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944B1 -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 Google Patents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944B1
KR101291944B1 KR1020110081432A KR20110081432A KR101291944B1 KR 101291944 B1 KR101291944 B1 KR 101291944B1 KR 1020110081432 A KR1020110081432 A KR 1020110081432A KR 20110081432 A KR20110081432 A KR 20110081432A KR 101291944 B1 KR101291944 B1 KR 101291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dental
dental prosthetic
model
working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471A (ko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이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재 filed Critical 이윤재
Priority to KR102011008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9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2Means or methods for correctly replacing a dental model, e.g. dowel pins; Dowel pin positioning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에서 의뢰받은 보철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환자 구강으로부터 채득되어진 음형의 인상채에 치과용 석고와 같은 응고물질을 주입하고 경화시켜 치과보철 제작에 초석이 되는 치아모형을 제작하고 ,이렇게 얻어진 치아모형을 보철을 제작 해야할 치아 개개치아 모형만을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 하도록 가공하는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은 인상채 즉 트레이를 고정하고 후상방으로 형성된 후방수직판에 끼움홈을 구비하여 받침부재를 위치 시키고 하면에는 직사각형의 돌출부를 가진 상부 지지부재와 상면에 상부 지지부재의 정확한 위치를 고정시키는 직사각형의 음형을 구비하고 하면에는 받침부재와 동일한 외형 과 치수로 형성된 음형을 구비한 원형의 하부지지부재, 위의 두가지 지지부재들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돌출부와 직사각형의 음형이 정확히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치아모형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결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Dental Prosthetic Working Model Production Frame}
본 발명은 치과에서 의뢰받은 보철물을 제작함에 있어서, 환자 구강으로부터 채득되어진 음형의 인상체에 치과용 석고와 같은 응고물질을 주입하고 경화시켜 치과보철 제작에 초석이 되는 치아모형을 제작하고 ,이렇게 얻어진 치아모형을 보철을 제작 해야할 각각의 치아 모형만을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 하도록 가공하는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에 관한것이다.
먼저, 치과에서 우식 손상부위를 치료함 과 동시에 보철제작을 해야할 치아를 지대치라 하는데 이 지대치에 보철이 정확히 삽입될수 있도록 삽입로를 형성하는 플랩(삭제) 과정을 거친다 일반적으로 치과보철물을 제작하고자 할 경우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이후, 인상재가 충전된 인상 트레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지대치 및 대합치에 대한 음형의 인상체를 채득한다. 이때 사용되어지는 인상재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러버, 알지네이트, 폴리설파이드 러버, 한천 등 다양한 재료들이 있다.
그리고 이때 채득되어진 인상체는 치과기공소로 보내지고 치과기공소 에서는 인상체 음형내부에 치과용 석고 등의 응고물질을 주입하고 경화시켜 치아모형을 제작한다.
치아모형이 제작되면 치아모형 하면이 수평이되도록 그라인딩 작업을 하고 각 작업할 치아 와 인접치의 하면에 천공을 하고 접착제로 고정핀을 삽입 고정 시킨후
석고 분리제를 도포 한다. 다음과정으로 준비된 베이스 몰드에 석고를 주입하고 분리제가 도포된 치아모형을 고정핀이 석고에 감싸지도록 형성하여 경화 시킨다.
그리고 경화된 치아모형을 컷팅하면 치아모형에서 각 지대치 모형만이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각 지대치 모형이 얻어 지면 보철의 경계부를 정확히 표기하고 치아의 형태를 형성하는 과정인 왁스업을 한다.
이때 얻어진 치아 형태의 왁스패턴을 보철의 종류에 따라 내화성 매몰재 또는 규소 결합 매몰재 등을 이용하여 매몰시킨후 경화과정을 거쳐 전기가열로 내에 넣고 매몰재에 정해진 일정 온도까지 서서히 가열하여 왁스패턴을 태워 주형을 만든다.
상기와 같이 주형이 얻어지면 원심 주조기 또는 고주파 주조기 등을 이용하여 주형의 공간에 금(GOLD) 또는 치과용 합금 등의 용융금속을 주조하여 보철물을 완성 하게된다.
상기 과정 중, 치아모형에 고정핀을 삽입하고 베이스부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인상체로 부터 치아 모형이 제작되면, 치아모형의 바닥면이 수평이 되게 수냉식 치과 기공용 그라인더에 그라인딩을 한다. 그라인딩이 완료되면 흐르는 물에 잔존물을 깨끗이 세척하여 30분에서 1시간정도 건조 시킨다. 수평이된 치아모형을 기공용 홀천공기(pindex)를 이용하여 각 작업할 지대치와 인접치 바닥면에 고정핀 삽입홀을 가공한후 홀 주변에 홈(index)를 형성한다. 그리고,홈부위 형성시 발생한 잔존물을 물에 깨끗이 세척한후 30분에서 1시간정도 건조시킨다.
이때 만일 치아모형 바닥면에 잔존물이 남아 있게되면 치아모형과 베이스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생겨 치아모형의 오차가 발생 하게되고 이로인하여 최종 제작되는 보철물의 정밀도가 떨어져 환자의 구강 내에서는 더 많은 불편함과 적합도가 떨어져 이물감을 느끼게된다.
삽입홀이 완성되면, 고정핀에 접착제를 묻힌다음 각 삽입홀 마다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 시킨다. 이때 접착제가 넘쳐 흘러 나오지 안게 적정량을 묻혀서 고정하고넘쳐나온 접착제는 위의 잔존물과 같은 오차를 발생 시키기 때문에 꼭 제거 해야만 한다.
접착제가 경화하여 고정핀이 고정되면 치아모형 바닥에 분리제를 도포한 다음 분리제가 건조 될 때까지 기다린다.
분리제가 완전히 건조되면, 치아모형 바닥에 고정핀의 상부를 감싸도록 1차 베이스를 형성 시킨다. 1차 베이스는 치과용 석고 또는 캐스팅 스톤 등의 응고 물질을 고정핀의 상단에 바른다음 약 30분에서 1시간정도의 경화과정을 거쳐 완성되며, 상기 분리제로 인해 치아모형으로부터 상호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진다.
상기 고정핀과 치아모형 바닥에 형성시킨 홈부(index)는 커팅된 지대치 모형이 1차 베이스로부터 유동되지 않고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재결합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정밀한 보철이 제작될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1차 베이스가 완성되면 고정핀의 하부를 완전히 감싸도록 2차 베이스를 형성 시킨다. 2차 베이스는 미리 준비 되어진 몰드 내부에 치과용 석고 또는 캐스팅 스톤 등의 응고물질을 주입하고, 여기에 1차 베이스의 하부를 응고물질 상부에 매몰시킨 상태에서 1시간 정도 경화시킨다. 이렇게 경화된 치아모형의 베이스 바닥면에 고정핀이 위치한 부분을 약간 노출 되도록 파낸후 지대치 별로 컷팅을 하여 치아 작업모형이 완성된다. 위와같이 치아모형의 베이스 바닥면의 고정핀이 위치한 부분을 약간 노출 되도록 파내는 이유는 핀의 위치를 파악하고 정확히 컷팅을 하기위한 이유도 있지만 때때로 지대치모형이 베이스에서 분리가 잘되지 않을 때 노출된 고정핀의 끝부분을 밀어 분리 시키기 위해서이다. 이 발명의 배경이되는 선행이 되는 기술문헌은 다음과 같다. 1. KR100817013 B1 2. KR100927675 B1
3. KR101013215 B1 4. KR100509578 B1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보철물은 치아모형에 고정핀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치아모형 및 베이스부가 다수회의 수분흡수와 건조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치아모형 및 베이스부를 이루는 응고물질의 재질특성상 잦은 수분흡수와 건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수축과 팽창의 오차가 누적되면서 그 정밀성이 크게 떨어지고, 치아모형 및 베이스부가 건조될 때까지 장시간을 대기하여야 하므로 신속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함께, 치아모형의 바닥을 그라인딩하고, 홈부를 가공하고, 분리제를 도포하고,1차 베이스와 2차 베이스를 형성시키는 등의 복잡한 중간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므로 제작성도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대치 컷팅전 베이스 바닥면의 고정핀이 위치한 부분을 약간 노출 되도록 파낸 부위는 나중에 교합기에 치아 작업모형을 석고로 고정하는 마운팅(mounting) 과정에서 석고가 고정핀이 노출된 부위에 밀려들어 지대치모형을 들어 올려 보철제작에 큰 오차를 가져올수도 있어서 석고가 밀려 들어가지 안도록 노출 부위를 하나하나 막아주고 작업을 진행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간소한 과정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치아모형을 제작할 수 있는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본 발명에 따른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은 인상체 즉 트레이를 고정하고 후상방으로 형성된 후방수직판에 끼움홈을 구비하여 받침부재를 위치 시키고 하면에는 직사각형의 돌출부를 가진 상부 지지부재와 상면에 상부 지지부재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 시킬수있는 직사각형의 음형을 구비하고 하면에는 받침부재와 동일한 외형 과 치수로 형성된 음형을 구비한 원형의 하부지지부재, 위의 두가지 지지부재들은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돌출부와 직사각형의 음형이 정확히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치아모형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결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에 의하면, 치아모형을 제작하고 치아모형에 고정핀을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수분흡수와 건조과정이 전혀 요구되지 않으므로 수축팽창의 오차가 발생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건조를 위한 대기시간도 필요가 없어 치아모형의 제작에 있어서의 정밀성과 신속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받침부재의 윗면 즉 상부구조물(300 b)에 고정핀(4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받침부재의 상부구조물의 윗면에 치아모형의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반드시 거쳐야 했던 치아모형의 바닥부 그라인딩→건조→홈부가공→세척→건조→분리제도포→분리제건조→1차베이스성형→경화→2차베이스성형→경화 등의 중간과정을 모두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치아모형의 제작에 있어서의 제작성이 크게 향상되고 제작기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발명의 받침부재(300)는 핀(400)의노출을 막는형태로 바닥면 즉 하부구조물(300 c)이 형성되어있어 석고등으로 교합기에 고정시키는 과정인 마운팅(mounting) 시에도 절대로 핀에 흘러들어 영향을 줄수없고 상부구조물(300 b)과 하부구조물(300 c) 사이에 형성된 공간(340)은 구멍 천공시 발생하는 부스러기(chip)의 배출로 겸 핀(4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정확한 치아모형의 컷팅을 할수 있도록 고안 되었다. 또한 받침부재의 바닥면 중앙을 관통하는 직선의 원형홈(310)은 내벽(330)에 경사면을 주어 형성하였기 때문에 마운팅(mounting)시 언더컷(undercut) 효과로 기계적 유지를 얻을수 있도록 되어있고 마게(300 a)가 있어서 마운팅(mounting)시 석고가 치아모형으로 넘쳐흘러 발생 할수있는 오류를 완전히 차단 하도록 고안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구성하는 하부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구성하는 하부지지부재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구성하는 상부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구성하는 상부지지부재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구성하는 받침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구성하는 받침부재의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구성하는 받침부재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구성하는 받침부재의 상부구조물의 저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의 결합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하부지지부재의 저면 음형에 받침부재가 결합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받침부재에 홀 천공기(pindex)를 이용하여 삽입홀을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받침부재에 홀 천공기(pindex)를 이용하여 삽입홀을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받침부재에 고정핀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받침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받침부재 사이에 응고물질이 충전된 인상재 트레이를 넣고 치아모형을 성형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통해 완성된 치과보철 작업모형과 이 작업모형 으로부터 손상치아 즉 지대치 치형(die) 만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사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은 인상체 즉 인상재 트레이(T)가 고정 되는 상부지지부재(200)와 상부지지부재의 하면의 돌출부(200b)와 결합을 이루는 음형(110)을 가진 하부지지부재 (100)그리고, 상부지지부재(200)의 끼움홈(210)과 하부지지부재의 하면(10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치아모형을 고정 시키는 고정핀(400)이 결합되는 받침부재(30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부재(200)는 하면에 직사각형의 돌출부(200b)와 전방수직판(230) 그리고 후상방으로 형성된 후방수직판(220)과 상기 후방수직판의 상단에 끼움홈(2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홈(210)은 단부가 개방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어 받침부재(300)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끼움결합 되도록 이루어져있다.
상기 하부지지부재(100)는 상면(100a)에 상부지지부재(200)와 결합되는 직사각형의 음형(110)과 하면(100b)에는 받침부재(300)와 같은 치수와 형태의 음형(150)
그리고, 중앙을 관통하는 직사각형의 관통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재(300)는 상부지지부재(200)의 끼움홈(210) 과 하부지지부재(100)의 하면(100b)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받침부300)의 하부구조물(300c) 후면중앙에는 상부 지지부재(200)의 끼움홈(210)에 끼워지도록 끼움돌기(310)가 형성된다. 상기 끼움돌기(310)는 상부지지부재(200)의 끼움홈(210)에 끼워지는 끼움부(312)와, 끼움부의 단부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끼움부가 상부지지부재의 끼움홈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끼움홈과 간섭되는 돌기부(311)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300)는 외곽이 인상재트레이의 외곽과 유사하게 형성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받침부재(300)를 인상재 트레이(T)의 상부에 포개놓을 때 그 정렬이 용이하도록 하여, 받침부재(300)상에 고정핀(400)을 고정하기 위한 삽입홀(420)의 가공이 정확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본발명의 받침부재(3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400)의노출을 막는 형태로 바닥면 즉 하부구조물(300 c)이 형성되어있어 석고등으로 교합기에 고정시키는 과정인 마운팅(mounting) 시에도 석고가 절대로 고정핀(400)과 고정핀삽입홀(420)에 흘러들어 영향을 줄수없다. 그리고, 상부구조물(300 b)과 하부구조물(300 c) 사이에 형성된 공간(340)은 구멍 천공시 발생하는 부스러기(chip)의 배출로 겸 핀(4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정확한 치아모형의 컷팅을 할수 있도록 고안 되었다. 또한 받침부재(300)의 바닥면 중앙을 관통하는 직선의 원형홈(320)은 내벽(330)에 경사면을 주어 형성하였기 때문에 마운팅(mounting)시 언더컷(undercut) 효과로 기계적 유지를 얻을수 있도록 되어있고 마게(300 a)가 있어서 마운팅(mounting)시 석고가 치아모형으로 넘쳐흘러 발생 할수있는 오류를 완전히 차단 하도록 고안 되었다. 이와 같이 상기받침부재(300)는 마게(300a)와 상부구조물(300b) 그리고, 하부구조물(300c)로 이루어져 있고 이 세가지가 각기 끼움홈(360)과 끼움돌기(370)등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받침부재(300)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300)의 상부구조물(300b)에는 치아모형(500)이 고정된다. 상기 치아모형(500)은 인상재 트레이(T)에 응고물질인 치과용석고(M)를 주입한 다음 인상재 트레이(T)의 상부에 받침부재(300)를 밀착시켜 성형되는데 상기 받침부재(3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모형의 하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이루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을 이용하여 치아모형을 제작하고 보철을 제작해야할 지대치 모형을 얻기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지지부재(200)와 하부지지부재(100)를 결합 시킨다. 상부지지부재(200)와 하부지지부재(100)의 결합이 완료되면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채득 되어진 인상체(I)가 안치된 인상재 트레이(T)를 상부지지부재(200)의 바닥판상부(200a)에 위치시키고 점토(clay)로 인상재 트래이(T)의 하면을 감싸 유동을 방지한다. 그다음으로 받침부재(300)의 마게(300a)가 하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받침부재(300)의 끼움돌기(310)를 상부지지부재(200)의 끼움홈(210)에 끼운 다음 아래로 슬라이딩시켜 상부지지부재(200)에 결합된다.
그 결과 인상재 트레이(T)의 상부에 받침부재(300)가 포개지는데,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인상재 트레이(T)의 외곽라인이 받침부재(300)의 외곽라인과 일치되도록 인상재 트레이(T)의 위치를 정렬시킨다. 이는 인상재 트레이(T)의 치아부위와 삽입홀(420)이 형성될 받침부재(300)의 상부구조물(300b)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이후, 고정핀(400) 삽입과정에서 고정핀(400)이 받침부재(300)의 상부구조물(300b)을 통해 치아모형(500)에 정확하게 삽입고정 될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인상재 트레이(T)의 외곽라인이 받침부재(300)의 외곽라인이 나란히 정렬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300)를 상부지지부재(20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마게(300a)가 하방을 향하도록하여 하부지지부재(100)의 하면(100b)에 받침부재(300)와 동일한 외형과 치수로 형성된 음형(150)에 결합 시킨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재(300)가 하부지지부재(100)의 하부(100b)에 형성된 음형(150)에 안착되면 도 12과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천공기(P)에 받침부재(300)의 마게(300a)가 아래를 향하도록 올려놓은 다음 홀 천공기를 이용하여 받침부재(300)의 상부구조물(100b)에 각 치아별로 삽입홀(420)을 가공한다.
이때, 고정핀(400) 삽입홀(420)의 가공은 상부에 노출된 인상체(I)에 음각으로 성형된 치아의 중심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삽입홀(420)의 가공이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받침부재(300)의 상부구조물(300a)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삽입홀(420)마다 고정핀(400)을 삽입시킨다.
한편, 고정핀 삽입홀(420)은 각 치아에 대하여 2열로 가공하여 치아모형(500)의 유동이 확실하게 방지되도록하여 체결력을 높힌다.
받침부재(300)에 고정핀(400)이 모두 삽입되면, 상부지지부재(200)의 바닥판 상면(200a)에 놓여진 인상재 트레이(T) 에 안치된 인상체(I) 내부에 응고물질인 치과용석고(M)를 혼합하여 채운다.
그리고, 받침부재(300)를 노출된 고정핀(400)의 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부지지부재(200)의 끼움홈(210)에 다시 결합시킨 다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300)의 상부구조물(300b) 상면에 돌출된 고정핀(400)의 단부가 상부지지부재의 바닥판 상면(200a)에 고정된 인상재 트레이(T)의 응고물질인 치과용 석고(M)에 잠기도록 받침부재(300)와 인상재 트레이(T)를 상하로 합치시킨다.
이때, 받침부재(300)와 인상재 트레이(T)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받침부재300)에 삽입되어 돌출된 고정핀400)의 단부에 응고물질 즉 혼합된 치과용석고를 충분히 바른 상태에서 인상재 트레이(T)와 합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1시간 정도의 경화과정을 거쳐 치과용석고(M)가 완전히 경화되면 상부지지부재(200)와 인상재 트레이(T)로부터 받침부재(300)를 분리시켜 컷팅을 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을 제작해야할 각각의 지대치 모형만을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100 - 하부지지부재 100a - 하부지지부재의 상면
100b - 하부지지부재의 하면 110 - 하부지지부재의 상면음형
120 - 정면돌출부 140 - 하부지지부재의 관통부
150 - 하부지지부재의 하면음형 160 - 측면돌출부
200 - 상부지지부재 200a - 상부지지부재의 바닥판상면
200b - 상부지지부재의 하면돌출부 210 - 상부지지부재의 끼움홈
220 - 상부지지부재의 후방수직판 230 - 상부지지부재의 전방수직판
300 - 받침부재 300a - 마게
300b - 상부구조물 300c - 하부구조물
310 - 끼움돌기 320 - 직선원형홈
330 - 경사면 340 - 부스러기(chip)배출로
360 - 상부구조물의 끼움홈 300b-1 - 상부구조물의 저면
300c-1 - 하부구조물의 상면 370 - 하부구조물의 끼움돌기
400 - 고정핀 P - 홀천공기
S - 컷터 M - 치과용석고
T - 인상재트레이 I - 인상체
500 - 치아모형 D - 드릴날
420 - 고정핀삽입홀

Claims (4)

  1.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에 있어서 상부지지부재(200)의 하면에 있는 직사각형의 하면돌출부(200b)와 하부지지부재(100)의 상면에 있는 직사각형의 상면음형(110)이 상부지지부재의 전방수직판(230)과 하부지지부재의 전방돌기(120)가 같은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지지부재 및 상부지지부재(200)의후방수직판(220)에 형성된 끼움홈(210)과 하부지지부재(100)의 하면음형(150)에 각 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끼움돌기(310)를 구비한 반원의 아치형태의 받침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들 즉 상부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는 무게를 줄이고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여 정밀 기계가공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침부재(300)는 마게(300a), 상부구조물(300b), 하부구조물(300c) 로 구성되고 상부구조물(300b)과 하부구조물(300c)의 사이에는 고정핀삽입홀(420) 천공시 발생하는 부스러기(chip)의 배출로(340)가 형성 되어있고 하부구조물상면(300c-1)의 중앙에는 유지(retention)를 얻을수 있도록 내면에 경사면(330)이 형성된 직선의원형홈(320)을 구비하고 상부지지부재(200)의 끼움홈(21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10)를 가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KR1020110081432A 2011-08-17 2011-08-17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KR101291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432A KR101291944B1 (ko) 2011-08-17 2011-08-17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432A KR101291944B1 (ko) 2011-08-17 2011-08-17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471A KR20130019471A (ko) 2013-02-27
KR101291944B1 true KR101291944B1 (ko) 2013-07-31

Family

ID=4789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432A KR101291944B1 (ko) 2011-08-17 2011-08-17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9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732A (ja) * 1995-08-22 1997-03-04 Asao Kato 歯科技工器具
KR200428108Y1 (ko) 2006-06-14 2006-10-09 김영수 모형 치아틀 베이스 부재용 성형틀
KR100817013B1 (ko) 2008-01-22 2008-03-27 조광기 치아모형 제작틀
KR20090018312A (ko) * 2007-08-17 2009-02-20 김영수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6732A (ja) * 1995-08-22 1997-03-04 Asao Kato 歯科技工器具
KR200428108Y1 (ko) 2006-06-14 2006-10-09 김영수 모형 치아틀 베이스 부재용 성형틀
KR20090018312A (ko) * 2007-08-17 2009-02-20 김영수 교합기용 모형 치아틀의 베이스 부재 보호장치 및 그사용방법
KR100817013B1 (ko) 2008-01-22 2008-03-27 조광기 치아모형 제작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471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8884A (en) Dental model
US2585857A (en) Artificial tooth
US3937773A (en) Method of constructing dental models using guide pins and apertured retainer
CN106999264A (zh) 通过将义齿基托打印到义齿上制造牙科假体
KR101101564B1 (ko) 메쉬 형태의 유리섬유를 이용한 의치 제작방법
US450850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dental models
US5232365A (en) Process for producing dental working cast
KR100817013B1 (ko) 치아모형 제작틀
US2911722A (en) Dental tray
KR200467591Y1 (ko)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KR100927675B1 (ko) 스피드 핀 플레이트
KR101291944B1 (ko) 치과보철 작업모형 제작틀
US444993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entures
CA3033419C (en) Method for producing a prosthesis or partial prosthesis
KR200446181Y1 (ko) 치아모형 교합기용 플레이트
US2015001088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dental model and carrying plate for receiving same
JP5241462B2 (ja) 義歯の製造方法
US20180333234A1 (en) Articulator
KR101013215B1 (ko) 치아보철 제작용 모형조립체
US4846682A (en) Method of fabricating artificial dentures
US7040885B2 (en) Duplication of lost dentures
KR101657432B1 (ko) 절결홈이 형성된 의치 일체용 잇몸을 이용한 틀니 제조방법
KR101306267B1 (ko) 치과 보철물 주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A1069355A (en) Dental dowel pin unit and method using same
RU271396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