휴대 전화기를 통해 IP 서비스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집안 거실로 이동하게 되면 보다 크고 선명한 화질 특성을 가지는 TV 단말을 통해 IP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기를 희망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별도의 단말을 이용하여 동일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이용중인 서비스를 종료하고 별도 단말기를 통해 동일 서비스를 새로 연결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방법은 별도의 서비스 세션을 생성해야 하므로 서비스의 연결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즉, 각 단말이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차이가 없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이용중인 IP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소유한 별도의 단말을 통해 해당 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단말의 OS 또는 펌웨어를 수정하 는 정도의 변경만으로도 단말에 종속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줄 수 있는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현재 이용중인 IP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가 소유한 별도의 단말을 통해 끊김 없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이용방법을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가입자 단말 인증 시스템(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AAA)으로부터 인증된 단말기와 그 사용자에 대하여 고정속성을 가지는 고유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AAA 인터페이스부와;
인증완료된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와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에 대하여 가변속성을 가지는 상태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고유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고유정보 관리부와;
상기 상태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상태정보 관리부와;
단말기 변경 요청시 상기 고유정보와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선택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고, 그 중 선택된 이동 대상 단말기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세션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가입자 단말 인증 시스템(AAA)으로부터 인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와 그 단말 기 사용자의 고유정보 및 그 사용자가 등록한 단말기 고유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AAA 인터페이스부와;
인증완료된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현재 상태정보 및 서비스 상태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고유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고유정보 관리부와;
상기 상태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상태정보 관리부와;
서비스 이용중인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변경 요청시 상기 고유정보를 참조하여 선택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고 이동 대상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와;
단말기 변경 요청한 단말기가 이용중인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을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게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이동 대상 단말기의 사양에 맞게 가공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프록시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말기 비종속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변경 요청이 있을 경우 서비스 이용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주고, 이용자로부터 하나의 단말기 선택이 있으면 그 선택 단말기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 세션정보를 생성하여 그 선택된 단말기로 전송해 줌으로서, 단말기 이용자는 IP 서비스 이용중 편리하게 단말기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끊김 없는 IP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이용자가 보유 등록한 여러 단말 중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에 가장 적합한 단말을 이용할 수 있게 유도해 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서비스 이용에 있어 보다 큰 만족도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단말 제어 서버와 같은 단말기 비종속적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추가하고, 기존 단말과 AAA 인증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수준에서 구성이 가능하므로 기존 네트워크에 적용할 경우 시스템 수정 폭이 크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새로운 서비스 망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도 1에 도시된 RG는 Residential Gateway를, AN은 Access Node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140)이 포함된 네트워크 구성을 예시한 것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변경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140)은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의 변경을 제어한다는 의미로서 단말 제어 서 버(Terminal Control Server:TCS)로 칭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는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을 TCS(140)로 명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IP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은 인터넷 프로토콜이 가능한 단말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각 단말의 인터넷 접속 형태는 사용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형태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 구성 현황에 따라 접속방식이 다르다. 예로써, 유선 단말은 댁내 장비인 RG(110)를 거치거나 직접 AN(1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단말의 경우에는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직접 AN(120)에 연결될 수 있다. AN(120)에 연결된 단말은 우선 가입자 단말 인증 시스템(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이하 AAA라 함)(130)을 통해 인증절차를 거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의 인증절차는 각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가 자체적으로 정의한 고유의 방법으로 진행된다. 통상적으로 인증절차는 단말 인증, 네트워크 인증, 사용자 인증 등을 포함하므로 AAA(130)에는 사용자 신상에 관련된 고유 정보 및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내역과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의 고유 정보 그리고 회선 정보와 같은 서비스 이용에 따른 접근절차 등이 정의되어 있고, 인증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사용자 인증정보 및 현재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단말 정보 등은 AAA(130)로 전송된다. 이후 인증과정을 정상적으로 마친 단말은 I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가입된 서비스 내역에 따라 CP(Contents Provider)(150)가 제공하는 고유의 IP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TCS(140)의 관리대상정보 중에서 고정 속성정보는 대부분 AAA(130)를 통해 획득 가능하고, 가변 속성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이 되는 단말에서 의 IP 서비스는 단말의 인증절차가 완료된 후 제공되므로 TCS(140)는 AAA(130) 뒷단 또는 AAA(130)와 함께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TCS(140)란 AAA(130)로부터 인증된 단말기와 그 단말기 사용자에 대하여 고정 속성을 가지는 고유정보를 전송받는 한편, 인증 완료된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와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에 대하여 가변 속성을 가지는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적으로 TCS(140)가 관리하는 정보는 서비스 이용에 따른 가변 여부에 따라 고정 속성을 가지는 정보와 가변 속성을 가지는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고정 속성을 가진 정보로는 사용자의 일반 정보 및 가입 서비스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통상 이런 정보는 사업자가 이미 확보하고 있는 정보로서 AAA등에 활용된다. 그리고 가변 속성을 가진 정보로는 서비스 이용에 따라 변화되는 단말 관련 정보와 서비스 세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고정 속성을 가지는 고유 정보들은 가입자 단말 인증 시스템인 AAA(130)를 통해 획득 가능하며, 가변 속성을 가지는 상태 정보는 각 단말로부터 획득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란 제1단말기에서 이용중인 IP 서비스를 제2단말기에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단말기를 변경(Terminal-shifted)해 주는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된다.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면,
우선 도 2a에 도시한 TCS(140)는 IP 망을 통해 사용자가 등록한 각 단말로부터(단말1, 단말2, 단말 3) 각 단말의 고유 정보 및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유지하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단말 3을 통해 IP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 단말 2로 단말기 변경 요청한다면, TCS(140)는 단말 3에서 획득한 서비스 상태정보를 활용하여 단말 2로 하여금 CP(Contents Provider)(150)에 서비스 요청토록 한다. 그러면 CP(150)는 해당 서비스 세션이 적용된 서비스를 단말 2에게 제공하고 단말 3에 제공하던 서비스는 중지된다. 이로써 TCS(140)에 의한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가 종결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CP(150)로부터의 서비스 흐름 측면에서 볼 때도 서비스 이동이 실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변형 실시예로서 프록시(proxy) 모듈을 이용하여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TCS(140)는 IP 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등록된 서비스 및 단말의 정보를 사전에 획득한 후 단말기 변경 요청이 있으면 CP(150)측으로 해당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그 요청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변경 요청한 단말 2의 사양에 맞게 가공하여 전송함으로서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를 구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 및 시스템의 동작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은 도 1중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CS(140)의 구성도를 예시한 것으로, TCS(140)는 기본적으로 가입자 단말 인증 시스템(AAA)(130)으로부터 인증된 단말기와 그 사용자에 대하여 고정속성을 가지는 고유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AAA 인터페이스부(141)와, AAA인터페이스부(141)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고유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고유정보 관리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속성을 가지는 고유정보"는 다시 '단말기 고유정보'와 '서비스 및 사용자 고유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단말기 고유정보'는 ID, 이름, 단말 S/N, 모델, 형태와 같은 단말 일반정보와, 탑재 프로토콜 목록, NIC 최대 접속속도, 지원가능 대역폭, CPU 성능, OS버젼, 지원 가능 코덱, 원격시동여부와 같은 단말 기능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단말기 고유정보는 단말기 고유정보 관리부(142b)에 의해 관리된다. 이러한 단말기 고유정보 관리부(142b)를 통해 후술할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143)는 해당 단말을 통해 어떤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및 사용자 고유정보'는 사용자 개인정보(ID, 연락처, 가입서비스, 과금 등), 서비스 관련 일반 정보(서비스 특성정보), 사용자 단말정보(소유 단말 목록)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비스 및 사용자 고유정보는 서비스/사용자 고유정보 관리부(142a)에 의해 저장 관리된다. 서비스/사용자 고유정보 관리부(142a)는 각 정보들 간의 연관성을 도출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취향, 이용패턴 및 선호도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143)는 서비스/사용자 고유정보 관리부(142a)를 통해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 및 특성은 무엇이며, 사용자는 어떤 유효 단말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어떤 서비스를 선호하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TCS(140)는 인증완료된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와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에 대하여 가변 속성을 가지는 상태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45)와,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해 전송된 상기 상태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상태정보 관리부(144)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태정보 관리부(144) 역시 서비스/사용자 상태정보 관리부(144a)와 단말기 상태정보 관리부(144b)로 구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사용자 상태정보 관리부(144a)는 사용자 위치 정보(LBS, GPS, 자기센서 등) 및 서비스 세션 정보 등과 같이 서비스의 이용 상태에 따라 변경되는 상태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이용 중인 서비스에 대해 초기화 및 동기화 기능을 제공함으로 이용 중인 서비스의 상태관리를 담당한다. 이러한 서비스/사용자 상태정보 관리부(144a)에 의해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143)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종류가 무엇이며 사용자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의 이용 상태와 이 서비스에 대하여 단말기 이동(Terminal-shifted)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인지할 수 있다.
단말기 상태정보 관리부(144b)는 사용자가 등록한 각 단말들의 상태 정보를 관리한다. 사용자가 등록한 여러 단말의 상태정보로서 접속망 및 접속 포트 정보, 단말 주소, 단말 자원 가용 상태 등은 서비스 이용에 따라 변화되는 가변정보이며, 이러한 가변 정보들은 해당 단말로부터 주기적으로 획득되어 갱신되는 값들이다.
마지막으로 TCS(140)는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14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TCS(143)는 서비스 이용중인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변경 요청시 상기 고유정보와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선택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단말기 변경 요청한 단말기 측으로 제공하고, 그 중 선택된 이동 대상 단말기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세션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변경 요청한 단말기를 대상으로 하여 원격시 동 및 원격조정과 같은 제어를 통해 단말기 이동 서비스를 실현하기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각의 구성요소들만으로 하나의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으며, 프록시 모듈(146)을 새로이 추가하여 또 하나의 변형된 시스템을 실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AAA로부터 인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와 그 단말기 사용자의 고유정보 및 그 사용자가 등록한 단말기 고유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AAA 인터페이스부(141)와;
인증완료된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현재 상태정보 및 서비스 상태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45)와;
상기 고유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고유정보 관리부(142)와;
상기 상태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상태정보 관리부(144)와;
서비스 이용중인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변경 요청시 상기 고유정보를 참조하여 선택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고 이동 대상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143)와;
단말기 변경 요청한 단말기가 이용중인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을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게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이동 대상 단말기의 사양에 맞게 가공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프록시 모듈(146)을 포함하면 된다.
참고적으로 프록시 모듈(146)은 단말기 이동 요청 단말과 이동 대상 단말간의 완충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TCS(140)의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단말기(100)의 초기 동작을 우선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 초기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단말기(100)측에서 전원을 켜면 인증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AAA(130)로 인증정보를 전송(S1단계)하고, 사업자의 AAA(130)에서는 단말로부터 전송된 인증정보를 토대로 단말 및 서비스에 대한 인증을 실시(S2단계)하고 그 결과를 통보한다. 인증이 확인(S3단계)되면 사용자의 단말은 I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사업자 고유의 인증 절차에 정의되어 있다.
AAA(130)로부터 인증완료 통보를 받은 단말(100)은 이후 주소 및 회선 정보 그리고 서비스 이용 정보 등과 같은 단말의 현재 상태정보를 TCS(140)로 전송(S4단계)한다. 주소변경, 서비스 변경 등 단말의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단말(100)은 TCS(140)로 자신의 상태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각 단말(100)이 상태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TCS(140)는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태정보를 각각의 정보 관리부(144)에 저장 관리함으로서 항상 해당 단말의 현재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제공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전반에 대해 설명하면, 모든 IP 서비스는 단말을 통해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서는 우선 단말이 준비되어야 한다. 단말 1의 전원을 켜면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이미 정의된 인증절차를 따르게 되고, 정의된 절차에 따라 인증이 완료되면 AAA(130)는 해당 단말에 대한 고유 정보 및 단말 소유자인 사용자의 고유 정보 그리고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 정보 등 획득 가능한 고유 정보들을 TCS(140)로 전송한다. 인증이 완료된 단말에서는 IP 접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IP 접속 서비스가 가능해진 단말 1은 현재의 서비스, 단말기 관련 상태정보를 TCS(140)로 전송한다.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각 단말에 대한 서비스 이용 준비절차단계로 명명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말에 대해 서비스 이용 준비절차단계가 완료되면, TCS(140)의 고유정보 관리부(142)에는 서비스 및 사용자 관련된 고유정보와 단말기 관련된 고유정보가 저장 관리되며, 상태정보 관리부(144)에는 서비스 및 사용자 상태정보, 단말기 상태정보가 저장되게 되는 것이다.
단말기 1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 준비 절차가 완료(S10단계)되었다면, 이후 단말 1은 CP(150)에게 서비스 요청(S11단계)을 하고, CP(150)는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S12단계)한다.
만약 사용자가 단말 1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S13단계) 단말 2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가 생기면 TCS(140) 측으로 단말기 이동(Terminal-shifted service) 서비스를 요청(S14단계)한다. 이 과정은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에 단말에 인터럽트를 요청하는 것이므로 요청 방법은 특정 스위치 또는 버튼 등을 이용하여 단말의 특정 기능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말기 이동 요청을 받은 TCS(140)는 고유정보 관리부(142)를 검색하여 서비스 요청한 사용자에게 등록된 단말 중 현재 이용중인 IP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의 목록을 작성하여 사용자측 단말 1로 전송(S15단계)한다. 이에 사용자는 제공된 단말 목록 중 원하는 단말을 선택하여 TCS(140)측으로 전송(S16단계)한다. TCS(140)는 사용자가 선택한 단말의 특성에 따라 원격 시동 메시지를 전송(S17단계)하여 서비스 이동 대상 단말 2를 원격에서 시동하거나, 사용자에게 시동 안내 메시지를 전송(S18단계)하여 수동으로 시동하게 한다. 물론 이미 서비스 이동 대상단말의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라면 이미 TCS(140)가 그 사실을 인지하고 있으므로 이 절차는 생략될 것이다.
한편 이동 대상 단말인 단말 2 역시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 상술한 서비스 이용 준비 절차(S19단계)를 거치게 된다. 서비스 이동 대상 단말인 단말 2가 서비스이용 가능 상태가 되면, TCS(140)는 단말기 이동 요청한 단말 1에게 서비스 이동 준비 완료 메시지를 전송(S20단계)한다. 이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1은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 상태 정보 및 단말의 상태정보를 TCS(140)로 전송(S21단계)한다. 전송되는 서비스 상태 정보의 예로는 이용중인 서비스의 종류 및 접근방법, 서비스 로그온 정보 및 서비스 이용에 따른 임시 정보를 포함하는 쿠키 정보, 서비스 이용 시간 또는 서비스 진행 정도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이용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단말 상태 정보의 예로는 단말이 획득한 IP 주소, 이용 중인 통신 회선 정보, 대역 및 CPU 점유율 등을 포함한 자원 사용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예시한 바와 같은 상태정보를 수신한 TCS(140)는 사용자가 이용중인 서비스에 대하여 서비스 이동 대상 단말인 단말 2를 위한 서비스 세션 정보(S22단계)를 생성하고, 생성된 서비스 세션정보를 서비스 개시 요구와 함께 단말 2로 전송(S23단계)한다. 이에 단말 2는 TCS(140)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세션정보를 토대로 CP(150)에게 서비스 요청(S24단계)을 하고, CP(150)는 그에 응답하여 단말 2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S25단계)한다.
따라서 상술한 일련의 절차를 거치면, 예를 들어 댁내에서 데스크 탑 PC(단말 1)를 통해 인터넷 쇼핑을 즐기고 있던 사용자라면 외출시 랩 탑 컴퓨터로 단말기를 변경하여 인터넷 쇼핑 서비스를 끊김 없이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단말 1에게 제공되던 서비스는 서비스 유형 및 CP(150)의 정책에 따라 중지될 수 있으며, 중지 시점 또한 CP(150)의 정책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제공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록시 모듈(146)을 활용하는 경우의 예이다. 프록시 모듈(146)을 활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절차는 도 5에서 설명한 절차와 유사하다. 다만, 이동 대상 단말이 서비스 요청을 하지 않고 프록시 모듈(146)이 직접 CP(150)에게 서비스 요청을 하고 그에 따라 제공받는 서비스 데이터에 대해 일련의 가공을 하여 이동 대상 단말로 중계해 주는 절차만이 차이를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단말기 이동 요청하는 단말 1에서 TCS(140)로 서비스 및 단말 상태정보를 전송하기까지의 절차, 즉 S30단계 내지 S41단계의 각 단계는 도 5의 S10단계 내지 S21단계의 각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만약 S41단계를 통해 단말기 이동 요청한 단말 1로부터 서비스 및 단말 상태정보가 전송되면, TCS(140)의 프록시 모듈(146)은 CP(150)에 단말 1이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S42단계)한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CP(15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가 제공(S43단계)되면, 프록시 모듈(146)은 앞서 수신된 서비스 및 단말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서비스 데이터를 이동 대상 단말기의 상태에 맞게 가공(S44단계)한다. 이런 서비스 데이터의 가공 일례는 대역조정, 코덱 변경, 옵셋정보 적용 등이 될 수 있다. 가공된 서비스 데이터는 이동 대상 단말인 단말 2로 전송(S45단계)된다.
따라서 상술한 일련의 절차를 거치면, 예를 들어 외부에서 PDA를 통해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즐기고 있던 사용자는 댁내에서 IP TV로 단말기를 변경하여 이용중인 서비스를 끊김 없이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이 포함된 네트워크 구성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이용 단말기의 변경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중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140)의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 초기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제공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제공 흐름도.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가입자 단말 인증 시스템(AAA)으로부터 인증된 단말기의 고유정보와 그 단말기 사용자의 고유정보 및 그 사용자가 등록한 단말기 고유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AAA 인터페이스부와;
    인증완료된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현재 상태정보 및 서비스 상태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고유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고유정보 관리부와;
    상기 상태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한 상태정보 관리부와;
    서비스 이용중인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변경 요청시 상기 고유정보를 참조하여 선택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고 이동 대상 단말기 정보를 전송받는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와;
    단말기 변경 요청한 단말기가 이용중인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을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게 요청하고, 그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이동 대상 단말기의 사양에 맞게 가공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프록시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는 이동 대상 단말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 시동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이동관리 제어부는 이동 대상 단말기로 시동 안내 메시지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8.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접속 가능한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이용방법에 있어서,
    가입자 단말 인증 시스템(AAA)으로 인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기의 현재 상태정보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컨텐츠 제공자측 서버로 서비스 요청을 하고 그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서비스 이용중인 단말기의 변경을 상기 시스템으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변경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단말기 정보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서비스 이동준비 완료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의 상태 정보 및 단말기 상태정보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서비스 및 단말기 상태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컨텐츠 제공자측 서버로 상기 단말기가 현재 이용중인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자측 서버로부터 요청한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및 단말기 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대상 단말기의 상태에 맞게 가공하여 상기 이동대상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이용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태정보 변경시마다 변경된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추가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이용방법.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의 상태 정보는 이용중인 서비스의 종류 및 접근방법, 서비스 로그온 정보 및 서비스 이용에 따른 임시정보를 포함하는 쿠키 정보, 서비스 이용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이용방법.
  11.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상태정보는 접속망 및 접속포트정보, 단말주소, 단말 자원 가용상태, 유효 대역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 이용방법.
KR1020070116898A 2007-11-15 2007-11-15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이용방법 KR100936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898A KR100936672B1 (ko) 2007-11-15 2007-11-15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이용방법
US12/137,932 US8117316B2 (en) 2007-11-15 2008-06-12 Terminal shif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898A KR100936672B1 (ko) 2007-11-15 2007-11-15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459A KR20090050459A (ko) 2009-05-20
KR100936672B1 true KR100936672B1 (ko) 2010-01-13

Family

ID=4064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898A KR100936672B1 (ko) 2007-11-15 2007-11-15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17316B2 (ko)
KR (1) KR100936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0667A2 (en) * 2009-12-09 2012-10-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ssion duplication and session sharing
US20110196973A1 (en) * 2010-02-05 2011-08-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device session continuity (idsc) of multi media streams
KR101653237B1 (ko) 2010-03-25 201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장치를 이용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2044356A2 (en) * 2010-10-01 2012-04-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session sharing and group synchronization of multi media streams
CN102137286B (zh) * 2010-12-15 2013-12-04 华为软件技术有限公司 点播业务的实现方法、设备及系统
WO2012087419A2 (en) * 2010-12-22 2012-06-28 Rambus Inc. Session management for communic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JP5787667B2 (ja) * 2011-08-23 2015-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780926A (zh) * 2012-10-22 2014-05-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Iptv增值业务管理的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147A (ko) * 2005-03-1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그방법
KR100640490B1 (ko) 2005-08-05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성을 보장하는 다중 사용자 지원 멀티미디어 컨텐츠제공 시스템과 그 제공 방법
KR20070058295A (ko) * 2005-12-02 2007-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끊김 없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65368B1 (ko) 2006-05-16 2007-10-10 전자부품연구원 컨텐츠 연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9967A1 (en) * 2001-05-14 2002-11-14 Sangeeta Varma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token access to thin client architecture session
EP1330098A1 (en) * 2002-01-21 2003-07-2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data web session transfer
KR100492912B1 (ko) 2003-10-23 2005-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루투스 기반 피.디.에이를 이용한 사용자 이동성지원시스템 및 방법
KR100582904B1 (ko) 2003-12-02 2006-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망과 sip 기반의 서비스 이동성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TE425643T1 (de) * 2004-12-17 2009-03-15 Huawei Tech Co Ltd Verfahren und system zum halten einer sitzungskontinuität
KR100771988B1 (ko) 2005-12-08 2007-10-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사용자 이동성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147A (ko) * 2005-03-10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자동 전환하는 장치 및 그방법
KR100640490B1 (ko) 2005-08-05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성을 보장하는 다중 사용자 지원 멀티미디어 컨텐츠제공 시스템과 그 제공 방법
KR20070058295A (ko) * 2005-12-02 2007-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끊김 없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65368B1 (ko) 2006-05-16 2007-10-10 전자부품연구원 컨텐츠 연속 서비스를 위한 스트리밍 방법 및 이를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32635A1 (en) 2009-05-21
KR20090050459A (ko) 2009-05-20
US8117316B2 (en)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672B1 (ko)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이용방법
US11412440B2 (en) Client-side location aware network selection
US109245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ve delivery of prioritized content
US8806577B2 (en)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device server
JPWO2006075677A1 (ja) 通信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
JP2011523245A (ja) アクセスポイント
JP2011517224A (ja) インターネット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放送コンテンツ提供装置及び方法
JP4801069B2 (ja) 異種環境での透過的なサービス適合
US116064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conten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20120007433A (ko) 컴퓨터 장치 간의 고화질 비디오 텔레포니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132619A (ko) 신뢰 모니터링 에이전트에 의한 홈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 장치
US20100332590A1 (en) Inheritance communication administrating apparatus
KR101632753B1 (ko) 단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 단말 및 방법
JP5588335B2 (ja) ユーザのサービスアクティビティを感知する方法、基地局、ネットワーク側装置及びシステム
KR10184445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098351A1 (en) Method for managing the access right to an item of digital content
KR100802178B1 (ko) 홈네트워크에서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CA30345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9578105B2 (en) Device optimiz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multi-mode, multi-media communications
KR101476281B1 (ko)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이기종 디바이스 간 핸드오버 시스템 및 그 방법
Yoon et al. Design of Terminal-independent Service Mobility in Wired and Wireless IP Network
Wang et al. Machine-to-Machine Technology Applied to Integrated Video Services via Context Transfer
KR20110110456A (ko) 모바일 단말, 올웨이즈 온 기반의 데이터 푸쉬 방법 및 시스템
JP2005333398A (ja) 携帯端末、表示処理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表示処理システムおよび表示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