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245B1 -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 Google Patents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245B1
KR100934245B1 KR1020090046901A KR20090046901A KR100934245B1 KR 100934245 B1 KR100934245 B1 KR 100934245B1 KR 1020090046901 A KR1020090046901 A KR 1020090046901A KR 20090046901 A KR20090046901 A KR 20090046901A KR 100934245 B1 KR100934245 B1 KR 10093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ign
synthetic
synthetic wood
boar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최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철 filed Critical 최광철
Priority to KR1020090046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02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weather-proof panels or 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율 및 수분흡수율이 현저하게 낮으며 친환경 소재인 합성목재(WPC)를 도로표지판의 기판으로 사용하여 도로표지판 표면의 결로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판의 기판은 합성목재(WPC)판(100)으로 일정한 규격을 갖고 합성목재판 전면부(101)와 합성목재판 후면부(103) 사이가 비어있는 중공(中空)형상의 사각형으로 제작되되, 좌ㆍ우측면은 개방부(110)를 두며, 상ㆍ하부는 좌ㆍ우측면이 개방된
Figure 112009063684033-pat00001
형상의 연결부(130)를 각각 두고, 상기 합성목재판 후면부(103)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볼트(410)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볼트(410)가 이동 가능한 좌ㆍ우측면이 개방된
Figure 112009063684033-pat00002
형상의 레일(150)과, 상기 합성목재판의 개방부(110)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110)의 내부 홈과 같은 형상의 고무막(210)이 개방부 덮개 후면부(203)에 접착가공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개방부 덮개(200)와, 상기 합성목재판의 연결부(130)에 끼워 넣어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결합 및 분해하기 위한
Figure 112009063684033-pat00003
형상의 연결대(300)와, 상기 레일(150)에 장착된 상기 고정볼트(410)를 통해 지주에 상기 합성목재판(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0) 및 너트(430)와, 상기 연결대(300)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결합한 후 상기 복수개의 합성목재판 전면부 전체에 바탕반사지(500)를 부착하고, 상기 바탕반사지 전면에 테두리선 및 문자ㆍ기호 형상의 반사지(600)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전도율 및 수분흡수율이 현저하게 낮으며 친환경 소재인 합성목재(WPC)를 도로표지판의 기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도로표지판 표면에 결로 및 성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도로표지판 기판으로 사용되던 알루미늄판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며 국내생산이 가능한 합성목재판으로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합성목재판의 결합 및 분해 작업이 간단하여 설치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46901
합성목재(WPC), 결로 방지, 도로표지판

Description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Dew proofing road sign board by using WPC}
본 발명은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율 및 수분흡수율이 현저하게 낮으며 친환경 소재인 합성목재(WPC)를 도로표지판의 기판으로 사용하여 도로표지판 표면의 결로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표지판은 문자, 도형 및 숫자를 사용하여 도로의 방향을 안내하는 것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도심지, 국도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전자에게 도로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도로표지판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에 발광용 도료로 문자나 숫자 등을 표시하여 주야간시에 운전자로 하여금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금속판(3)에 발광용 도료로 문자나 숫자를 표시한 도로표지판의 경우 환절기와 같이 밤낮의 기온차가 심할수록 그 온도차에 의하 여 도로표지판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야간에는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져 영하의 온도인 경우에는 결로현상에 의한 물방울이 동결되어 도로표지판에 성에현상이 발생한다.(도 1의 (가) 참조).
이와 같이 결로나 성에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도로표지판의 표면은 뿌옇게 흐려져 운전자가 도로이정표에 대한 정보를 쉽게 식별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고자 그 동안 도로표지판 전문가들에 의해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6553호(2008. 12. 23)에 제안된 바 있는 결로방지용 도로표지판에 의하면, 반사지가 일측면에 설치된 금속판(3)에 열전도율이 낮은 나무 또는 플라스틱제의 보조판(4, 4')을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상기 보조판 내부에 전구(5)를 설치하고, 표면에는 글자를 표시하여 광촉매코팅을 함으로써 결로현상에 의해 글자가 보이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고 있다(도 1의 (나) 참조).
그러나 이 특허기술은 기존 도로표지판에 전구(5)와, 습기 및 빛의 밝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상승요인이 되며,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나무 또는 플라스틱제의 보조판(4, 4')은 나무의 경우 습기에 의해 썩기 쉽고, 뒤틀림 및 갈라짐 등의 변형이 생겨 수명이 짧다. 또한 환경호르몬의 위험에 따라 친환경소재를 선호하는 현재시점에 성형가공단계 및 고열로 인해 유독물질(다이옥신)을 배출하는 플라스틱은 친환경소재로의 교체가 시급하다.
한편, 친환경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합성목재(WPC = Wood Plastic Composite) 는 원목분쇄품과 올레핀계 고분자 수지를 결합하여 고온, 고압에서 압출 또는 성형 사출시켜 목재의 장점과 고분자의 장점을 모두 갖추어 낸 친환경 무독성 제품으로, 이미 북미지역과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 목재의 대체품으로 연구 개발되어 널리 상용화 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7년 10월 8일 환경부고시 ‘취급제한 금지물질에 관한 규정’ 제2조 고유번호 06-4-59항에 의거 CCA(크롬, 동, 구리비속)처리 방부목 사용이 금지되어 이후 합성목재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합성목재는 목재의 단점인 내수, 내습, 내충성을 보완한 신개념 신소재로, 별도의 방부처리 없이도 내후성, 내충성이 우수하며, 미생물에 의한 피해가 전혀 없으며, 다양한 색상과 탈ㆍ변색이 거의 없으며, 특히 수분에 강할 뿐 아니라 탄성, 인장강도, 휨 강도, 압축강도 및 충격강도가 뛰어나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변형이 발생되는 반영구적 수명을 가진다. 또한,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의 방출량이 거의 없어 인체에 무해하며, 일정 기간이 지난 합성목재는 수거 후 분쇄 등의 과정을 거쳐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이다.
또한, 작업방법이 목재와 동일하여, 모든 목공용품을 통해 가공이 가능하여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하며, 못, 스크류, 피스, 나사 등을 사용할 경우 천연목재보다 2~4배 정도의 보지력을 가진다.
또한, 가벼운 물청소만으로도 초기의 외관을 회복시켜주므로 도장이나 오일 스테인 등의 특별한 표면 처리가 필요 없어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시키는 특징이 있는 매우 유용한 친환경소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표지판의 기판을 열전도율 및 수분흡수율이 현저하게 낮으며 친환경 소재인 합성목재(WPC)판을 사용하여 도로표지판 표면의 결로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판의 기판은 합성목재(WPC)판(100)으로 일정한 규격을 갖고 합성목재판 전면부(101)와 합성목재판 후면부(103) 사이가 비어있는 중공(中空)형상의 사각형으로 제작되되, 좌ㆍ우측면은 개방부(110)를 두며, 상ㆍ하부는 좌ㆍ우측면이 개방된
Figure 112009063684033-pat00004
형상의 연결부(130)를 각각 두고, 상기 합성목재판 후면부(103)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볼트(410)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볼트(410)가 이동 가능한 좌ㆍ우측면이 개방된
Figure 112009063684033-pat00005
형상의 레일(150)과, 상기 합성목재판의 개방부(110)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110)의 내부 홈과 같은 형상의 고무막(210)이 개방부 덮개 후면부(203)에 접착가공되어탈부착이 가능한 개방부 덮개(200)와, 상기 합성목재판의 연결부(130)에 끼워 넣어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결합 및 분해하기 위한
Figure 112009063684033-pat00006
형상의 연결대(300)와, 상기 레일(150)에 장착된 상기 고정볼트(410)를 통해 지주에 상기 합성목재판(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0) 및 너트(430)와, 상기 연결대(300)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결합한 후 상기 복수개의 합성목재판 전면부 전체에 바탕반사지(500)를 부착하고, 상기 바탕반사지 전면에 테두리선 및 문자ㆍ기호 형상의 반사지(600)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목재판(100)은 제작 시 성형가공단계에서 상기 개방부(110)와 연결부(130) 및 레일(150)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도로표지판의 기판으로 사용된 알루미늄판을 대체하여 열전도율 및 수분흡수율이 현저하게 낮으며 친환경 소재인 합성목재(WPC)판을 도로표지판의 기판으로 사용함으로써,
(1) 환절기와 같이 밤낮의 기온차가 크게 발생하여 영하의 온도로 급강하하더라도 내부가 비어있는 합성목재판을 사용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소재의 지주와 도로표지판의 기판 간에 중공(中空) 구조가 형성되어 도로표지판의 표면에 결로 및 성에현상을 방지한다.
(2)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알루미늄판을 대체하여 국내생산이 가능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목재를 사용하여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시킨다.
(3)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상하좌우로 결합하여 필요한 도로표지판의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결합 및 분해 작업 시 합성목재판에 형성된 연결부에 연결대를 삽입 또는 빼내는 작업만을 요하므로 설치 및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의 (가)는 종래의 금속판을 이용한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도면, 도 1의 (나)는 종래의 결로 방지형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을 이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의 전체적인 결합 구조를 나타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 른 개방부 덮개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과 개방부 덮개와 연결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완료된 합성목재판을 이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의 전면을 나타낸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완료된 합성목재판을 이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의 후면을 나타낸 입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의 핵심 기술적 구성은, 합성목재(WPC)판(100), 개방부 덮개(200), 연결대(300), 고정수단(400), 바탕반사지(500), 반사지(600) 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합성목재(WPC)판(100)은, 기존의 도로표지판의 기판으로 사용된 금속판(알루미늄판)을 대체하여 열전도율 및 수분흡수율이 현저하게 낮으며 친환경 소재인 합성목재를 성형가공하여 일정한 규격을 갖고 합성목재판 전면부(101)와 합성목재판 후면부(103) 사이가 비어있는 중공(中空)형상의 사각형으로 제작되되, 좌ㆍ우측면은 개방부(110)를 두며, 상ㆍ하부는 좌ㆍ우측면이 개방된
Figure 112009032252209-pat00007
형상의 연결부(130)를 각각 두고, 상기 합성목재판 후면부(103)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볼트(410)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볼트(410)가 이동 가능한 좌ㆍ우측면이 개방된
Figure 112009032252209-pat00008
형상의 레일(150)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합성목재판(100)의 합성목재판 전면부(101)와 합성목재판 후면 부(103) 간의 사이를 비어두되, 상기 합성목재판 전면부(101)와 상기 합성목재판 후면부(103) 사이에 1개 내지 복수개의 지지대(105)를 두어 상기 합성목재판(100)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상기 개방부(110)를 후술하는 개방부 덮개(200)로 밀착하여 막음으로써 빗물 및 흙먼지 등의 이물질 침입을 차단하여 합성목재판 내부의 물고임 및 흙먼지 침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30a, 130b)는 2개의 합성목재판 상ㆍ하부면을 밀착시키면 각각의 합성목재판에 형성되어있는 연결부에 의해
Figure 112009032252209-pat00009
형상의 홈이 생기며, 이 홈의 모양과 같은
Figure 112009032252209-pat00010
형상의 연결대(200)를 끼워 넣거나 빼냄으로써 상기 2개의 합성목재판을 쉽게 결합 및 분해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연결대(200)의 길이에 따라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상하좌우로 확장하여 결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도로표지판의 크기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150)은 기존 도로표지판의 금속판 후면에 용접하여 접착된
Figure 112009032252209-pat00011
형상을 갖는 레일과 동일하나 종래의 용접작업 없이 상기 합성목재판(100)의 성형가공 단계에서 상기 합성목재판 후면부(103)에 레일(150)을 형성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축시키며, 상기 합성목재판(100)의 크기 및 고정시키는 지주의 방향(가로 또는 세로)에 따라 레일을 1개 내지 복수개를 형성하여 각각의 레일에 상기 고정볼트(410)를 상기 레일(150)의 라인을 따라 삽입하여 상기 고정수단(400) 및 너트(430)를 통해 상기 합성목재판(100)을 지주에 고정 설치하는 것으로
Figure 112009032252209-pat00012
형상의 레일(150)을 통한 도로표지판과 지주의 고정 설치 공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개방부 덮개(200)는, 상기 합성목재판(100)의 좌ㆍ우측면에 형성된 개방부(110)를 막는 수단으로, 상기 개방부(110)의 외부 홈과 같은 형상으로 합성목재 또는 금속소재를 성형가공하여 제작하되, 개방부 덮개 후면부(203)에는 상기 개방부(110)의 내부 홈과 같은 형상의 고무막(210)을 접착가공함으로써 상기 개방부 덮개(200)을 통해 상기 개방부(110)를 확실히 밀착하여 막을 수 있으며, 합성목재판을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합성목재판(100)과 상기 개방부 덮개(200) 및 상기 연결대(30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우선 상기 연결대(300)는, 상기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결합 및 분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합성목재판 2개(100a, 100b)를 상하로 밀착할 경우 각각의 합성목재판의 상ㆍ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130a, 130b)에 의해
Figure 112009032252209-pat00013
형상의 홈이 생기는데, 합성목재 또는 금속소재를 상기
Figure 112009032252209-pat00014
형상의 홈과 같은 외주면을 갖고, 길이는 상기 합성목재판(100)의 1개 내지 복수개의 너비와 같은 막대 형상으로 성형가공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상기 연결대(300)를 상기 합성목재판 2개(100a, 100b)의 상ㆍ하부면을 밀착하여 형성된
Figure 112009032252209-pat00015
형상의 홈에 라인을 따라 삽입하여 상기 합성목재판 2개(100a, 100b)가 간단하게 결합되며, 상기 합성목재판의 좌ㆍ우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110)는, 상기 개방부 덮개(200)를 통해 상기 개방부(110)에 형성된 홈과 일치하도록 밀착하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연결대를 통해 간단하게 결합 및 분해할 수 있어,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의 확장이 용이하며, 설치 및 보수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합성목재판(100)을 지주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합성목재판에 형성된 레일(150)에 삽입되는 고정볼트(410)를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홈을 두며 상기 2개의 홈 사이에는 지주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심방향으로 라운드 지도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400)에 상기 고정볼트(410)와 너트(430)를 통한 도로표지판과 지주의 고정방식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바탕반사지(500)와 반사지(600)는, 결합된 상기 복수개의 합성목재판 전면부(101) 전체에 부착되는 바탕반사지(500)와 상기 바탕반사지 표면에 테두리와, 도로 방향 및 안내를 위한 기호ㆍ문자 형상의 반사지(600)를 부착한 것으로 기존 도로표지판의 금속판에 부착되는 바탕반사지 및 반사지의 동일하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합성목재판을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의 설치가 완료된 모습의 전면과 후면에 대한 입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로 세로지주대(1)를 통한 상기 복수개의 합성목재판(100a, 100b, 100c)을 고정 설치한 구조지만, 상기 도로표지판의 설치 위치 및 상기 합성목재판의 크기에 따라 상기 레일 및 상기 고정수단의 결속 위치를 다르게 하여 가로지주대에도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은 기존의 도로표지판 기판으로 사용된 금속판(알루미늄판)을 대체하여 열전도율 및 수분흡수율이 현저하게 낮으며 친환경 소재인 합성목재(WPC)를 성형 가공한 합성목재판을 도로표지판의 기판으로 사용함으로써, 환절기와 같이 밤낮의 기온차가 크게 발생하여 영하의 온도로 급강하하더라도 내부가 비어있는 합성목재판을 사용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소재의 지주와 도로표지판의 기판 간에 중공(中空) 구조가 형성되어 도로표지판의 표면에 결로 및 성에현상을 방지하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알루미늄판을 대체하여 국내생산이 가능하며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목재를 사용하여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되고, 또한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상하좌우로 결합하여 필요한 도로표지판의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결합 및 분해 작업 시 합성목재판에 형성된 연결부에 연결대를 삽입 또는 빼내는 작업만을 요하므로 설치 및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독특한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의 (가)는 종래의 금속판을 이용한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도면
도 1의 (나)는 종래의 결로 방지형 도로표지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을 이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의 전체적인 결합 구조를 나타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방부 덮개의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판과 개방부 덮개와 연결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완료된 합성목재판을 이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의 전면을 나타낸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설치가 완료된 합성목재판을 이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의 후면을 나타낸 입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세로지주대 2: 가로지주대
3: 금속판 4, 4': 보조판
5: 전구 100: 합성목재판
101: 합성목재판 전면부 103: 합성목재판 후면부
105: 지지대 110: 개방부
130: 연결부 150: 레일
200: 개방부 덮개 201: 개방부 덮개 전면부
203: 개방부 덮개 후면부 210: 고무막
300: 연결대 400: 고정수단
410: 고정볼트 430: 너트
500: 바탕반사지 600: 반사지

Claims (3)

  1.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상기 도로표지판의 기판은 합성목재(WPC)판(100)으로 일정한 규격을 갖고 합성목재판 전면부(101)와 합성목재판 후면부(103) 사이가 비어있는 중공(中空)형상의 사각형으로 제작되되, 좌ㆍ우측면은 개방부(110)를 두며, 상ㆍ하부는 좌ㆍ우측면이 개방된
    Figure 112009063684033-pat00016
    형상의 연결부(130)를 각각 두고, 상기 합성목재판 후면부(103)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볼트(410)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정볼트(410)가 이동 가능한 좌ㆍ우측면이 개방된
    Figure 112009063684033-pat00017
    형상의 레일(150)과,
    상기 합성목재판의 개방부(110)를 막아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방부(110)의 내부 홈과 같은 형상의 고무막(210)이 개방부 덮개 후면부(203)에 접착가공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개방부 덮개(200)와,
    상기 합성목재판의 연결부(130)에 끼워 넣어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결합 및 분해하기 위한
    Figure 112009063684033-pat00018
    형상의 연결대(300)와,
    상기 레일(150)에 장착된 상기 고정볼트(410)를 통해 지주에 상기 합성목재판(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0) 및 너트(430)와,
    상기 연결대(300)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합성목재판을 결합한 후 상기 복수개의 합성목재판 전면부 전체에 바탕반사지(500)를 부착하고, 상기 바탕반사지 전면에 테두리선 및 문자ㆍ기호 형상의 반사지(600)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판(100)은 제작 시 성형가공단계에서 상기 개방부(110)와 연결부(130) 및 레일(150)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3. 삭제
KR1020090046901A 2009-05-28 2009-05-28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KR100934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901A KR100934245B1 (ko) 2009-05-28 2009-05-28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901A KR100934245B1 (ko) 2009-05-28 2009-05-28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245B1 true KR100934245B1 (ko) 2009-12-30

Family

ID=4168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901A KR100934245B1 (ko) 2009-05-28 2009-05-28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2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27B1 (ko) * 2010-07-28 2011-07-20 주식회사 현대표지 도로표지판의 조립구조
KR101223880B1 (ko) 2012-05-11 2013-01-17 투인산업 주식회사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KR101378878B1 (ko) * 2014-01-28 2014-04-01 최광철 Smc 판넬을 이용한 조립형 도로 교통 표지판
DK178116B1 (da) * 2012-11-07 2015-06-01 Daluiso As Dugfrit vejskilt
CN106968189A (zh) * 2017-05-29 2017-07-21 桐乡风腾专利运营有限公司 一种多功能道路指示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177A (ko) * 2005-06-20 2006-12-26 임준택 도로표지판
KR100889609B1 (ko) * 2008-12-15 2009-03-20 한양프레임주식회사 병렬형태의 도로명판유닛구조와 이를 이용한 도로명판을 설치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177A (ko) * 2005-06-20 2006-12-26 임준택 도로표지판
KR100889609B1 (ko) * 2008-12-15 2009-03-20 한양프레임주식회사 병렬형태의 도로명판유닛구조와 이를 이용한 도로명판을 설치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27B1 (ko) * 2010-07-28 2011-07-20 주식회사 현대표지 도로표지판의 조립구조
KR101223880B1 (ko) 2012-05-11 2013-01-17 투인산업 주식회사 평판 리벳 도로표지판
DK178116B1 (da) * 2012-11-07 2015-06-01 Daluiso As Dugfrit vejskilt
KR101378878B1 (ko) * 2014-01-28 2014-04-01 최광철 Smc 판넬을 이용한 조립형 도로 교통 표지판
CN106968189A (zh) * 2017-05-29 2017-07-21 桐乡风腾专利运营有限公司 一种多功能道路指示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245B1 (ko) 합성목재를 사용한 결로 방지용 도로표지판
KR102041262B1 (ko) 데크 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체
KR101293435B1 (ko) 도로표지병
KR101378878B1 (ko) Smc 판넬을 이용한 조립형 도로 교통 표지판
CN2905891Y (zh) 一种可以发光和反光的pvc道路防护栏
US6203643B1 (en) Method of placing markings on a polymer plastic grave marker
WO2007144635A3 (en) A vehicle parking structure
US20060102711A1 (en) Mailbox system
RU2009127499A (ru) Композитные поддерживающие конструкции с применением пластмасс в комбинации с другими материалами
KR101109465B1 (ko) 결로 방지를 위한 도로표지판 보수공법
BR9914623B1 (pt) sistema de resina de fenol/aldeìdo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sistema de resina de fenol/aldeìdo para produtos de compósitos aglutinantes.
US20210040764A1 (en) Recycled plastic tombston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090003738U (ko) 도로 경계블럭
KR20060133177A (ko) 도로표지판
KR102601824B1 (ko) 도로 경계용 블럭유닛
KR20130098785A (ko) 기둥구조체
KR200435938Y1 (ko) 투명 방음패널
CN200949213Y (zh) 夜光防护栏
JP2003148057A (ja) サッシ構造
KR200405965Y1 (ko) 도로선형표지기능을 겸비한 복합차음 판넬.
CN2797431Y (zh) 新型减速标线
CN201503782U (zh) 一种荧光开关
CA2187418C (en) Polymer plastic grave marker and a method of placing markings on the same
KR20090001709U (ko) 축광기능을 갖는 합성목재 데크 및 벤치
CN208441012U (zh) 一种节能环保高强塑料本体自发光护栏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