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518B1 - 하천경관개선용범람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하천경관개선용범람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518B1
KR100928518B1 KR1020080137795A KR20080137795A KR100928518B1 KR 100928518 B1 KR100928518 B1 KR 100928518B1 KR 1020080137795 A KR1020080137795 A KR 1020080137795A KR 20080137795 A KR20080137795 A KR 20080137795A KR 100928518 B1 KR100928518 B1 KR 10092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prevention device
embankment
guide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문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0Float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으로 지수고무를 형성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와; 전체적 형상이 좌측에서 보았을 때,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측으로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중공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가 하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천과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제방부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 끝단으로 측면지지체를 형성하되, 상기 제방부재와 맞닿는 측면지지체의 면에는 지수판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전 구성요소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 편리성 및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평상시에는 사람들이 하천으로 드나들기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하천경관을 수려하게 하면서, 수위 상승시에만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범람, 제방, 홍수

Description

하천경관개선용범람방지장치{Overflowing prevention device for better view of river}
본 발명은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 구성요소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 편리성 및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시공 편리성 및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평상시에는 사람들이 하천으로 드나들기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하천경관을 수려하게 하면서, 수위 상승시에만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심하천의 경우 제방은 홍수 피해방지 목적 이외에 친수공간조성으로 인근 주민의 휴식 및 산책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하천 공간을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도심하천 들이 자연형 하천으로 복원됨에 따라 하천의 고유 기능 회복은 물론 경관적인 측면도 중요시 되고 있다.
통상 하류에 위치하는 도심하천의 경우에는 장기간에 걸친 토사 및 유하물의 퇴적으로 인해 장마철에 홍수위가 상승됨에 따라 하천수가 범람하여 장마철마다 이 재민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홍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수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제방축조부지를 마련하기 위해 도심지의 밀집된 가옥과 토지를 매수하거나 수용 한다는 것은 천문학적인 보상비와 민원발생이 예상되어 사실상 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심하천에서는 제방축조가 불가능한 실정임을 감안해 도심하천 경계에 콘크리트 홍수벽을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인근 주민과 하천으로의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경관성을 해치는 흉물로 인식되고 있으며 근래의 자연형 하천을 선호하는 시류에는 맞지 않아 큰 호응을 얻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 등록실용신안 제021549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월류 방지장치(200)는 제방(D)이 형성된 위치에 설치하여 제방(D)의 높이를 초과하는 홍수위 발생시 이를 방지하고자, 하단부에 플로우트(204)를 일체로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가이드돌기(206)를 구성한 월류 방지판(202)과, 상기 가이드돌기(206)를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홈(210)이 내부에 형성된 채널부재(208)가 형성되어 통상의 제방(D) 상측부에 미리 마련된 설치공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특허등록 제0865370호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범람방지장치(10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부력 실(114)과 걸림턱(115)을 형성하고, 하천 방향으로는 유입구(111)를 형성하며, 상부의 일측으로는 가이드홀(113)이 형성된 가이드(112) 구조물로 이루어진 기초구조물(110)과; 상기 기초구조물(110)의 부력실(114)에 결합되며, 하천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유입구(111)로 유입된 수위에 의해 상측으로 승강되도록 수평부재(120)와 수평부재(130)가 결합된 제방부제(1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범람방지장치(100)는 도 2에서와 같이, 하천 등의 범람으로 인해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기초구조물(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물이 부력실(114)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물에 의해 비중이 낮은 합성수지 계열로 제작된 수직부재(130)가 기초구조물(110)에 형성된 걸림턱(115)과 제방부재(150)의 수평부재(130)에 의해 일정높이까지 상승하도록 작용하여 제방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월류방지장치(200)는 채널부재(208)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하천 수위가 상승하였을 때에 월류방지판(202) 또는 채널부재(208)의 슬라이드홈(210)이 막히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만수위(A)나 계획홍수위(B) 발생시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수중에 잠기기 때문에, 하천 등에 존재하는 이물질에 의해 채널부재(208)의 슬라이드홈(210)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이 또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월류방지판(202)의 파손에 의해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 구성요소를 모두 분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채널부재(208)에 월류방지판(202)을 다시 고정할 때에는 최초 고정하였던 자리가 헐거워 지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고 재설치 작업을 해야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한편, 종래의 범람방지장치(100)의 경우,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기초구조물(110)을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 및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제방부재(150)의 제작이 복잡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 또한 비용 및 시공, 제작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지적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는 상측으로 지수고무를 형성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와; 전체적 형상이 좌측에서 보았을 때,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측으로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홀을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중공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가 하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천과 콘크리트 구조물 사이에 형성되는 제방부재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 끝단으로 측면지지체를 형성하되, 상기 제방부재와 맞닿는 측면지지체의 면에는 지수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는 전 구성요소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 편리성 및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평상시에는 사람들이 하천으로 드나들기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하천경관을 수려하게 하면서, 수위 상승시에만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c)에는 상측으로 스토퍼(11)를 형성한 가이드부재(10)가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0)는 조경시설을 설치한 폴대나 가로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방부재(20)는 전체적 형상이 좌측에서 보았을 때,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부재(10)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가이드홀(21)을 구비하고, 내측으로는 물의 범람시 제방부재(20)가 승,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력체 역할을 하는 중공부(22)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방부재(20)는 다수개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에, 각각의 제방부재(20)는 고무(31)와 체결판(32)을 덧댄 후 통상의 볼트(33)를 이용해 체결하여, 연결한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하천의 범람 등으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에 형성된 가이드부재(10)를 통해 승, 하강하는 제방부재(20)가 승강하였을 때에, 콘크리트 구조물(c)과 제방부재(2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콘크리트 구조물(c) 측면에 지수고무(34)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방부재(20)는 가이드부재(10)가 하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가이드부재(1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천과 콘크리트 부재(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 양 끝단에는 측면지지체(40)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측면지지체(40) 중 제방부재(20)와 맞닿는 면에는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수판(41)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 치(5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평소에 하천 등의 수위가 낮을 때를 도시한 것으로, 제방부재(20)가 콘크리트 구조물(c)에 형성된 가이드부재(10)에 결합된 상태로 하강되어 있다.
그러던 중 하천의 물이 계속 상승하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제방부재(20)의 중공부(22)에 의해 제방부재(20)가 중력 반대방향으로 승강하게 되며, 이때에 상기 제방부재(20)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형성된 가이드부재(10)에 따라 제방부재(20)가 승강하게 되며, 하천 등의 수위가 일정 높이까지 다다르게 되면, 도 7에서와 같이 제방부재(20)가 가이드부재(10)에 형성된 스토퍼(11)에 의해 일정 높이까지만 승강하여 작동을 완료한다.
이때에, 본 발명에서의 제방부재(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천과 콘크리트(c) 경계에 배치되어 가이드부재(10)가 하천에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승강이 발생한 후, 하강이 이루어질 때에 하천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제방부재(20)가 원활히 승, 하강을 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한 제방부재(20)에 의해 홍수의 범람을 막을 수 있게 되며,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동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적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으로 인한 비용절감 및 시공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잇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홍수의 범람을 막는 동안, 제방부재(20)를 고무(31)와 체결판(32) 및 볼트(33)를 통해 연결하였기 때문에 이음부분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c) 상측 및 추가로 설치되는 측면지지체(40) 중 제방부재(20)와 맞닿는 면에 형성한 지수고무(34) 및 지수판(41)에 의해 물의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재한 것이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 한 형태로 실시 가능함을 명시한다.
도 1은 종래의 월류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종래의 범람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범람방지장치의 저수위 및 고수위 일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중간수위일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고수위일때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콘크리트 구조물 10 : 가이드부재
11 : 스토퍼 20 : 제방부재
21 : 가이드홀 22 : 중공부
31 : 고무 32 : 체결판
33 : 볼트 34 : 지수고무
40 : 측면지지체 41 : 지수판
50 :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Claims (5)

  1. 상측으로 지수고무(34)를 형성한 콘크리트 구조물(c)에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측으로는 스토퍼(11)가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재(10);
    전체적 형상이 좌측에서 보았을 때,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측으로는 상기 가이드부재(10)에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홀(21)을 형성하고, 내측으로는 중공부(22)를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10)가 하천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천과 콘크리트 구조물(c) 사이에 형성되는 제방부재(20);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의 양 끝단으로 측면지지체(40)를 형성하되, 상기 제방부재(20)와 맞닿는 측면지지체(40)의 면에는 지수판(41)을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137795A 2008-12-31 2008-12-31 하천경관개선용범람방지장치 KR10092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795A KR100928518B1 (ko) 2008-12-31 2008-12-31 하천경관개선용범람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795A KR100928518B1 (ko) 2008-12-31 2008-12-31 하천경관개선용범람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518B1 true KR100928518B1 (ko) 2009-11-26

Family

ID=4160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795A KR100928518B1 (ko) 2008-12-31 2008-12-31 하천경관개선용범람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5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10A (ja) 1983-06-22 1985-01-09 Nippon Jido Kiko Kk 移動擁壁
JPH03125710A (ja) * 1989-10-09 1991-05-29 Hachiro Naka 浮消波装置
KR200215949Y1 (ko) * 2000-10-06 2001-03-15 금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제방 월류 방지장치
JP2001081751A (ja) * 1999-09-17 2001-03-27 Yasuhiro Nomura 可動堤防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10A (ja) 1983-06-22 1985-01-09 Nippon Jido Kiko Kk 移動擁壁
JPH03125710A (ja) * 1989-10-09 1991-05-29 Hachiro Naka 浮消波装置
JP2001081751A (ja) * 1999-09-17 2001-03-27 Yasuhiro Nomura 可動堤防
KR200215949Y1 (ko) * 2000-10-06 2001-03-15 금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제방 월류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152B1 (ko)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KR102282034B1 (ko)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KR101709274B1 (ko)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KR1016580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KR100865369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CN111088780A (zh) 一种浮箱式横移挡潮闸闸门结构
KR100928518B1 (ko) 하천경관개선용범람방지장치
JP2016008448A (ja) 増水時に上昇する堤防
CN106049378B (zh) 一种适应水位变动的鱼道出口和设计方法
KR101019677B1 (ko) 친환경 가동식 홍수방지벽
CN102828490A (zh) 分离式码头消浪墙
CN213773214U (zh) 一种生态景观组合护岸
KR20150001389A (ko)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101514949B1 (ko) 플로팅 월
KR100895898B1 (ko) 부력식 차수판
KR200367274Y1 (ko) 하천의 수위조절용 옹벽
KR20040066772A (ko) 하천의 수위조절용 옹벽
KR101492888B1 (ko) 화분 거치형 홍수벽
CN103015373B (zh) 自动控制水位堰闸
KR20120062578A (ko) 연안지역의 범람 방지용 풍력 및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16809B1 (ko) 승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KR100922219B1 (ko) 조립식 물막이 블록
CN221218675U (en) Engineering construction breakwater device
KR200342387Y1 (ko) 승강이 가능한 고수부지 확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