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002B1 - 출력증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출력증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002B1
KR100934002B1 KR1020070067608A KR20070067608A KR100934002B1 KR 100934002 B1 KR100934002 B1 KR 100934002B1 KR 1020070067608 A KR1020070067608 A KR 1020070067608A KR 20070067608 A KR20070067608 A KR 20070067608A KR 100934002 B1 KR100934002 B1 KR 100934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s transistor
output
power supply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4529A (ko
Inventor
서준호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타칩스 주식회사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타칩스 주식회사,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타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014,225 priority Critical patent/US7986882B2/en
Priority to CN2008100092474A priority patent/CN101290712B/zh
Priority to EP08150900.2A priority patent/EP1983638B1/en
Publication of KR2008009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2Modifications for increasing the maximum permissible switched curr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22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 H03K17/223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 포트의 전류를 증강하는 회로를 가지는 리모트 컨트롤러용 IC와 이를 이용해 1.5V정도의 배터리 1개로 구동 가능하게 구현된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리모트 컨트롤러용 IC를 통해 적외선 LED를 발광시켜 텔레비전 등의 피 제어기기에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있어서, 저전압에서도 모든 기능이 정상 동작되며, 특히 상기 적외선 LED를 구동하여 충분한 통달거리를 가지기 위해서는 큰 출력전류가 요구되는 출력포트의 출력전류를 저전압에서도 증강하는 회로를 가지는 리모트 컨트롤러용 IC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동하는 1개의 1.5V정도의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용 IC의 출력 증강된 포트로 적외선 LED를 구동함으로써, 1.5V정도의 배터리 1개로 충분한 통달거리를 유지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포트는 전원 전압의 강하에 따른 전원 전압의 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전압을 승압하여 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압에 상기 전원전압보다 높게 승압된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고전압에서와 같은 출력 전류를 얻기 위한 출력 전류 증강회로를 가지며, 상기 출력 전류 증강회로는 전원전압의 레벨을 판단하는 전원전압 검출부,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의 유효 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승압하는 승압 회로부, 상기 승압 회로부의 변동(승압된) 전원을 받아들여 송신신호에 따라 상기 변동(승압된) 전원을 제어하여 최종 출력을 위한 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동일한 전원전압에서 상기 최종 출력을 위한 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에 상기 전원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보다 큰 출력전류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출력포트, 승압회로, 리모트 컨트롤러, 리모트 컨트롤러

Description

출력증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컨트롤러 {A current pumping circuit for output port and A remote controller using that}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적외선 LED 구동 트랜지스터 내장형 리모트 컨트롤러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적외선 LED 구동 트랜지스터 외장형 리모트 컨트롤러 블록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KEY 입력 포트의 회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적외선 LED 구동 트랜지스터 내장형 리모트 컨트롤러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적외선 LED 구동 트랜지스터 외장형 리모트 컨트롤러 블록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전류 증강회로의 승압회로부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전류 증강회로의 데이터 전환부의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KEY 입력 포트의 회로도.
도 9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전류 증강회로의 동작 파형도를 비교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410 : 적외선 LED 330, 430 : Port Control&송신 신호 생성부
340, 440 : KEY 입력 포트 350, 450 : 전원 전압
360, 460 : 제3, 제4 커패시터 490 :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370, 470 : KEY MATRIX (m개의 출력과 n개의 입력)
320, 420 : 제어부 321, 421 : 승압 회로부
322, 422 : 전원 전압 검출부 323, 423 : 데이터 전환부
300 : 제4 모스트랜지스터 400 : 제5 모스트랜지스터
480 : 제6 모스트랜지스터 510 : 논리 연산부
511 : 제3 인버터 512 : 앤드 게이트
520 : 승압부 521 : 제4 인버터
522 : 제7 모스트랜지스터 523 : 제8 모스트랜지스터
524 : 제9 모스트랜지스터 525 : 제1 버퍼
526 : 제5 커패시터 610 : 제5 인버터
520 : 제10 모스트랜지스터 630 : 제11 모스트랜지스터
640 : 제12 모스트랜지스터 650 : 제13 모스트랜지스터
710, 810 : 제14, 제15 모스트랜지스터
720, 820 : 제2, 3 버퍼 830 : 저항
본 발명은 출력포트의 전류를 증강하는 회로 및 이를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출력포트는 전원전압의 강하에 따른 전원전압의 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전압을 승압하여 공급함으로써 고전압에서와 같은 출력 전류를 얻기 위한 출력전류 증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에서는 매트릭스구조의 Key-Pad를 통해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Key 입력이 있을 때, Port Control에 의해서 Key-Matrix의 출력포트를 한개 씩 순차적으로 Low State로 만들면서 각각의 경우에 Pull-up이 내장된 구조의 Key 입력포트를 통해서 입력을 읽어 보고, Low 입력이 읽혀지면, 해당하는 출력 포트와 입력 포트에 미리 예정된 포맷의 송신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도 1]과 같이 IC에 내장된 출력 NMOS 트랜지스터(100), 또는 [도 2]에서와 같이 IC 외부에 장착된 출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90)를 구동하여, 적외선 LED(110, 210)를 온/오프 함으로써, 일정거리 떨어져 있는 피 제어기기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신호가 전달되는 최대 거리를 통달거리라 하며, 이 통달거리는 전원전압에 비례하고, 출력 NMOS 트랜지스터 또는 출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서 구동되는 전류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원전압(VDD)이 높은 경우(고전압 상태)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낮은 경우(저전압 상태)에서는 출력 NMOS 트랜지스터(100) 또는 출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290)의 전류 드라이버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어, 고전압에서와 같은 높은 전류를 얻기 어려워지며, 통달거리도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KEY MATRIX(170,270)로부터 KEY입력을 읽어 들이는 KEY입력 포트부에 내장되어 있는 종래기술의 풀업(Pull-up) 저항은 일반적으로 [도 3]의 PMOS 트랜지스터(710)와 같이 저항 값에 해당하는 긴 길이(Length)를 가지는 PMOS 트랜지스터를 단일로 사용하며, 제어신호(pull-up_enb)에 의해서 PMOS 트랜지스터(710)의 게이트를 제어함으로서 풀업 저항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풀업저항의 저항 값은 전원전압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가지며, 특히 3V정도의 전원전압 조건하에서의 동작에 맞춰진 저항 값이므로, 저전압인 1.5V정도 또는 그 이하의 전원전압에서는 그 저항 값이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어, KEY MATRIX에 있는 KEY의 오프 저항에 근접한 저항 값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KEY 오프 시에도 입력포트(An)가 Low 상태로 읽히게 되어, KEY가 턴-온 된 것으로 IC가 잘못 인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출력포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전압의 강하에 따른 전원전압의 레벨을 감지하여 전원 전압이 특정 레벨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전원 전압을 승압하여 IC에 내장된 NMOS 트랜지스터(300)의 게이트 또는 IC 외부에 장착된 출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의 베이스 전류를 공급하는 제5 모스트랜지스터(400)의 게이트에 공급함으로써 보다 큰 전원전압에서의 출력 전류에 상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출력증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기술의 풀업 저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 8]에서와 같이 풀업 저항의 온/오프를 담당하는 제15 모스트랜지스터(810)에 직렬로 풀업 저항값에 해당하는 폴리(Poly), 액티브(Active) 또는 웰(N-Well)저항(830)을 연결하여, 저전압에서의 저항값 증가율을 줄여 주어, KEY 오프 저항만큼 증가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3V의 전원전압 조건하에서의 동작은 물론이고, 1.5V정도 또는 그 이하의 저전압에서의 동작도 만족되게 함으로써 1.5V정도의 배터리 1개로도 동작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출력포트(B1~Bm)와 입력포트(A1~An)를 매트릭스 구조로 Key를 조합한 KEY MATRIX(370)와; 상기 KEY MATRIX(3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적외선 LED(310)를 발광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용 IC와; 상기 IC의 출력에 따라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LED(310); 그리고 상기 IC 및 상기 적외선 LED(310)에 제1전원전압(VDD)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IC는, 상기 KEY MATRIX(370) 중에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눌러진 Key를 찾기 위해서 출력포트들(B1~Bm)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눌러진 Key에 해당되는 입력과 출력포트의 조합에 대해 미리 예정된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Port Control 및 송신신호 생성부(330)와; 각 입력포트(A1~An)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상태를 읽는 KEY 입력포트부(340)와; 상기 제1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노드-B)를생성하는 제어부(320)와; 상기 제어부(320)의 출력(노드-B)에 따라서 온/오프 되는 제4모스트랜지스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제1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승압된 전압으로 상기 제4모스트랜지스터(300)를 구동하여, 증강된 출력전류를 상기 적외선 LED(310)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LED(310)의 발광을 강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출력포트(B1 ~Bm)와 입력포트(A1 ~ An)를 매트릭스 구조로 Key를 조합한 KEY MATRIX(470)와; 상기 KEY MATRIX(4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적외선 LED(410)를 발광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용 IC와; 상기 IC의 출력을 받아 구동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와;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의 구동에 따라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LED(410); 그리고 상기 IC 및 상기 적외선 LED(410)에 제1전원전압(VDD)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IC는, 상기 KEY MATRIX(470)중에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눌러진 KEY를 찾기 위해서 출력포트들(B1 ~ Bm)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눌러진 Key에 해당되는 입력과 출력 포트의 조합에 대해 미리 예정된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Port Control 및 송신신호 생성부(430)와; 각 입력포트(A1 ~ An)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상태를 읽는 KEY 입력 포트부(340)와; 상기 제1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제어부(320)와; 상기 제어부(320)의 출력(노드-B)에 따라서 온/오프 되는 제5 모스 트랜지스터(400); 그리고 상기 제5모스트랜지스터(400)와 반대로 온/오프되는 제6모스트랜지스터(4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제1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승압된 전압으로 제5 모스트랜지스터(400) 및 제6모스트랜지스터(480)를 구동하여, 상기 제5모스트랜지스터(400) 및 제6모스트랜지스터(480)의 출력을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는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로 증강된 출력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LED의 발광을 강화한다.
또한, 상기 KEY 입력포트부(340 또는 440)는, 폴리(Poly), 액티브(Active) 또는 웰(N-Well) 저항 중 어느 하나의 저항으로 형성되고, 제1단자는 제1전원전압(VDD)과 연결되며, 제2단자는 제15모스트랜지스터(810)의 제1단자에 연결되는 풀업저항과; 게이트는 제어신호(pull-up enb)를 수신하고, 제2단자는 상기 입력포트(A1~An)에 연결되며, 제1단자는 상기 풀업저항과 연결되어 상기 풀업저항을 온/오프 시키는 제15모스트랜지스터(8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20 또는 420)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신호(EN)를 생성하는 전원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송신신호를 이용하여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승압회로부와; 상기 승압전압과 상기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신호(EN)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에 디스에이블 (disable) 되고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 인에이블(enable)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승압 회로부는,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송신신호에 대해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연산부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승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논리 연산부는, 상기 송신신호를 반전시키는 제3 인버터(511)와;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반전된 송신신호에 대해 논리곱연산을 수행하는 앤드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압부는,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제4 인버터(521)와; 게이트가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된 제7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 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8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7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 및 상기 제8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와 연결되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며, 제2단자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에 연결된 제9 모스트랜지스터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 버퍼(525); 그리고 제1단자가 상기 제1버퍼(525)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5 커패시터(52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7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이고, 상기 제8 모스트랜지스터 및 제9모스트랜지스터는 PMOS이며, 상기 제9 모스트랜지스터의 벌크(Bulk)단은 플로팅(Floating)될 수도 있다. 상기 제9 모스트랜지스터의 Bulk단에 제1 전원전압(VDD)을 인가하는 대신 Floating으로 유지하는 것은 승압전압을 제1 전원전압(VDD)보다 높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전환부는, 상기 송신신호를 반전시키는 제5 인버터(610)와;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5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되는 제10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 단자에 상기 송신신호가 인가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되며, 제2단자는 상기 출력신호(노드- 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는 제11 모스트랜지스터와;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가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는 제12 모스트랜지스터; 그리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 및 제12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 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3 모스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1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이고, 제12모스트랜지스터 및 제13 모스트랜지스터는 PMOS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5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 이고, 제6 모스트랜지스터는 PMOS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고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전류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 내에 미리 충전된 충전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신호(EN)를 생성하는 전원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송신신호를 이용하여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승압 회로부; 그리고 상기 승압전압과 상기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EN)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에 디스에이블(disable)되고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전압 레벨 이하인 경우에 인에이블(enable)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압 회로부는,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송신신호에 대해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연산부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승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논리연산부는, 상기 송신신호를 반전시키는 제3 인버터와;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반전된 송신신호에 대해 논리곱연산을 수행하는 앤드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압부는,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제4 인버터(521)와; 게이트가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된 제7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 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8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7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 및 상기 제8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와 연결되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며, 제2단자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에 연결된 제9 모스트랜지스터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 버퍼(525); 그리고 제1단자가 상기 버퍼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5 커패시터(5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7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이고, 상기 제8 모스트랜지스터 및 제9모스트랜지스터는 PMOS이며, 상기 제9 모스트랜지스터의 벌크(Bulk)단은 플로팅(Floating)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전환부는, 상기 송신신호를 반전시키는 제5 인버터(610)와;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5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되는 제10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 단자에 상기 송신신호가 인가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되며, 제2단자는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는 제11 모스트랜지스터와;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가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는 제12 모스트랜지스터; 그리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 및 제12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 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3 모스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 및 제11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 이고, 제12 모스트랜지스터 및 제13 모스트랜지스터는 PMOS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는, 제1 단자가 상기 제1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제2 단자가 출력전류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어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전류원과;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노드-B)가 인가되고 제1단자는 상기 출력전류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된 제4 모스트랜지스터를 포함 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4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용 IC의 다수 개의 출력 포트와 입력포트를 매트릭스 구조로 Key를 조합한 KEY MATRIX(370), 상기 KEY MATRIX중에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눌러진 KEY를 찾기 위해서 출력포트들(B1 ~ Bm)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눌러진 Key에 해당되는 입력과 출력 포트의 조합에 대해 미리 예정된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Port Control 및 송신신호 생성부(330), 풀업 저항을 내장하고 버퍼를 통해서 각 입력포트들(A1 ~ An)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상태를 읽어보는 KEY 입력 포트부(340),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고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제어부(320)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노드-B)에 따라서 온/오프 되는 제4 모스 트랜지스터(300), 상기 제4 모스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따라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LED(310), IC 및 적외선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50),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의 안정화를 시켜주는 제3 커패시터(36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Port Control 및 송신신호 생성부(330)는 도면상 1개의 부재로 도시하였으나 각각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320)는 전원전압 검출부(322), 승압회로부(321), 데이터 전환부(323)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322)는 상기 제1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신호(EN)를 생성하는데, 상기 제1전원전압(VDD)이 미리 정해진 특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322)의 출력신호인 상기 제어신호(EN)가 디스에이블(Disable)되어 승압회로부(321)가 동작하지 않고, 상기 제1전원전압(VDD)이 미리 정해진 특정 전압 레벨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322)의 출력신호인 제어신호(EN)가 인에이블(Enable)되어 승압회로부(321)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Port Control 및 송신신호 생성부(330)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는 상기 승압회로부(321)로 입력된다. 상기 입력되는 송신신호가 하이(High)이면 상기 제어부(320)의 출력신호(노드-B) 신호가 로우(Low)로 되어, 제4모스트랜지스터(300)는 오프(off) 상태가 되고, 이때 상기 승압회로부(321)의 출력인 승압전압은 제1전원전압(VDD) 레벨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송신신호가 로우(Low)이면 상기 승압회로부(321)의 출력인 승압전압은 높게 출력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전환부(323)는 상기 승압전압과 상기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이때 생성된 출력신호(노드-B)는 승압된 전압레벨이 됨으로써 상기 제4모스트랜지스터(300)의 게이트전압은 상기 제1전원전압(VDD) 보다 높게되어 기존보다 향상된 전류 특성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20)는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 신호(노드-B)를 생성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기 승압 회로부(321)는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송신신호에 대해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연산부(510) 및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승압부(520)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상기 데이터 전환부는, 상기 송신신호를 반전시키는 제5 인버터(610), 게이트 단자가 상기 제5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1 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된 제10 모스트랜지스터(620), 게이트 단자에 상기 송신신호가 인가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11 모스트랜지스터(630), 제1단자가 상기 승압전압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620)의 제2단자와 연결되고 게이트단자가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12 모스트랜지스터(640) 및 제1단자가 상기 승압전압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고 게이트단자가 상기 제10모스트랜지스터(620)의 제2단자 및 상기 제12 모스트랜지스터(640)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된 제13 모스트랜지스터(65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620) 및 제11 모스트랜지스터(630)는 NMOS이고, 제12 모스트랜지스터(640) 및 제13 모스트랜지스터(650)는 PMOS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원리는 미리 정해진 특정 전압 레벨이상의 제1 전원전압(VDD)에서는 상기 전원전압 검출부(322)의 제어신호(EN)가 디스에이블 되어 승압 회로부(321)는 제1 전원전압(VDD)을 승압하지 않고, 제1 전원전압(VDD) 그대로 승압전압으로 출력하고, 특정 전압 레벨 아래로 제1 전원전압(VDD)이 낮아지면 이때부터 상기 제어신호(EN)가 인에이블 되어 승압 회로부(321)가 제1 전원전압(VDD)을 승압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EN)가 인에이블된 상태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송신신호가 High이면, 상기 출력신호(노드-B)는 Low 가 되어, 제4 모스트랜지스터(300)는 턴-오프 상태가 되어 적외선 LED(310) 또한 발광을 멈추게 된다.
이때 승압 회로부(321)의 출력인 승압전압은 제1 전원전압(VDD) 레벨 상태로 있게 되며, 반대로 송신신호가 Low이면 승압 회로부(321)의 출력인 승압전압은 승압된 전압이 되고, 이 전압이 데이터 전환부(323)로 공급되어 도 9의 도표와 같이 상기 출력신호(노드-B)는 승압된 전압 레벨이 됨으로써 제4 모스트랜지스터(300)의 게이트 전압은 제1 전원전압(VDD) 보다 높게 턴-온 해주므로, 제1 전원전압(VDD) 레벨로 턴-온하던 종래 기술보다 향상된 전류 특성을 보이게 되며, 이 향상된 전류에 의해서 구동되는 적외선 LED(310)의 발광도 강해지므로, 종래기술 보다 더 먼 통달거리를 제공하게 된다.
제9 모스트랜지스터(524)가 턴오프됨으로써 커패시터(526)의 (-)단자에 제1 전원전압(VDD)이 인가되어 송신신호가 “High" 인 동안 충전되었던 커패시터(526)의 충전전압과 (-)단자에 가해진 제1 전원전압(VDD)을 합한 승압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KEY MATRIX(370)로부터 KEY입력을 읽어 들이는 KEY입력 포트부에 내장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풀업 저항은 도 8에서와 같이 풀업 저항의 온/오프 를 담당하는 제15 모스트랜지스터(810)에 직렬로 풀업 저항 값에 해당하는 폴리(Poly), 액티브(Active) 또는 웰(N-Well)저항(830)을 연결함으로써, 저전압에서의 저항 값 증가율을 줄여 주어, KEY 오프 저항만큼 증가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3V의 전원전압 조건하에서의 동작은 물론이고, 1.5V정도 또는 그 이하의 저전압에서의 동작도 만족되게 한다.
이는, 노드-B에 걸리는 전압이 클 경우 FET에 걸리는 저항값이 작아지므로 1.5V의 전압으로도 FET(300)에서 충분한 전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도 5와 같이 적외선 LED를 구동하는 트랜지스터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이며, 리모트 컨트롤러용 IC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의 경우에도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리모트 컨트롤러용 IC의 다수 개의 출력포트(B1~Bm)와 입력포트(A1~An)를 매트릭스 구조로 Key를 조합한 KEY MATRIX(470), 상기 KEY MATRIX중에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눌러진 KEY를 찾기 위해서 출력포트들(B1 ~ Bm)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며 상기 눌러진 Key에 해당되는 입력과 출력포트의 조합에 대해 미리 예정된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Port Control 및 송신신호 생성부(430), 풀업 저항을 내장하고 버퍼를 통해서 각 입력포트(A1 ~ An)들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상태를 읽어보는 KEY 입력 포트부(440),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고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제어부(420)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노드-B)에 따라서 온/오프 되는 제5 모스 트랜지스터(400)와 상기 제5 모스트랜지스터와 반대로 온/오프 되는 제6 모스트랜지스터(480), 상기 제5, 제6 모스트랜지스터의 출력을 베이스(Base)단자의 입력으로 받아 온/오프 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구동에 의해서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LED(410), IC 및 적외선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50),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의 안정화를 시켜주는 제4 커패시터(460)로 구성되며,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아래로 내려가면, 전원전압 검출부(422)에 의해서 감지되어 제어신호(EN)를 승압 회로부(421)로 전달하고, 상기 승압 회로부는 송신신호가 High인 경우에는 제1 전원전압(VDD)을 승압전압에 출력하고, 송신신호가 Low인 경우에는 제1 전원전압(VDD)보다 높게 승압된 전압을 승압전압에 출력하며, 데이터 전환부(423)에서는 상기 승압전압을 받아서 송신신호가 High이면 Low 출력을 출력신호(노드-B)에 출력하여 제5 모스트랜지스터(400)를 턴-오프 시키고, 제6 모스트랜지스터(480)를 턴-온하여 출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를 턴-오프 시켜서 적외선 LED의 발광을 멈추게 되고, 반대로 송신신호가 Low이면 승압전압을 출력신호(노드-B)로 출력하여, 제 5 모스트랜지스터(400)를 턴-온하고, 제6 모스트랜지스터(480)를 턴-오프 하여 출력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를 턴-온 시켜서 적외선 LED를 발광하게 되며, 이때, 제5 모스트랜지스터(400)의 게이트에 승압된 전압이 인가되므로, 더 큰 베이스 전류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공급하게 되고, 따라서 적외선 LED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더 큰 전류에 의해서 구동되므로, 더 강하게 발광하게 되고, 더 긴 통달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20)에 구성되는 전원전압 검출부(422), 승압회로부(421), 데이터전환부(423)의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다.
도 9는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일 때에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동작 파형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일 때에, 송신신호가 High에서 Low로 바뀌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출력신호(노드-A)는 GND에서 VDD로 바뀌는데 반해 본 발명의 출력신호(노드-B)는 GND에서 VDD보다 높게 승압된 승압전압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대의 경우인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상일 때에는 본 발명의 출력신호(노드-B)도 종래 기술의 출력신호(노드-A)와 마찬가지로 GND에서 VDD로 바뀌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는 전원전압의 강하에 따른 전원전압의 레벨을 감지하여 전원전압이 특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전원전압을 승압하여 공급함으로써, 낮은 전원전압에서도 우수한 출력 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KEY 입력 포트 단에서 풀업저항으로 모스트랜지스터에 폴리(Poly), 액티브(Active) 또는 웰(N-Well)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저전압에서도 고전압대비 풀업 저항 값의 상승폭을 줄여 줌으로, KEY의 오프저항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하여, 1.5V정도의 배터리 1개로도 리모트 컨트롤러가 충분히 동작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다수 개의 출력포트(B1~Bm)와 입력포트(A1~An)를 매트릭스 구조로 Key를 조합한 KEY MATRIX(370)와;
    상기 KEY MATRIX(3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적외선 LED(310)를 발광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용 IC와;
    상기 IC의 출력에 따라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LED(310); 그리고
    상기 IC 및 상기 적외선 LED(310)에 제1전원전압(VDD)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IC는,
    상기 KEY MATRIX(370) 중에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눌러진 Key를 찾기 위해서 출력포트들(B1~Bm)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눌러진 Key에 해당되는 입력과 출력포트의 조합에 대해 미리 예정된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Port Control 및 송신신호 생성부(330)와;
    각 입력포트(A1~An)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상태를 읽는 KEY 입력포트부(340)와;
    상기 제1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노드-B)를생성하는 제어부(320)와;
    상기 제어부(320)의 출력(노드-B)에 따라서 온/오프 되는 제4모스트랜지스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20)는 상기 제1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승압된 전압으로 상기 제4모스트랜지스터(300)를 구동하여, 증강된 출력전류를 상기 적외선 LED(310)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LED(310)의 발광을 강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2. 다수 개의 출력포트(B1 ~Bm)와 입력포트(A1 ~ An)를 매트릭스 구조로 Key를 조합한 KEY MATRIX(470)와;
    상기 KEY MATRIX(4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적외선 LED(410)를 발광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용 IC와;
    상기 IC의 출력을 받아 구동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와;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의 구동에 따라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LED(410);
    그리고 상기 IC 및 상기 적외선 LED(410)에 제1전원전압(VDD)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IC는,
    상기 KEY MATRIX(470)중에서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눌러진 KEY를 찾기 위해서 출력포트들(B1 ~ Bm)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눌러진 Key에 해당되는 입력과 출력 포트의 조합에 대해 미리 예정된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Port Control 및 송신신호 생성부(430)와;
    각 입력포트(A1 ~ An)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상태를 읽는 KEY 입력 포트부(440)와;
    상기 제1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제어부(420)와;
    상기 제어부(420)의 출력(노드-B)에 따라서 온/오프 되는 제5 모스 트랜지스터(400);
    그리고 상기 제5모스트랜지스터(400)와 반대로 온/오프되는 제6모스트랜지스터(4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제1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승압된 전압으로 제5 모스트랜지스터(400) 및 제6모스트랜지스터(480)를 구동하여, 상기 제5모스트랜지스터(400) 및 제6모스트랜지스터(480)의 출력을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는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490)로 증강된 출력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적외선 LED의 발광을 강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KEY 입력포트부(340 또는 440)는, 폴리(Poly), 액티브(Active) 또는 웰(N-Well) 저항 중 어느 하나의 저항으로 형성되고, 제1단자는 제1전원전압(VDD)과 연결되며, 제2단자는 제15모스트랜지스터(810)의 제1단자에 연결되는 풀업저항과;
    게이트는 제어신호(pull-up enb)를 수신하고, 제2단자는 상기 입력포트(A1~An)에 연결되며, 제1단자는 상기 풀업저항과 연결되어 상기 풀업저항을 온/오프 시키는 제15모스트랜지스터(81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20 또는 420)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신호(EN)를 생성하는 전원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송신신호를 이용하여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승압회로부와;
    상기 승압전압과 상기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신호(EN)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에 디스에이블 (disable) 되고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 인에이블(enable)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회로부는,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송신신호에 대해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연산부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승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논리 연산부는,
    상기 송신신호를 반전시키는 제3 인버터(511)와;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반전된 송신신호에 대해 논리곱연산을 수행하는 앤드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압부는,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제4 인버터(521)와;
    게이트가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된 제7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 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8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7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 및 상기 제8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와 연결되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며, 제2단자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에 연결된 제9 모스트랜지스터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 버퍼(525); 그리고
    제1단자가 상기 제1버퍼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5 커패시터(52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7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이고, 상기 제8 모스트랜지스터 및 제9모스트랜지스터는 PMOS이며, 상기 제9 모스트랜지스터의 벌크(Bulk)단은 플로팅(Float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환부는,
    상기 송신신호를 반전시키는 제5 인버터(610)와;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5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되는 제10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 단자에 상기 송신신호가 인가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되며, 제2단자는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는 제11 모스트랜지스터와;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가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는 제12 모스트랜지스터; 그리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 및 제12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 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3 모스트랜지스터를 포함 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1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이고, 제12모스트랜지스터 및 제13 모스트랜지스터는 PMO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 이고, 제6 모스트랜지스터는 PMOS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9.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고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1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입력으로 하여 출력전류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감지하여,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레벨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부 내에 미리 충전된 충전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전원전압(VDD)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의 레벨을 검출하여 제어신호(EN)를 생성하는 전원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송신신호를 이용하여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승압 회로부; 그리고
    상기 승압전압과 상기 송신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데이터 전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EN)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전압 레벨 이상인 경우에 디스에이블(disable)되고 상기 제1 전원전압(VDD)이 특정 전압 레벨 이하인 경우에 인에이블(enable)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회로부는,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송신신호에 대해 논리연산을 수행하는 논리연산부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승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연산부는,
    상기 송신신호를 반전시키는 제3 인버터와;
    상기 제어신호(EN)와 상기 반전된 송신신호에 대해 논리곱연산을 수행하는 앤드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는,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신호를 반전시키는 제4 인버터(521)와;
    게이트가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된 제7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4 인버터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 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8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가 상기 제7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 및 상기 제8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와 연결되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을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며, 제2단자는 상기 제1 전원전압(VDD)에 연결된 제9 모스트랜지스터와;
    상기 논리연산부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제1 버퍼(525); 그리고
    제1단자가 상기 버퍼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을 생 성하는 노드에 연결된 제5 커패시터(52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이고, 상기 제8 모스트랜지스터 및 제9모스트랜지스터는 PMOS이며, 상기 제9 모스트랜지스터의 벌크(Bulk)단은 플로팅(Float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전류 증강 회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환부는,
    상기 송신신호를 반전시키는 제5 인버터(610)와;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5 인버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되는 제10 모스트랜지스터와;
    게이트 단자에 상기 송신신호가 인가되고, 제1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되며, 제2단자는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는 제11 모스트랜지스터와;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가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는 제12 모스트랜지스터; 그리고
    제1단자는 상기 승압전압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출력신호(노드-B)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는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단자 및 제12 모스트랜지스터의 제2 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3 모스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모스트랜지스터 및 제11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 이고, 제12 모스트랜지스터 및 제13 모스트랜지스터는 PMOS 임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제1 단자가 상기 제1 전원전압(VDD)에 연결되고 제2 단자가 출력전류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어 전류의 양을 조절하는 전류원과;
    게이트에 상기 출력신호(노드-B)가 인가되고 제1단자는 상기 출력전류를 생성하는 노드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제2 전원전압(GND)에 연결된 제4 모스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모스트랜지스터는 NMO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전류 증강 회로.
KR1020070067608A 2007-04-19 2007-07-05 출력증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컨트롤러 KR100934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14,225 US7986882B2 (en) 2007-04-19 2008-01-15 Output current pumping circuit and remote controller using the same
CN2008100092474A CN101290712B (zh) 2007-04-19 2008-01-31 输出电流抽运电路以及使用该电路的远程控制器
EP08150900.2A EP1983638B1 (en) 2007-04-19 2008-01-31 Output current pumping circuit and remote controll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273 2007-04-19
KR20070038273 2007-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529A KR20080094529A (ko) 2008-10-23
KR100934002B1 true KR100934002B1 (ko) 2009-12-28

Family

ID=4003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608A KR100934002B1 (ko) 2007-04-19 2007-07-05 출력증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컨트롤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4002B1 (ko)
CN (1) CN10129071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698B1 (ko) * 2010-06-16 2012-07-05 이타칩스 주식회사 리모트 콘트롤러의 출력 증강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37304A1 (de) * 2012-03-05 2013-09-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Digitaleingabeeinheit
CN107749160A (zh) * 2017-11-27 2018-03-02 深圳市康冠技术有限公司 一种红外信号转发电路
CN112462820B (zh) * 2020-10-29 2022-03-22 广东禅信通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发热材料的控温系统,方法以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3886U (ko) * 1988-12-15 1990-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모콘의 송신 효율 개선회로
KR960028658A (ko) * 1994-12-28 1996-07-22 배순훈 원격조정기의 밧데리 소모 경고장치
JPH1070474A (ja) 1988-08-29 1998-03-10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0474A (ja) 1988-08-29 1998-03-10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KR900013886U (ko) * 1988-12-15 1990-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리모콘의 송신 효율 개선회로
KR960028658A (ko) * 1994-12-28 1996-07-22 배순훈 원격조정기의 밧데리 소모 경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698B1 (ko) * 2010-06-16 2012-07-05 이타칩스 주식회사 리모트 콘트롤러의 출력 증강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529A (ko) 2008-10-23
CN101290712B (zh) 2011-11-02
CN101290712A (zh)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4330B2 (en) Power switch device
JP4901445B2 (ja) 駆動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US8044950B2 (en) Driver circuit usable for display panel
JP2008258939A (ja) 多チャンネル半導体集積回路
US7635998B1 (en) Pre-driver for bridge circuit
KR100934002B1 (ko) 출력증강 회로 및 이를 이용한 리모트컨트롤러
US6819159B1 (en) Level shifter circuit
US20090289668A1 (en) Output driver circuit for an integrated circuit
US7868667B2 (en) Output driving device
CN109036269B (zh) 像素电路、像素驱动方法和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EP1983638B1 (en) Output current pumping circuit and remote controller using the same
US8084961B2 (en) Backlight modu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290651B2 (ja) 多機能ドライバ回路
US10541676B2 (en) Symmetrical dual voltage level input-output circuitry
JP4641660B2 (ja) レベルシフト回路
JP2776044B2 (ja) 多値出力駆動装置
JP2011258797A (ja) 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制御回路およびバックライト照明装置
US20100156500A1 (en) Semiconductor device, output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output buffer circuit in semiconductor device
US7733154B2 (en) Semiconductor device
US8806229B1 (en) Power reduction circuits and methods
KR100216265B1 (ko) 데이타 출력 버퍼 회로
JPH03248619A (ja) 半導体出力回路
US20070103200A1 (en) Buffer circuit and use thereof
KR101162698B1 (ko) 리모트 콘트롤러의 출력 증강회로
KR19990037135A (ko) 레벨변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