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548B1 -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548B1
KR100926548B1 KR1020090054740A KR20090054740A KR100926548B1 KR 100926548 B1 KR100926548 B1 KR 100926548B1 KR 1020090054740 A KR1020090054740 A KR 1020090054740A KR 20090054740 A KR20090054740 A KR 20090054740A KR 100926548 B1 KR100926548 B1 KR 100926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rticles
electrode plate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배
김현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닉스
Priority to KR102009005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7/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7/02Separators
    • B03C7/12Separators with material falling free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2종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으로 하전시키는 하전부와,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을 극성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정전선별부와, 상기 음극판부와 양극판부를 따라 낙하하는 입자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전선별부의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에는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부착된 입자를 분리하는 스크래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정전선별부의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에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부착된 입자를 분리하는 상기 스크래퍼가 구비되기 때문에 2종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을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정전선별부, 컨베이어벨트, 스크래퍼

Description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FRICTION ELECTRIC CHARGE TYPE POWER FAILURE SORTING SYSTEM}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뿐만 아니라 2종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입자들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을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폐플라스틱의 발생량은 년간 300만톤으로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나, 재활용 기술이나 재활용 시설의 부족, 그리고 수거, 분리 및 세척 등의 제반 문제로 인해 재활용율은 16%이하로 매우 미미한 수준이며, 관련 재생업체 또한 대부분이 영세하여 신재로와 재생원료와의 가격축소, 공해방지 비용증가 등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부분의 폐플라스틱이 매립 또는 소각되고 있으며, 매립지의 확보, 소각장 건설 및 환경오염 등의 각종 문제가 야기되고 있고, 특히 PVC 등과 같이 염소를 포함한 폐플라스틱을 소각할 경우 중금속이나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이 배출되고 있다.
그러나, 폐플라스틱 폐기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부족하고, 처리기술 수준 또한 선진국에 비해 초보적인 단계에 불과하여 분리 수거된 폐플라스틱 조차도 야적 상태로 방치되거나 불법매립 되는 등 폐플라스틱은 사회문제로까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폐플라스틱을 폐기물이 아닌 가용자원의 일종으로 새로이 인식하고, 환경보호 측면에서 새로운 재활용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다.
통상적으로, 폐플라스틱 재활용 방법으로는 크게, 재료재생, 소각 및 열회수, 열분해 그리고, 고형화 방법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열가소성수지가 대부분인 국내의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함에 있어 가장 좋은 방법은 본래의 원재료로 재자원화 할 수 있는 재료재생에 의한 재활용이다.
열분해방법은 국내에서도 상품화의 초보적 단계까지 이르고 있지만, 아직도 기술적인 문제점과 경제성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고, 소각 및 열회수 방법 또한 HC1에 의한 2차 적인 환경오염의 측면에서 적절치 못하다.
재활용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 플라스틱 제품 종류의 다양성과 서로 다른 물성치 그리고, 수집, 분류 및 정제의 어려움을 들 수 있는데, 이때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은 각각의 플라스틱을 어떻게 서로 분리하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한편, 선별적인 분리의 실례는 많지 않으며, 혼합 플라스틱의 분리기술이 현실화되지 못해서 현재의 재활용 기술은 비교적 균질한 성분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대부분이 노동집약적이며, 고비용인 수작업을 통해 직접 분리되고 있어 효율저하 및 재활용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전부에서 마찰 및 충돌 등으로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이 정전선별부를 통과하여 극성에 따라 분리되고, 분리된 입자들이 재질에 따라 포집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등록특허 제10-0836003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등록특허 제10-0836003호)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하전물질에 따라 상기 정전선별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하전물질의 분리효율이 저하됨은 물론, 이로 인해 하전물질을 연속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전선별부에 부착된 상태의 하전물질을 일일이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2종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입자들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을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종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으로 하전시키는 하전부와,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을 극성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정전선별부와, 상기 음극판부와 양극판부를 따라 낙하하는 입자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전선별부의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에는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부착된 입자를 분리하는 스크래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어 음극판 또는 양극판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는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는 극판과, 상기 극판을 수용한 상태로 배치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의 하측에 각각 하부가 축고정되어 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에 의해 분리된 입자들이 포집되는 포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집부의 분리판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분리판의 상단부에는 충격흡수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정전선별부의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에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에 부착된 입자를 분리하는 스크래퍼가 구비되기 때문에 2종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진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을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부착된 입자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정전선별부의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의 분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어 음극판 또는 양극판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하전부를 통해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컨베이어벨트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의 분리효율을 보다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가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는 극판과, 상기 극판을 수용한 상태로 배치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하전부를 통해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이 음극 또는 양극으로 분리되는 과정 중에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이 상기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 방향으로 낙하하는 과정 중에 상기 극판에 부착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의 분리효율이 보다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포집부가 상기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의 하측에 각각 하부가 축고정되어 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에 의해 분리된 입자들이 포집되는 포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음극판부와 양극판부를 따라 낙하 하는 입자들의 크기 및 순도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포집부의 분리판이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반대 극성의 입자들이 상기 포집기에 포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분리판의 상단부에 충격흡수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이 상기 음극판부와 양극판부를 따라 낙하하는 중에 발생되는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이 상기 포집기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고, 나아가 반대 극성의 입자들이 상기 포집기에 포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입자들의 순도를 보다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종 이상의 입자(도 4의 P)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을 하전시키는 하전부(10)와,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을 극성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정전선별부(30)와, 상기 음극판부(310)와 양극판부(330)를 따라 낙하하는 입자(P)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포집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전부(10), 정전선별부(30) 및 포집부(50)에 관한 내용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정전선별부(30)의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 또는 에어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34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340)에 부착된 입자(P)를 분리하는 스크래퍼(도 2의 3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미도시)로는 특히, 내구성이 좋고 유지 보수가 편리하며, 연속적으로 긴 시간을 작업해도 과열 등으로 인한 운전정지가 필요 없음은 물론, 회전방향의 전환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회전수와 토크범위로 인해 별도의 감속기 등이 필요 없는 에어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전부(10)의 타측에는 플라스틱 폐기물 등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을 에어콤프레셔 등의 공기압축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하전부(10)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와 함께 상기 하전부(10)의 내부로 투입된 2종 이상의 입자(P)로 이루어진 상기 혼합물은 상기 하전부(10)의 내부에서 입자(P)와 입자(P)간 또는 입자(P)와 하전물질과의 마찰하전에 의해 분극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의 입자(P)가 서로 다른 입자(P) 또는 하전물질과 충돌하거나 마찰하게 될 경우 일함수(work function) 값의 차이에 의해 두 물질의 페르미 준위(fermi-level)가 동일해지는 방향으로 전자의 이동이 있게 된다.
그리고, 접촉 후 입자(P)가 다시 표면에서 분리되면 전자의 과잉 또는 부족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상기 입자(P)는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 된다.
여기서, 상기 하전부(10)의 하단과 상기 정전선별부(30)의 상부 사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전부(10)에 의해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된 입자(P)들이 분산된 상태로 상기 정전선별부(30) 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부(7)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정전선별부(30)가 내부에 구비되고, 외부의 공기를 차단하는 차단부(9)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부(9)가 더 구비될 경우 전기장을 형성하는 상기 정전선별부(30)가 외부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하전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된 입자(P)들은 상기 진동부(7)에 의해 분산된 상태로 상기 차단부(9)의 외측에 구비되는 전력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기장을 형성시키는 상기 정전선별부(30)의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 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는 전기장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된 입자(P)들이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 방향으로 낙하하여 각각의 극성에 따라 상기 포집부(50)에 포집되고, 일부는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에 구비되는 메쉬와이어벨트 등의 상기 컨베이어벨트(340)에 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에는 상기 스크래퍼(350)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340)는 상기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벨트(340)에 부착된 상태의 입자(P)들은 상기 스크래퍼(350)에 의해 분리됨과 동시에 각각의 극성에 따라 상기 포집부(50)에 포집되게 된다.
도 2는 정전선별부(30)의 컨베이어벨트(340)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벨트(34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좋다(도 2의 화살표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34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래퍼(350)가 상기 컨베이어벨트(340)에 부착된 입자(P)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정전선별부(30)의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 부(330)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의 분리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벨트(34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및 티타늄 등의 전도성 재질인 메쉬와이어벨트(미도시)의 외측에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재질의 시트(미도시)가 코팅처리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어 음극판 또는 양극판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베이어벨트(340)가 상기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장을 형성시킬 경우 상기 컨베이어벨트(340)가 음극 또는 양극의 극성을 띄는 음극판 또는 양극판으로서 이용이 되기 때문에 상기 하전부(10)를 통해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컨베이어벨트(340) 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와이어벨트(미도시)의 관통공(미도시)을 상기 시트(미도시)가 메워주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벨트(340)가 상기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장을 형성시키더라도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이 상기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상기 컨베이어벨트(340)의 내측으로 낙하할 우려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벨트(340)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어 음극판 또는 양극판으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상기 하전부(10)를 통해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컨베이어벨트(340) 방향으로 낙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의 분리효율을 보다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포집부(50)의 분리판(51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정전선별부(30)가 혼합물의 입자(P)를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에 따라 분리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포집부(5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의 하측에 각각 하부가 축고정되어 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분리판(510)과, 상기 분리판(510)에 의해 분리된 입자(P)들이 포집되는 포집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분리판(51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정전선별부(30)에 일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축고정되고, 상기 분리판(510)상에 타단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축고정된 상태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에어실린더(511)에 의해 좌우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판(510)은 예를 들어, 상기 정전선별부(30)에 하단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좌우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집기(5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전부(10)에 의해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이 각각 극성이 다른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 방향으로 분리된 상태로 낙하함과 동시에 포집될 수 있도록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와 인접한 거리에 각각 구비되는 일측 및 타측 포집기(531,532)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9)의 하부에는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 방향으로 낙하하지 못한 입자(P)들과 상기 분리판(510)에 부딪혀 반발된 입자(P)들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반발 입자 포집기(534)가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좋다.
이때, 상기 반발 입자 포집기(534)에 포집된 상태의 입자(P)들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발 입자 포집기(534)의 하단에 구비된 공급관(535)을 따라 상기 반발 입자 포집기(534)와 인접한 거리에 구비된 수용함(536)에 수용된다.
이와 동시에 예를 들어, 상기 수용함(536)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콤프레셔(537)에 의해 상기 수용함(536)의 하단과 상기 공급부(미도시) 사이에 구비되는 회수관(538)을 따라 다시 상기 공급부(미도시)로 공급됨으로써, 다시 한 번 상기 하전부(10)를 통해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으로 하전된 후 상기 일측 및 타측 포집기(531,532)에 포집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포집부(50)가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의 하측에 각각 하부가 축고정되어 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기 분리판(510)과, 상기 분리판(510)에 의해 분리된 입자(P)들이 포집되는 상기 포집기(530)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음극판부(310)와 양극판부(330)를 따라 낙하하는 입자(P)들의 크기 및 순도에 따라 보다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분리판(510)의 상단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부재 및 탄성부재 등의 충격흡수부(52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분리판(510)의 상단부에 상기 충격흡수부(520)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이 상기 음극판부(310)와 양극판부(330)를 따라 낙하하는 중에 발생되는 충격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이 상기 포집기(530)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낙하할 수 있고, 나아가 반대 극성의 입자(P)들이 상기 포집기(530)에 포집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입자(P)들의 순도를 보다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부(9)의 외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차단부(9)의 내부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습부재(7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부(9)의 외부에 상기 제습부재(70)가 더 구비될 경우 상기 제습부재(70)에 의해 상기 차단부(9)의 내부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상기 정전선별부(30)의 습도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정전선별부(30)의 정전기 특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하전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의 분리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도 5는 포집부(50)의 분리판(510)의 길이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포집부(50)의 분리판(51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분리판(51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의 하측에 각각 하부가 축고정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이동판(512)과, 상기 좌우이동판(51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이동판(5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기 좌우이동판(512) 및 상하이동판(514)의 양측벽에는 길이방향의 슬릿(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미도시)에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미도시)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에는 너트부재(미도시)가 체결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분리판(510)의 길이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고자 할 경우 상기 상하이동판(51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슬릿(미도시)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고정부재(미도시)를 예를 들어,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너트부재(미도시)와 체결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좌우이동판(512)의 내부에 상기 상하이동판(514)을 밀착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분리판(5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포집부(50)의 분리판(510)이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반대 극성의 입자(P)들이 상기 포집기(530)에 포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는 제 1실시예와 달리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는 극판(360)과, 상기 극판(360)을 수용한 상태로 배치되는 비전도성 재질의 컨베이어벨트(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극판(360)의 재질로는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어 각각 음극 또는 양극의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의 극판(360)이 상기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장을 형성시킬 경우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의 극판(360)이 각각 음극 또는 양극의 극성을 띄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하전부(10)를 통해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이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 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벨트(340)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하전부(10)를 통해 양극 또는 음극으로 하전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을 반대극성으로 정전유도하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벨트(340)가 박막타입의 비전도성물질에 삽입되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가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는 상기 극판(360)과, 상기 극판(360)을 수용한 상태로 배치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하전부(10)를 통해 양극 또는 음극으 로 하전된 상태의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이 상기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 방향으로 낙하하는 과정 중에 상기 극판(360)에 부착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의 분리효율이 보다 현저하게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정전선별부(30)의 음극판부(310) 및 양극판부(330)에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컨베이어벨트(340)와, 상기 컨베이어벨트(340)에 부착된 입자(P)를 분리하는 상기 스크래퍼(350)가 구비되기 때문에 2종 이상의 입자(P)로 이루어진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혼합물의 입자(P)들을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정전선별부의 컨베이어벨트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포집부의 분리판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정전선별부가 혼합물의 입자를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에 따라 분리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포집부의 분리판의 길이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 진동부, 9; 차단부,
10; 하전부, 30; 정전선별부,
310; 음극판부, 330; 양극판부,
340; 컨베이어벨트, 350; 스크래퍼,
360; 극판, 50; 포집부,
510; 분리판, 511; 에어실린더,
512; 좌우이동판, 514; 상하이동판,
520; 충격흡수부, 530; 포집기,
531; 일측 포집기, 532; 타측 포집기,
534; 반발 입자 포집기, 535; 공급관,
536; 수용함, 537; 에어콤프레셔,
538; 회수관, 70; 제습부재,
P; 입자

Claims (7)

  1. 2종 이상의 입자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으로 하전시키는 하전부와, 상기 혼합물의 입자들을 극성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정전선별부와, 상기 음극판부와 양극판부를 따라 낙하하는 입자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전선별부의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에는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부착된 입자를 분리하는 스크래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어 음극판 또는 양극판으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는 음극 또는 양극과 연결되는 극판과, 상기 극판을 수용한 상태로 배치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음극판부 및 양극판부의 하측에 각각 하부가 축고정되어 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분리판과, 상기 분리판에 의해 분리된 입자들이 포집되는 포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의 분리판은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상단부에는 충격흡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KR1020090054740A 2009-06-19 2009-06-19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KR100926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740A KR100926548B1 (ko) 2009-06-19 2009-06-19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740A KR100926548B1 (ko) 2009-06-19 2009-06-19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548B1 true KR100926548B1 (ko) 2009-11-12

Family

ID=4156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740A KR100926548B1 (ko) 2009-06-19 2009-06-19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54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539B1 (ko) * 2012-10-30 2014-08-2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WO2014171612A1 (ko) * 2013-04-15 2014-10-2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1463170B1 (ko) * 2013-04-15 2014-11-18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1538850B1 (ko) * 2013-10-11 2015-07-22 주식회사 포스코 이중 컨베이어형 정전 선별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정전 선별기
KR20160050454A (ko) * 2014-10-29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수 분리 장치
CN108970982A (zh) * 2018-08-03 2018-12-11 南京博内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焚烧煤渣筛选装置及其处理方法
CN110076000A (zh) * 2019-05-29 2019-08-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离除尘装置
KR102024046B1 (ko) * 2018-10-28 2019-09-24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미세 먼지 집진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47225A (ko) * 2018-10-28 2020-05-07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미세 먼지 집진 시트, 미세 먼지 집진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555A (ko) * 2001-08-21 2003-03-03 한국후라이애쉬시멘트공업(주) 복합코로나-정전기장에 의한 플라이 애쉬 중의 미연탄소분 분리장치 및 분리 방법
KR20040006254A (ko) * 2002-07-11 2004-0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혼합 플라스틱 정전분리장치용 전극판의 배치구조
KR100836003B1 (ko) 2007-03-15 2008-06-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555A (ko) * 2001-08-21 2003-03-03 한국후라이애쉬시멘트공업(주) 복합코로나-정전기장에 의한 플라이 애쉬 중의 미연탄소분 분리장치 및 분리 방법
KR20040006254A (ko) * 2002-07-11 2004-0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혼합 플라스틱 정전분리장치용 전극판의 배치구조
KR100836003B1 (ko) 2007-03-15 2008-06-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539B1 (ko) * 2012-10-30 2014-08-2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WO2014171612A1 (ko) * 2013-04-15 2014-10-23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1463170B1 (ko) * 2013-04-15 2014-11-18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CN105026048A (zh) * 2013-04-15 2015-11-04 株式会社Posco 原料分选设备和原料分选方法
US9700899B2 (en) 2013-04-15 2017-07-11 Posco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1538850B1 (ko) * 2013-10-11 2015-07-22 주식회사 포스코 이중 컨베이어형 정전 선별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정전 선별기
KR101644158B1 (ko) * 2014-10-29 2016-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수 분리 장치
KR20160050454A (ko) * 2014-10-29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수 분리 장치
CN108970982A (zh) * 2018-08-03 2018-12-11 南京博内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焚烧煤渣筛选装置及其处理方法
KR102024046B1 (ko) * 2018-10-28 2019-09-24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미세 먼지 집진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00047225A (ko) * 2018-10-28 2020-05-07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미세 먼지 집진 시트, 미세 먼지 집진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115571B1 (ko) 2018-10-28 2020-06-05 센서클라우드주식회사 미세 먼지 집진 시트, 미세 먼지 집진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0076000A (zh) * 2019-05-29 2019-08-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离除尘装置
CN110076000B (zh) * 2019-05-29 2024-05-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离除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548B1 (ko)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KR100836003B1 (ko)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CN102569940B (zh) 废旧锂离子电池负极材料的回收方法
KR100187968B1 (ko) 석탄회의 미연탄소분 분리장치
CN105811040B (zh) 一种锂电池破碎拆解回收方法
CN101185935A (zh) 含金属固体废料回收方法和设备
CN105642645A (zh) 城镇混合垃圾干式自动化精细分选方法及其设备
KR20100013767A (ko)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CN102962129B (zh) 一种分选生活垃圾中金属物质的磁选装置和方法
CN203842916U (zh) 一种金属复合板回收生产线
CN112452406B (zh) 一种固体垃圾粉碎回收利用设备
KR20000050048A (ko) 마찰대전 정전분리를 이용한 혼합폐플라스틱 재질별분리장치
CN204220604U (zh) 城镇混合垃圾干式自动化精细分选设备
CN111229461B (zh) 一种建筑余料破碎分选装置
CN102873031B (zh) 垃圾分选系统及方法
JP2012110855A (ja) プラスチック選別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選別装置
CN215849120U (zh) 一种具有筛分功能的碎料机
CN114392828B (zh) 一种垃圾焚烧发电厂炉渣的资源化综合处理方法
CN102921548B (zh) 一种分选生活垃圾中有毒有害物质的组合装置及方法
CN201147722Y (zh) 高压静电分选机
JP4271352B2 (ja) 静電気発生装置、及びアルミニウム含有廃棄プラスチックの静電分離装置
CN205497872U (zh) 一种电子废物塑料中金属杂质的分选装置
KR102014900B1 (ko) 회전롤러를 이용한 정전선별장치
KR102186829B1 (ko) 매립장 폐기물 전처리 시스템
CN210585878U (zh) 碎末吸附分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