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598B1 -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사용방법 - Google Patents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598B1
KR100930598B1 KR1020070082680A KR20070082680A KR100930598B1 KR 100930598 B1 KR100930598 B1 KR 100930598B1 KR 1020070082680 A KR1020070082680 A KR 1020070082680A KR 20070082680 A KR20070082680 A KR 20070082680A KR 100930598 B1 KR100930598 B1 KR 10093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model tooth
articulator
tooth frame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312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07008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5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2Protective casings, e.g. boxes for instruments;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10Supports for artificial teeth for transport or for comparison of the colo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형 치아틀을 교합기에 고정·분리시 사용하는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는,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저면에 밀착되며 중앙에 관통공(H)이 형성된 바닥부(30)와; 바닥부(30)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상향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벽부(40)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바닥부(30)와 측벽부(40)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는, 교합기에 모형 치아틀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리시에도 모형 치아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뿐 아니라 외관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형 치아,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교합기

Description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 사용방법{The fixing frame of teeth model and the fixe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환자의 치아를 본 떠 만든 상·하 모형 치아틀의 교합상태를 보기 위하여 석고 반죽을 이용하여 교합기에 모형 치아틀을 고정시키고, 교합을 끝낸 모형 치아틀을 교합기로부터 분리시킴에 있어서,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와 석고의 결합 정도는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분리는 쉽도록 할 뿐 아니라 분리된 후에도 베이스 부재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재에 결합시키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진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치아는, 인간의 오복 중의 하나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간의 생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쪼개어 삼키기 편리하도록 해주고, 잘게 쪼개진 음식물이 위나 장에서 원활하게 소화 흡수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정 확한 발음으로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등 인간의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치아는, 사람의 신체 부위 중 가장 강성이 큰 부위임에도 불구하고 음식물과의 잦은 접촉에 의해 부분적으로 마모되거나, 썩게 되고, 딱딱한 음식물 등에 의한 충격으로 일부가 파손되기도 하며, 심한 경우에는 사고 등에 의해 치아 일부 혹은 전체가 손실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이 손실되거나 손상된 치아는, 음식물 섭취와 대화에 직접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물론, 상하지 않은 건강한 다른 치아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치아에 이상이 있을 때는 곧바로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치아를 치료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용어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하기로 한다.
즉, 이상이 생긴 치아는, 치아 전체를 인공치아로 완전히 교체하거나, 치아의 손상된 부위에 금속, 예를 들어, 금, 아말감, 백금 등을 덧대거나 덮어씌우게 되는바, 상기와 같이 손상된 치아를 치료하기 위한 인공치아, 금속 등 모두를 '의치'라 하기로 한다.
손실되거나 손상된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치과에서 손실된 치아의 잔존물까지 완전히 제거하거나, 썩거나 부러진 부위 등을 갈아내게 된다.
그리고, 아가(agar)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를 정확히 본 뜨고, 그 네거티브(negative) 본에 분말상 스톤 또는 경석고 등의 반죽을 부은 후 굳힘으로써, 환자의 치아 형태와 동일한 모형 치아를 제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형 치아가 제작되면, 모형 치아의 저면에 필요로 되는 수만큼의 핀을 결합시키고, 실리콘 등의 연질재로 만들어진 성형틀에 석고 반죽을 부은 후 석고가 경화되기 전 상기 모형 치아에 결합된 핀만이 매입되도록 석고 반죽의 상면에 모형 치아를 올려놓음으로써, 석고로 이루어진 베이스 부재의 상면에 모형 치아가 결합된 모형 치아틀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모형 치아틀이 완성되면, 모형 치아 부분만을 다수 부분으로 절단함으로써, 치료가 필요로 되는 부분 모형 치아를 모형 치아틀로부터 분리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치료 대상이 되는 부분 모형 치아를 분리하여 좌·우 치아들과의 교합 상태를 조사, 수정하여 정확한 형상의 의치를 제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모형 치아틀은 치료 대상 치아가 있는 치아 전체의 틀을 제작한 것으로, 즉, 반원형의 윗니 또는 아랫니의 모형 치아틀을 제작한 것으로, 치료 대상 치아에 대한 의치를 제작하되 좌·우 치아와의 교합관계까지 고려하여 의치를 제작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윗니나 아랫니만 제작된 하나의 모형 치아틀로는 좌·우 치아의 교합 상태만을 고려할 수 있을 뿐,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상태까지는 확인할 수 없는 바, 이를 위하여 윗니에 대한 모형 치아틀과 아랫니에 대한 모형 치아틀을 서로 교합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교합기를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교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한 쌍의 바형 지지브라켓(11A)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브라켓(11A)에 연장되어 지지브라켓(11A)과 수직을 이루는 회동바(11B)가 구비된 상부 프레임(11)과, 일측에는 한 쌍의 바 형 지지브라켓(12A)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지지브라켓(12A)에 연장되어 상기 회동바(11B)와 결합되는 지지구(12B)가 구비된 하부 프레임(12)과, 상기 상·하부 프레임(11)(12)을 분리 가능하게 탄성 결합시켜주는 탄성부재(13)로 구성되는 것으로, 회동바(11B)와 지지구(12B)의 회동에 의해 상·하부 지지브라켓(11A)(12A)의 간격이 조절되는 구조이다.
상기 상·하부 프레임의 각 지지브라켓에 상·하 모형 치아틀을 고정한 상태로 하부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부 프레임을 회동시켜 상·하 모형 치아틀의 치아 교합상태를 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지지브라켓에 결합된 상·하 모형 치아틀이 흔들리거나 유동될 경우에는 정확한 모형 치아의 교합 상태를 보기 힘든바, 지지브라켓에 모형 치아틀의 고정 결합이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인데, 지지브라켓에 모형 치아틀을 고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아 모형틀의 베이스에 상기 지지브라켓을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홈에 지지브라켓을 끼워 고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홈 내에서 지지브라켓이 유동하게 되는바, 지지브라켓이 움직이지 않도록 별도로 고정시켜야 할 뿐 아니라 치아 모형틀에 홈을 형성하는 공정도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방법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상태의 석고(14)를 이용하여 모형 치아틀(15)과 지지브라켓(11A)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으로, 모형 치아틀(15)의 베이스 부재가 석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결합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교합을 끝낸 후 지지브라켓(11A)으로부터 모형 치아틀(15)을 분리하고자 할 때, 모형 치아틀(15)과 석고가 정확히 분리되지 않아 모형 치아틀(15)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치과에 제공되는 모형 치아틀의 외관을 손상시켜 가치를 떨어뜨리게 될 뿐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모형 치아까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모형 치아틀을 교합기에 고정·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에 본 발명을 결합시킨 상태로 교합기에 고정함에 있어서, 모형 치아틀과 석고 반죽의 결합 정도는 정하시키지 않으면서 교합 작업 후 교합기로부터 모형 치아틀의 분리를 용이하게 해줄 뿐 아니라, 분리시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정의 편의성 및 모형 치아틀을 깨끗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도록 한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 사용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보호장치는, 바닥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과 전체가 연질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환자의 치아를 본 떠 만든 형상물을 모형 치아로, 모형 치아의 저면에 결합되어 모형 치아의 전체적인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형상물을 베이스 부재로, 상기 모형 치아와 베이스 부재를 통틀어 모형 치아틀로 정의한다.
본 발명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는,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저면에 밀착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바닥부와, 바닥부의 테두리부에서 일체로 상향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의 전 측면에 밀착되는 측벽부로 구성 된다.
즉, 본 발명의 보호장치는 바닥부와 측벽부에 의한 상향 개방형 공간부를 갖는 그릇형상으로, 그 내부에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가 삽입 결합되는데, 이때, 보호장치가 연질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형 치아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상기 보호장치의 바닥부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바, 보호장치 내에 삽입된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저면이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데, 관통공을 통해 노출된 베이스 부재의 저면 중앙에 교합기의 지지브라켓을 접촉시킨 후 석고 반죽으로 고정 결합시키게 되는바, 베이스 부재와 석고 반죽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키되 결합력은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교합기의 지지브라켓에 고정 결합된 모형 치아틀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브라켓에 외력을 가하여 경화된 석고를 부숴 보호장치에 삽입된 모형 치아틀과 지지브라켓을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석고는 보호장치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저면 일부에만 고정 결합되었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의 측면이나 저면 테두리부는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모형 치아틀 특히 베이스 부재의 외관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는, 석고 반죽을 이용하여 교합기에 모형 치아틀을 고정 및 분리함에 있어서,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를 감싸되 저면 일부만 노출시켜 석고 반죽과 베이스 부재를 직접 결합시킴으로써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는 것은 물론, 베이스 부재와 석고 반죽의 결합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분리시에도 베이스 부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뿐 아니라 모형 치아틀의 외관 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에 본 발명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사시도를, 도 4에 본 발명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단면도 및 모형 치아틀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 5에 본 발명 보호장치를 결합한 모형 치아틀을 교합기에 결합하기 전 상태의 분리 사시도를, 도 6에 본 발명 보호장치를 결합한 모형 치아틀을 교합기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 7에 본 발명 보호장치를 결합한 모형 치아틀을 교합기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 8에 교합을 마친 모형 치아틀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는, 모형 치아틀(20)의 베이스 부재(21) 저면에 밀착되며 중앙에 관통공(H)이 형성 된 바닥부(30)와;
상기 바닥부(30)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상향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의 전 측면에 밀착되는 측벽부(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30)와 측벽부(40)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21)에 따라 형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그리고, 재질은 실리콘 등의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베이스 부재(21)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베이스 부재(21)를 지지 및 보호해 주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호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30)와 측벽부(40)에 의해 상향 개방형 공간이 형성되는바, 이 공간이 베이스 부재(21)의 체적이 되며, 바닥부(30)에 형성된 관통공(H)을 통해 베이스 부재(21)의 저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H)을 통해 노출되는 베이스 부재(21)의 일부분이 후술하게 되는 석고 반죽(G)과 결합하게 되는 면적이 되는바, 관통공(H)의 크기는 바닥부(30) 전체 면적의 1/5 이상 4/5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관통공(H)의 크기가 바닥부(30) 전체 면적의 1/5 미만일 경우에는 관통공(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베이스 부재(21)의 노출 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이는 결국 석고 반죽(G)과의 결합 면적을 작게 하는바, 모형 치아틀(20)의 베이스 부재(21)와 석고와의 결합력이 약한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관통공(H)의 크기가 바닥부(30) 전체 면적의 4/5 를 초과할 경우에 는, 관통공(H)을 통해 베이스 부재(21) 바닥면이 거의 다 노출되는바, 석고와의 결합력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교합을 끝낸 후 석고와 베이스 부재(21)의 분리가 어려워 베이스 부재(21)를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호장치 사용방법 즉, 본 발명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를 이용하여 교합기(50)에 모형 치아틀(20)을 고정·분리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바닥부(30)와 측벽부(4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모형 치아틀(20)의 베이스 부재(21)를 밀착 삽입시키는 단계;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바닥부(30) 저면 중앙부에 교합기(50)의 지지브라켓(51)이 접촉상태를 이루며 정렬되도록 하는 단계; 지지브라켓(51)을 포함한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바닥부(30) 전 영역에 걸쳐 석고 반죽(G)을 덧씌우는 단계; 석고 반죽(G)을 경화시켜 교합기(50)의 지지브라켓(51)과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모형 치아틀(20)의 베이스 부재(21) 저면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단계; 교합기(50)에 고정 결합된 모형 치아틀(20)의 교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교합 상태 확인 완료 후 교합기(50)의 지지브라켓(51)을 때려 경화된 석고 반죽을 부숴 모형 치아틀(20)과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를 교합기(5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모형 치아틀(20)을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석고가 경화된 상태 즉, 교합기(50)의 지지브라켓(51)에 모형 치아틀(20)을 고정 결합시킨 상태의 단면도를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고 반죽(G)이 교합기(50)의 지지브라켓(51)을 감싼 상태로, 보호장치의 바닥부(30) 저면 및 관통공(H)를 통해 노출된 베이스 부재(21)의 일부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경화되는바, 석고에 의해 교합기(50)의 지지브라켓(51)과 보호장치 및 베이스 부재(21)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부재(21)는 석고를 주원료로 만들어지는바, 접촉되는 석고 반죽(G)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결합력이 매우 큰 반면, 석고와 보호장치의 결합상태는 서로 다른 재질의 결합으로 그 결합력이 약하다.
따라서, 석고와 베이스 부재(21)의 결합력에 의해 교합기(50)에 모형 치아틀(20)을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 있는 동시에, 분리시에는 보호장치와 석고의 약한 결합력에 의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보호장치를 이용하여 모형 치아틀(20)을 교합기(50)에 고정시켜 모형 치아의 교합 상태를 확인한 후, 교합기(50)로부터 모형 치아틀(20)을 분리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1)의 저면 일부(관통공를 통해 노출된 부분)만 매끄럽지 못한 상태로 분리될 뿐 베이스 부재(21)의 측벽부 및 저면 테두리부는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의 품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장치 내부에 삽입된 모형 치아틀(20)의 베이스 부재(21)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 주는 동시에 베이스 부재 전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장치 측벽부(40)의 상단부에 내측을 향하는 플랜지(F)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한바, 이는 베이스 부재를 더욱 안전하게 감싸주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장치 및 플랜지(F) 모두 연질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호 장치 내부 공간에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를 삽입하거나 꺼내는 것이 매우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교합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교합기에 모형 치아틀을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의 (나)는 본 발명 보호장치에 모형 치아틀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모형 치아틀이 결합된 본 발명의 보호장치를 교합기에 결합하기 전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모형 치아틀이 결합된 본 발명의 보호장치를 교합기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모형 치아틀이 결합된 본 발명의 보호장치를 교합기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교합을 마친 모형 치아틀 및 본 발명의 보호장치를 교합기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실시예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모형 치아틀 21. 베이스 부재 30. 바닥부
40. 측벽부 F. 플랜지 G. 석고 반죽
H. 관통공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바닥부(30)와 측벽부(4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모형 치아틀(20)의 베이스 부재(21)를 밀착 삽입시키는 단계;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바닥부(30) 저면 중앙부에 교합기(50)의 지지브라켓(51)이 접촉상태를 이루며 정렬되도록 하는 단계;
    지지브라켓(51)을 포함한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의 바닥부(30) 전 영역에 걸쳐 석고 반죽(G)을 덧씌우는 단계;
    석고 반죽(G)을 경화시켜 지지브라켓(51)이 치아 모형틀(20)에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교합기(50)에 고정 결합된 모형 치아틀(20)의 교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교합 상태 확인 완료 후, 경화된 석고를 부수어 교합기(50)로부터 모형 치아틀(20)과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를 분리하는 단계;
    모형 치아틀(20)을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사용방법.
KR1020070082680A 2007-08-17 2007-08-17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사용방법 KR10093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680A KR100930598B1 (ko) 2007-08-17 2007-08-17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680A KR100930598B1 (ko) 2007-08-17 2007-08-17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312A KR20090018312A (ko) 2009-02-20
KR100930598B1 true KR100930598B1 (ko) 2009-12-09

Family

ID=4068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680A KR100930598B1 (ko) 2007-08-17 2007-08-17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944B1 (ko) * 2011-08-17 2013-07-31 이윤재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CN116046794B (zh) * 2023-02-13 2023-06-20 深圳玉汝成口腔材料有限公司 一种烤瓷牙义齿全方位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308Y1 (ko) * 1996-01-19 1999-03-20 강차원 치형고정용 모형턱 성형틀
KR200425005Y1 (ko) * 2006-06-14 2006-08-28 김영수 모형 치아틀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308Y1 (ko) * 1996-01-19 1999-03-20 강차원 치형고정용 모형턱 성형틀
KR200425005Y1 (ko) * 2006-06-14 2006-08-28 김영수 모형 치아틀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312A (ko)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yle Molar incisor hypomineralisation: restorative management
JP6114494B2 (ja) 口腔ケアのための区分されたマウスピース
KR20130125132A (ko) 치아 교정기
AU2002236309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JP6903748B2 (ja) 直接複合材修復技術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歯科用ウェッジおよびマトリックスバンド
KR100930598B1 (ko)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사용방법
AU2002236309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EP3139857B1 (en) Removable denture with metal denture tooth or teeth
KR100890476B1 (ko) 치과용 구조물 및 치과용 구조물 제작 방법
JP5006890B2 (ja) 歯牙固定具
JP5061257B2 (ja) 即時継続加工義歯
KR102014899B1 (ko) 치아용 보호구
US4307044A (en) Method of making a casting
KR200425005Y1 (ko) 모형 치아틀용 케이스
KR200428108Y1 (ko) 모형 치아틀 베이스 부재용 성형틀
US8403671B2 (en) Detachment-prevented removable double-crown prosthetic appliance
RU2306163C2 (ru) Спортивные зубные шины
CA2992341A1 (en) Direct dental bridge
JP3626752B1 (ja) 人工歯複合体の製造方法
KR101205904B1 (ko) 치과용 어태치먼트
TW202005616A (zh) 暴露咬合面的護齒牙套
KR200428107Y1 (ko) 모형 치아틀용 성형틀 고정 프레임
KR101811258B1 (ko) 유지력 증강을 위한 마우스가드 및 그의 제조 방법
JP6982211B1 (ja) 義歯とこの義歯を支台歯に取り付ける取付けアタッチメント
KR100831352B1 (ko) 모형 치아틀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