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972B1 - Ssd 소켓장치 - Google Patents

Ssd 소켓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972B1
KR100934972B1 KR1020090063485A KR20090063485A KR100934972B1 KR 100934972 B1 KR100934972 B1 KR 100934972B1 KR 1020090063485 A KR1020090063485 A KR 1020090063485A KR 20090063485 A KR20090063485 A KR 20090063485A KR 100934972 B1 KR100934972 B1 KR 10093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sd
pressing member
main body
socket device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응진
Original Assignee
(주) 제노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제노맥스 filed Critical (주) 제노맥스
Priority to KR102009006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H05K7/1409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by lever-typ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SD를 장착할 때, 장착이 수월하고 장시간 반복적인 착탈이 이루어져도 접속단자 핀의 파손이나 마멸의 우려가 없는 내구성이 향상된 SSD 소켓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SSD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삽입구 내부에 위치되며, 삽입된 상기 SSD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핀이 일측에 구비된 슬롯,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SSD의 단자부를 상기 접속단자 핀 측에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푸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SSD 소켓장치를 제공한다.
SSD, 착탈, 소켓

Description

SSD 소켓장치{SSD Socket Device}
본 발명은 SS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SSD를 장착할 때 장착이 수월하고, 핸들러(Handler) 등을 이용한 자동 장착과 탈거가 가능하며, 장시간 반복적인 착탈이 이루어져도 접속단자 핀의 파손이나 마멸의 우려가 없는 내구성이 향상된 SSD 소켓장치에 관한 것이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이하 "SSD"라 함)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SSD는 기존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비해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문제점인 긴 탐색시간, 레이턴시 시간 및 기계적 지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SSD는 사용 또는 테스트를 위해 컴퓨터나 테스트 장비 등에 결합되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DD(5)에는 장비에 결합되기 위한 단자부(7)가 형성되며, 상기 장비에는 상기 SSD(5)의 단자부(7)와 결합되기 위한 슬롯(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롯(10)의 내부에는 상기 SSD의 단자부(7)와 전기적 접촉하기 위한 접속단자 핀(미도시)이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접속단자 핀에는 전기적 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표면에 금 등이 도금된다.
따라서, 상기 SSD(5)는 상기 단자부(7)가 컴퓨터의 슬롯(10)에 끼워넣어져 결합되며 상기 단자부(7)와 슬롯(10) 의 접속단자 핀은 진동 및 충격 등에도 탈거되거나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슬롯의 접속단자 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SSD의 단자부를 눌러 매우 빡빡하게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SSD(5)를 테스트 하기 위한 장치의 경우에는 SSD(5)와 슬롯의 접속단자 핀과의 결합 및 탈거가 매우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그런데, 단자부(7)와 슬롯(10)의 접속단자 핀이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므로 단자부(7) 및 슬롯(10) 의 접속단자 핀에 과도한 힘과 마찰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수 있어 접속부위가 헐거워 지거나 접속단자 핀의 파손 및 마모가 발생될 수 있고, 접속단자 핀의 금도금이 마모되면 전기저항값이 증가하여 전기신호(Signal)를 원활하게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SSD 단자부(7)와 접속단자 핀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므로, SSD 단자부(7)와 접속단자 핀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큰 힘이 가해져야 하는데, SSD(5)를 반송하는 핸들러(미도시) 등의 기계에 의해 SSD 단자부(5)와 접속단자 핀을 결합시킬 경우, 미세한 조절이 불가하므로 SSD(5) 또는 슬롯(10)에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억지끼움이 아니더라도 충분한 결합력이 유지되어 결합 및 탈거가 용이하며, 핸들러(Handler) 등을 이용한 자동 장착과 탈거가 가능하고, 결합 및 탈거가 빈번하더라도 접속단자 핀의 파손 및 마모가 발생되지 않는 SSD 소켓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SSD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삽입구 내부에 위치되며, 삽입된 상기 SSD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핀이 일측에 구비된 슬롯,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SSD의 단자부를 상기 접속단자 핀측에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푸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SSD 소켓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푸셔는, 상기 SSD의 단자부를 상기 접속단자 핀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탄성지지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접속단자 핀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외력에 의해 눌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돌출되게 삽입되어, 눌려지면서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지지되는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가압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가압부재가 위치되며, 일면이 상기 가압부재가 탈거될 수 있게 개구되도록 형성된 작동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챔버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이 지지되는 커버를 포 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삽입된 SSD의 단자부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로드는 상기 SSD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눌려지고, 일단과 타단이 상기 가압부재 및 가압로드에 힌지결합된 링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의 상기 가압부재 및 가압로드와 힌지결합된 양 단 중 어느 일단은 상기 가압부재 및 가압로드와 착탈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스냅핑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SSD 삽입시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SSD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의 상측일부의 간격이 하측부다 넓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너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 중 너비가 좁은 면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삽입구로 삽입되는 SSD를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삽입구의 일면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SSD 소켓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SSD의 결합 및 탈거가 용이하 며, 핸들러(Handler) 등을 이용한 자동 장착과 탈거시에도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없어 자동화가 용이하다.
둘째, SSD의 결합 및 탈거시 과도한 힘이나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단자 부 및 슬롯의 접속단자 핀의 파손 및 마멸이 발생되지 않는다.
셋째, 단자부와 슬롯의 접속단자 핀이 결합되는 부위의 전기저항값이 사용횟수 및 사용시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SSD의 결합과 탈거가 반복되더라도 SSD 단자부와 접속단자 핀의 접속부위가 헐거워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SD 소켓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슬롯(120) 및 푸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SSD(5: 도 1참조)가 삽입되는 삽입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112)에 SSD(5)가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116)이 상기 삽입구(112)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16)은 상기 SSD(5)의 기판 양측이 삽입되도록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본체(110)의 삽입구(112) 내부에는 슬롯(120)이 구비된다. 상기 슬롯(120)은 상기 삽입구(112)를 통해 삽입된 SSD의 단자부(7: 도 1 참조)와 결합하 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슬롯(120) 내부에는 상기 SSD의 단자부(7)와 전기접 접촉을 이루는 접속단자 핀(122)이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120)은 상기 SSD 단자부(7)가 후면으로부터 가압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단자 핀(122)이 배열된 반대편 측이 개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SSD 단자부(7)의 후면이란 상기 SSD 단자부(7)의 상기 접속단자 핀(122)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면의 배면을 뜻한다.
상기 푸셔(130)는 상기 본체(110)의 삽입구(112)에 삽입된 SSD의 단자부(7)를 상기 접속단자 핀(122) 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SSD(5)가 삽입될 때는 가압하지 않다가, 상기 SSD(5)가 삽입된 후에 상기 SSD의 단자부(7)를 상기 접속단자 핀(122) 측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푸셔(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34)와 스프링(138), 가압로드(132)와 링크(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134)는, 상기 본체(110)의 작동챔버(1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스프링(138)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슬롯(120)에 삽입된 SSD의 단자부(7)를 상기 슬롯(12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상기 접속단자 핀(122) 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챔버(114)는 상기 본체(110)의 슬롯(120)이 형성된 부분부터 상기 본체(110)의 외부까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재(134)가 작동되는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외부로 연통된 부분은 상기 가압부재(134)가 본체(110)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챔버(114)의 외부측에는 상기 작동챔버(114)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는 커버(119)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38)은 상기 커버(119)와 가압부재(134)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134)를 상기 접속단자 핀(122)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가압로드(132)는 대략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로부터 돌출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로드(132)는 상기 본체(1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압로드(132)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으며, 또는 SSD를 반송하는 핸들러 등의 기계(미도시)에 의해 눌려질 수도 있다.
상기 링크(136)는 일단이 상기 가압로드(132)와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압부재(134)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가압로드(132)의 움직임을 상기 가압부재(134)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압로드(132)가 눌려지면 상기 가압부재(134)를 밀어내며, 상기 가압로드(132)에서 눌려지는 압력이 사라지면 탄성지지되는 상기 가압부재(134)의 원위치로의 복원에 따라 상기 가압로드(132)를 상부측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136)의 가압부재(134)와 결합된 단부(136a)는 상기 가압부재(134)와 스냅핑 체결되도록 단부가 개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136)의 개구된 부분(136a)은 탄성력을 부가하기 위한 슬릿(136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링크(136)와 가압부재(134)는 상기 링크(136)의 개구된 방향으로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로드(132)의 상기 링크(136)와 결합된 단부는 상기 가압부재(134)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압로드(132)의 링크(136)와 결합된 단부가 가압부재(134)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개구되면, 상기 가압부재(134)를 밀어내는 작동과 동시에 상기 링크(136)가 가압로드(132)로부터 탈거 및 결합되는 것이 자유롭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116)의 상부측 일부 구간의 간격(d1)은 가이드 홈(116)의 하부측 간격(d2)보다 넓도록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116)의 서로 바라보는 면 중 단차진 면(116a, 116b)은 그 너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 홈의 타면(116b)의 너비가 상기 가이드 홈의 일면(116a)의 너비보다 좁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상기 SSD의 기판에 실장된 부품이 상기 가이드 홈(116)과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116)의 단차짐으로 인하여 SSD의 기판 두께보다 가이드 홈의 간격(d1)이 넓어 정해진 위치로 SSD를 안전하게 안내하지 못할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삽입구(112)의 일면이 SSD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가이드 면(11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SSD 소켓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평소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134)가 스프링(138)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접속단자 핀(122) 측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SSD가 가이드 홈(116)을 따라 삽입되면서 상기 가압로드(132)가 눌려지면,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로드(132)의 끝단에 결합된 링크(136)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34)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반대방향으로 밀려나게 되어 가압부재(134)와 접속단자 핀(122) 사이가 이격된다.
상기 가압부재(134)와 접속단자 핀(122) 사이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SSD가 가이드 홈(116)을 따라 삽입구(112)로 삽입된다. 상기 가압부재(134)와 접속단자 핀(122)이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SSD의 단자부(7)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슬롯(120)에 삽입되어 상기 접속단자 핀(122)과 마찰없이 전기적 접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SSD의 단자부(7)가 슬롯(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로드(132)를 누르는 힘을 해제시키면, 상기 가압부재(134)를 지지하는 스프링(138)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134)가 상기 접속단자 핀(122) 측으로 탄성가압되어 상기 SSD의 단자부(7)를 상기 접속단자 핀(122) 측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상기 SSD의 단자부(7)와 접속단자 핀(122)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며 상기 SSD가 탈거되거나 진동이나 충격등에 의해 상기 SSD의 단자부(7)와 접속단자 핀(122)이 접촉불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SSD를 탈거할 때에도 상기 가압로드(132)를 눌러 상기 가압부 재(134)를 후퇴시켜 SSD의 단자부(7)를 누르는 것을 해제한 후에 상기 SSD를 탈거하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상기 접속단자 핀(122)과 SSD의 단자부(7)의 마찰없이 상기 SSD의 단자부(7)를 상기 슬롯(120)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셔(130)에 고장이 발생하여 상기 SSD의 삽입 및 탈거가 어려울 때에는, 상기 커버(119)를 탈거한 후, 상기 작동챔버(114)에서 상기 가압부재(134)를 탈거하면 SSD를 가압하던 힘이 사라져 상기 슬롯(120)에 삽입되어 있던 SSD를 탈거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링크(136)의 가압부재(134)와 결합된 단부(136a) 측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상기 링크와 가압부재(134)의 탈거 및 결합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푸셔(130)에 고장이 발생하어도 SSD(5)를 탈거시키는 작업 및 푸셔(130)의 수리작업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SSD와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SD 소켓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면도;
도 4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 푸셔부의 가압로드가 눌려지지 않았을 때의 푸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본체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상면도;
도 8은 도 5의 단면도;
도 9는 도 3의 푸셔부의 가압로드가 눌려졌을 때의 푸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상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5: SSD 10: 슬롯
100: SSD 소켓장치 110: 본체
112: 삽입구 114: 작동챔버
116: 가이드 홈 120: 슬롯
122: 접속단자 핀 130: 푸셔
132: 가압로드 134: 가압부재
136: 링크 138: 스프링

Claims (10)

  1. SSD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삽입구 내부에 위치되며, 삽입된 상기 SSD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핀이 일측에 구비된 슬롯; 및
    상기 SSD의 단자부를 상기 접속단자 핀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탄성지지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상기 접속단자 핀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및 외력에 의해 눌릴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돌출되게 삽입되어, 눌려지면서 상기 가압부재를 탄성지지되는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가압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SSD의 단자부를 상기 접속단자 핀측으로 가압하는 푸셔;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SSD 소켓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가압부재가 위치되며, 일면이 상기 가압부재가 탈거될 수 있게 개구되도록 형성된 작동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챔버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도록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이 지지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소켓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삽입된 SSD의 단자부의 후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로드는 상기 SSD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눌려지고,
    일단과 타단이 상기 가압부재 및 가압로드에 각각 힌지결합된 링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소켓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상기 가압부재와 힌지결합된 단부는 상기 가압부재와 착탈 가능하도록 개구되어 스냅핑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소켓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SSD 삽입시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SSD의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소켓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의 상측일부의 간격이 하부측 간격보다 넓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소켓장치.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가이드 홈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너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소켓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 중 너비가 좁은 면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소켓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삽입구로 삽입되는 SSD를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삽입구의 일면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SD 소켓장치.
KR1020090063485A 2009-07-13 2009-07-13 Ssd 소켓장치 KR10093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485A KR100934972B1 (ko) 2009-07-13 2009-07-13 Ssd 소켓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485A KR100934972B1 (ko) 2009-07-13 2009-07-13 Ssd 소켓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972B1 true KR100934972B1 (ko) 2010-01-06

Family

ID=4180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485A KR100934972B1 (ko) 2009-07-13 2009-07-13 Ssd 소켓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9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6907B2 (en) 2010-07-12 2013-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st socket for tes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memory module
US20140015559A1 (en) * 2012-07-12 201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cket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KR102054334B1 (ko) 2018-10-22 2019-12-11 (주)트로이씨앤씨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접속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061A (ko) * 2001-08-20 2003-02-26 미래산업 주식회사 모듈 아이씨 테스트용 소켓
JP2003077604A (ja) * 2001-09-05 2003-03-14 Enplas Corp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20070114563A (ko) * 2006-05-29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슬롯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902668B1 (ko) * 2009-02-20 2009-06-15 (주) 제노맥스 Ssd 테스트용 탑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061A (ko) * 2001-08-20 2003-02-26 미래산업 주식회사 모듈 아이씨 테스트용 소켓
JP2003077604A (ja) * 2001-09-05 2003-03-14 Enplas Corp 電気部品用ソケット
KR20070114563A (ko) * 2006-05-29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슬롯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0902668B1 (ko) * 2009-02-20 2009-06-15 (주) 제노맥스 Ssd 테스트용 탑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6907B2 (en) 2010-07-12 2013-12-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st socket for test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memory module
US20140015559A1 (en) * 2012-07-12 2014-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cket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US9360499B2 (en) * 2012-07-12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cket f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test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KR102054334B1 (ko) 2018-10-22 2019-12-11 (주)트로이씨앤씨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의 접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2396B1 (en)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and electrical devices
KR101819706B1 (ko) 카메라모듈 테스트소켓
WO2015167178A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용 소켓장치
KR100934972B1 (ko) Ssd 소켓장치
KR101183473B1 (ko) 플렉시블 회로기판 테스트용 툴
JP4813567B2 (ja) 高温両端開放型ゼロ挿入力(zif)試験ソケット
CN105324672A (zh) 半导体元件测试用插座装置
TWI429148B (zh) A substrate mounting device, a test head, and an electronic component testing device
US20140182464A1 (en) Scraper device
KR100902668B1 (ko) Ssd 테스트용 탑재장치
KR102076946B1 (ko) 반도체 패키지 테스터용 테스트 소켓
JP2008014655A (ja) ソケット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有する半導体デバイス試験装置
US20090267629A1 (en) Contact for interconnect system in a test socket
KR100990267B1 (ko)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
US20050017742A1 (en) Integrated circuit package testing device and method
CN102170071B (zh) 中继连接器
US11382234B2 (en) Connection device
TW202121957A (zh) 擴充卡安裝結構及電路組件
CN104020824A (zh) 电子设备及其固态硬盘固定装置
KR101042286B1 (ko) 메모리 모듈 실장 테스트용 지그
TW201314223A (zh) 連接器檢測裝置
TWI592084B (zh) 電子卡保護機構
KR101668270B1 (ko) 전자부품 실장 테스트를 위한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장치
US68607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processor
CN219780148U (zh) 一种夹持式多电口光纤收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