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291B1 -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291B1
KR100928291B1 KR1020080037564A KR20080037564A KR100928291B1 KR 100928291 B1 KR100928291 B1 KR 100928291B1 KR 1020080037564 A KR1020080037564 A KR 1020080037564A KR 20080037564 A KR20080037564 A KR 20080037564A KR 100928291 B1 KR100928291 B1 KR 10092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engine
history
engines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940A (ko
Inventor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주)코스탈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탈파워 filed Critical (주)코스탈파워
Priority to KR102008003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29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6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electric gener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48Remote test, monitoring, diagno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발전기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원격지에 위치된 엔진 발전기의 시작 및 종료를 제어하고 그 동작을 모니터하는 동시에,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수집하여 중앙부로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상기 중앙부가 전송받은 제1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을 관리하면서 하나의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토대로 다른 발전기용 엔진을 사전 확인 및 점검할 수 있게 되어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엔진 발전기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기, 원격, 제어

Description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Remote control method of engine for generator}
본 발명은 엔진 발전기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수집하여 중앙부로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상기 중앙부가 전송받은 제1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엔진 발전기 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용 전력원(utility source of power)에 대한 중단(interruption)이 위험한 상태를 야기하거나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병원, 사무실, 데이터 센터, 공장, 기관, 호텔 기타 빌딩 등에서 소내(on-site) 대체 전기 에너지원을 제공하는데 엔진-발전기 세트(engine-generator set)가 이용된다. 또한, 엔진-발전기 세트는 어떠한 상용 전력도 이용 가능하지 않은 원격 장소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엔진-발전기 세트는 또한 전기 에너지 분배원으로서 이용되어 최대전기 수요 주기(예컨대, 여름) 동안, 상용 전기 발전 시스템의 최대 부하량을 줄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예컨대 상용 전력의 손실 시에 또는 최대 수요 주기의 시작점에 서, 엔진-발전기 세트는 수동개입 없이 엔진-발전기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 받는다. 엔진-발전기 세트가 작동하는 도중비정상 작동상태 또는 기능 불능 상태로 되면, 또는 엔진-발전기 세트에 의하여 생성된 전력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 경우(예컨대 상용 전력의 복구 시에 또는 최대 수요 주기의 종료 시), 엔진-발전기 세트는 엔진-발전기 제어 시스템에 의하여 차단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송받는다.
이미 알려져 있는 엔진-발전기 제어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엔진-발전기 세트의 작동을 제어하며 일부 경우에는 엔진-발전기의 상태 및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백열등(incandescent lights) 또는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알림(annunciation) 장비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구비할 수 있다. 이들 알려져 있는 엔진-발전기 제어기는 고정 입출력 능력을 가지며 하드 와이어드 이산 제어 배선(hard-wired discrete control wiring)을 이용하여 엔진-발전기를 제어하고 모니터 한다. 그러므로, 이미 알려져 있는 엔진-발전기 제어기는 엔진-발전기의 현재 작동 파라미터, 예컨대 오일 압력 또는 오일 온도 등을 모니터 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없다.
원격지에 위치된 엔진 발전기 세트의 시작 및 종료를 제어하고 그 동작을 모니터 하는 기술이 국내특허공보 특2001-0101679호(웹 인에이블형 엔진-발전기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이하 "선행기술1"이라 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1에는 엔진 발전기 세트와 이격되어 엔진 발전기 세트의 동작을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모니터 하는 가시적 엔진 발전기 제어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1에 개시된 웹 인에이블형 엔진-발전기 시스템을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상기 선행기술1에 개시된 가식적 엔진 발전 제어기는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를 가지는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및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이 다이얼 업 커넥션, 특별한 고속 ISDN라인, 케이블 모뎀, 스위치 또는 라우터를 포함하는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1에 개시된 시스템내의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은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와 주기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지시되는 때, 네트워크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가시적 엔진-발전기 제어기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런 다음 그 검색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엔진을 포함하는 컴퓨터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엔진-발전기에 관련된 기타 정보(예컨대, 모델 번호, 일련 번호, 파트 번호, 설치 위치, 주소, 전화 번호 및 엔진-발전기의 효율적 작동과 유지를 위하여 필요한 임의의 기타 정보)를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는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가 보고 사항을 준비하고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에 접근하고 이를 검색하고 관찰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 가능한 기타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엔진-발전기를 위한 서비스를 주문(ordering)할 수 있는 e-비즈니스 인에이블링(enabling) 소프트웨어 에이전트로서 구성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1은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간의 프로토콜 송수신에 의한 접속 관계와 다수의 엔진 발전 제어기들을 선택하는 과정 및 네트워크를 통한 엔진 발전기의 제어 동작 및 엔진 발전기의 동작 상태 데이터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게재되어 있지 못하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컴퓨터로서 원격지에 위치된 다수의 엔진 발전기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시동시킨 이후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을 명료하게 알 수 없었다. 또한,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이격되어 원격지에 위치된 엔진 발전기들의 동작 상태의 모니터링을 실시간을 하는 것이 어려워 유지 보수 관리하는데 불편함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20-0304466(이하 선행기술2)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선행기술2에 나타난 엔진 발전 시스템의 원격 제어장치는 엔진 발전 시스템을 감시하여 사용자에게 모니터링만 할 뿐 갑작스러운 사태를 효율적으로 미리 예견하고 점검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원격지에 위치된 엔진 발전기의 시작 및 종료를 제어하고 그 동작을 모니터하는 동시에, 다수개의 엔진 발전기을 관리하면서 하나의 엔진 발전기 이력을 토대로 다른 발전기용 엔진을 사전 확인 및 점검할 수 있게 되어 다수개의 엔진 발전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엔진 발전기 원격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은,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수집하여 중앙부로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상기 중앙부가 전송받은 제1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을 관리하면서 하나의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토대로 다른 발전기용 엔진을 사전 확인 및 점검할 수 있게 되어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상기 제공단계에서, 상기 제1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은 에어필터 교체 이력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의 출력이 정해진 값 이하로 감지될 경우에, 상기 제1발전기용 엔진의 상기 에어필터의 교체 이력을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의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을 관리하면서 하나의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토대로 다른 발전기용 엔진을 사전 확인 및 점검할 수 있게 되어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장비제조사와 시스템 개발사와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현장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유지 보수 관리에 대한 체계 확립 및 인프라 구축 등에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문제를 미리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부품 고장으로 인해 다른 부품까지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서비스 품질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소수의 전문 인력으로 대응가능하고, 현장 정기 점검 횟수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고장 원인 파악 및 기본 조치가 원격에서 가능하다. 또한, 개별 장비에 대한 A/S를 중앙에서 체계적이고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장비 사전 점검을 통해 장비 고장율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장비 비가동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생상성이 증대되고, 현장에 별도의 감시 및 관리시스템 대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기용 엔진의 위치별 관리시스템 최적화하여, 장비유지보수 정보관리 최적화가 됨으로써 광역 통합 감시 시스템 구축할 수 있다.
제공단계에서 상기 제1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은, 특히, 엔진의 출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고장시 다른 부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흡기 계통 의 에어필터 교체 이력으로 하여 발전기용 엔진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의 출력이 정해진 값 이하로 감지될 경우에, 상기 제1발전기용 엔진의 상기 에어필터의 교체 이력을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의 제어부에 전송함으로써, 엔진의 출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에어필터를 규격화된 시기에 교체하지 않고 상황 또는 환경에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엔진이 항상 균일한 출력을 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시스템은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정보를 수집하는 동시에 기록하고,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정보를 표시하고,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을 제어하는 제어부(100i~100n)와 다수개의 제어부(100i~100n)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중앙부(200)를 포함한다.
이하, 제어부(100i~100n)와 중앙부(200)의 장치에서 종래와 동일한 기능 및 역할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을 참고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00i~100n)는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이 설치된 지역(이하, 현장)에 설치되어, U-Port 또는 별도의 제어PC를 이용하여 중앙부(200)와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00i~100n)가 별도의 단말을 구성하지 않고 U-Port만으로 한 지역에 설치된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0i~100n)는 중앙부(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현장의 작업자가 중앙부(2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각 현장에는 웹 카메라가 구비되어, 현장 화면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가동 상태 및 운영 상태를 클라이언트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중앙부(200)는 제어부(100i~100n)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통신하는 웹서버(210)와 웹서버(210)와 데이터를 통신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을 포함한다.
웹서버(210)는 웹서버로의 기능과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웹서버(210)는 데이터 용량 및 접속 노드수를 고려하여 구성하며, 웹서버(210)의 위치 및 관리 주체는 요구 사항에 따라 가변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웹서버(210)는 방화벽 및 보안툴을 이용하여 시스템 안전성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웹서버(210)는 수집된 각종 운전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를 가공하여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으로 전송함으로써, 클라이언트에게 총 가동/비가동 시간, 운전 이력 데이터, TREND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운전 상태 정보를 제공한다.
제어부(100i~100n)와 웹서버(210)간의 통신을 위해 현장의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210)는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이상 상태 발생시 해당 정보를 운영자에게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 정보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자메세지 또는 음성 정보로 운영자에게 직접 알려 긴급 상황에 대한 신속 대응 조치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고, 장비 담당자의 현장 부재 시에도 감시 가능 체계 구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는 웹브라우저를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컴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은 웹사이트에서 발전기용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웹 브라우징 상태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전기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로그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각 클라이언트별로 등급을 부여하여 낮은 등급은 데이터의 조회만 가능하도록 하고, 데이터 조작은 높은 등급만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이 PDA로 구비되어, 작업자가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부품을 교체하거나 정비할 경우에 이러한 이력을 바로 중앙부(200)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력이 누락되거나 잘못 기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정보 또는 이력은 통상의 방법을 통해 수집되어 중앙부(200)에 전송되거나 클라이언트 시 스템(300i~300n)에 의해 수집되어 중앙부(200)에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의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Drag/Drop기반의 편집이 가능하고, 정적, 동적 텍스트 및 그래픽 툴을 제공하고, Active X 바인딩을 제공하여, 자체화면을 제작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은 설비가 위치한 지역별, 사이트별 특성 및 요구 사항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의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 상에서 웹 카메라의 회전 및 줌인/줌아웃 등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의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저 상에서 화면 전환 및 검색이 용이하게 화면 구성되고, 심볼 또는 애니메이션과 같은 함축적 표현을 통해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한눈에 용이하게 많은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은,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이력을 수집하여 중앙부(200)로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상기 중앙부(200)가 전송받은 제1 발전기용 엔진(110i)의 이력을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110n)을 제어하는 제어부(100n)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현장에서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엔진의 출력을 포함한 운전 데이터 및 이력 데이터가 포함된 일보, 월보가 센서와 같은 감지수단 및 각 부품으로부터 입력받거나 작업자로부터 입력받아 제어부(100i~100n)에 의해 작성된다.
상기 전송단계는 각 지역에 설치된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을 각 각 제어하는 제어부(100i~100n) 또는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에 입력된 상기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이력 및 운전 상태를 중앙부(200)의 웹서버(210)로 전송한다.
제어부(100i~100n)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는 웹서버(210)에 저장되어 가공된 후 클라이언트 시스템(300i~300n)으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언제 어디서나 총 가동/비가동시간, 운전 이력 데이터, TREND표시 등과 같은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각 부품이 정상동작 되고 있는지 여부와 부품의 교체 이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부품의 교체시기는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이 설치된 환경 조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이 먼지가 많거나 주위온도가 높거나 낮은 곳과 같은 가혹한 조건에 설치될 경우에 발전기용 엔진의 부품 수명은 규격화된 교체시기보다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교체시 부품의 규격화된 교체시기에 따라 교체하기보다는 타 부품의 운전상황을 감지하여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흡기계에 설치되는 에어필터의 경우에 에어필터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발전기용 엔진의 출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전기용 엔진의 출력값에 따라서 에어필터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용 엔진의 출력값이 정해진 값보다 낮게 유지되는 경우에는 에어필터를 교체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정해진 규격과 다르게 형성된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교체 주기 이 력이 중앙부(200)에 저장된다.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중앙부(200)의 웹서버(210)가 전송받은 제1 발전기용 엔진(110i)의 이력을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110n)을 제어하는 제어부(100n)에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제공단계에서 다수의 지역에 설치되는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을 설치된 환경조건에 따라서 그룹화하여, 하나의 그룹 내에서 수집된 이력 정보는 동일한 그룹 내에서만 공유되도록 하여, 수집된 이력 정보가 유사한 환경 조건을 가진 발전기용 엔진(110i~110n)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발전기용 엔진(110i~110n)의 제어가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공단계에서 이력은, 제1 발전기용 엔진(110i)의 출력에 큰 영향을 주는 흡기 계통의 에어필터 교체 이력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110n)의 출력이 정해진 값 이하로 감지될 경우에, 상기 제1발전기용 엔진(110i)의 상기 에어필터의 교체 이력을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110n)의 제어부에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부품교체 이력을 공유할 경우에는, 제1 발전기용 엔진(110i)의 부품이 교체된 주기를 통해 제2발전기용 엔진(110n)의 부품 교체 주기를 예측하여, 교체될 시기를 사전에 확인하여 각 부품을 미리 점검할 수 있다. 이로써, 부품이 고장난 후에야 교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의 교체가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공단계에서의 이력을, 엔진 각 계통의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고장시 다른 부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윤활계통의 윤활 오일 교체, 냉각 계통의 냉각수 교체, 연료 계통의 연료필터 교체, 전기 계통의 배터리 교체 이력으로 하여 발전기용 엔진을 더욱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을 관리하면서, 하나의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토대로 다른 발전기용 엔진을 사전 확인 및 점검할 수 있게 되어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하나의 현장에서의 가동 이력이 타 현장에서도 공유되어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은, 발전기용 엔진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제어 개체를 중앙에서 제어하는 기계시스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 시스템 블럭도.

Claims (3)

  1. 다수개의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수집하여 중앙부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중앙부가 전송받은 제1 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을 제2발전기용 엔진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제공하여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을 사전 확인 또는 점검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단계에서,
    상기 제1발전기용 엔진의 이력은 흡기계 에어필터 교체 이력인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단계에서,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의 출력이 정해진 값 이하로 감지될 경우에, 상기 제1발전기용 엔진의 상기 에어필터의 교체 이력을 상기 제2발전기용 엔진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
KR1020080037564A 2008-04-23 2008-04-23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 KR10092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564A KR100928291B1 (ko) 2008-04-23 2008-04-23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564A KR100928291B1 (ko) 2008-04-23 2008-04-23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940A KR20090111940A (ko) 2009-10-28
KR100928291B1 true KR100928291B1 (ko) 2009-11-25

Family

ID=4155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564A KR100928291B1 (ko) 2008-04-23 2008-04-23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1202A (zh) * 2012-08-20 2014-03-12 北京威控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酒店客房智能监控系统及方法
CN105511433A (zh) * 2015-12-11 2016-04-20 厦门理工学院 酒店智能化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494A (ja) 2000-08-09 2002-02-20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発電機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20040042057A (ko) * 2002-11-12 2004-05-20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엔진 발전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46070A (ja) 2004-07-30 2006-02-16 Nippon Galaxy Engineering:Kk 非常用発電装置と非常用発電装置の遠隔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494A (ja) 2000-08-09 2002-02-20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発電機の遠隔操作システム
KR20040042057A (ko) * 2002-11-12 2004-05-20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엔진 발전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46070A (ja) 2004-07-30 2006-02-16 Nippon Galaxy Engineering:Kk 非常用発電装置と非常用発電装置の遠隔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940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010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ition monitoring of a group of plants
CN107026894B (zh) 用于通过工业资产递送自动通知的装置和方法
CN208754331U (zh) 一种基于物联网和工业云的纺织机械远程运维系统
CN102971680B (zh) 用于流体能量机系统的监视和诊断系统以及流体能量机系统
KR100599990B1 (ko) 작업기계의 메인티넌스시스템
Mori et al. Remote monitoring and maintenance system for CNC machine tools
CN101286954A (zh) 用于机器人的远程诊断系统
JP2003177815A (ja) 産業機械の保全システム
CN111591778A (zh) 基于互联网技术的堆取料机远程监控管理系统及方法
CA24127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ty enterprise management
CN113110218B (zh) 一种基于物联网的除尘设备远程监控系统及其实现方法
CN111052087A (zh) 控制系统、信息处理装置以及异常主要原因推定程序
EP1777188A1 (en) Elevator monitoring system
KR100928291B1 (ko) 발전기용 엔진 원격 제어방법
JP2014233060A (ja) プラント遠隔監視制御装置
CN205983124U (zh) 一种综合监控系统
CN113810797B (zh) 基于光端口状态监测的智能odn管理系统及方法
KR20040042057A (ko) 엔진 발전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485266B (zh) 一种核电厂bop工艺过程综合控制系统及方法
KR20050106650A (ko) 인터넷을 통한 보일러 원격제어 및 통합관리 시스템
CN204203729U (zh) 一种适于包装印刷机器云服务系统
KR101058001B1 (ko)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CN101114966A (zh) 宽带接入服务器系统的信息指示系统及方法
CN110244639A (zh) 一种终端设备、工程机械监控设备及工程机械监控系统
US11614725B1 (en) Remote annunci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