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892B1 -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892B1
KR100930892B1 KR1020020084426A KR20020084426A KR100930892B1 KR 100930892 B1 KR100930892 B1 KR 100930892B1 KR 1020020084426 A KR1020020084426 A KR 1020020084426A KR 20020084426 A KR20020084426 A KR 20020084426A KR 100930892 B1 KR100930892 B1 KR 10093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conductor
speaker
microphon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658A (ko
Inventor
원종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8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다급한 상황에서 단말기를 꺼꾸로 받더라도 단말기를 바로 들거나 꺼꾸로 들고 사용함에 관계없이 통화 및 디스플레이를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한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센서 감지장치, 마이크, 스피커

Description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The mobile phone useable regardless of up and down and method the same using}
도 1 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2개의 스피커와 2개의 마이크가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뒷면 일 부분에 센서장치를 구성하여 단말기가 똑바로 들렸는지 아니면 꺼꾸로 들렸는지를 감지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도 2 에 도시한 센서 감지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3 의 센서 감지장치를 A-A’단면으로 절개한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스피커와 마이크 신호를 처리하는 스위치 회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나타난 글이나 그림을 똑바로 또는 180도 회전된 역으로 처리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11, 14 : 스피커 12, 13 : 마이크
40 : 센서 감지장치 51, 52, 61, 62, : 도체
45 : 부도체 50 : 상부센서 감지부
60 : 하부센서 감지부 55 : 관통로
70 : 도체 구슬 80 : 스위칭부
81 : 상향신호 82 : 하향신호
83 : 마이크신호 84 : 스피커신호
85 : 상향 송수신처리부 86 : 하향 송수신처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급하게 사용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한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를 바로 들거나 꺼꾸로 들고 사용함에 관계없이 통화 및 디스플레이를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한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들어 밧데리의 소형화와 디스플레이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플립형에서 폴더형으로 제품의 디자인과 기술이 전개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측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커버와 내측에 다수의 키패드가 설치된 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1개의 외장형 스피커와 1개의 내장형 리시버를 각각 구비하고, 단말기에 호출이 검출되면 외부 스피커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호출을 알리는 벨소리를 들려주고, 사용자가 커버를 오픈하면 내부 리시버를 통하여 호출자의 음성을 들려주고 있다.
더욱이 상기 외부 스피커는 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단순한 벨소리뿐 아니라 각종 오디오 신호를 마치 오케스트라와 같이 큰 음압으로 재생하는 발전상태에 있다.
이러한 분리형 1스피커-1리시버를 채용하는 경우 각각 독립된 기능을 발휘하여 주파수 특성 등의 성능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나, 상대적으로 제품의 단가가 높고 단말기의 많은 공간을 점유하게 되어 점차적으로 소형화를 지향하는 추세에 적합한 해결방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 1스피커-1리시버를 채용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급박한 상황에서 단말기에 벨이 울리면 급하게 허둥지둥 전화를 받는 경우, 종종 단말기를 꺼꾸로 잡아서 스피커(수화기)가 사용자의 입의 위치에 놓이게 되고, 단말기의 마이크(송화기)가 사용자의 귀의 위치에 놓이게 되어서 통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황당하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다급한 상황에서 단말기를 꺼꾸로 받더라도 단말기를 바로 들거나 꺼꾸로 들고 사용함에 관계없이 통화 및 디스플레이를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한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부폴더 일측에 구비된 제1 스피커 및 하부폴더 일측에 구비된 제1 마이크로 구성된 상향 송수신처리부와; 상기 상부폴더 타측에 구비된 제2 마이크 및 상기 하부폴더 타측에 구비된 제2 스피커로 구성된 하향 송수신처리부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및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와;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및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부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 감지부와; 상기 센서 감지부를 통해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함이 감지되면, 상기 상향 송수신처리부의 제1 스피커 및 제1 마이크가 동작되도록 스위칭하는 상향 스위치부와; 상기 센서 감지부를 통해 상기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함이 감지되면, 상기 하향 송수신처리부의 제2 마이크 및 제2 스피커가 동작되도록 스위칭하는 하향 스위치부와; 상기 센서 감지부를 통해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함이 감지되면,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의 화면이 정상 표시되도록 스위칭하는 상향 디스플레이 스위치부와; 상기 센서 감지부를 통해 상기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함이 감지되면, 상기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의 화면이 거꾸로 표시되도록 스위칭하는 하향 디스플레이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감지부는 중앙에 원형의 도체 구슬이 상하로 자유롭게 접촉되어 이동할 수 있는 관통로와, 상기 관통로의 상부 좌측에는 제1 도체가 구비되고 우측에는 제2 도체가 구비되며, 제1 도체와 제2 도체 사이에는 부도체가 구비된 상부센서 감지부와, 상기 관통로의 하부 좌측에는 제3 도체가 구비되고 우측에는 제4 도체가 구비되며, 제3 도체와 제4 도체 사이에는 부도체가 구비된 하부센서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센서 감지부와 하부센서 감지부의 사이에 부도체를 구비하여 서로 구분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본체의 상부폴더 일측에 구비된 제1 스피커 및 하부폴더 일측에 구비된 제1 마이크와, 상기 상부폴더의 타측에 구비된 제2 마이크 및 상기 하부폴더의 타측에 구비된 제2 스피커와,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및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를 수신하여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상기 본체의 위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스피커와 제1 마이크를 동작시키고,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의 화면을 정상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2 마이크와 제2 스피커를 동작시키고, 상기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의 화면을 거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2개의 스피커와 2개의 마이크가 구성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사용자가 단말기(10)를 정상으로 들고 사용할 경우에는 상부 제1스피커(11)를 수화기로 사용하고 하부 제1마이크(12)를 송화기로 사용한다.
그러나, 단말기(10) 사용자가 급한 상황에서 단말기(10)를 꺼꾸로 들고 사용을 하게되면 단말기(10)의 하부에 설치된 제2스피커(14)를 수화기로 사용하고 상부에 설치된 제2마이크(13)를 송화기로 사용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뒷면 일 부분에 센서 감지장치를 구성하여 단말기가 똑바로 들렸는지 아니면 꺼꾸로 들렸는지를 감지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에서 센서 감지장치(40)는 단말기(10)의 상부폴더(20) 일 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고 하부폴더(30) 일 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 은 상기 도 2 에 도시한 센서 감지장치(4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상기 도 3 의 센서 감지장치(40)를 A-A’단면으로 절개한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 3 과 도 4 에서 센서 감지장치(40)는 중심부가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로(55)가 구비되고, 관통로(55)의 상부 좌측에는 제1도체(51)가 구비되고 우측에는 제2도체(52)가 구비되며, 제1도체(51)와 제2도체(52) 사이에는 부도체(45)가 구비되는 상부센서 감지부(50)가 구성된다.
상기 센서 감지장치(40)의 관통로(55)의 하부 좌측에는 제3도체(61)가 구비되고 우측에는 제4도체(62)가 구비되며, 제3도체(61)와 제4도체(62) 사이에는 부도체(45)가 구비되는 하부센서 감지부(60)가 구성된다.
상기 상부센서 감지부(50)와 하부센서 감지부(60) 사이의 관통로(55)에는 부도체(45)가 구비되어 관통로(55)를 따라 상기 상부센서 감지부(50)와 하부센서 감지부(60)를 구분하여 서로 분리시킨다.
상기 센서 감지장치(40)의 관통로(55)에는 이 관통로(55)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도체형의 원형구슬(70)이 구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단말기(10)를 똑바로 들면 상기 도체형의 원형구슬(70)이 하부센서 감지부(60)의 제3도체(61)와 제4도체(62) 사이를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해준다.
그러면, 단말기(10)는 상부 제1스피커(11)를 수화기로 사용하고 하부 제1마이크(12)를 송화기로 사용하는 정상적인 송수신 동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단말기(10)를 꺼꾸로 들면 상기 도체형의 원형구슬(70)이 이동하여 상부센서 감지부(50)의 제1도체(51)와 제2도체(52) 사이를 접속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해준다.
그러면, 단말기(10)는 하부에 설치된 제2스피커(14)를 수화기로 사용하고 상부에 설치된 제2마이크(13)를 송화기로 사용는 꺼꾸로든 단말기의 송수신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5 는 본 발명의 스피커와 마이크 신호를 처리하는 스위치 회로도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단말기(10)를 똑바로 들면 상기 도체형의 원형구슬(70)이 하부센서 감지부(60)의 제3도체(61)와 제4도체(62) 사이를 접속하여 연결해줌으로써 발생된 전기적인 단말기 상향신호(81)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단말기(10)를 꺼꾸로 들면 상기 도체형의 원형구슬(70)이 이동하여 상부센서 감지부(50)의 제1도체(51)와 제2도체(52) 사이를 접속하여 연결해줌으로써 발생된 전기적인 단말기 하향신호(82)가 스위칭부(80)에 입력된다.
상기 스위칭부(80)에 단말기 상향신호(81)가 입력되면 단말기 상향스위치(66)(67)가 온되어 마이크 신호(83)가 온된 단말기 상향스위치(66)를 통해 상향 송수신처리부(85)의 마이크(12)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단말기 상향스위치(67)도 온되어 스피커 신호(84)가 온된 단말기 상향스위치(67)를 통해 상향 송수신처리부(85)의 스피커(11)를 작동시킨다.
한편, 상기 스위칭부(80)에 단말기 하향신호(82)가 입력되면 단말기 하향스위치(56)(57)가 온되어 마이크 신호(83)가 온된 단말기 하향스위치(56)를 통해 하향 송수신처리부(86)의 마이크(13)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상기 단말기 하향스위치(57)도 온되어 스피커 신호(84)가 온된 단말기 하향스위치(57)를 통해 하향 송수신처리부(86)의 스피커(14)를 작동시킨다.
도 6 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나타난 글이나 그림을 똑바로 또는 180도 회전된 역으로 처리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도로서, 단말기 상향신호(81)와 단말기 하향신호(82)가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스위칭부(90)에 입력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스위칭부(90)에 단말기 상향신호(81)가 입력되면 단말기 상향스위치(97)가 온되어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제어신호(91)가 온된 단말기 상향스위치(97)를 통해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장치(95)의 글과 그림을 똑바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작동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스위칭부(90)에 단말기 하향신호(82)가 입력되면 단말기 하향스위치(98)가 온되어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제어신호(91)가 온된 단말기 하향스위치(98)를 통해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장치(96)의 글과 그림을 꺼꾸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작동시킨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링신호가 울리면(701) 사용자는 전화통화를 하기위하여 단말기를 손으로 들게(702)된다.
이때,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단말기를 손에 들기도 하지만 때로는 급박한 상황에서 전화를 받게될 때 무의식중에 단말기를 꺼꾸로 들게되는 당황스런 경우가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하기위하여 단말기를 똑바로 들었는지 꺼꾸로 들었는지 판단(703)하여 단말기를 똑바로 든 정상통화 상태이면 상향 송수신처리부(85)의 스피커(11)와 마이크(12)를 정상으로 동작 시키고, 동시에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장치(95)에 디스플레이 되는 글과 그림도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 판단(703)결과 단말기를 꺼꾸로 든 통화 상태이면 하향 송수신처리부(86)의 스피커(14)와 마이크(13)를 꺼꾸로 동작 시키고, 동시에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장치(96)에 디스플레이 되는 글과 그림도 꺼꾸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단말기를 똑바로 들고 통화하거나, 또는 다급한 상태에서 단말기를 꺼꾸로 들고 통화를 하더라도 단말기의 센서 감지장치가 이를 감지하여 양쪽모두를 정상적으로 처리하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단말기사용에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부폴더 일측에 구비된 제1 스피커 및 하부폴더 일측에 구비된 제1 마이크로 구성된 상향 송수신처리부;
    상기 상부폴더 타측에 구비된 제2 마이크 및 상기 하부폴더 타측에 구비된 제2 스피커로 구성된 하향 송수신처리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및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및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부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센서 감지부;
    상기 센서 감지부를 통해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함이 감지되면, 상기 상향 송수신처리부의 제1 스피커 및 제1 마이크가 동작되도록 스위칭하는 상향 스위치부;
    상기 센서 감지부를 통해 상기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함이 감지되면, 상기 하향 송수신처리부의 제2 마이크 및 제2 스피커가 동작되도록 스위칭하는 하향 스위치부;
    상기 센서 감지부를 통해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함이 감지되면,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의 화면이 정상 표시되도록 스위칭하는 상향 디스플레이 스위치부; 및
    상기 센서 감지부를 통해 상기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함이 감지되면, 상기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의 화면이 거꾸로 표시되도록 스위칭하는 하향 디스플레이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감지부는, 중앙에 원형의 도체 구슬이 상하로 자유롭게 접촉되어 이동할 수 있는 관통로와, 상기 관통로의 상부 좌측에는 제1 도체가 구비되고 우측에는 제2 도체가 구비되며, 제1 도체와 제2 도체 사이에는 부도체가 구비된 상부센서 감지부와, 상기 관통로의 하부 좌측에는 제3 도체가 구비되고 우측에는 제4 도체가 구비되며, 제3 도체와 제4 도체 사이에는 부도체가 구비된 하부센서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센서 감지부와 하부센서 감지부의 사이에 부도체를 구비하여 서로 구분하여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이동 단말기 본체의 상부폴더 일측에 구비된 제1 스피커 및 하부폴더 일측에 구비된 제1 마이크와, 상기 상부폴더의 타측에 구비된 제2 마이크 및 상기 하부폴더의 타측에 구비된 제2 스피커와, 상기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 및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를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를 수신하여 통화 가능 상태가 되면, 상기 본체의 위치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1 스피커와 제1 마이크를 동작시키고, 상기 상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의 화면을 정상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가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제2 마이크와 제2 스피커를 동작시키고, 상기 하향 디스플레이 표시 장치의 화면을 거꾸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하 구분없이 사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방법.
KR1020020084426A 2002-12-26 2002-12-26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KR10093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426A KR100930892B1 (ko) 2002-12-26 2002-12-26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426A KR100930892B1 (ko) 2002-12-26 2002-12-26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658A KR20040057658A (ko) 2004-07-02
KR100930892B1 true KR100930892B1 (ko) 2009-12-10

Family

ID=3735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426A KR100930892B1 (ko) 2002-12-26 2002-12-26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8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959A (ja) * 1984-06-21 1986-01-13 Fujitsu Ltd リバ−シブルな送受話器を有する電話機
KR20010000127A (ko) * 2000-05-25 2001-01-05 윤서용 데이터 표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959A (ja) * 1984-06-21 1986-01-13 Fujitsu Ltd リバ−シブルな送受話器を有する電話機
KR20010000127A (ko) * 2000-05-25 2001-01-05 윤서용 데이터 표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658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75323A1 (en) Headset System With Two User Interfaces
US9413862B2 (en) Apparatus enabling automatically adjusting functions of components thereof
US20100285759A1 (en) Mobile device having at least two antennas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H06216978A (ja) 送受信機
JP2004336091A (ja)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JP4056518B2 (ja) 携帯情報端末、そ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16248B2 (ja) 携帯端末
JP5494327B2 (ja) 無線通信装置
GB2381989A (en) Folding radiotelephone capable of receiving and transmitting voice sounds when closed
KR100630127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폴더 타입 무선 단말기 및 보조표시부 구동방법
KR100930892B1 (ko) 상하 구분없이 사용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사용방법
JP2003018267A (ja) 携帯電話機
JPH10285258A (ja) 携帯電話端末
KR100692773B1 (ko) 리시버-라우드 스피커 통합형의 이중 스피커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667227B2 (ja) 携帯電話機
JP3763995B2 (ja) 携帯電話機
KR100469172B1 (ko) 수신신호에 따라 그 출력음량이 가변적인 휴대통신 단말기및 그 구현방법
JP3524859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発光色選択方法
JP2004207963A (ja) 携帯端末と携帯端末の操作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680777B2 (ja) 携帯電話機
JP2003289365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機
KR10054839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JPH1117609A (ja) 複合無線携帯端末装置
JP2005217695A (ja) 耳掛け式通話装置
KR200357154Y1 (ko) 스피커가 일체로 구비된 휴대폰용 리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