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339B1 -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339B1
KR100926339B1 KR1020080106447A KR20080106447A KR100926339B1 KR 100926339 B1 KR100926339 B1 KR 100926339B1 KR 1020080106447 A KR1020080106447 A KR 1020080106447A KR 20080106447 A KR20080106447 A KR 20080106447A KR 100926339 B1 KR100926339 B1 KR 10092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ain body
emitting unit
fixed
wind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10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본체에 관한 것으로, 바 형상의 제1·2고정대(11,12)와, 일단이 제1고정대(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고정대(12)에 고정되어 제1·2고정대(11,12) 사이에 배치되는 펜스(13)와, 펜스(13)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받침대(14)를 갖추고서, 차도가를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본체(10)과; 가드레일본체(10)의 받침대(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21)와, 이동부재(2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유닛(22)을 갖춘 조명기구(20)와; 가드레일본체(10)의 제1·2고정대(11,12) 내부에 배치되는 제1·2권취부(31a,32a)와, 제1·2권취부(31a,32a)와 연결되며 제1·2고정대(11,12) 외부로 노출되어 제1·2권취부(31a,32a)를 회전시키는 제1·2손잡이부(31b,32b)로 구성된 제1·2조작부(31,32)와, 일단이 제1·2권취부(31a,32a)에 고정되고 타단이 조명기구(20)의 이동부재(21)에 고정되어 제1·2권취부(31a,32a)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2와이어(33,34)를 갖추고서, 이동부재(21)를 수평이동시키는 조작부재(30)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회전축(H)이 구비된 제1·2바디(41a,51a)와 도전체 재질로 제1·2바디(41a,51a)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어 전원공급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2접속단자(41b,51b)와, 제1·2접속단자(41b,51b)의 양단 사이에 배치된 절연부(I)를 구비한 제1·2본체(41,51)와, 제1·2바디(41a,51a)의 회전축(H)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태엽본체(B1,B2)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2태엽본체(B1,B2)의 상면에 설치되는 핸들(S)과, 제1·2태엽본체(B1,B2)를 일방향으로 탄 발지지하여 제1·2태엽본체(B1,B2)가 일정범위를 회전하도록 하는 태엽스프링(E)을 구비한 제1·2태엽장치(42,52)와, 제1·2태엽본체(B1,B2)의 외면에 설치되며 발광유닛(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2접속단자(41b,51b)와 접속시 발광유닛(22)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도전체의 제1·2연결단자(42a,52a)를 갖춘 제1·2타이머스위치(40,50)와; 조명기구(20)의 이동부재(21)에 내설되어, 발광유닛(22)으로의 전력라인(L)을 감거나 푸는 권취기구(60)로 이루어져, 원하는 사용위치에서 조명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Guardrail for warning to leave a traffic lane}
본 발명은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곽진 곳의 도로에는 차량의 진행 안내를 위해 가드레일이 설치된다.
한편, 야간에 주행을 하는 차량에 이상이 발생해 차량 점검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시, 주변이 어두워 운전자가 차량의 간이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없었다.
또한, 차량의 비상등 등이 고장 났을 경우, 후방 차량에 전방차량의 위치를 알려줄 수 없어, 대형사고의 위험을 항상 안고 있었다.
따라서, 차량점검의 용이함 또는 사고방지를 위해 차량 주위를 밝게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주행차량의 진행을 안내함은 물론, 이동이 자유로운 조명기구를 구비하여 비상상황시 주변을 밝게하는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 형상의 제1·2고정대와, 일단이 제1고정대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고정대에 고정되어 제1·2고정대 사이에 배치되는 펜스와, 펜스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받침대를 갖추고서, 차도가를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본체과;가드레일본체의 받침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유닛을 갖춘 조명기구와; 가드레일본체의 제1·2고정대 내부에 배치되는 제1·2권취부와, 제1·2권취부와 연결되며 제1·2고정대 외부로 노출되어 제1·2권취부를 회전시키는 제1·2손잡이부로 구성된 제1·2조작부와, 일단이 제1·2권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조명기구의 이동부재에 고정되어 제1·2권취부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2와이어를 갖추고서, 이동부재를 수평이동시키는 조작부재(30)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회전축(H)이 구비된 제1·2바디와 도전체 재질로 제1·2바디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어 전원공급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2접속단자와, 제1·2접속단자의 양단 사이에 배치된 절연부를 구비한 제1·2본체와, 제1·2바디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태엽본체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2태엽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핸 들과, 제1·2태엽본체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여 제1·2태엽본체가 일정범위를 회전하도록 하는 태엽스프링을 구비한 제1·2태엽장치와, 제1·2태엽본체의 외면에 설치되며 발광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2접속단자와 접속시 발광유닛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도전체의 제1·2연결단자를 갖춘 제1·2타이머스위치와; 조명기구의 이동부재에 내설되어, 발광유닛으로의 전력라인을 감거나 푸는 권취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드레일에 이동이 자유로운 조명기구가 탑재된 구조로 되어, 원하는 사용위치에서 조명기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해차량의 진행 안내용 차선 경계물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스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의 구성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은, 차도가에 설치되 는 가드레일본체(10)과, 가드레일본체(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명기구(20)와, 조명기구(20)의 이동을 조작하는 조작부재(30)와, 조명기구(20)를 ON-OFF 제어하는 제1·2타이머스위치(40,50)와, 조명기구(20)와 연결된 전력라인(L)을 감거나 푸는 권취기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드레일본체(1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차도가를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2고정대(11,12)와, 일단이 제1고정대(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고정대(12)에 고정되어 제1·2고정대(11,12) 사이에 배치되는 펜스(13)와, 펜스(13)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받침대(14)로 구성된다.
상기 펜스(13)는, 전면이 요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체결부재(F)를 매개로 양단이 제1·2고정대(11,12)에 고정되어, 차량을 안내하고 차량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받침대(14)는 패널형상으로, 펜스(13)의 배면에 형성되어, 제1·2고정대(11,12)에 배치된다. 이때, 받침대(14)에는 'T'자 형상의 가이드부(14a)가 형성된다.
상기 조명기구(20)는, 받침대(14)의 가이드부(14a)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이동부재(21)와, 이동부재(21)에 설치되며 별도의 전원공급원(P)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도로를 향해 빛을 발산하는 발광유닛(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1)의 하단부에는 이동의 용이함을 위한 롤러(R)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22)은 하단부에 걸림부(22a)가 형성되어, 걸림부(22a) 를 매개로 이동부재(21)의 상단부에 안착된다. 이때, 발광유닛(22)은 전력라인(L)을 매개로 전원공급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원(P)은 충전된 배터리 또는 배전반으로부터의 전원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21)에 발광유닛(22)이 설치됨으로써, 발광유닛(22)의 이동범위를 확장할 수 있어, 필요한 곳에 빛을 비출 수 있다.
상기 조작부재(30)는, 조명기구(20)의 이동을 조작하는 제1·2조작부(31,32)와, 조명기구(20)를 수평이동시키는 제1·2와이어(33,34)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조작부(31,32)는, 가드레일본체의 제1·2고정대(11,12) 내부에 배치되는 제1·2권취부(31a,32a)와, 제1·2권취부(31a,32a)와 연결되어 제1·2고정대(11,12) 외부로 노출되는 제1·2손잡이부(31b,32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조작부(31,32)에는 제1·2연결바(35,36)가 구비되어, 제1·2권취부(31a,32a)와 제1·2손잡이부(31b,32b)를 각각 연결하며, 외부로 노출된 제1·2연결바(35,36)에 원통형상의 제1·2지지부(35a,36a)가 구비되어, 제1·2지지부(35a,36a)가 베어링(B)을 매개로 제1·2고정대(11,12)의 상단부에 지지된다.
따라서, 제1·2조작부(31,32)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2와이어(33,34)는 일단이 제1·2권취부(31a,32a)에 고정되고 타단이 조명기구(20)의 이동부재(21)에 고정된다. 이때, 제1·2와이어(33,34)의 타단은 제1·2고정대(11,12)를 관통하여 이동부재(21)에 연결됨으로써, 이동부재(2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2타이머스위치(40,50)는, 제1·2손잡이부(31b,32b)에 설치되는 제1·2본체(41,51)와, 제1·2본체(41,51)에 설치되는 제1·2태엽장치(42,52)와, 제1·2태엽장치(41,51) 외면에 설치된 도전체의 제1·2연결단자(42a,52a)로 구성되어, 일정시간동안만 발광유닛(22)으로 전류가 통하도록 한다.
상기 제1·2본체(41,51)는,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회전축(H)이 구비된 제1·2바디(41a,51a)와, 도전체 재질로 제1·2바디(41a,51a)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어 전원공급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2접속단자(41b,51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접속단자(41b,51b)는 단부에 절연부(I)가 형성된다. 절연부(I)는 절연체 재질이 사용되거나, 단락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태엽장치(42,52)는, 스프링이 내장된 통상의 태엽장치로서, 제1·2바디(41a,51a)의 회전축(H)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태엽본체(B1,B2)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2태엽본체(B1,B2)의 상면에 설치되는 핸들(S)과, 제1·2태엽본체(B1,B2)를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하여 제1·2태엽본체(B1,B2)가 일정범위를 회전하도록 하는 태엽스프링(E)을 갖춘다.
이때, 상기 제1·2태엽장치(42,52)에 내장된 스프링(E)이 제1·2본체(41,51)의 회전축(H)에 고정되어, 핸들(S)를 통해 제1·2태엽본체(B1,B2)를 회전시키면, 제1·2태엽본체(B2,B2)가 회전하면서 스프링(E)이 인장되고, 핸들(S)를 놓으면 서서히 복원된다.
상기 권취기구(60)는, 청소기 등에 사용되는 통상의 권취기구로서, 발광유 닛(22)과 전원공급원(P)을 연결하는 전력라인(L)을 감거나 푼다.
따라서, 상기 발광유닛(22)은 이동의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을 나타낸 작용도로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가드레일본체(10) 주위에 차를 세운 사용자가 제1타이머스위치(40)의 핸들(S)을 회전시키면, 제1태엽장치(42)가 회전하면서 제1바디(41a)의 절연부(I)에 위치한 제1연결단자(42a)가 제1접속단자(41b)와 접속을 이루면서 제1접속단자(41b)의 면을 따라 이동하여 도 6과 같이 되어, 발광유닛(22)으로 전류가 통전되면서 발광유닛(22)이 점등된다. 이때, 제1태엽장치(42)의 태엽은 인장되어 원위치로 복귀할려고 하고, 핸들(S)를 놓으면 제1태엽장치(42)는 원위치로 서서히 복귀한다.
이후, 사용자가 제1손잡이부(31b)를 사용하여 제1조작부(31)를 회전시키면, 제1권취부(31a)가 회전하면서 제1와이어(33)를 감으며, 상대적으로 제2와이어(34)가 제2권취부(31a)로부터 풀리면서, 조명기구(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1조작부(31) 또는 제2조작부(32)의 회전을 조절하여 정확한 사용위치로 조명기구(2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 제1태엽장치(42)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제1접속단 자(41b)와 제1연결단자(42a)의 접속이 단락되면서, 발광유닛(22)이 소등된다.
한편, 사용자가 차량을 정밀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을 시, 사용자가 발광유닛(22)을 잡아당기면, 권취기구(60)로부터 전력라인(L)이 풀리면서 발광유닛(22)을 사용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계속해서 발광유닛(22)을 사용한 후 이동부재(21)에 안착시키면, 전력라인(L)이 권취기구(60)에 의해 선정리가 깔끔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은, 주행차량을 안내함은 물론, 발광유닛(22)을 통해 비상차량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발광유닛(22)의 점등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실수로 발광유닛(22)을 소등하지 않고 갔을 시에도 발광유닛(22)을 자동으로 소등할 수 있으며, 발광유닛(22)의 이동범위가 확대되어, 사용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해차량의 진행 안내용 차선 경계물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스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의 구성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 가드레일본체 20; 조명기구
30; 조작부재 40,50; 타이머스위치
60; 권취기구

Claims (1)

  1. 바 형상의 제1·2고정대(11,12)와, 일단이 제1고정대(11)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고정대(12)에 고정되어 제1·2고정대(11,12) 사이에 배치되는 펜스(13)와, 펜스(13)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받침대(14)를 갖추고서, 차도가를 따라 설치되는 가드레일본체(10)과;
    가드레일본체(10)의 받침대(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21)와, 이동부재(21)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발광유닛(22)을 갖춘 조명기구(20)와;
    가드레일본체(10)의 제1·2고정대(11,12) 내부에 배치되는 제1·2권취부(31a,32a)와, 제1·2권취부(31a,32a)와 연결되며 제1·2고정대(11,12) 외부로 노출되어 제1·2권취부(31a,32a)를 회전시키는 제1·2손잡이부(31b,32b)로 구성된 제1·2조작부(31,32)와, 일단이 제1·2권취부(31a,32a)에 고정되고 타단이 조명기구(20)의 이동부재(21)에 고정되어 제1·2권취부(31a,32a)에 감기거나 풀리는 제1·2와이어(33,34)를 갖추고서, 이동부재(21)를 수평이동시키는 조작부재(30)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바닥면에 회전축(H)이 구비된 제1·2바디(41a,51a)와, 도전체 재질로 제1·2바디(41a,51a)의 내면을 따라 설치되어 전원공급원(P)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2접속단자(41b,51b)와, 제1·2접속단자(41b,51b)의 양단 사이에 배치된 절연부(I)를 구비한 제1·2본체(41,51)와, 제1·2바디(41a,51a)의 회전축(H)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태엽본체(B1,B2)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2태엽본체(B1,B2)의 상면에 설치되는 핸들(S)과, 제1·2태엽본체(B1,B2)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여 제1·2태엽본체(B1,B2)가 일정범위를 회전하도록 하는 태엽스프링(E)을 구비한 제1·2태엽장치(42,52)와, 제1·2태엽본체(B1,B2)의 외면에 설치되며 발광유닛(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2접속단자(41b,51b)와 접속시 발광유닛(22)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도전체의 제1·2연결단자(42a,52a)를 갖춘 제1·2타이머스위치(40,50)와;
    조명기구(20)의 이동부재(21)에 내설되어, 발광유닛(22)으로의 전력라인(L)을 감거나 푸는 권취기구(6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
KR1020080106447A 2008-10-29 2008-10-29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 KR10092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447A KR100926339B1 (ko) 2008-10-29 2008-10-29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447A KR100926339B1 (ko) 2008-10-29 2008-10-29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339B1 true KR100926339B1 (ko) 2009-11-12

Family

ID=4156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447A KR100926339B1 (ko) 2008-10-29 2008-10-29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3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1151A (zh) * 2016-08-29 2017-01-25 安徽饰界广告有限公司 一种可报警护栏的加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09A (ja) * 1993-04-30 1995-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超電導磁石装置
JP2001248538A (ja) 2000-03-06 2001-09-14 Norizo Watanabe ゼンマイを利用した、蓄えられるエネルギー装置
KR200352097Y1 (ko) * 2004-02-23 2004-06-10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자가발전기를 갖춘 조명기구가 설치된 교량
KR20080072613A (ko) * 2008-07-15 2008-08-06 나래일렉콤(주) 도로의 주행풍을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09A (ja) * 1993-04-30 1995-01-17 Mitsubishi Electric Corp 超電導磁石装置
JP2001248538A (ja) 2000-03-06 2001-09-14 Norizo Watanabe ゼンマイを利用した、蓄えられるエネルギー装置
KR200352097Y1 (ko) * 2004-02-23 2004-06-10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자가발전기를 갖춘 조명기구가 설치된 교량
KR20080072613A (ko) * 2008-07-15 2008-08-06 나래일렉콤(주) 도로의 주행풍을 이용한 풍력발전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1151A (zh) * 2016-08-29 2017-01-25 安徽饰界广告有限公司 一种可报警护栏的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2362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KR102087553B1 (ko)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0919895B1 (ko) 차선 안내가 가능한 도로구조
KR100759957B1 (ko)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ES2562410T3 (es) Sistemas elevadores de vehículos con iluminación
KR102018954B1 (ko) 차량진입 차단장치
JP2009179210A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KR101271763B1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폴 어셈블리
JP2007325507A (ja) 鳥害防止装置
KR100926339B1 (ko) 도로의 차선이탈 차량 경고용 가드레일
US20140182477A1 (en) Zip Line Attraction and Methods
KR101448581B1 (ko) 터널진입 차단장치
KR20100003973U (ko) Ac모터를 장착한 굴삭기용 배선장치
KR101319694B1 (ko) 현수막 고정 장치
KR100919894B1 (ko) 주행차량의 진행 안내용 차선 경계물
KR20020075357A (ko) 조명장치
KR101589944B1 (ko) 스크린벨트 차단장치
KR101982496B1 (ko) 우산형 안전표시기구
CN107424423A (zh) 一种应急用交通信号灯
JP6676074B2 (ja) セルカ棒を利用した車両非常安全装置
ES2506992T3 (es) Silla elevadora
KR101067013B1 (ko) 전자장비 이동을 위한 암을 구비한 지주
KR20090122640A (ko) 승강식 조명타워
CA2866268C (en) Wind detection apparatus
KR20150077879A (ko) 견인차량의 경광등 회동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