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198B1 -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198B1
KR100930198B1 KR1020070093740A KR20070093740A KR100930198B1 KR 100930198 B1 KR100930198 B1 KR 100930198B1 KR 1020070093740 A KR1020070093740 A KR 1020070093740A KR 20070093740 A KR20070093740 A KR 20070093740A KR 100930198 B1 KR100930198 B1 KR 100930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id
control signal
speed contro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264A (ko
Inventor
백진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198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36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 G05B11/42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for obtaining a characteristic which is both proportional and time-dependent, e.g. P. I., P. I. 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6Arrangements for speed regulation of a single motor wherein the motor speed is measured and compared with a given physical value so as to adjust the motor spe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199Feedforward compensation of p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로부터 궤환되는 부하검출신호를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하고, PID 제어한 출력신호에 속도 명령신호를 효율적으로 반영하여 부하의 속도제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PID 제어신호 제한부가 속도 제어신호의 최대 값에 대한 속도 명령신호 값의 비율을 계산하고, 계산한 비율에 따라 PID 제어기가 출력하는 PID 제어신호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PID 제어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이 일정하게 되어 부하 구동장치가 부하를 전체 속도 범위에서 안정하게 구동시킨다.
인버터, 속도지령, PID 제어, 리미터, 속도 명령신호, 속도 제어신호

Description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speed control signal}
본 발명은 전동기 등과 같은 소정의 부하를 구동시키는 인버터 등의 부하 구동장치에 있어서, 부하 구동장치가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하로부터 궤환되는 부하 검출신호를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기가 PID 제어하고, 그 PID 제어한 출력신호에 속도 명령신호를 효율적으로 반영하여 부하의 속도제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하로부터 궤환(Feedback)되는 부하 검출신호를 PID 제어기로 PID 제어하여 부하의 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는 부하 검출신호를 PID 제어한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에 사용자가 설정한 속도 명령신호를 가산하여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있다.
팬 및 펌프 등과 같이 응답성이 상대적으로 느린 부하일 경우에 속도 명령신 호를 사용하지 않고,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만으로 최종 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신선(Wire drawing) 라인, 제지 라인 및 비닐 라인 등과 같이 매우 짧은 주기로 장력 제어를 해야 하거나, 응답성이 빠르고 부하의 작은 변화에도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이 크게 좌우되는 부하를 제어할 경우에는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 중에서 속도 명령신호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상대적으로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작아야만 된다.
왜냐 하면, 궤환 받은 부하 검출신호는 그 특성이 매우 비주기적이고, 불규칙한 변동폭을 가지고 있어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 역시 불안정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만일 속도 명령신호의 크기에 관계없이 PID 제어기가 출력하는 출력신호의 크기가 항상 일정하다면, 속도 명령신호의 크기가 낮을 경우에 최종 속도 제어신호에서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커지기 때문에 부하의 저속 구동영역에서 속도제어의 성능이 매우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PID 제어기의 비율을 속도 명령신호에 따라 일정하게 제어함으로써 부하를 저속부터 고속까지 구동시키는 광범위한 속도 영역에서 부하 구동장치의 속도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감산기이다. 상기 감산기(100)는 부하(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PID 제어하기 위한 PID 기준신호에서 부하로부터 궤환되는 부하 검출신호를 감산하여 PID 에러신호를 발생한다.
부호 110은 PID 제어기이다. 상기 PID 제어기(110)는 상기 감산기(100)에서 출력되는 PID 에러신호를 PID 제어한다.
부호 120은 가산기이다. 상기 가산기(120)는 상기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에 사용자가 설정하는 속도 명령신호를 가산하여 부하를 구동시킬 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에서 PID 기준신호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PID 제어기(110)의 기준 값이고, 부하 검출신호는 수 ㎳∼수십 ㎳의 매우 짧은 주기로 부하의 상태를 검출하여 궤환되는 부하 검출신호이다. 예를 들면, 부하가 펌프일 경우에 현재 수압 값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부하 검출신호로 입력되고, 부하가 장력 제어일 경우에 현재 장력 값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부하 검출신호로 입력된다.
상기 PID 기준신호와 부하 검출신호는 감산기(100)로 입력되어 PID 기준신호에서 부하 검출신호를 감산한 PID 에러신호가 계산된다.
상기 계산된 PID 에러신호는 PID 제어기(110)에서 PID 제어되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D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즉, PID 제어기(110)에서 PID 에러신호의 비례(Proportional) 제어 값, PID 에러신호의 비례적분(Proportional Integral) 제어 값 및 PID 에러신호의 비례미분(Proportional Derivative) 제어 값이 합해져 PID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PID 제어기(110)가 출력하는 PID 제어신호의 값은 궁극적으로 상기 부하 검출신호가 상기 PID 기준신호를 추종하도록 하는 값이다.
그리고 속도 명령신호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으로서 키패드(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또는 아날로그 입력에 의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 명령신호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속도 명령신호는 상기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와 함께 가산기(120)로 입력되어 가산되고, 가산기의 출력신호가 부하를 구동시키는 최종 속도 제어신호로 출력된다. 즉,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최종적으로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는 상기 속도 명령신호에 상기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를 가산한 것이다.
예를 들면, PID 제어기(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10㎐이고,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가 30㎐라고 가정할 경우에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는 10㎐+30㎐=40㎐가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는 도 2c에 도시된 속도 명령신호의 변화에 관계없이 PID 제어기(110)가 출력하는 신호의 크기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변화가 없으므로 속도 명령신호의 낮을 경우에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부하로부터 궤환되는 부하 검출신호의 크기가 지속적 또는 순간적으로 크게 변화되어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의 변화가 크게 되면,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의 변화가 그대로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 반영되어 부하 구동장치가 속도 명령신호에 따라 부하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2c와 같이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가 50㎐일 경우에 PID 제어기(110)가 출력하는 신호의 주파수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0㎐(실제로 PID 제어기(100)의 출력신호는 실시간으로 조금씩 변화가 있음)이므로 가산기(120)가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의 주파수는 약 50㎐+10㎐=60㎐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속도 명령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은
Figure 112007066830699-pat00001
이고,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은
Figure 112007066830699-pat00002
가 된다.
이와 같이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속도 명령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이 클 경우에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의 변화가 크더라도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가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 비교적 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러나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가 예를 들면, 4㎐일 경우에도 PID 제어기(110)가 출력하는 신호의 주파수는 속도 명령신호에 관계없이 약 10㎐이므로 가 산기(120)가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의 주파수는 약 4㎐+10㎐=16㎐가 될 것이다.
그러면, 가산기(120)가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속도 명령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은
Figure 112007066830699-pat00003
이고,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은
Figure 112007066830699-pat00004
가 된다.
이와 같이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속도 명령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고,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상태에서 궤환되는 부하 검출신호의 변화가 크게 되어 PID 제어기(110)의 출력신호의 변화가 커지게 되면,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의 변화도 커지게 되어 부하의 속도제어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속도 명령신호의 크기에 따라 PID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여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을 일정하게 조절함으로써 부하의 저속부터 고속까지의 광범위한 속도 제어영역에서 동일한 성능으로 속도 제어를 할 수 있는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에 따르면,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 의 최대값에 대한 속도 명령신호의 값의 비율을 계산하고, 계산한 비율로 PID 제어신호의 값을 조절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는,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기준신호에서 부하 검출신호를 감산한 PID 에러신호를 PID 제어하는 PID 제어기와, 외부에서 입력되는 속도 명령신호의 크기에 따라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의 값을 제한하여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상기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의 값이 차지하는 비율이 일정하게 되도록 조절하는 PID 제어신호 제한부와, 상기 속도 명령신호와 상기 PID 제어신호 제한부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최종 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가산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ID 제어신호 제한부는 상기 속도 제어신호의 최고 값에 대한 상기 속도 명령신호의 비율을 계산하는 나눗셈기와, 상기 나눗셈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에 곱하여 상기 가산기로 출력하는 곱셈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눗셈기와 곱셈기의 사이에 상기 나눗셈기가 계산한 비율의 크기를 제한하는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미터의 제한하는 비율의 범위는 0.1∼1의 범위이고, 리미터가 제한하는 비율의 하한 범위는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속도 제어신호의 최대 값에 대한 속도 명령신호의 비율에 따라 PID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PID 제어신호의 값을 가변시킴으로써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PID 제어신호가 차지하는 비율이 일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부하 구동장치가 구동시키는 부하를 전체 속도 범위에서 안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300은 감산기이다. 상기 감산기(300)는 부하(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제어하기 위한 PID 기준신호에서 부하로부터 궤환되는 부하 검출신호를 감산하여 PID 에러신호를 발생한다.
부호 310은 PID 제어기이다. 상기 PID 제어기(110)는 상기 감산기(100)에서 출력되는 PID 에러신호를 PID 제어한다.
부호 320은 PID 제어신호 제한부이다. 상기 PID 제어신호 제한부(320)는 속도 명령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PID 제어기(310)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제한한다.
상기 PID 제어신호 제한부(320)는 나눗셈기(322), 리미터(324) 및 곱셈기(326)를 포함한다. 상기 나눗셈기(322)는 속도 제어신호의 최대 주파수에 대한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의 비율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상기 나눗셈기(322)는 상기 속도 명령신호를 미리 설정된 최대 주파수 신호로 나누어 최대 주파수에 대한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의 비율을 계산한다.
상기 리미터(324)는 상기 나눗셈기(322)의 출력신호의 범위를 제한한다. 예를 들면, 상기 리미터(324)는 나눗셈기(322)의 출력신호의 비율을 0.1∼1의 범위로 제한한다.
상기 곱셈기(326)는 상기 리미터(324)의 출력신호를 상기 PID 제어기(310)의 출력신호에 곱하여 PID 제어신호를 제한단다.
부호 330은 가산기이다. 상기 가산기(330)는 상기 PID 제어신호 제한부(320)의 출력신호에 사용자가 설정하는 속도 명령신호를 가산하여 부하를 구동시킬 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에서 PID 기준신호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PID 제어기(310)의 기준 값이고, 부하 검출신호는 수 ㎳∼수십 ㎳의 매우 짧은 주기로 부하의 상태를 검출하여 궤환되는 부하 검출신호이다. 예를 들면, 부하가 펌프일 경우에 현재 수압 값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부하 검출신호로 입력되고, 부하가 장력 제어일 경우에 현재 장력 값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부하 검출신호로 입력된다.
상기 PID 기준신호와 부하 검출신호는 감산기(300)로 입력되어 PID 기준신호에서 부하 검출신호를 감산한 PID 에러신호가 계산된다.
상기 계산된 PID 에러신호는 PID 제어기(310)에서 PID 제어되어 PID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즉, PID 제어기(310)에서 PID 에러신호의 비례(Proportional) 제어 값, PID 에러신호의 비례적분(Proportional Integral) 제어 값 및 PID 에러신호의 비례미분(Proportional Derivative) 제어 값이 합해져 PID 제어신호로 출력된다.
그리고 속도 명령신호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으로서 키패드 또는 아날로그 입력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 명령신호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속도 명령신호는 PID 제어신호 제한부(320)의 나눗셈기(322)에 입력되어 속도 제어신호의 최대 주파수에 대한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의 비율이 계산된다. 즉, 나눗셈기(322)는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를 속도 제어신호의 최대 주파수로 나누어 속도 제어신호의 최대 주파수에 대한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의 비율이 계산된다.
상기 나눗셈기(322)에서 계산된 주파수 비율은 리미터(324)에 입력되어 0.1∼1의 범위로 제한된다.
예를 들면, 속도 제어신호의 최대 주파수가 60㎐로 설정되어 있고, 현재 사용자가 입력하는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가 30㎐라고 가정할 경우에 나눗셈기(322)에서 계산된 주파수 비율은
Figure 112007066830699-pat00005
가 되고, 리미터(324)의 제한 범위는 0.1∼1이 므로 상기 나눗셈기(322)에서 출력된 0.5는 리미터(324)를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속도 제어신호의 최대 주파수가 60㎐로 설정되어 있고, 현재 사용자가 입력하는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가 3㎐라고 가정할 경우에 나눗셈기(322)에서 계산된 주파수 비율은
Figure 112007066830699-pat00006
가 되고, 리미터(324)의 제한 범위는 0.1∼1이므로 상기 나눗셈기(322)에서 출력된 0.05는 리미터(324)에서 제한되어 0.1이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리미터(324)가 제한하는 하한 값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미터(324)에서 제한된 출력신호는 곱셈기(326)에서 상기 PID 제어기(310)의 출력신호에 곱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PID 제어기(310)가 출력하는 PID 제어신호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곱셈기(326)에서 속도 명령신호에 따라 크기가 조절된다. 예를 들면, PID 제어기(310)에서 출력되는 PID 제어신호의 주파수가 10㎐이고, 속도 명령신호의 주파수가 30㎐이며, 속도 제어신호의 최대 주파수가 60㎐라고 가정하면, 나눗셈기(322)에서 출력되는 주파수 비율이 0.5가 되고, 그 0.5가 리미터(324)를 통해 곱셈기(326)에서 PID 제어신호의 주파수인 10㎐에 곱셈되어 5㎐가 출력된다. 즉, 곱셈기(326)에서 출력되는 PID 제어신호는 도 4b에 도시된 속도 명령신호에 따라 PID 제어신호 제한부(320)에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되어 출력된다.
상기 곱셈기(326)의 출력신호는 가산기(330)에서 속도 명령신호인 30㎐와 가 산되어 최종 출력되는 속도 제어신호의 주파수는 35㎐가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가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를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전류 값 또는 전압 값 등으로 속도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부하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인버터 등의 부하 구동장치에서 속도 명령신호에 따라 PID 제어신호의 값을 조절하여 저속부터 고속까지 부하의 광범위한 속도 제어영역에서 동일한 성능으로 부하의 속도를 제어한다.
도 1은 종래의 속도 지령신호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각 부의 동작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속도 지령신호 발생장치의 바람직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및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의 각 부의 동작 파형도이다.

Claims (5)

  1. PID(Proportional Integral Derivative) 기준신호에서 부하 검출신호를 감산한 PID 에러신호를 PID 제어하는 PID 제어기;
    외부에서 입력되는 속도 명령신호의 크기에 따라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의 값을 제한하여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상기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의 값이 차지하는 비율이 일정하게 되도록 조절하는 PID 제어신호 제한부; 및
    상기 속도 명령신호와 상기 PID 제어신호 제한부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최종 속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가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ID 제어신호 제한부는;
    상기 속도 제어신호의 최고 값에 대한 상기 속도 명령신호의 비율을 계산하는 나눗셈기; 및
    상기 나눗셈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에 곱하여 상기 최종 출력하는 속도 제어신호에서 상기 PID 제어기의 출력신호의 값이 차지하는 비율이 일정하게 되도록 조절한 후 상기 가산기로 출력하는 곱셈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눗셈기와 곱셈기의 사이에;
    상기 나눗셈기가 계산한 비율의 크기를 제한하는 리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의 제한하는 비율의 범위는;
    0.1∼1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터의 제한하는 비율의 하한 범위는;
    사용자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KR1020070093740A 2007-09-14 2007-09-14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KR100930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40A KR100930198B1 (ko) 2007-09-14 2007-09-14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740A KR100930198B1 (ko) 2007-09-14 2007-09-14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64A KR20090028264A (ko) 2009-03-18
KR100930198B1 true KR100930198B1 (ko) 2009-12-07

Family

ID=4069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3740A KR100930198B1 (ko) 2007-09-14 2007-09-14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1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642A (ja) * 1999-05-20 2000-11-30 Sumitomo Heavy Ind Ltd ステージの位置制御装置及び速度制御装置
JP2001290501A (ja) * 2000-04-11 2001-10-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サーボ制御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642A (ja) * 1999-05-20 2000-11-30 Sumitomo Heavy Ind Ltd ステージの位置制御装置及び速度制御装置
JP2001290501A (ja) * 2000-04-11 2001-10-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サーボ制御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264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7525B2 (ja) 太陽光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その制御装置及び給水装置
CN109075732B (zh) 用于变频驱动中的一致速度调节的系统和方法
US8384335B2 (en) Motor driving apparatus having DC link voltage regulating function
US11799289B2 (en) Grid-tie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grid-tied power fluctuation suppress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930198B1 (ko) 속도 제어신호 발생장치
JP2008506346A (ja) モーター・コントローラ
KR20120107481A (ko) 호이스트 구동기용 모터 제어 시스템
CA2506395C (en) Pump driv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JP4814058B2 (ja) ガス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11147201A (ja) 電動機制御装置
JP4830334B2 (ja) モータ駆動システム及びモータ駆動方法
JPWO2019044717A1 (ja) モータの制御装置及び記憶媒体
US8143840B2 (en) Device for controlling induction motor
JP4421246B2 (ja) 分散型電源装置
KR970072629A (ko) Ac 전동기의 가변속도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4196475A (ja) 巻き取り装置
KR100993109B1 (ko) 피크전압을 이용한 발전기 제어시스템
JP4271090B2 (ja) 発電機並列運転用三相インバータ装置
KR100623303B1 (ko) 피크 앤드 홀드 엑츄에이터의 전압 변동에 대한 러싱 구간제어장치
TW201826685A (zh) 有效的發動機控制方法及系統
JP7374166B2 (ja) 電圧制御方法
RU136939U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инхронным частотно-регулируемым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магистральных насосов
JPH11457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方式
JP2000349376A (ja) レーザ発振器用電源装置
JPH0332389A (ja) サイリスタレオナ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