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822B1 -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822B1
KR100931822B1 KR1020090031755A KR20090031755A KR100931822B1 KR 100931822 B1 KR100931822 B1 KR 100931822B1 KR 1020090031755 A KR1020090031755 A KR 1020090031755A KR 20090031755 A KR20090031755 A KR 20090031755A KR 100931822 B1 KR100931822 B1 KR 100931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attachment
unit
jewel
speed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택
Original Assignee
최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택 filed Critical 최광택
Priority to KR1020090031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44C17/043Setting-too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다수의 보석 정렬 공급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는, 색상 및 크기에 따라 구분된 보석을 각각 공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급모듈이 양단에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보석 정렬부; 이웃한 상기 공급모듈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에 구비된 상기 공급모듈에서 공급되는 보석을 순차적으로 보석 부착 소재에 부착시키는 보석 부착부; 상기 보석 부착부와 근접한 하측에 구비되며 설정 도안에 따른 해당 좌표로 상기 보석이 부착될 수 있도록 X, Y축 방향 이동 및 Z축 회전으로 회전되는 작업대; 및 상기 보석 정렬부, 보석 부착부 및 작업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 보석 정렬부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보석 흡착구를 각각 구비하여 어느 하나가 보석을 흡착하면 나머지 하나는 흡착한 보석을 부착하기 위해 전달하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보석 정렬부,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보석, 패턴, 속도

Description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HIGH SPEED AUTOMATIC RHINESTONE ADHESION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RHINESTONE ARRAY}
본 발명은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 패턴에 의해 보석을 부착하는 공정 수행시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되고 등록된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자동 보석 부착장치'(등록번호: 10-0369300)에 의하면, 하부 프레임(10A)에 설치되어 보석이 부착될 소재가 장착되는 소재장착 테이블(22)을 X축과 Y축으로 이동시켜 보석의 부착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테이블 이송부(20); 상기 하부 프레임(10A)에 결합된 상부 프레임(10B)의 전면에 지지 브라켓(32)의 일측이 축설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32)에는 한 쌍의 보석 흡착부재(34)가 서로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여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0B)에는 각 보석 흡착부재(34)를 설정된 각도로 작동시키기 위한 위치변경부재(36)가 설치된 보석 흡착부(30); 상기 각 보석 흡착부(30)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10B)의 양측에 회전 지 지부재(41)가 각각 직하방으로 설치되고, 양측의 각 회전 지지부재(41)에는 다수개의 보석 정렬부재(42)가 축(43)으로 설치된 회전부재(44)가 각각 설치되는 보석 정렬부(40); 상기 각 회전 지지부재(41)에는 상기 각 회전부재(44)를 구동시키기 위한 공전용 구동부재(5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회전 지지부재(41)의 하부에는 상기 각 공전용 구동부재(52)에 의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된 보석 정렬부재(42)를 자전시키기 위한 자전용 구동부재(54)가 각각 설치되는 구동부(50); 및 상기 각 공전용 구동부재(52)에 의해 회전되는 각 회전부재(44)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각각의 회전부재 위치검출센서(62)와, 상기 각 보석 정렬부재(4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각각의 정렬부재 위치검출센서(64)를 구비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테이블 이송부(20) 및 상기 보석 흡착부(20)와 구동부(5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의한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자동 보석 부착장치는 모양과 크기가 다른 보석을 보석 정렬부(40)에 각각 구비하고 하나의 보석 흡착부(30)에 의해 좌우 보석 정렬부(40)에서 정렬하는 보석을 순차적으로 보석이 부착될 소재에 부착하므로 공정 수행시 작업 속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양측 보석 정렬부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보석 흡착구를 각각 구비하여 어느 하나가 보석을 흡착하면 나머지 하나는 흡착한 보석을 부착하기 위해 전달하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될 수 있게 한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색상 및 크기에 따라 구분된 보석을 각각 공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급모듈이 양단에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보석 정렬부; 이웃한 상기 공급모듈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에 구비된 상기 공급모듈에서 공급되는 보석을 순차적으로 보석 부착 소재에 부착시키는 보석 부착부; 상기 보석 부착부와 근접한 하측에 구비되며 설정 도안에 따른 해당 좌표로 상기 보석이 부착될 수 있도록 X, Y축 방향 이동 및 Z축 회전으로 회전되는 작업대; 및 상기 보석 정렬부, 보석 부착부 및 작업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공급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 배치 또는 회전되는 방사상 배치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보석 부착부는, 상기 공급모듈에서의 보석 공급 위치와 흡착한 보석의 전달 위치로 회동하는 한 쌍이 교차 형태로 구비되는 보석 흡착구; 상기 보석 흡착구의 하측에 구비되며 보석 전달 위치에서 상기 작업대에 놓인 보석 부착 소재에 보석의 부착 위치로 180°씩 회동하는 보석 부착구; 및 상기 보석 흡착구 및 보석 부착구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의 후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2 구동모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보석 흡착구는 회동시 상기 보석 정렬부의 회전부재 상면과 직교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보석 흡착구는 교차 부위에 대향된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홈들을 인접시켜 각각의 중심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보석 부착구는 대각선 방향 양측 외벽에 배치되는 노즐이 설정 간격만큼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작업대는, 상기 보석 부착구와 근접한 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그 상면에 보석 부착 소재가 안착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Z축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Z축 방향 회동부; 상기 Z축 방향 회동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방향 이동부; 및 상기 Y축 방향 이동부의 저면에 직교된 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방향 이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공급모듈은 복수개가 선형 배치될 경우 상기 보석 정렬부 또는 보석 부착부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는, 양측 보석 정렬부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는 보석 흡착구를 각각 구비하여 어느 하나가 보석을 흡착하면 나머지 하나는 흡착한 보석을 부착하기 위해 전달하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보석 정렬부(100), 보석 부착부(200), 작업대(3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보석 정렬부(100), 보석 부착부(200), 작업대(300) 및 제어부 등과 같은 구성요소가 설치되도록 뼈대를 이루며, 그 저면 모서리 부분마다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0)에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의 외벽을 이루도록 커버가 구비된다.
보석 정렬부(100)는 색상 및 크기에 따라 구분된 보석이 각각 수용되는 공급모듈(110)이 적어도 하나이면서 양단에 대칭되도록 구비되되 본 실시 예에서는 보석 정렬부(100)이 양단에 하나씩 구비된 상태로 예시하며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한편, 보석 정렬부(100)가 다수개로 이루어져 선형 배치될 경우 보석 정렬부(100) 또는 보석 부착부(200) 중 어느 하나가 구동할 수 있도록 구동부(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되, 보석 정렬부(100)가 전후 구동될 경우 해당 공급모듈(110)을 이동시켜 보석 부착부(200)의 중심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할 수 있게 하고, 보석 부착부(200)가 전후 구동될 경우 보석 부착부(200)의 중심을 해당 공급모듈(110)의 중심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공급모듈(110)은 고정 플레이트(120)와, 회전부재(130)와, 외곽부재(132)와, 회전부재 위치검출센서(132a) 및 회전부재 구동모터(140)를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120)는 프레임(10)의 상단 저면에 좌우 양단이 대칭되면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설치된다.
회전부재(13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상면 가장자리에 수용된 보석이 회전되면서 낱개씩 순차 공급되도록 공급 홈(130a)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고정 플레이트(120)의 내측면에 경사진 상태로 구비된다.
회전부재 위치검출센서(132a)는 회전부재(1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공급 홈(130a)을 보석의 공급 위치에서 보석 부착부(200)의 보석 흡착구(210)가 보석을 흡착하게 흡착 위치와 일치시킬 수 있도록 후술할 제어부와 신호를 발신하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된다.
여기서, 회전부재 위치검출센서(132a)는 공급모듈(110)마다 각각 구비되며 외곽부재(132)에 센서 고정축(도면에 미도시)과 센서 고정축의 하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센서 고정구(도면에 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외곽부재(132)는 회전부재(130)의 외곽 중 경사진 하단을 감싸도록 위치하면서 그 내부에 수용된 보석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부재(1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회전부재 구동모터(140)는 인가 전원에 의해 회전부재(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며 공급 홈(130a)이 보석의 공급 위치인 보석 흡착구(210)의 흡착노즐(212)과 동일선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각도를 제어하면서 회전부 재(130)를 회전시킨다.
보석 부착부(200)는 보석 정렬부(100)의 대칭되는 공급모듈(110) 사이인 베이스(12)의 전면 상단에 설치되어 좌우 공급모듈(110)에서 공급되는 보석을 순차적으로 후술할 작업대(300)의 이동 플레이트(310) 상에 위치된 보석 부착 소재에 부착시키는 기능을 하며, 보석 흡착구(210)와, 제1 구동모터(220)와, 보석 부착구(230) 및 제2 구동모터(240)를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 참조)
보석 흡착구(210)는 좌우 대칭 설치된 공급모듈(110)의 사이에서 보석 공급 위치인 공급 홈(130a)에 위치된 보석을 흡착하고 보석 부착구(230)의 전달 위치인 노즐(232)로 흡착한 보석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회전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보석 흡착구(210)는 설정 각도를 갖도록 교차 형성된 한 쌍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보석 흡착구(210)가 일측에 배치된 공급모듈(110)로부터 보석을 흡착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보석 흡착구(210)는 보석 흡착구(210)의 직하방향에 설치되어 있는 보석 부착구(230)의 노즐(232)로 흡착한 보석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보석 흡착구(210)는 회동시 어느 하나가 공급모듈(110)의 회전부재(130) 상면과 직교 방향으로 위치되고, 다른 하나는 보석 부착구(230)의 노즐(232)과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설정 각도로 교차하며, 교차 부위에 대향된 홈을 각각 형성시키고 홈들을 인접시켜 각각의 흡착노즐(212) 중심이 수평선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보석 흡착구(210)는 그 하단에 보석을 공급 홈(130a)으로부터 흡착할 수 있도록 에어 공급라인(도면에 미도시)과 연결되는 흡착노즐(212)이 구비되고 제1 구동모터(220)에 의해 회전각이 제어된다.
제1 구동모터(220)는 보석 흡착구(210)에 인가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하면서 제어부에 의해 회전수를 제어하여 크기가 큰 보석을 부착할 경우 원심력에 의해 보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속으로 운행하고 반대로 크기가 작은 보석은 고속으로 운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제1 구동모터(220)는 제어부에 의해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스탭핑 모터(Stepping motor) 또는 서보 모터(Servo Motor) 등과 같이 회전수의 제어가 가능한 모든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보석 부착구(230)는 보석 흡착구(210)의 하측인 베이스(12)의 정면 하단에 구비되며, 이 보석 흡착구(210)에 의한 보석 전달 위치에서 작업대(300)의 이동 플레이트(310) 상에 놓인 보석 부착 소재에 보석의 부착 위치로 180°만큼 반복 회동한다.
더욱이, 보석 부착구(230)는 대각선 방향의 상하면에 노즐(232)이 각각 구비되되 노즐(232)이 보석 흡착구(210)의 흡착노즐(212)과 이동 플레이트(310)에 설정 간격만큼 이격됨에 따라 이 설정 간격만큼 승강 구동수단(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각각 승강된다. 한편, 보석 부착구(230)는 일체 형성되면서 대각선 상하면에 노즐(232)이 각각 구비되거나 좌우 한 쌍이 구비되면서 대각선 상하면에 노즐(232)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석 부착구(230)에도 회전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보석 부착구(230)도 하나의 노즐(232)이 보석 흡착구(210)의 흡착노즐(212)과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흡착노즐(212)로부터 보석을 전달받는 동안 다른 하나의 노즐(232)은 작업대(300)의 이동 플레이트(310)에 보석을 내려놓게 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제2 구동모터(240)는 보석 부착구(230)에 인가 전원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하면서 제어부에 의해 회전수를 제어하여 크기가 큰 보석을 부착할 경우 원심력에 의해 보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속으로 운행하고 반대로 크기가 작은 보석은 고속으로 운행하도록 한다.
이렇게 제2 구동모터(240)는 제어부에 의해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스탭핑 모터 또는 서보 모터 등과 같이 회전수의 제어가 가능한 모든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작업대(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석 부착부(200)의 보석 부착구(230)와 근접한 하측에 구비되며 설정 도안에 따른 해당 좌표로 보석이 부착될 수 있도록 X, Y축 방향 이동 및 Z축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동 플레이트(310)와, Z축 방향 회동부(310), Y축 방향 이동부(320) 및 X축 방향 이동부(330)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이동 플레이트(310)는 보석 부착구(230)의 하측에 구비되며 그 상면에 보석 부착 소재가 안착된다.
Z축 방향 회동부(310)는 이동 플레이트(3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이동 플레이트(310)의 중심을 Z축 방향으로 회동시키며 회전수 및 회전속도 등을 제어하기 위 한 스탭핑 모터 또는 서보 모터 등과 같이 회전수의 제어가 가능한 모든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Y축 방향 이동부(320)는 Z축 방향 회동부(3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이동 플레이트(3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 및 리니어 가이드 블럭이 구비된다.
그리고 Y축 방향 이동부(320)는 그 일단에 구비된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동 스플라인이 고정되고 그와 이격된 위치에 종동 스플라인이 각각 구비되고 구, 종동 스플라인을 벨트에 의해 연결하되 벨트의 상면에 Z축 방향 회동부(310)가 고정되어 Z축 방향 회동부(310)를 Y축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X축 방향 이동부(330)는 Y축 방향 이동부(320)의 저면에 직교된 상태로 구비되며 이 이동 플레이트(31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리니어 가이드 및 리니어 가이드 블럭이 구비된다.
그리고 X축 방향 이동부(330)는 그 일단에 구비된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동 스플라인이 고정되고 그와 이격된 위치에 종동 스플라인이 각각 구비되고 구, 종동 스플라인을 벨트에 의해 연결하되 벨트의 상면에 X축 방향 이동부(330)가 고정되어 Y축 방향 이동부(320)를 X축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제어부는 프레임(10)의 일측면에 구비되되 보석 공급부(100)의 회전부재 구동모터(140)의 속도와, 보석 부착부(200)의 보석 흡착구(210), 보석 부착구(230)를 구동시키는 제1, 2 구동모터(220, 240)의 회전수 및 작업대(300)의 이동 속도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며, 특히, 제1, 2 구동모터(220, 240)를 제어하여 크기가 큰 보석 을 이동할 때 회전되는 보석 흡착구(210), 보석 부착구(230)에서 원심력에 의해 보석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의 작동 과정은 도 2 내지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설정 도안에 따른 해당 좌표를 제어부에 의해 지정하고 이동 플레이트(310) 상에 보석 부착 소재를 안착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각각의 공급모듈(110)마다 특정 보석의 크기 및 색상을 구분하여 순서대로 동일하게 수용시킨다.
다음으로, 공급모듈(110)의 회전부재(130)를 회전부재 구동모터(140)에 의해 회전시켜 회전부재(130)의 공급 홈(130a)에 보석이 각각 위치되고 회전되면서 보석의 공급 위치에 도달하면 보석 부착부(200)의 보석 흡착구(210)가 보석 공급 위치로 이동하여 흡착노즐(212)로 보석을 공압에 의해 흡착한다.
다음으로, 보석 흡착구(210)의 흡착노즐(212)에 의해 보석을 흡착한 후 제1 구동모터(220)의 구동으로 원위치로 복귀하고 보석 부착구(230)의 노즐(232)이 보석 위치까지 상승하고 공압에 의해 흡착하며 이 보석 부착구(230)가 180°회전하여 이동 플레이트(310)에 안착된 보석 부착 소재에 설정 패턴으로 부착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보석 흡착구(210)는 설정 각도를 갖도록 교차 형성된 한 쌍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보석 흡착구(210)가 일측에 배치된 공급모듈(110)로부터 보석을 흡착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보석 흡착구(210)는 보석 흡착 구(210)의 직하방향에 설치되어 있는 보석 부착구(230)의 노즐(232)로 흡착한 보석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보석 부착구(230)도 하나의 노즐(232)이 보석 흡착구(210)의 흡착노즐(212)과 수직선상에 위치되어 흡착노즐(212)로부터 보석을 전달받는 동안 다른 하나의 노즐(232)은 작업대(300)의 이동 플레이트(310)에 보석을 내려놓게 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보석을 보석 부착 소재에 부착하는 노즐(232) 이외에 다른 노즐(232)은 보석 흡착구(210)에 의해 부착 전의 보석이 대기 상태로 흡착된 상태이다.
여기서, 제어부는 부착할 보석의 크기를 미리 데이터화하고 이를 제어부에 설정하여 보석의 무게가 무거우면 상기 제1, 2 구동모터(220, 240)의 회전수를 낮추고 그 반대로 보석의 무게가 가벼우면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 보석 정렬부(100'), 보석 부착부(200), 작업대(300)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프레임(10), 보석 부착부(200), 작업대(300) 및 제어부는 앞선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석 정렬부(100')는 앞선 실시 예에서 좌,우측 공급모듈(110)이 선형 배치인 것과 달리, 좌,우측 공급모듈(110')이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중심부 상단에 축을 회동시키는 회전 구동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보석 정렬부(100')를 구동부에 의해 회동시켜 해당되는 공급모듈(110')을 보석 부착부(200) 방향으로 회동시켜 해당되는 보석을 보석 부착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 보석 부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의 보석 부착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프레임 100: 보석 공급부
110: 공급모듈 130: 회전부재
200: 보석 부착부 210: 보석 흡착구
212: 흡착노즐 220: 제1 구동모터
230: 보석 부착구 232: 노즐
300: 작업대 310: 이동 플레이트
320: Z축 방향 회동부 320: Y축 방향 이동부
330: X축 방향 이동부

Claims (8)

  1. 색상 및 크기에 따라 구분된 보석을 각각 공급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급모듈이 양단에 대칭되도록 구비되는 보석 정렬부;
    이웃한 상기 공급모듈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단에 구비된 상기 공급모듈에서 공급되는 보석을 순차적으로 보석 부착 소재에 부착시키는 보석 부착부;
    상기 보석 부착부와 근접한 하측에 구비되며 설정 도안에 따른 해당 좌표로 상기 보석이 부착될 수 있도록 X, Y축 방향 이동 및 Z축 회전으로 회전되는 작업대; 및
    상기 보석 정렬부, 보석 부착부 및 작업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석 부착부는,
    상기 공급모듈에서의 보석 공급 위치와 흡착한 보석의 전달 위치로 회동하되 한 쌍이 교차 형태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가 일측에 배치된 공급모듈로부터 보석을 흡착하는 동안 다른 하나는 보석 부착구의 노즐로 흡착한 보석을 전달하는 보석 흡착구와,
    상기 보석 흡착구의 하측에 구비되며 보석 전달 위치에서 상기 작업대에 놓인 보석 부착 소재에 보석의 부착 위치로 180°씩 회동하는 보석 부착구 및
    상기 보석 흡착구 및 보석 부착구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의 후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2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선형 배치 또는 회전되는 방사상 배치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석 흡착구는 회동시 상기 보석 정렬부의 회전부재 상면과 직교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석 흡착구는 교차 부위에 대향된 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홈들을 인접시켜 각각의 중심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석 부착구는 대각선 방향 양측 외벽에 배치되는 노즐이 설정 간격만큼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보석 부착구와 근접한 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그 상면에 보석 부착 소재가 안착되는 이동 플레이트;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Z축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Z축 방향 회동부;
    상기 Z축 방향 회동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방향 이동부; 및
    상기 Y축 방향 이동부의 저면에 직교된 상태로 마련되어 상기 이동 플레이트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방향 이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은 복수개가 선형 배치될 경우 상기 보석 정렬부 또는 보석 부착부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KR1020090031755A 2009-04-13 2009-04-13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KR10093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755A KR100931822B1 (ko) 2009-04-13 2009-04-13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755A KR100931822B1 (ko) 2009-04-13 2009-04-13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822B1 true KR100931822B1 (ko) 2009-12-15

Family

ID=4168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755A KR100931822B1 (ko) 2009-04-13 2009-04-13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8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168B1 (ko) 2011-06-03 2011-10-06 최광택 자동 보석 부착 장치
KR101331400B1 (ko) 2013-05-08 2013-11-21 최광택 원통형 소재용 자동 보석 부착장치
KR101331399B1 (ko) 2013-05-08 2013-11-26 최광택 보석 정렬장치를 갖춘 자동 보석 부착 시스템
CN110279204A (zh) * 2019-07-23 2019-09-27 韦大中 镶石机及镶石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334B1 (ko) * 1993-11-27 1996-04-02 오대근 악세서리용 모조 보석 이식 장치
KR100369300B1 (ko) * 2002-07-18 2003-01-24 최광택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자동 보석 부착장치
KR100689113B1 (ko) 2005-12-16 2007-03-02 임태식 다 종류 보석 동시 자동부착 방법
KR100759088B1 (ko) * 2007-03-19 2007-09-19 최광택 대량 생산형 자동 보석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334B1 (ko) * 1993-11-27 1996-04-02 오대근 악세서리용 모조 보석 이식 장치
KR100369300B1 (ko) * 2002-07-18 2003-01-24 최광택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자동 보석 부착장치
KR100689113B1 (ko) 2005-12-16 2007-03-02 임태식 다 종류 보석 동시 자동부착 방법
KR100759088B1 (ko) * 2007-03-19 2007-09-19 최광택 대량 생산형 자동 보석 부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168B1 (ko) 2011-06-03 2011-10-06 최광택 자동 보석 부착 장치
KR101331400B1 (ko) 2013-05-08 2013-11-21 최광택 원통형 소재용 자동 보석 부착장치
KR101331399B1 (ko) 2013-05-08 2013-11-26 최광택 보석 정렬장치를 갖춘 자동 보석 부착 시스템
CN110279204A (zh) * 2019-07-23 2019-09-27 韦大中 镶石机及镶石系统
CN110279204B (zh) * 2019-07-23 2021-03-23 韦大中 镶石机及镶石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088B1 (ko) 대량 생산형 자동 보석 부착장치
KR100931822B1 (ko) 다수의 보석 정렬부를 갖는 고속 자동 보석 부착장치
EP1541311B1 (en) Pasted base board cutting system and base board cutting method
KR101331067B1 (ko) 취성 재료 기판의 수직 공급 로더 컨베이어 장치
CN100496889C (zh) 工件的侧边加工装置
JP5490650B2 (ja) 位置決めテーブル
US20090124171A1 (en) Grinding machine
HU222140B1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munkadarabok mechanikus megmunkálásához és szerkezeti egységek fel- és leszereléséhez
CN109015194B (zh) 一种治具组件可翻转的自动抛光机及抛光方法
WO2007055339A1 (ja) 三次元位置決めテーブル
CN101450465A (zh) 超磨粒设置设备
KR100939533B1 (ko) 모티브용 장식구 부착장치
KR20050048476A (ko) 부품실장장치
JP2002057498A (ja) 配線板作業システム
KR101016491B1 (ko) 핫픽스 자동 배열장치
JP4490449B2 (ja) ワーク吸着搬送装置
KR101070168B1 (ko) 자동 보석 부착 장치
JP3895483B2 (ja) ワーク吸着搬送装置
KR100833102B1 (ko) 3차원 곡면을 가진 제품의 위치 고정 시스템
KR20120079288A (ko) 서로 다른 사이즈의 기판을 고정할 수 있는 척 장치
CN205951571U (zh) 一种上下料装置
TWM612607U (zh) 劃片裝置
JP5170225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生産システム
KR100666239B1 (ko) 웨이퍼 얼라인 장치
KR20100003934A (ko) 부품실장기의 헤드 어셈블리 및 이를 사용한 헤드어셈블리의 부품 흡착, 장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