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003B1 -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003B1
KR100836003B1 KR1020070025310A KR20070025310A KR100836003B1 KR 100836003 B1 KR100836003 B1 KR 100836003B1 KR 1020070025310 A KR1020070025310 A KR 1020070025310A KR 20070025310 A KR20070025310 A KR 20070025310A KR 100836003 B1 KR100836003 B1 KR 10083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charged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호석
박운용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그린폴리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그린폴리텍(주)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2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7/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7/02Separators
    • B03C7/12Separators with material falling free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광부, 하전부, 정전선별부 및 포집기를 포함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폐플라스틱 입자의 질량, 하전량 및 입자크기에 따라 정전선별부의 음극판과 양극판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정전선별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폐플라스틱의 질량, 하전량 및 입자크기와, 음극판과 양극판의 간격에 따라 포집기 사이에 형성된 분리판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정전선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는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재질별로 분리하기 위한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있어서, 급광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으로 하전시키기 위한 하전부, 상기 입자들을 극성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음극판 및 양극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은 상기 입자들의 질량, 전하량 및 입자크기에 따라 그 간격이 결정되는 정전선별부 및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을 따라 낙하하는 상기 입자들이 포집되며, 상기 입자들의 질량, 전하량 및 입자크기와, 상기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의 간격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는 분리판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포집기를 포함한다.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혼합폐플라스틱, 음극판, 양극판, 전기장

Description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tribo-electrostatic sep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극판과 양극판의 하측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극판과 양극판의 상,하측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400: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110: 급광부
120: 파이프형 하전기 130: 정전선별부
140: 전력공급부 150: 다수의 포집기
160: 진동관 170: 모터
180: 분리판 410: 사이클론 하전기
본 발명은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재질별로 분리하기 위한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전부에서 마찰 및 충돌 등으로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이 정전선별부를 통과하여 극성에 따라 분리되고, 분리된 입자들이 재질에 따라 포집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폐플라스틱의 발생량은 년간 300만톤으로 매년 증가추세에 있으나, 재활용 기술이나 재활용 시설의 부족 그리고 수거, 분리, 세척 등의 제반 문제점으로 인해 재활용 율은 16% 이하로 매우 미미한 수준이며, 관련 재생업체 또한 대부분이 영세하여 신재료와 재생원료와의 가격축소, 공해방지 비용증가 등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부분의 폐플라스틱이 매립 또는 소각되고 있으며, 매립지의 확보, 소각장 건설 및 환경오염 등의 각종 문제가 야기되고 있고, 특히 PVC 등과 같이 염소를 포함한 폐플라스틱을 소각할 경우 중금속이나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이 배출되고 있지만, 폐플라스틱 폐기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부족하고 처리기술 수준 또한 선진국에 비해 초보적인 단계에 불과하여 분리 수거된 폐플라스틱 조차도 야적 상태로 방치되거나, 불법매립 되는 등 폐플라스틱은 사회문제로까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폐플라스틱을 폐기물이 아닌 가용자원의 일종으로 새로이 인식하고 환경보호 측면에서 새로운 재활용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다.
통상적으로 폐플라스틱 재활용 방법으로는 크게 재료재생, 소각 및 열회수, 열분해 그리고 고형화 방법 등이 있다. 그 중에서 열가소성수지가 대부분인 국내의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함에 있어 가장 좋은 방법은 본래의 원재료로 재 자원화 할 수 있는 재료재생에 의한 재활용이다.
열분해방법은 국내에서도 상품화의 초보적 단계까지 이르고 있지만 아직도 기술적인 문제점과 경제성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고, 소각-열회수 방법 또한 HCl에 의한 2차 적인 환경오염의 측면에서 적절치 못하다.
재활용 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 플라스틱 제품 종류의 다양성과 서로 다른 물성치 그리고 수집, 분류 및 정제의 어려움을 들 수 있는데,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은 각각의 플라스틱을 어떻게 서로 분리하는가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하지만 선별적인 분리의 실례는 그리 많지 않으며, 혼합 플라스틱의 분리기술이 현실화되지 못해서 현재의 재활용 기술은 비교적 균질한 성분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대부분이 노동집약적이며, 고비용인 수작업을 통해 직접 분리되고 있어 효율저하 및 재활용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국내 산업계에서도 폐플라스틱의 분리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며 이들은 주로 공기분리, 하이드로 사이클론을 이용한 분리, 부상 및 침전을 이용한 분류, 탈중합, 정제 및 재중합하는 분리, 분리용해 하는 분리, 적외선 분석 및 폴리머의 레이저 주사에 의한 분리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지만, 이러한 혼합플라스틱의 분리방법은 폴리머의 특성을 검출할 수 있는 분광판독기 등의 고가의 장치들이 필요하며, 그러한 장비들이 경제적으로 유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일 뿐만 아니라, 공정의 전체적인 단계가 느려, 보다 우수한 가격 경쟁력을 가진 효율적인 분리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급광부, 하전부, 정전선별부 및 포집기를 포함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폐플라스틱 입자의 질량, 하전량 및 입자크기에 따라 정전선별부의 음극판과 양극판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정전선별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합폐플라스틱의 질량, 하전량 및 입자크기와, 음극판과 양극판의 간격에 따라 포집기 사이에 형성된 분리판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정전선별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는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재질별로 분리하기 위한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있어서, 급광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으로 하전시키기 위한 하전부, 상기 입자들을 극성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음극판 및 양극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은 상기 입자들의 질량, 전하량 및 입자크기에 따라 그 간격이 결정되는 정전선별부 및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을 따 라 낙하하는 상기 입자들이 포집되며, 상기 입자들의 질량, 전하량 및 입자크기와, 상기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의 간격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는 분리판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포집기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를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100)는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정전선별장치(10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급광부(110), 급광부(110)에 의해 공급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재질에 따라 (+)극 또는 (-)극으로 하전시키기 위한 파이프형 하전기(하전부, 120),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이 극성에 따라 음극판(131) 또는 양극판(132)으로 이동되어 분리되기 위한 정전선별부(130), 정전선별부(130)의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한 전력 공급부(140) 및 분리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이 재질별로 포집되기 위한 다수의 포집기(15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100)는 파이프형 하전기(120)로부터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공급받아 정전선별부(130)에 골고루 분산공급하기 위해 진동운동하는 진동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100)는 정전선별부(130)와 다수의 포집기(150)를 감싸서 외부공기를 차단하는 차단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부(190)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정전선별부(130)가 외부공기의 접촉을 방지하여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100)는 차단부(190)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가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차단부(190)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적절한 범위 내에서 향상시킴으로써, 정전선별부(130)의 습도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정전선별부(130)의 정전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전선별부(130)의 정전기 특성이 향상되면,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의 분리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광부(110)는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11)와, 주입구(111)로 주입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파이프형 하전기(120)로 이동시키기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기(11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압축기(112)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공기압축기(112)와 주입구(111)를 연결하는 연결관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량계(113)를 통해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광부(110)는 공기압축기(112)에서 파이프형 하전기(120)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건조수단(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건조수단(114)이 급광부(110)에 포함되는 이유는 공기 중의 수분함량이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의 하전 및 선별효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의 하전특성 및 선별효율은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하전기(120)는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하전시키기 위한 하전물질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주입구(111)와 연결되어 있다. 주입구(111)에서 주입되어 공기압축기(112)의 공기 공급에 의해 이동되는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지속적인 공기 공급에 의해 파이프형 하전기(120)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하전물질과 서로 마찰되거나 충돌하게 되어 재질에 따른 극성으로 하전되게 된다.
이하, 파이프형 하전기(120) 내부에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의 하전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와 함께 파이프형 하전기(120) 내부로 투입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파이프형 하전기(120) 내부에서 입자와 입자간 또는 입자와 하전물질과의 마찰하전에 의해 분극된다. 입자가 서로다른 입자나 혹은 하전물질에 충돌 또는 마찰하게 되면 일함수(work function) 값의 차이에 의해 두 물질의 페르미 준위(fermi-level)가 같아지는 방향으로 전자의 이동이 있게 된다. 접촉 후, 입자가 다시 표면에서 분리되면 전자의 과잉 또는 부족현상이 발생하므로 입자는 (-) 혹은 (+)로 하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선별부(130)는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이 배치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은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는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의 질량, 하전량, 및 입자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극판(131)과 양극판의 간격은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의 하측을 축으로 고정하고 상측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의 이동은 모터(170)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의 상측을 축으로 고정하고 하측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의 간격을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의 상측 및 하측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의 간격을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선별부(130)의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은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이 음극판(131) 또는 양극판(132)에 부딪 혀 반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기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음극판(131) 또는 양극판(132)에 부딪혀 반동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반대 극성의 입자들이 포집되는 포집기(150)에 포집되어, 동일한 재질의 플라스틱 회수율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전선별부(130)의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은 선별효율을 높이기 위해 구배력이 큰 스크린 타입의 구리를 포함하는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 혹은 (+)로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음극판(131)과 양극판(132) 사이를 통과하며, 이때 (+)로 하전된 입자는 음극판(131)으로 이동하고, (-)로 하전된 입자는 양극판(132)로 이동하여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이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정전선별부(130)에서 극성에 따라 분리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각각의 극성에 따라 다수의 포집기(150)에 포집된다. 이때,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의 재질은 각각이 특수한 극성으로 하전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이 극성에 따라 포집기(150)에 포집되는 것은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이 재질에 따라 포집되었음을 의미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집기(150)의 배치는,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이 극성따라 포집될 수 있도록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의 하단에 제1포집기(151)를 각각 배치한다. 그리고, 음극판(131)과 양극판(132) 하단에 배치된 복수의 제1포집기(151) 사이에는 음극판(131) 또는 양극판(132)으로 이동하지 못한 입자들과 음극판(131) 또는 양극판(132)에 부딪혀 반발된 입자들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제2포집기(152)를 배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포집기(152)는 적어도 1개 이상을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제2포집기(152)에 포집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다시 급광부(110)의 주입구(111)에 주입하여 2차적으로 분리 및 포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포집기(151)와 제2포집기(152) 사이에는 제1포집기(151)와 제2포집기(152)를 각각으로 분리하는 분리판(18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판(180)은 반대의 극성으로 하전된 입자들이 포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판(180)은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의 질량, 하전량 및 입자크기와, 음극판(131) 및 양극판(132)의 간격에 따라 분리판(180)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리판(180)의 위치는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분리판(180)을 이동시킴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며, 또한 분리판(180)의 하측 단부를 축으로 고정하고 분리판(180)의 상측을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분리판의 이동은 모터(170)에 의해서 구동되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선별장치를 개략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선별장치(400)는 사이클론 하전기(410)를 하전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하전기(410)는 하전물질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급광부(110)의 주입구(111)와 연결되어 있다. 주입구(111)에서 주입되 는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공기압축기(112)의 공기 공급에 의해 사이클론 하전기(410)로 이동되고, 이동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사이클론 하전기(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회전에 의해 하전물질과 서로 마찰되거나 충돌하게 되어 재질에 따른 극성으로 하전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선별장치를 이용하여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재질별로 분리하는 정전선별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한다.
우선, 재질별로 분리하고자 하는 혼합폐플라스틱을 분쇄하여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제조한다.
제조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하전부에서 하전효과를 높이기 위해 입자표면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을 수행한다.
세척이 완료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정전선별장치(100, 400)에 공급하기 위해 급광부(110)의 주입구(111)에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주입한다. 주입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공기압축기(112)의 공기 공급에 의해 하전부로 이동하게 된다.
하전부로 이동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하전부 내에서 공기에 의해 유동하게 되고, 하전부 내부에 형성된 하전물질과 마찰 또는 충돌하게 되어 재질에 따라 (+)극 또는 (-)극으로 하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전부로 파이프형 하전기(120) 또는 사이클론(410)을 사용할 수 있다.
하전부에서 하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음극판(131) 또는 양극판(132) 이 대칭구조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정전선별부(130)를 통과하는데, 이때 (+)극으로 하전된 입자들은 음극판(131)으로 이동하고, (-)극으로 하전된 입자들은 양극판(+)으로 이동하여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분리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질별로 분리하고자 하는 혼합폐플라스틱의 입자의 질량, 하전량 및 입자크기에 따라 음극판(131)과 양극판(132)를 이동시켜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의 간격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정전선별부(130)에 의해 극성에 따라 분리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음극판(131)과 양극판(132)의 하단에 위치한 제1포집기(151)에 포집된다. 한편, 제2포집기(152)에 포집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은 급광부(110)의 주입구(111)에 재차 주입하여, 반복적인 분리 및 포집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재질별로 포집하고자하는 혼합폐플라스틱 입자의 질량, 하전량 및 입자크기에 따라 포집기(150)에 형성된 분리판(180)을 이동시켜 분리판(180)의 위치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는 급광부, 하전부, 정전선별부 및 포집 기를 포함으로써,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며,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는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의 분리속도가 빠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는 혼합폐플라스틱 입자의 질량, 하전량 및 입자크기에 따라 음극판 및 양극판의 간격을 결정함으로써, 분리된 입자들의 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는 혼합폐플라스틱 입자의 질량, 하전량 및 입자크기와, 음극판과 양극판의 간격에 따라 분리판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분리된 입자들의 품질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재질별로 분리하기 위한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에 있어서,
    급광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혼합폐플라스틱 입자들을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으로 하전시키기 위한 하전부;
    상기 입자들을 극성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음극판 및 양극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은 상기 입자들의 질량, 전하량 및 입자크기에 따라 그 간격이 결정되는 정전선별부; 및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을 따라 낙하하는 상기 입자들이 포집되며, 상기 입자들의 질량, 전하량 및 입자크기와, 상기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의 간격에 따라 위치가 결정되는 분리판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포집기
    를 포함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간격은,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하측 단부를 축으로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상측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조절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간격은,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상측 단부를 축으로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하측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조절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간격은,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상측과 하측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조절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5. 제 2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은 대칭으로 배치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간격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은,
    하전된 상기 입자가 상기 음극판 또는 상기 양극판에 부딪혀 반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기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의 이동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여 위치가 조절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위치는,
    상기 분리판의 하측 단부를 축으로 상기 분리핀의 상측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조절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11. 제 3항, 제 4항, 제 5항 및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판, 상기 양극판 및 상기 분리판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광부는,
    상기 입자들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 및
    공기를 공급하여 주입된 상기 입자들을 상기 하전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기압축기
    를 포함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급광부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건조수단을 더 포함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는,
    하전물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입자들이 상기 하전물질과 마찰 또는 충돌되어 하전되는 파이프형 하전기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는,
    하전물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서 공기의 화전에 의해 상기 입자들이 상기 하전물질과 마찰 또는 충돌되어 하전되는 사이클론 하전기인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하전된 상기 입자들을 상기 정전선별부에 분산공급하기 위해 진동운동하는 진동관을 더 포함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선별부 및 상기 다수의 포집기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정전선별부 및 상기 다수의 포집기를 감싸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KR1020070025310A 2007-03-15 2007-03-15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KR10083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310A KR100836003B1 (ko) 2007-03-15 2007-03-15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5310A KR100836003B1 (ko) 2007-03-15 2007-03-15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003B1 true KR100836003B1 (ko) 2008-06-09

Family

ID=3977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5310A KR100836003B1 (ko) 2007-03-15 2007-03-15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00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548B1 (ko) 2009-06-19 2009-11-12 주식회사 에코닉스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KR100967425B1 (ko) 2008-10-06 2010-07-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브이에이와 피이티 혼합 폐플라스틱의 재질분리 방법
KR100974206B1 (ko) * 2008-08-01 2010-08-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KR100982159B1 (ko) * 2008-06-20 2010-09-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이 혼합된 혼합플라스틱의 재질분리방법 및 이를 위한 마찰하전형정전선별장치
KR100989024B1 (ko) 2010-08-05 2010-10-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이 혼합된 혼합플라스틱의 재질분리를 위한 마찰하전형정전선별장치
CN103586136A (zh) * 2013-11-12 2014-02-19 李佳 废旧混合硬质塑料颗粒涡气流-高压静电分离装置及方法
KR101434539B1 (ko) 2012-10-30 2014-08-2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WO2015076582A1 (ko) * 2013-11-20 2015-05-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에이비에스(abs)와 피에스(ps) 혼합폐플라스틱 재질분리를 위한 마찰하전형 정전선별 방법
KR20160050454A (ko) * 2014-10-29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수 분리 장치
JP2018065123A (ja) * 2016-10-17 2018-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静電選別装置および静電選別方法
CN108311289A (zh) * 2018-02-01 2018-07-24 东莞阿莫斯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静电分离装置及静电分离系统
KR102014900B1 (ko) 2018-10-31 2019-08-27 박대권 회전롤러를 이용한 정전선별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12A (ja) * 1994-07-15 1996-01-30 Mazda Motor Corp 異種樹脂材の静電選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9267052A (ja) * 1996-03-30 1997-10-14 Senkoo Kogyo Kk 摩擦帯電型静電選別装置
JPH09299829A (ja) * 1996-05-17 1997-11-25 Hitachi Zosen Corp 摩擦帯電装置
KR19980041938A (ko) * 1996-11-22 1998-08-17 슈탈인고 정전분리장치
KR20000050048A (ko) * 2000-05-12 2000-08-05 이재근 마찰대전 정전분리를 이용한 혼합폐플라스틱 재질별분리장치
JP2002177820A (ja) * 2000-12-12 2002-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粉砕物の供給・搬送方法及び装置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粉砕物の静電選別装置
JP2002204980A (ja) * 2001-01-10 2002-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静電選別装置
KR20040006254A (ko) * 2002-07-11 2004-0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혼합 플라스틱 정전분리장치용 전극판의 배치구조
JP2004195303A (ja) 2002-12-17 2004-07-15 Hitachi Zosen Corp 静電分離設備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712A (ja) * 1994-07-15 1996-01-30 Mazda Motor Corp 異種樹脂材の静電選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9267052A (ja) * 1996-03-30 1997-10-14 Senkoo Kogyo Kk 摩擦帯電型静電選別装置
JPH09299829A (ja) * 1996-05-17 1997-11-25 Hitachi Zosen Corp 摩擦帯電装置
KR19980041938A (ko) * 1996-11-22 1998-08-17 슈탈인고 정전분리장치
US6011229A (en) 1996-11-22 2000-01-04 Kali Und Salz Gmbh Electrostatic separator for classifying triboelectrically charged substance mixtures
KR20000050048A (ko) * 2000-05-12 2000-08-05 이재근 마찰대전 정전분리를 이용한 혼합폐플라스틱 재질별분리장치
JP2002177820A (ja) * 2000-12-12 2002-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粉砕物の供給・搬送方法及び装置ならびにプラスチック粉砕物の静電選別装置
JP2002204980A (ja) * 2001-01-10 2002-07-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静電選別装置
KR20040006254A (ko) * 2002-07-11 2004-01-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혼합 플라스틱 정전분리장치용 전극판의 배치구조
JP2004195303A (ja) 2002-12-17 2004-07-15 Hitachi Zosen Corp 静電分離設備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159B1 (ko) * 2008-06-20 2010-09-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이 혼합된 혼합플라스틱의 재질분리방법 및 이를 위한 마찰하전형정전선별장치
KR100974206B1 (ko) * 2008-08-01 2010-08-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KR100967425B1 (ko) 2008-10-06 2010-07-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브이에이와 피이티 혼합 폐플라스틱의 재질분리 방법
KR100926548B1 (ko) 2009-06-19 2009-11-12 주식회사 에코닉스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KR100989024B1 (ko) 2010-08-05 2010-10-2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이 혼합된 혼합플라스틱의 재질분리를 위한 마찰하전형정전선별장치
KR101434539B1 (ko) 2012-10-30 2014-08-2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CN103586136A (zh) * 2013-11-12 2014-02-19 李佳 废旧混合硬质塑料颗粒涡气流-高压静电分离装置及方法
WO2015076582A1 (ko) * 2013-11-20 2015-05-28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에이비에스(abs)와 피에스(ps) 혼합폐플라스틱 재질분리를 위한 마찰하전형 정전선별 방법
KR20160050454A (ko) * 2014-10-29 2016-05-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수 분리 장치
KR101644158B1 (ko) 2014-10-29 2016-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수 분리 장치
JP2018065123A (ja) * 2016-10-17 2018-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静電選別装置および静電選別方法
CN108311289A (zh) * 2018-02-01 2018-07-24 东莞阿莫斯特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静电分离装置及静电分离系统
KR102014900B1 (ko) 2018-10-31 2019-08-27 박대권 회전롤러를 이용한 정전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003B1 (ko)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CN105811040B (zh) 一种锂电池破碎拆解回收方法
KR100926548B1 (ko)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KR100187968B1 (ko) 석탄회의 미연탄소분 분리장치
KR100974206B1 (ko)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CN100482439C (zh) 塑料的多步分离
CN102421530B (zh) 静电分离由不同材料构成的颗粒混合物的方法以及实施该方法的装置
US9700899B2 (en) Raw material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1799066B1 (ko) 폐 전선 처리장치
Li et al. Compound tribo-electrostatic separation for recycling mixed plastic waste
CA2737708C (en) Device and method for sorting out fine particles from a particle mixture
CN103316758A (zh) 垃圾分选水池
JPH07178351A (ja) ゴム・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静電選別装置
KR20000050048A (ko) 마찰대전 정전분리를 이용한 혼합폐플라스틱 재질별분리장치
Li et al. Newly-patented technical solutions for improving the tribo-electrostatic separation of mixed granular solids
CN102476073A (zh) 塑料分选方法以及塑料分选装置
JP2018165010A (ja) 廃プラスチック混合物からの炭素繊維強化複合材料の選別方法
JP2016533264A (ja) Absとpsの混合廃プラスチック材質分離のための摩擦荷電型静電選別方法
JP4271352B2 (ja) 静電気発生装置、及びアルミニウム含有廃棄プラスチックの静電分離装置
CN103586136A (zh) 废旧混合硬质塑料颗粒涡气流-高压静电分离装置及方法
KR100890575B1 (ko) 폴리염화비닐이 함유된 혼합 플라스틱으로부터폴리염화비닐을 분리하는 방법
KR101170952B1 (ko) 자성금속 선별기
JP7359533B2 (ja) 廃棄物の分別装置及び分別方法、並びに、廃棄物の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JP6985672B1 (ja) リサイクル材料の製造装置、廃棄物の比重選別処理装置
CN108348967B (zh) 用于拆解复合材料和混合物、尤其是固体混合物和炉渣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