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820B1 -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 Google Patents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820B1
KR100930820B1 KR1020080113776A KR20080113776A KR100930820B1 KR 100930820 B1 KR100930820 B1 KR 100930820B1 KR 1020080113776 A KR1020080113776 A KR 1020080113776A KR 20080113776 A KR20080113776 A KR 20080113776A KR 100930820 B1 KR100930820 B1 KR 10093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roof structure
pulley
sunshad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환
권국한
Original Assignee
오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환 filed Critical 오세환
Priority to KR102008011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구조물의 차양막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옥외 구조물의 지붕은 일정 간격으로 직립되게 매설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부재와, 상기 지주부재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천장 골조를 종, 횡으로 연결하여 기초를 마련하는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호 연결 가능한 다수개의 지붕 시트로 이루어진 지붕구조물; 상기 지붕구조물 양단에 각각 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상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구동하는 풀리; 및 상기 지붕구조물 상부에 위치되고, 와이어와 연결되어 풀리 구동에 의해 종 방향 또는 횡 방향 중 어느 한쪽 단부로 차폐되는 차양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조사되는 자연광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온실효과를 방지시킴으로써 쾌적한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113776
지붕 시트, 차양막, 풀리, 유니버셜 조인트, 지붕구조물

Description

지붕구조물의 차양막{Pent Roof of the Roof Structure}
본 발명은 지붕구조물 차양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조사되는 자연광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온실효과를 방지시킴으로써 쾌적한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지붕구조물의 차양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과 건물사이 또는 건물 현관의 이동통로의 상부에 비나 눈을 피할 수 있도록 반구형 지붕을 갖는 구조물이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그 지붕 구조물은 일명 아케이드(arcade)라 칭하며, 그 아케이드는 아치형 건축양식으로 회랑(回廊)이라고도 지칭하며, 통상적인 의미로 건물과 건물 사이의 통로 공간을 양측과 전후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 구조를 칭한다. 기존의 아케이드는 그 지붕이 함석이나 천막지 등을 이용하여 비나 눈을 피하도록 된 것이 있으나, 이는 햇빛을 받지 못하여 조명이 어두운 관계로 인하여 최근에는 투광이 가능한 투명소재의 투광창을 주로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지붕 구조물은 그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다수개의 지붕 시트가 상호 접합, 연결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구조물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옥외 구조물의 지붕은 일정 간격으로 직립되게 매설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부재(1)들과, 상기 지주부재(1)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천장 골조를 종, 횡으로 연결하여 기초를 마련하는 시트 프레임(2,3)과, 상기 시트 프레임(210)(220)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호 연결 가능한 다수개의 지붕 시트(4)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지붕 구조물은 상부 전체가 지붕 시트에 의해 차단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지붕 시트를 통과한 햇볕이 지붕 구조물 내부에서 복사열을 발생시켜 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온의 온실 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조사되는 자연광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온실효과를 방지시킴으로써 쾌적한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지붕구조물의 차양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지붕구조물의 차양막은, 일정 간격으로 직립되게 매설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부재와, 상기 지주부재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천장 골조를 종, 횡으로 연결하여 기초를 마련하는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호 연결 가능한 다수개의 지붕 시트로 이루어진 지붕구조물; 상기 지붕구조물 양단에 각각 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상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구동하는 풀리; 상기 지붕구조물 상부에 위치되고, 와이어와 연결되어 풀리 구동에 의해 횡 방향의 한쪽 단부로 차폐되는 차양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풀리에는 이웃하는 위치에 차양막의 차폐 상태를 감지하게 하는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은 상기 모터가 구비된 측의 반대 측 와이어와 고정 결합되어 동작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조사되는 자연광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온실효과를 방지시킴으로써 쾌적한 내부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붕구조물의 차양막은, 일정 간격으로 직립되게 매설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부재와, 상기 지주부재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천장 골조를 종, 횡으로 연결하여 기초를 마련하는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호 연결 가능한 다수개의 지붕 시트로 이루어진 지붕구조물; 상기 지붕구조물 양단에 각각 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상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구동하는 풀리; 상기 지붕구조물 상부에 위치되고, 와이어와 연결되어 풀리 구동에 의해 횡 방향의 한쪽 단부로 차폐되는 차양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풀리에는 이웃하는 위치에 차양막의 차폐 상태를 감지하게 하는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차양막은 상기 모터가 구비된 측의 반대측 와이어와 고정 결합되어 동작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지붕구조물의 차양막은 옥외 구조물의 지붕은 일정 간격으로 직립되게 매설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부재(110)와, 상기 지주부재(110)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천장 골조를 종, 횡으로 연결하여 기초를 마련하는 시트 프레임(122,124)과, 상기 시트 프레임(122,124)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호 연결 가능한 다수개의 지붕 시트(130)로 이루어지는 지붕구조물(100); 상기 지붕구조물(100) 양단에 각각 축 지지대(210a)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모터(213)에 의해 회전되는 유니버셜 조인트(210);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210) 상에 결합되어 와이어(212)를 구동하는 풀리(211); 및 상기 지붕구조물(100) 상부에 위치되고, 와이어(212)와 고정핀(215)에 의해 연결되어 풀리 구동에 의해 횡 방향 중 한쪽 단부로 차폐되는 차양막(214)을 포함하는 차양막구조체(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양막구조체(200)는 돔 형태의 지붕구조물(100)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전체를 덥고 있게 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니버셜 조인트와 풀리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접히며 지붕구조물 상부를 차폐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길이 방향으로 차폐되는 구성을 기재하여 설명하고 있다.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프레임 길이 방향 양단에 위치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축 지지대를 통해 각각 지지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양단 중 어느 하나 일측(도면상 좌측에 도시)에 구동 풀리(213a)와 종동 풀리(213b)을 통해 모터와 연결시키고, 상기 각각의 유니버셜 조인트(210)의 관절과 관절 사이에 축 지지대가 지지하도록 하며, 축 지지대와 이웃한 위치에 풀리를 고정시켜 모터의 구동과 동시에 유니버셜 조인트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풀리가 회전하여 풀리와 결합된 와이어가 풀리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붕구조물을 덥고 있는 차양막(214) 일측(도면상의 좌측)은 지붕구조물에 고정되고, 타측(도면상의 우측)은 고정핀을 이용해 와이어와 고정되게 한 상태로 와이어의 이동 방향에 따라 차양막이 지붕구제물 전체를 차폐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붕 시트를 통해 유입된 햇볕으로 인해 내부가 고온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양막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단에 위치한 풀리 측에는 이웃한 위치에 각각 차양막의 차폐 상태를 확인하는 감지수단(216)을 더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와이어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와 연결된 고정핀이 지붕구조물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되게 하고 차폐상태에 따라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으로는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지붕구조물(100) 상부 중앙 영역이 개구된 상태의 환풍구(140)가 설치된 상태로서 상기 차양막구조체(200)를 환풍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되게 구비시켜 설치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지붕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붕구조물의 차양막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붕구조물의 차양막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붕구조물 110 : 지주부재
122,124 : 시트 프레임 130 : 지붕 시트
140 : 환풍구 200 : 차양막구조체
210 : 유니버셜 조인트 211 : 풀리
212 : 와이어 213 : 모터
214 : 차양막 215 : 고정핀
216 : 감지수단

Claims (3)

  1. 일정 간격으로 직립되게 매설되는 기둥 형태의 지주부재와, 상기 지주부재와 연결되는 여러 개의 천장 골조를 종, 횡으로 연결하여 기초를 마련하는 시트 프레임과, 상기 시트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호 연결 가능한 다수개의 지붕 시트로 이루어진 지붕구조물;
    상기 지붕구조물 양단에 각각 축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상에 결합되어 와이어를 구동하는 풀리;
    상기 지붕구조물 상부에 위치되고, 와이어와 연결되어 풀리 구동에 의해 횡 방향의 한쪽 단부로 차폐되는 차양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에는 이웃하는 위치에 차양막의 차폐 상태를 감지하게 하는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은 상기 모터가 구비된 측의 반대 측 와이어와 고정 결합되어 동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KR1020080113776A 2008-11-17 2008-11-17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KR100930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776A KR100930820B1 (ko) 2008-11-17 2008-11-17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776A KR100930820B1 (ko) 2008-11-17 2008-11-17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820B1 true KR100930820B1 (ko) 2009-12-10

Family

ID=4168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776A KR100930820B1 (ko) 2008-11-17 2008-11-17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8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23B1 (ko) 2012-07-30 2012-12-18 오리코스포텍(주) 차양기능이 강화된 퍼걸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426A (ja) 1998-12-21 2000-07-04 Shimizu Corp 建物施工用の仮設屋根
KR200416631Y1 (ko) 2006-02-27 2006-05-22 김동선 비닐하우스 지붕 적설방지장치
KR200427624Y1 (ko) 2006-07-14 2006-09-28 (주)씨에스아이디산업 시장 아케이드용 차양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426A (ja) 1998-12-21 2000-07-04 Shimizu Corp 建物施工用の仮設屋根
KR200416631Y1 (ko) 2006-02-27 2006-05-22 김동선 비닐하우스 지붕 적설방지장치
KR200427624Y1 (ko) 2006-07-14 2006-09-28 (주)씨에스아이디산업 시장 아케이드용 차양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23B1 (ko) 2012-07-30 2012-12-18 오리코스포텍(주) 차양기능이 강화된 퍼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363282B2 (en) Pergola cover
EP0593201A1 (en) A shading apparatus for glazed facade or roof elements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US10738473B2 (en) Solar shading module, glazed structure, building, and method of operating a solar shading module
KR101021166B1 (ko) 확대반사수단을 갖는 역방향 자연채광장치
KR100713802B1 (ko) 독립형 자연채광장치
JP5499382B2 (ja) 採光装置
KR101281265B1 (ko) 지하공간 출입구의 환기 및 채광제어장치
CN102484974A (zh) 用于双向开启和关闭温室屋顶的通风窗口的设备
KR100930820B1 (ko) 지붕구조물의 차양막
KR101256635B1 (ko) 차양과 통풍과 방풍 겸용 지붕 및 이를 이용한 야외 시설물
JP2008150858A (ja) 手摺壁及び建物
JP5295872B2 (ja) 建物
KR101090972B1 (ko) 접이식 창문
KR10205693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광선반
JP2005530067A (ja) 室内の日除け装置
TWI693326B (zh) 導光隔熱排風屋頂
KR100592426B1 (ko) 독립형 자연채광장치
JP6097508B2 (ja) 回転式屋根
JP2020178647A (ja) 農業用ハウスの採光構造
JP2016011543A (ja) 太陽光発電屋根及び架台
JP2008231801A (ja) 建物
JP6890951B2 (ja) 建物
JP6943353B2 (ja) 建物
AU2012100990A4 (en) Daylighting arrangements using channel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