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980B1 -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980B1
KR100928980B1 KR1020020082500A KR20020082500A KR100928980B1 KR 100928980 B1 KR100928980 B1 KR 100928980B1 KR 1020020082500 A KR1020020082500 A KR 1020020082500A KR 20020082500 A KR20020082500 A KR 20020082500A KR 100928980 B1 KR100928980 B1 KR 100928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gas
steel sheet
hot
dip galva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5998A (ko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9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23C2/29Cooling or que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의 분사가스 대신 압축기 및 팽창기를 이용하여 저온의 분사가스를 냉각매체로 사용함으로써 도금강판의 냉각목표량을 달성하고, 높은 충돌압으로 인한 진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용융도금라인의 도금강판(7)을 냉각하기 위하여 상하면이 개방되어 강판(7)이 통판되는 냉각대(11)에 설치되는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대(11)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으로부터 기사용된 냉각용 가스를 취입하는 흡기관(9a)에 연결되어 취입된 가스를 특정 압력까지 압축시키는 가스압축기(41)와; 상기 가스압축기(41)에 의하여 압축된 가스를 특정 온도까지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21)와; 상기 열교환기(21)로부터 냉각된 압축가스를 팽창시켜 저온가스를 발생시켜 냉각대(11)로 공급하는 가스팽창기(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용융아연도금, 냉각대, 열교환기, 가스압축기, 스나우트, 에어나이프

Description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APPARATUS FOR COOLING GALVANIZING ZINC PLATING STEEL WITH IMPROVED COOLING ABILITY}
도 1은 연속용융도금라인의 도금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가스제트냉각장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에 의하여 소비된 가스유량 감소율을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스나우트 2:싱크 롤 3:도금욕조 4:에어나이프
5,6:GA 합금화로 7:도금강판 11:냉각대 21:열교환기
31:송풍기 41:가스압축기 51:가스팽창기
본 발명은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온의 분사가스 대신 압축기 및 팽창기를 이용하여 저온의 분사 가스를 냉각매체로 사용함으로써 도금강판의 냉각목표량을 달성하고, 높은 충돌압으로 인한 진동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용융도금라인(Continuous Galvanizing Line; CGL)은 여러 단위 공정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핵심공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금욕조, 에어나이프(Air Knife), 가스젯 냉각기(Gas Jet Cooler)로 구성된 도금공정이다.
용융도금공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소둔로(미도시)에서 열처리된 강판(7)이 스나우트(Snout; 1)를 통해 도금욕조(3)의 아연용탕 속으로 유입된 후 도금욕조(3)를 빠져 나오면서 강판 표면에는 용융아연이 부착된다.
부착된 용융아연은 에어나이프(4)에서 고속으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해 적정 두께로 조절된 후, 가스젯 냉각기에 의한 냉각대(11)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응고된다.
도금강판(7)은 냉각 공정 중에 고속가스의 충격에 의해서 진동, 휨 또는 떨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로 인해 강판의 흠집이나 긁힘 불량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에어나이프(4)에서 도금 두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냉각공정의 문제는 스트립의 폭 증가에 따른 냉각속도 증가의 요구가 더욱 커짐에 따라 문제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판의 진동문제로 인해 가스의 분사 속도는 마하수의 1/3을 초 과하지 않는다.
종래의 가스젯 냉각기를 이용한 냉각대(11)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냉각존 내의 기사용된 가스를 가스라인(9a)을 통하여 취입하여 냉각수를 냉매로 사용하는 열교환기(21)를 거쳐 냉각된 다음, 상온에서 송풍기(31)에 의해 도금강판(7)에 분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금강판(7)과 노즐의 기하학적 형상이 결정되고 나면, 도금강판(7)과 가스 사이의 전열량은 전적으로 가스분사노즐에서의 분사유량에 의해 결정된다.
즉, 도금강판(7)의 이동속도가 증가하거나 판폭이 증가하여 냉각부하가 증가한다면 강판(7)을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가스유량을 증가시켜야 하며, 이는 강판(7)의 진동을 초래하여 도금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냉각공정 중 나타나는 도금강판(7)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은 도금강판(7)에 작용하는 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있으나, 장력이 과도할 경우 강판(7)에 높은 전단응력이 작용하여 변형 또는 파단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6,126,891호에 개시된 수소함량이 높은 혼합가스를 사용하여 냉각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강판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수소-질소 혼합가스를 냉각용 가스로 사용하는데, 통상 수소 5%와 질소 95%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혼합가스 중 수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혼합가스의 비열이 증가하여 냉각효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최대 50%까지 수소 함량을 증가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소함량이 증가된 혼합가스를 사용하면 적은 유량으로도 충분히 목표 냉각량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강판의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혼합가스 중 수소함량이 증가할수록 폭발의 위험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소함량이 높은 혼합가스를 사용한 냉각공정에는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가스의 분사속도가 높을 때는 강판의 진동이 발생하여 에어나이프(4)에서 도금두께를 정밀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분사속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기술들도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온의 분사가스 대신 저온의 분사가스를 사용함으로써 강판의 냉각시 낮은 분사속도로도 충분히 소기의 냉각목표량을 달성하고, 높은 충돌압으로 인한 도금강판의 진동문제를 해결하여 양질의 도금강판을 생산할 수 있는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속용융도금라인의 도금강판을 냉각하기 위하여 상하면이 개방되어 강판이 통판되는 냉각대에 설치되는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대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으로부터 기사용된 냉각용 가스를 취입하는 흡기관에 연결되어 취입된 가스를 압축시키는 가스압축기와; 상기 가스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냉각된 압축가스를 팽창시켜 저온가스를 발생시켜 냉각대로 공급하는 가스팽창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스압축기가 취입된 가스를 5~10 Bar 범위의 압력으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젯 냉각기(Gas Jet Cooler)는 저온의 가스를 이용하여 도금강판(7)과 가스 사이의 냉각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존 내의 기사용된 가스를 취입하여 가스압축기(41)에 의해 압축된 후, 냉각수를 냉매로 사용하는 열교환기(21)를 거쳐 상온 상태에서 가스팽창기(51)로 보내지고,
상기 가스팽창기(51)에서 가스가 단열 팽창함에 따라 발생된 저온가스를 강판에 분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가스배관(9a, 9b) 내에서 고압의 압축가스 유동으로 인해 압력 전달이 불규칙할 경우 필요에 따라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압력 제어기(Pressure Regulator)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용 CGL에서 측정된 가스젯 냉각기(Gas Jet Cooler)의 가스유량과 도금강판(7)의 온도를 본 발명에 적용한 경우와 비교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에 의하여 소비된 가스유량 감소율을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상용 CGL에서 강판의 두께가 0.7㎜이고, 통판속도가 120mpm, 가스젯 냉각장치에 의한 냉각대(11)의 길이가 6m 일 때, 가스젯 냉각장치의 가스분사노즐은 40℃/Sec의 냉각속도를 나타내었다.
동일한 설비조건에서 30℃에서 5Bar로 압축된 가스를 도금강판(7)에 분사할 경우 통상 노즐에서 분사된 가스의 압력은 대기압으로 회복되므로 단열 팽창기(51) 출구에서 가스의 온도는 -82℃가 된다.
이 저온가스를 냉각용 가스로 사용하면 냉각속도는 52℃/Sec로 약 31%의 냉각속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냉각존에서 압축기로 취입되는 가스의 온도는 -38℃, 압축기(41) 출구에서의 가스 온도는 99℃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젯 냉각장치가 적용된 냉각대(11)의 냉각속도는 가스압축기 출구에서의 압력에 따라 달라지며,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압력에 따라 로그함수적인 분포를 보인다.
즉, 상대적으로 저압에서는 냉각효율이 급격히 증가하지만, 고압에서는 압력 에 따른 냉각효율의 증가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냉각시스템의 경제성 및 효율을 고려할 때 5~10Bar의 압력범위에서 본 발명의 가스젯 냉각장치를 냉각대(11)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스 압축기 및 냉각기, 팽창기를 통하여 냉각분사되는 저온가스를 강판의 냉각매체로 사용함으로써 냉각능력을 증가시키고, 보다 적은 가스 유량으로 목표 냉각량을 달성할 수 있어, 분사가스의 충돌압으로 인한 강판의 진동을 감소시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연속용융도금라인의 도금강판(7)을 냉각하기 위하여 상하면이 개방되어 강판(7)이 통판되는 냉각대(11)에 설치되는 냉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대(11)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으로부터 기사용된 냉각용 가스를 취입하는 흡기관(9a)에 연결되어 취입된 가스를 압축시키는 가스압축기(41)와;
    상기 가스압축기(41)에 의하여 압축된 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교환기(21)와;
    상기 열교환기(21)로부터 냉각된 압축가스를 팽창시켜 저온가스를 발생시켜 냉각대(11)로 공급하는 가스팽창기(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
  2. 삭제
KR1020020082500A 2002-12-23 2002-12-23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 KR100928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500A KR100928980B1 (ko) 2002-12-23 2002-12-23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500A KR100928980B1 (ko) 2002-12-23 2002-12-23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998A KR20040055998A (ko) 2004-06-30
KR100928980B1 true KR100928980B1 (ko) 2009-11-26

Family

ID=3734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500A KR100928980B1 (ko) 2002-12-23 2002-12-23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859B1 (ko) * 2009-10-20 2010-03-31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냉연강판 제조 설비의 폐열 회수 시스템
KR101988751B1 (ko) 2017-12-07 2019-06-1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냉각 장치
KR102065229B1 (ko) 2017-12-26 2020-01-10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냉각 장치
KR102209602B1 (ko) 2018-12-07 2021-01-2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냉각 장치
KR102351657B1 (ko) 2020-07-02 2022-01-14 허기복 용융아연도금강판의 급속 냉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139B1 (ko) 1997-03-14 2001-06-15 아사무라 타카싯 가스분출류에 의한 강밴드 열처리 장치
KR20010102493A (ko) * 1999-03-05 2001-11-15 이노우에 노리유끼 공기조화장치
KR20020055190A (ko) * 2000-12-28 2002-07-08 이구택 스트립 냉각용 에어의 온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139B1 (ko) 1997-03-14 2001-06-15 아사무라 타카싯 가스분출류에 의한 강밴드 열처리 장치
KR20010102493A (ko) * 1999-03-05 2001-11-15 이노우에 노리유끼 공기조화장치
KR20020055190A (ko) * 2000-12-28 2002-07-08 이구택 스트립 냉각용 에어의 온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998A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20718B (en) Primary cooling method in continuously annealing steel strip
EP3705587A1 (en) Fac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ick steel sheet
KR20020053292A (ko) 열연코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A2668000A1 (en) Method for cooling hot strip
CA2290949C (en) Continuous heat treating furnace and atmosphere control method and cooling method in continuous heat treating furnace
KR100928980B1 (ko) 냉각능이 향상된 용융아연도금강판의 냉각장치
KR850001290B1 (ko) 냉각압연 강스트립의 냉각방법
CN101454466A (zh) 用于在热处理炉中控制金属带材的方法
JPS6314052B2 (ko)
US6099665A (en) Method for producing Cr-Ni type stainless steel thin sheet having excellent surface quality
US6554926B2 (en) Quenching heated metallic objects
AU2008320723B2 (en) Method and equipment for secondary descaling of metallic strips by hydraulic low-pressure spraying of water
US11230748B2 (en) Method and section for quick cooling of a continuous line for treating metal belts
JPH0681093A (ja) ストリップの溶融金属メッキ設備
JP2003277833A (ja) 金属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114677B2 (ja) 熱間圧延設備ならびに熱間圧延方法
KR20040059267A (ko) 전기강판제조용 열연소둔강판의 산화막 제거방법,전기강판제조용 열연소둔강판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7147732B2 (en) Quenching method and apparatus
JPS6092420A (ja) 偏平冶金製品の急冷方法
US3615926A (en) Quench system
WO2022163044A1 (ja) 金属板の焼入れ装置及び焼入れ方法、並びに鋼板の製造方法
JP3572983B2 (ja) 連続熱処理炉ならびに連続熱処理炉における冷却方法
CN100402674C (zh) 钢带冷却装置
JP5151049B2 (ja) 冷延鋼板の冷却方法
CN102747213A (zh) 一种高强钢连续热处理的冷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