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442B1 -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442B1
KR100930442B1 KR1020070053428A KR20070053428A KR100930442B1 KR 100930442 B1 KR100930442 B1 KR 100930442B1 KR 1020070053428 A KR1020070053428 A KR 1020070053428A KR 20070053428 A KR20070053428 A KR 20070053428A KR 100930442 B1 KR100930442 B1 KR 10093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keyboard
input
portable multimedia
pattern
multimedi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5624A (ko
Inventor
김성운
Original Assignee
(주)휴맥스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맥스 홀딩스 filed Critical (주)휴맥스 홀딩스
Priority to KR1020070053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44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텔레비전, 영화, 사진, 음악, 웹 브라우저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때, 현재의 동작 모드에 최적한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와, 그에 연계된 고유의 확장 패턴을 선별 표시하고, 푸시 및 회전이 가능한 휠 버튼(Wheel Button)의 회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보드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가상 키보드, 확장 패턴, 휠 버튼

Description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virtual keyboard in portable multimedia devi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의 액정 표시기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휠 버튼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구분 저장되는 다수의 가상 키보드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구분 저장되는 다수의 확장 패턴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 표시기 11 : LCD 드라이버
12 : 코덱 13 : 스토리지
14 : 비디오 프로세서 15 : 오디오 프로세서
16 : 오에스디 생성부 17 : 스피커 출력부
18 : 헤드폰 출력부 19 : 마이컴
20 : 메모리 21 : 타이머
22 : 키 입력부 23 : 인터페이스부
24 : 인터넷 모듈
본 발명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텔레비전, 영화, 사진, 음악, 웹 브라우저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카테고리의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개인용 컴퓨터(PC) 등을 통해 다운로드 받아, 하드디스크(HDD) 등과 같은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선택 지정하는 경우, 그 멀티미디어 파일을 독출 재생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개발 출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소형 크기의 액정 표시기(LCD)가 주로 사용되는 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검색 및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선택 및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용자 선택 메뉴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인터넷 모듈이 추가로 포함 구성되거나, 또는 연결 접속되어 웹 브라우저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화면상에는, 유알엘(URL) 정보 또는 로그인(Login) 정보 등의 입력을 요구 하는 입력 창이 표시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키보드(Keyboard)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터치 패드(Touch Pad) 형태의 마우스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펜을 이용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보다 자유롭게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효율적인 해결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통해 가상(Virtual) 키보드를 제공하는 경우, 터치스크린이나 버튼으로 문자 등을 입력받게 되는 데, 이러한 방식은 키보드의 자판 배치를 기반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특수 목적의 문자, 예를 들어 유알엘(URL)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모드 변환(예: Shift 키 등)을 자주 입력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 및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텔레비전, 영화, 사진, 음악, 웹 브라우저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때, 현재의 동작 모드에 최적한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와, 그에 연계된 고유의 확장 패턴을 선별 표시하고, 푸시 및 회전이 가능한 휠 버튼(Wheel Button)의 회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현재 실행 중인 동작 모드에 연계된 임의의 한 가상 키보드를 선별 표시한 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가상 키보드와 연계된 확장 패턴을 선별 표시하는 1단계; 및 상기 선별 표시된 가상 키보드와 확정 패턴을 통해 문자,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 완료되면, 그 입력 값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각 동작 모드별 다수의 가상 키보드와 확장 패턴을 연계하여 구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실행 중인 동작 모드에 연계된 임의의 한 가상 키보드를 선별 표시한 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가상 키보드와 연계된 확장 패턴을 선별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상기 선별 표시된 가상 키보드와 확정 패턴을 통해 문자,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 완료되면, 그 입력 값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 방법은, 텔레비전(TV), 영화(Movie), 사진(Photo), 음악(Music),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구비된 여러 유형의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표시기(10), LCD 드라이버(11), 코덱(Codec)(12), 스토리지(Storage)(13), 비디오 프로세서(14), 오디오 프로세서(15), 오에스디 생성부(16), 스피커 출력부(17), 헤드폰 출력부(18), 마이컴(19), 메모리(20), 타이머(21), 키 입력부(22), 그리고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부(23)가 포함 구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넷 모듈(24)이 포함 구성되거나, 또는 연결 사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컴(19)에서는, 시스템 부팅 동작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6)를 동작 제어하여, 텔레비전, 영화, 사진, 음악, 웹 브라우저, 그리고 세팅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들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해 임의의 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마이컴(19)에서는, 그에 상응 하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실행시킴과 아울러, 상기 인터넷 모듈을 동작 제어하여, 인터넷 접속 및 통신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마이컴(19)에서는,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6)를 동작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유알엘(URL)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를 표시하게 되는 데, 상기 가상 키보드에는 임의의 한 선택 항목에 커서가 중첩 표시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 및 회전이 가능한 휠 버튼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커서가 순차적으로 이동 및 선택되는 데, 상기 휠 버튼에는, 선택을 위한 푸시 버튼(P)과 커서의 이동을 위한 다수의 회전 버튼들, 예를 들어 12 개의 회전 버튼(R1~R1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컴(19)에서는, 상기와 같이 현재 실행 중인 동작 모드에 적합한 가상 키보드를 자동으로 선별 표시한 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가상 키보드와 연계된 고유의 확장 패턴을 선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입력 완료되면, 그 입력 값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이이피롬(EEPROM)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20)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각 동작 모드에 적합한 다수의 가상 키보드와 확장 패턴을 연계하여 구분 저장하게 된다(S10).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상 키보드는, 대문자 가상 키보드, 소문자 가상 키보드, 숫자 가상 키보드, 기호 가상 키보드로 각각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가상 키보드에는, 확장 패턴의 표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항목(예: '확장')이 각각 포함 표시된다.
한편, 상기 확장 패턴은,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 입력한 임의의 값들이, 고유의 사용자 선택 값으로 저장 관리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상기 확장 패턴은, 웹브라우저 주소창, 로그인, 숫자 입력, 파일 이름 변경, 문자 입력, 파일 또는 채널 이름 검색을 위한 다수의 확장 패턴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확장 패턴은, 상기 가상 키보드와는 별도의 팝업(Pop-Up)창으로 구분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패턴 1에 해당하는 웹브라우저 주소창의 확장 패턴에는, 인터넷 웹브라우저의 주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 http://www, http://, ftp://ftp, ftp://, http://Domain1, http://Domain2...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값들이 포함 표시된다.
또한, 확장 패턴 2에 해당하는 로그인의 확장 패턴에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ID1, ID2, ID3.. Password1, Password2, Password3.. 그리고 로그인 이력(Login History)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값들이 포함 표시되고, 확장 패턴 3에 해당하는 숫자 입력 확장 패턴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의 이력(Number History) 정보와 같은 다양한 입력 값들이 포함 표시된다.
그리고, 확장 패턴 4에 해당하는 파일 이름 변경의 확장 패턴에는, 사용자가 직전에 입력한 파일 이름에 일련번호만 증가된 파일 이름을 선택하거나, 또는 파일의 연월일 [YY/MM/DD#], [YY/MM/DD]_#_.. 그리고 선호 파일 이름 [Favorite#], [Favorite]_#_, 파일 이름 이력(File Name History) 일련번호 증가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값들이 포함 표시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패턴 5에 해당하는 문자 입력의 확장 패턴에는, 사용자가 이전에 설정한 다수의 상용구들(상용구 1~5)과, 이메일 주소(e-mail 1~5), 그리고 날자(Date) 및 시간(Time)과, 닉 네임(Nick Name), 이모티콘, 그리고 문자 이력(Text History) 등을,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값들이 포함 표시된다.
그리고, 확장 패턴 6에 해당하는 파일 또는 채널 입력 검색의 확장 패턴에는, 미리 파싱된 파일 이름 중 중복성이 많은 다수의 대표 단어들과, 일련번호가 붙은 다수의 파일이름, 그리고 파일 이름 이력(Filename History) 등을,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값들이 포함 표시된다.
한편, 상기 마이컴(19)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임의의 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게 되는 데, 예를 들어 현재의 동작 모드를 감시한 결과(S11), 가상 키보드의 표시가 필요하다고 판별되는 경우(S12), 상기 마이컴(19)에서는,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6)를 동작 제어하여, 현재의 동작 모드에 적합한 임의의 한 가상 키보드를 선별 표시하게 된다(S13).
그리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선택 입력하 던 도중, 사용자가 확장 항목을 선택하여, 확장 패턴의 표시를 요구하는 경우(S14), 상기 마이컴(19)에서는, 현재의 가상 키보드에 연계된 고유의 확장 패턴을 선별하여 표시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확장 패턴은, 가상 키보드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팝업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S15).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키 이동 시나리오는, 일반적인 텍스트 입력 유저 인터페이스(UI)의 경우, 입력 될 문자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그에 해당하는 문자 셋만 제공하는 것이 입력시간 단축에도 도움이 되고 잘못된 문자를 입력할 확률도 줄어든다.
즉, 어플리케이션 유저 인터페이스(UI)의 텍스트 박스(TEXT box)에 입력될 문자 종류에 따라 다수의 문자 셋 중 하나가 표시되는 데, 예를 들어 http://google.com 을 입력한다고 가정하면, 유알엘(URL) 입력 창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디폴트로 소문자 문자 셋이 출력되며, 휠 버튼을 통해 문자를 선택하고 선택키를 통해 문자를 입력한다.
만약, 대문자를 입력하기를 원한다면 위쪽 방향키를 누르면 대문자 문자 셋으로 바뀌게 되고 대문자 입력이 끝나면 자동으로 원래의 소문자 문자 셋으로 돌아오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숫자, 문자 셋의 경우에는 사용자 정의(User Define) 문자 혹은 문자열을 저장 할 수 있게 하여 단순 반복되는 입력을 최대한 줄이도록 한다.
그리고, [Defx]에 정의 될 내용의 수정은 해당 위치에서 선택 버튼을 길게 누르면 입력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I)가 나타나게 되고 입력을 완료하면 해 당 내용이 저장되며, 숫자 문자 셋에 A, B, C, D, E, F 가 있는 것은 16 진수를 빠르게 입력하기 위함이다.
또한, [Date]는 오늘의 날짜가 디폴트로 출력이 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 등을 일괄적으로 변경하기에 용이하며, [번호]는 파일 이름 등에 일련번호를 붙이기 쉽게 숫자가 하나씩 증가되어 출력되고, 일련번호를 리셋하려면 선택 버튼을 길게 누르면 된다. 그리고 기호 문자 셋의 ',' 는 커서의 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키이다.
그리고, 위와 같은 문자 셋을 기반으로 문자를 입력하되 현재 상황에 특화된 확장 버튼을 이용하여 자주 사용하는 패턴을 기억하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확장] 버튼을 누르면 입력 목적에 따라서 위의 6가지 패턴 중 하나가 팝업 창으로 나타난다. 패턴의 내용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자동으로 추가가 되며 따로 수정이나 삭제를 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 되어야 하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의 경우를 예로 들면, 어플리케이션의 관점에서 주소창에 입력 될 내용인지 로그인 과정에서의 입력인지, 일반적인 문자입력인지 등을 어플리케이션에서 판단할 수 있으므로 해당되는 가상 키보드를 보여 주고 [확장] 버튼을 해당 내용에 맞게 링크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확장 버튼을 누름으로써 단순 반복되는 내용이나 자주 입력하는 내용을 바로 찾아서 입력할 수 있다. 모든 확장 패턴은 이전에 입력한 내용을 이력(history)으로 가지고 있어서 반복되거나 자주 입력되는 내용을 다시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한편, 패턴별 사용 예로는, URL 입력의 경우, [소문자 2]와[확장패턴 1]을 연계하여 선별 표시하는 데, 유알엘(URL)을 구성하는 기본 문자열은, 대부분 소문자가 들어가게 되므로 영문자판 [소문자 2]에 [확장패턴 1]을 링크시키고, 문자열 입력이 우선이지만 간혹 숫자로 구성된 아이피(IP)를 입력할 경우가 있으며,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아랫방향 화살 키를 한번 눌러 주면 숫자 입력모드 [숫자 3]으로 바뀐다.
또한, 로그인 정보 입력의 경우, [소문자 2]와 [확장패턴 2]를 연계하여 선별 표시하는 데, 로그인 정보가 웹 서핑에 있어서 기본이므로, 이를 입력하기 위해서 단순한 문자 배열을 웹사이트에 들어 갈 때마다 반복 입력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고, 보통은 사용하는 아이디가 몇 개로 한정 되어 있으므로 [확장패턴 2]를 링크로 걸어서 단순 입력 작업을 줄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숫자 및 16진수 입력의 경우, [숫자 3]과 [확장패턴 3]을 연계하여 선별 표시하는 데, 숫자 입력의 경우는, 숫자만 따로 이력(History)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숫자를 입력한 모든 내용을 이력에 기억하여 다음에 언제든지 다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게 해 준다. 숫자에 입력된 이력은 지우는 기능이 추가 되어야 하는데 이는 주민등록 번호나 계좌번호 등의 중요 정보를 저장하지 않기 위함이다. 물론 한번 지웠던 숫자입력 내용은 따로 기억하고 있어서 다음에 같은 숫자를 입력하더라도 기억하지 않게 한다.
한편, 파일 이름 변경의 경우, [소문자 2]와 [확장패턴 4]를 연계하여 선별 표시하는 데, 일반적인 미디어 장치(PVR,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는, 파일 생성 당 시에 파일 이름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임의의 파일이 생성된 다음에 사용자가 다시 수정하게끔 되어 있다.
따라서, 일련번호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아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러한 파일이름 변경의 경우에는 단순 내용에 일련번호만 증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직전내용 패턴으로 모든 파일 일괄적용]이라는 메뉴 또한 요긴하게 쓸 수 있다.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소문자 2]에 [확장패턴 4]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채팅, 메신저, 문자메시지, 이메일의 경우, [소문자 2]와 [확장패턴 5]를 연계하여 선별 표시하는 데, 일반적인 문자열 입력 과정이므로 영문 소문자 자판이 표시된다. [확장] 버튼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문자열을 매크로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확장패턴 5]가 링크 된다. 또한, 채팅의 경우를 예로 들면 기본적인 감정표현만으로 자기의 의사를 표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모티콘 만으로 따로 패턴을 만들어도 좋을 것이다.
한편, 채널 검색 또는 녹화된 파일 검색의 경우, [소문자 2]와 [확장패턴 6]을 연계하여 선별 표시하는 데, 문자열 검색이 우선이므로 [소문자 2] 영문 자판이 디폴트로 나타난다. [확장] 버튼에는 [확장패턴 5]가 링크 된다. 이 패턴의 경우에는 이미 확보한 문자열(디스크에 저장된 파일 또는 EPG 데이터)을 기반으로 한 검색이므로 검색 빈도 등을 미리 파악하여 확장 패턴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일련의 휠 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고 나면(S17),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휘 버튼에 구비된 선택 버튼 또는 가 상 키보드에 표시된 OK 버튼을 입력하게 되고, 상기 마이컴(19)에서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해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오에스디 생성부(19)를 동작 제어하여, 가상 키보드와 확장 패턴의 표시를 해제한 상태에서(S18), 상기 입력 값에 상응하는 해당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19).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 방법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영화, 사진, 음악, 웹 브라우저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때, 현재의 동작 모드에 최적한 가상 키보드(Virtual Keyboard)와, 그에 연계된 고유의 확장 패턴을 선별 표시하고, 푸시 및 회전이 가능한 휠 버튼(Wheel Button)의 회전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보드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3)

  1.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현재 실행 중인 동작 모드를 감시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연계된 임의의 한 가상 키보드를 자동으로 선별 표시하는 1단계;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확장 패턴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가상 키보드와 연계된 확장 패턴을 선별하여, 별도의 창으로 표시하는 2단계; 및
    상기 자동으로 선별 표시된 가상 키보드와 별도의 창으로 표시된 확장 패턴을 통해 문자,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 완료되면, 그 입력 값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가상 키보드는, 대문자 가상 키보드, 소문자 가상 키보드, 숫자 가상 키보드, 기호 가상 키보드로 구분되며, 각각의 가상 키보드에는, 확장 패턴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선택 항목이 포함 표시되고,
    상기 확장 패턴에는,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 입력한 임의의 값들이 고유의 사용자 값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각 동작 모드별 다수의 가상 키보드와 확장 패턴을 연계하여 구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와 확장 패턴은, 유알엘(URL) 입력 모드, 로그인 정보 입력 모드, 숫자 및 16 진수 입력 모드, 파일 이름 변경 모드, 인터넷 게시판의 텍스트 입력 모드, 채널 검색 및 녹화 파일 검색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 대응되도록 구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사용자가 푸시 및 회전이 가능한 휠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선별 표시된 가상 키보드와 확정 패턴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 완료되면, 그 입력 값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값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가상 키보드와 확장 패턴의 표시는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패턴은, 웹브라우저 주소창, 로그인, 숫자 입력, 파일 이름 변경, 문자 입력, 파일 또는 채널 이름 검색을 위한 확장 패턴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확장 패턴은, 상기 가상 키보드와는 별도의 창으로 구분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방법.
  9.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각 동작 모드별 다수의 가상 키보드와 확장 패턴을 연계하여 구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실행 중인 동작 모드에 연계된 임의의 한 가상 키보드를 자동으로 선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가상 키보드와 연계된 확장 패턴을 선별하여 별도의 창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상기 자동으로 선별 표시된 가상 키보드와 별도의 창으로 표시된 확정 패턴을 통해 문자,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 완료되면, 그 입력 값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가상 키보드는, 대문자 가상 키보드, 소문자 가상 키보드, 숫자 가상 키보드, 기호 가상 키보드로 구분되며, 각각의 가상 키보드에는, 확장 패턴의 표시를 요구하기 위한 선택 항목이 포함 표시되고,
    상기 확장 패턴에는,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 입력한 임의의 값들이 고유의 사용자 값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유알엘(URL) 입력 모드, 로그인 정보 입력 모드, 숫자 및 16 진수 입력 모드, 파일 이름 변경 모드, 인터넷 게시판의 텍스트 입력 모드, 채널 검색 및 녹화 파일 검색 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다수의 가상 키보드와 확장 패턴을 연계하여 구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푸시 및 회전이 가능한 휠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선별 표시된 가상 키보드와 확정 패턴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입력 완료되면, 그 입력 값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12. 삭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패턴은, 웹브라우저 주소창, 로그인, 숫자 입력, 파일 이름 변경, 문자 입력, 파일 또는 채널 이름 검색을 위한 확장 패턴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확장 패턴은, 상기 가상 키보드와는 별도의 창으로 구분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KR1020070053428A 2007-05-31 2007-05-31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방법 KR100930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428A KR100930442B1 (ko) 2007-05-31 2007-05-31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428A KR100930442B1 (ko) 2007-05-31 2007-05-31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624A KR20080105624A (ko) 2008-12-04
KR100930442B1 true KR100930442B1 (ko) 2009-12-08

Family

ID=4036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428A KR100930442B1 (ko) 2007-05-31 2007-05-31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4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807A (ko) * 2003-01-27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키보드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60031570A (ko) * 2004-10-08 2006-04-12 강민규 다국어 화상키보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807A (ko) * 2003-01-27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프트키보드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60031570A (ko) * 2004-10-08 2006-04-12 강민규 다국어 화상키보드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624A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9898B2 (ja) 画面表示制御のためのプログラム、方法及び携帯情報機器
KR101019039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데이터 검색 방법.
US89434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pplication programs and status information
TWI241511B (en) Alphanumeric keyboard input system using a game controller
US7886233B2 (en) Electronic text input involving word completion functionality for predicting word candidates for partial word inputs
KR101975620B1 (ko) 시스템 레벨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 용이화 기법
US20040239637A1 (en) Destination shortcuts
US20130082824A1 (en) Feedback response
JP2007012063A (ja) 複合文字の自動補完用の方法および装置
RU2433464C2 (ru) Объединенные поиск и запуск на выполнение файлов
JP5963291B2 (ja) タッチセンシティブ・スクリーンからシンボルを入力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891030B2 (ja) 電子辞書装置
JP6069927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03262B2 (en) Method and input device for setting function keys
KR100930442B1 (ko)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가상 키보드 표시장치 및방법
JP5321661B2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015515A (ja) 辞書機能を備えた電子装置
JP6036753B2 (ja) 画像処理装置、同装置における画面表示方法及び画面表示プログラム
KR100417639B1 (ko) 인터넷 사이트 접속 방법
JP6102886B2 (ja) データ入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35690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국어 입력을위한 액센트 심볼 인식 방법
JP6332433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oper Easy Windows 8.1
KR100661180B1 (ko) 리스트 플레이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Spivey Mac OS X Lion Portable Genius: Übersetzung aus dem Amerikanischen von Britta und Carsten Krem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