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454B1 -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454B1
KR101844454B1 KR1020160094112A KR20160094112A KR101844454B1 KR 101844454 B1 KR101844454 B1 KR 101844454B1 KR 1020160094112 A KR1020160094112 A KR 1020160094112A KR 20160094112 A KR20160094112 A KR 20160094112A KR 101844454 B1 KR101844454 B1 KR 10184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information
wireless device
wireless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1575A (ko
Inventor
박운용
정선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코스
Priority to KR102016009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4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주소록을 구비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무선기기와 연동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며, 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회로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기기에 전송되어 설치될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무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기화시키며,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에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를 전송하여 설치함에 따라 상기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켜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상기 무선기기에 생성하며,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 내 전화번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로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SERVICING USER CONVENIEN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고 유비쿼터스화가 이루어지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라는 신개념의 장치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로 접어들면서 향후 스마트폰을 대체할 모바일 기술로 현재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최근에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세서리형, 직물/의류형, 신체 부착형 및 생체 이식형과 같은 형태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스마트와치(smartwatch) 및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으로 대표되는 액세서리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형태에 비해 매우 간편하고,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기기와 연동되는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액세서리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아직까지 초기 단계로 무선기기와 다양한 형태로의 연동이 미흡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46463호(2016. 04. 29. 공개)
본 발명은 통신 회로 중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신호의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무선기기를 슬레이브로 등록시킨 후 주소록 내 전화번호를 변경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를 무선기기에 전송하여 설치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동기화된 무선기기의 주소록 내 전화번호를 무선기기의 사용자 국적 및 인터넷 전화번호를 추가하여 변경시키며, 무선기기 상에서 변경된 전화번호의 발신에 따라 변경된 전화번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여 관리자용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서, 관리자, 예컨대 가이드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멤버에게 지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와 여행객 멤버의 고유 정보가 매핑된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멤버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고유 정보에 매핑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 멤버가 소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주소록을 구비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무선기기와 연동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며, 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회로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기기에 전송되어 설치될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무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기화시키며,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에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를 전송하여 설치함에 따라 상기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켜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상기 무선기기에 생성하며,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 내 전화번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로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기 무선기기에 상기 신호의 전송을 통해 상기 무선기기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마스터로 등록시키며,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이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무선기기를 슬레이브로 등록시켜 상기 무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멤버의 고유 정보와 상기 멤버가 소지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가 매핑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에 상기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전송하여 저장시킨 후 상기 사용자 그룹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멤버간 통신용 정보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멤버간 통신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 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호 연결시켜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치 알림용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위치 알림용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대여한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등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기 지정된 관리자용 단말기의 고유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치 알림용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에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한 식별자와 상기 무선기기의 사용자 국적에 대응하는 국가 코드를 추가하여 상기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키며, 상기 변경된 각 전화번호를 포함한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주소록을 구비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무선기기와 연동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며, 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회로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기기에 전송되어 설치될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무선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무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에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무선기기 상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해 상기 무선기기의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기기 상에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 내 전화번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로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기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기기에 상기 신호의 전송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기 마스터로 등록시키는 단계와,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이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무선기기를 슬레이브로 등록시켜 상기 무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멤버의 고유 정보와 상기 멤버가 소지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가 매핑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에 상기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그룹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멤버간 통신용 정보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멤버간 통신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 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호 연결시켜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치 알림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위치 알림용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대여한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등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기 지정된 관리자용 단말기의 고유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치 알림용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에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한 식별자와 상기 무선기기의 사용자 국적에 대응하는 국가 코드를 추가하여 상기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키며, 상기 변경된 각 전화번호를 포함한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신 회로 중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무선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신호의 브로드캐스팅을 통해 무선기기를 서브로 등록시킨 후 주소록 내 전화번호를 변경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를 무선기기에 전송하여 설치하며, 무선기기 상에서 변경된 전화번호의 발신에 따라 변경된 전화번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해외 로밍 서비스 없이 자신의 무선기기를 이용하여 전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여 관리자용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서, 관리자, 예컨대 가이드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파악을 통해 여행객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멤버에게 지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와 여행객 멤버의 고유 정보가 매핑된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멤버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고유 정보에 매핑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한 멤버가 소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게 편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기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인터넷망(20)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서버(120),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130) 및 관리자용 단말기(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관리자용 단말기(140)와 근거리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거나 인터넷망(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130)와 관리자용 단말기(140)는 인터넷망(20)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망(10)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3.0, 블루투스 LE(Low Energy) 및 적외선 통신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한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인터넷망(2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인터넷 서비스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서버(120) 및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130), 그 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됨) 등에 연결시켜 다양한 정보 및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무선기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주소록(102)을 저장하고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망(10)에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104), 통신 모듈(104)을 통해 동기화된 외부 기기,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중앙 처리 유닛(CPU : Central Processor Unit)(미도시됨), 주소록 내 전화번호의 선택을 통해 발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전화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착신할 수 있는 착발신 호 연결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신 모듈(104)은 블루투스 LE를 들 수 있으나, 그 외 적외선 통신 회로, 와이파이(Wi-Fi)를 지원하기 위한 회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기기(100)의 주소록(102)에 저장된 전화번호는 해외 로밍 서비스를 제공받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국적에 대응하는 나라에서 발신되어 호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한편, 무선기기(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무선기기(1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의 통신을 통해 등록 절차를 진행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마스터로 등록함과 더불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자신을 슬레이브로 등록한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설치함과 더불어 복수의 멤버간 통신용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그룹 리스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저장된 정보이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통해 인터넷망(20)에 접속하여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130)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무선기기(100) 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마스터로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통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통해 멤버간 1:1 또는 1:N(N은 2이상)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멤버간 통신 정보는 그룹, 예컨대 여행자 그룹 내 각 멤버의 고유 정보와 각 멤버에게 대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가 매핑되어 있다.
먼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근거리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자동으로 무선기기(100)에 설치되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무선기기(100)의 주소록 내 전화번호를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가능한 형태로 변경되어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하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 내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전화번호를 마스터로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전송하여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요청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통해 무선기기(100)의 사용자에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된 사용자 그룹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멤버간 통신용 정보를 선택, 예컨대 사용자 그룹 리스트 내 복수의 멤버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멤버의 고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무선기기(100) 상에 제공하며, 선택된 멤버의 고유 정보에 매핑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멤버가 소지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무선기기(100)에 마스터로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연결시킨 후 이를 통해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보이스 채팅 서비스와 인터넷 전화 서비스는 무선기기(100) 내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선택된 전화번호(선택된 멤버)에 대응하는 상대방과 통화를 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내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10), 메모리(212), 통신 회로(214), 입력/출력 회로(216), 디스플레이(218) 및 GPS 모듈(2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222)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동작 및 수행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임의의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운영 체제 어플리케이션들, 펌웨어 어플리케이션들, 인터넷 전화 서비스, 위치 정보 전송 서비스,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멤버간 1:1 또는 1:N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디스플레이(220)를 구동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들을 처리할 수 있다.
메모리(212)는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RAM과 같은 반영구적인 메모리 및/또는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종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12)는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무선기기(100)에 전송되어 설치될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그룹 리스트 등을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212)에 저장된 무선기기(100)에 전송되어 설치될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 및 복수의 멤버간 통신용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그룹 리스트는 임의의 관리자에 의해 셋팅될 수 있다.
통신 회로(214)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임의의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몇몇 통신 동작들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통신 회로(214)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도면을 지나치게 복잡하게 하지 않도록 도 2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통신 회로(214)는 Wi-Fi(예컨대 802.11 프로토콜),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LE(Bluetooth Low Energy),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시스템들, 셀룰러 네트워크들(예컨대 GSM, AMPS, GPRS, CDMA, EV-DO, EDGE, 3GSM, DECT, IS-136/TDMA, iDen, LTE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프로토콜), 적외선, TCP/IP(예컨대 TCP/IP 레이어들 각각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 HTTP, 비트토런트(BitTorrent), FTP, RTP, RTSP, SSH, VOIP(Voice over IP), 임의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216)는 아날로그 신호들 및 다른 신호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및 필요한 경우 인코딩/디코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출력 회로(216)는 또한 디지털 데이터를 임의의 다른 종류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예컨대, 입력/출력 회로(216)는 물리적인 접촉 입력들(예컨대 멀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물리적인 움직임들(예컨대 마우스 또는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예컨대 마이크로부터),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을 수신 및 변환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12),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공되고 그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216)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단일 컴포넌트로서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나, 입력/출력 회로(216)의 몇몇 인스턴스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포함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입력/출력 회로(216)에 입력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예컨대 버튼, 키패드(keypad), 다이얼(dial), 클릭 휠(click wheel),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정전식(capacitive) 센싱 메커니즘, 또는 멀티 터치 정전식 센싱 메커니즘을 포함할수 있다.
또한, 입력/출력 회로(216)는 보이스 채팅 서비스 및 인터넷 전화 서비스 이용 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와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216)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218)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포함되는 스크린(예컨대 LCD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18)는 디지털 매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코더/디코더(코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내의 다른 적합한 회로)는 비디오 코덱들, 오디오 코덱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종류의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8)는 또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들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8)는 프로세서(210)의 지시 하에 콘텐츠(예컨대 매체 재생 정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상에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진행 중인 통신 동작들에 관한 정보, 들어오는 통신 요청들에 관한 정보, 또는 장치 동작 스크린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GPS 모듈(220)은 GPS 위성과의 통신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23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212)에 저장된 후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은 사용자의 요청(또는 조작)에 따라 기 설정 또는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와 자신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신호, 예컨대 무선기기(100)와 동기화하기 위한 비콘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브로드캐스팅하여 고유 식별 정보를 갖는 무선기기(100)를 검색하며, 검색한 무선기기(100)를 슬레이브로 등록시킴과 더불어 무선기기(100)에 자신을 마스터로 설정시킨 후 메모리(212)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 및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기기(100)에 전송하여 설치 및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요청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입력/출력 회로(216) 및 디스플레이(218)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의 조작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입력/출력 회로(216)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키의 조작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은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기기(100)로부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 내 전화번호의 선택을 통해 인터넷 전화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선택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인터넷망(20)을 통해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접속하여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선택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기기(미도시됨)를 상호 연결시켜 인터넷 전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에 의해 무선기기(100)에 전송되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무선기기(100)의 주소록에 접근하여 변경하는 권한이 설정되어 있으며, 무선기기(100)의 사용자 국적에 대응하는 국가 코드 및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 필요한 식별자, 예컨대 00700이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무선기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무선기기(100) 내 주소록에 접근하여 주소록 내 전화번호에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 필요한 식별자와 사용자 국적에 대응하는 국가 코드를 추가하여 주소록 내 전화번호를 변경시켜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은 GPS 모듈(220)의 전원을 향상 온 상태로 유지시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위치 정보, 메모리(212)에 저장된 관리자용 단말기(140)의 고유 정보 및 자신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위치 알림용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발생시켜 근거리 무선 통신망(10)로 브로드캐스팅하여 관리자용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용 단말기(140)는 위치 알림용 신호 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각 멤버들의 위치 관련 맵을 생성하여 표시 장치(미도시됨)에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은 GPS 모듈(220)을 통해 자신의 위치 정보가 획득됨에 따라 자신의 위치 정보와 자신의 고유 정보를 인터넷망(20)을 통해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13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130)는 여행자 그룹 내 각 멤버들에게 대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각 멤버들의 위치 관련 맵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관리자용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은 멤버간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입력/출력 회로(216) 및 디스플레이(218)를 이용하여 제공한 후 사용자 그룹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멤버의 고유 정보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멤버에 매핑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멤버가 소지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서비스, 예컨대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은 사용자 그룹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멤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멤버가 선택되는 경우 1:N의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은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기기(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멤버간 통신용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수신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를 이용하여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프로그램(230)에 의해 제공되는 보이스 채팅 서비스는 인터넷망(2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230)은 멤버간 통신용 정보에 설정된 멤버에게 대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와 프로그램(230)이 실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HTML5 기반의 웹 소켓 통신을 활성화시킨 후 이를 기반으로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인터넷 전화 호 연결 요청에 따라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인터넷 전화 호 연결 요청 내 상대방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기기를 상호 연결시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130)는 대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와 대여받은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매핑한 멤버간 통신용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130)는 여행자 그룹 내 각 멤버들에게 대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와 대여받은 멤버의 고유 정보를 매핑하여 멤버간 통신용 정보를 멤버 각각에 대해 생성한 후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생성하며, 생성한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외부의 요청, 예컨대 대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요청에 의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그룹 리스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대여 시 관리자에 의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 셋팅될 수 있다.
관리자용 단말기(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위치 알림용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위치 알림용 신호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대여받은 멤버에 대한 위치 관련 맵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 장치(미도시됨)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용 단말기(140)는 인터넷망(20)을 통해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130)로부터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대여받은 각 멤버에 대한 위치 관련 맵 데이터를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표시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해외에서 국내를 방문한 사용자에게 대여된 기기로서, 메모리(212)에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 및 복수의 멤버간 통신용 정보가 설정된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해외에서 국내를 방문한 사용자는 자신의 나라에서만 사용 가능한 무선기기(10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10)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230)의 실행을 통해 무선기기(100)와 동기화된다(S300).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은 무선기기(100)의 고유 식별 정보와 자신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무선기기(100)에 전송함에 따라 무선기기(100) 상에 자신을 마스터로 등록시킴과 더불어 무선기기(100)를 슬레이브로 등록하여 무선기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동기화시킨다. 이에 따라, 무선기기(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후, 프로그램(230)은 슬레이브로 등록된 무선기기(100)에 메모리(212)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 및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전송하여 무선기기(100)에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를 실행시켜 무선기기(100) 상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시킨다(S302).
그런 다음, 무선기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무선기기(100) 내 주소록에 접근하여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켜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한다(S304). 구체적으로, 무선기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한 식별자 및 무선기기(100)의 사용자 국적에 대응하는 국가 코드를 전화번호에 추가하여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켜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한다.
이후, 무선기기(100)로부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 내 전화번호의 선택을 통한 전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S306),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은 인터넷망(20)을 통해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접속하여 호 연결을 요청하며,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상대방의 기기(미도시됨)와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상호 연결시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동기화된 무선기기(100)에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한다(S308).
한편, 무선기기(100)로부터 사용자 그룹 리스트 내 복수의 멤버간 통신용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통해 멤버와의 보이스 채팅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S310),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프로그램(230)은 선택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 내 멤버에게 대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대여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상호 연결시켜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한다(S312). 여기에서, 보이스 채팅 서비스는 인터넷망(20)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망(1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기기(100) 및 관리자용 단말기(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및 이동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근거리 무선 통신망
20 : 인터넷망
100 : 무선기기
110 : 웨어러블 디바이스
120 :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서버
130 :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
140 : 관리자용 단말기

Claims (1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주소록을 구비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무선기기와 연동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며, 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회로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기기에 전송되어 설치될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가 저장되며, 멤버의 고유 정보와 상기 멤버가 소지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가 매핑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무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기화시키며,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에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를 전송하여 설치함에 따라 상기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켜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상기 무선기기에 생성하며,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 내 전화번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로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에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전송하여 저장시킨 후 상기 사용자 그룹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멤버간 통신용 정보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멤버간 통신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 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호 연결시켜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수신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 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와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웨이러블 디바이스간 HTML5 기반의 웹 소켓 통신을 활성화시켜 상기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에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한 식별자와 상기 무선기기의 사용자 국적에 대응하는 국가 코드를 추가하여 상기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키며, 상기 변경된 각 전화번호를 포함한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기기에 상기 신호의 전송을 통해 상기 무선기기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마스터로 등록시키며,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이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무선기기를 슬레이브로 등록시켜 상기 무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기화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치 알림용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위치 알림용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대여한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등록시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기 지정된 관리자용 단말기의 고유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치 알림용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알려주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삭제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주소록을 구비하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무선기기와 연동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하며, 인터넷망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회로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기기에 전송되어 설치될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가 저장되고, 멤버의 고유 정보와 상기 멤버가 소지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가 매핑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무선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무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에 어플리케이션용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무선기기 상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통해 상기 무선기기의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기기 상에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 내 전화번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통신 회로로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된 무선기기에 상기 사용자 그룹 리스트를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그룹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멤버간 통신용 정보의 선택에 따라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상기 멤버간 통신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 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상호 연결시켜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수신된 멤버간 통신용 정보 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와 상기 프로그램이 실행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웨이러블 디바이스간 HTML5 기반의 웹 소켓 통신을 활성화시켜 상기 보이스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주소록 내 각 전화번호에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한 식별자와 상기 무선기기의 사용자 국적에 대응하는 국가 코드를 추가하여 상기 각 전화번호를 변경시키며, 상기 변경된 각 전화번호를 포함한 상기 인터넷 전화용 주소록을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기기에 상기 신호의 전송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마스터로 등록시키는 단계와,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이 상기 무선기기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상기 무선기기를 슬레이브로 등록시켜 상기 무선기기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치 알림용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위치 알림용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대여한 디바이스 대여 업체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등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기 지정된 관리자용 단말기의 고유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의 고유 정보 및 상기 획득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위치 알림용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알려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삭제
KR1020160094112A 2016-07-25 2016-07-25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4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12A KR101844454B1 (ko) 2016-07-25 2016-07-25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12A KR101844454B1 (ko) 2016-07-25 2016-07-25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75A KR20180011575A (ko) 2018-02-02
KR101844454B1 true KR101844454B1 (ko) 2018-05-14

Family

ID=61223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12A KR101844454B1 (ko) 2016-07-25 2016-07-25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4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948B1 (ko) * 2022-05-16 2023-10-17 김근호 동력순환형 시험장치의 토크 고정용 디스크
KR102590946B1 (ko) * 2022-05-05 2023-10-17 김근호 동력순환형 시험장치의 토크 고정용 디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477B1 (ko) * 2018-09-11 2021-01-22 주식회사 블루티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타적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959B1 (ko) * 2014-12-29 2015-12-24 (주)오픈벡스 착신 전환 서비스를 이용한 로밍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959B1 (ko) * 2014-12-29 2015-12-24 (주)오픈벡스 착신 전환 서비스를 이용한 로밍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946B1 (ko) * 2022-05-05 2023-10-17 김근호 동력순환형 시험장치의 토크 고정용 디스크
KR102590948B1 (ko) * 2022-05-16 2023-10-17 김근호 동력순환형 시험장치의 토크 고정용 디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575A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56754B (zh) 用于边缘计算服务的方法及其电子装置
US114317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IP based messaging, voice and video calling based on the network parameters the device is connected to and the location
EP3128804B1 (en) D2d communicatio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10891123B (zh) 交互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03905981B (zh) 一种位置信息的分享方法及系统
CN113783774B (zh) 一种跨集群的网络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102082804B1 (ko) 로컬 네트워크 장치들의 클라우드 기반 전력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3259529B (zh) 使用地理电话号码的连接
KR20130085509A (ko)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증 장치 및 방법
CN102640540A (zh) 用于确定通信协议的移动终端和通信方法
KR10184445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편의 서비스 제공 방법
CN113647074A (zh) 用于边缘计算服务的方法及其电子装置
JP2022517946A (ja) I/oデバイスのセットを使用した通信サービスの提供
KR100936672B1 (ko) 단말기 이동관리 시스템 및 단말기 이동관리 서비스이용방법
WO2012019391A1 (zh) 号码详情的获取系统及方法
KR20130036838A (ko) 개인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2770757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rcs-e system
WO2013143206A1 (zh) 一种终端及其获取被叫号码用户状态的方法
TW201427382A (zh) 通訊轉接系統及方法
WO2012110804A1 (en) Telecommunication with associated data communication
KR20160089988A (ko)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통신 시스템
KR20120052732A (ko) 전화번호 목록을 공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1476281B1 (ko)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이기종 디바이스 간 핸드오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04719A (ko) 어플리케이션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2017147672A (ja) 通信装置、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