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334B1 - 광기능성 필름 - Google Patents

광기능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334B1
KR100926334B1 KR1020090038226A KR20090038226A KR100926334B1 KR 100926334 B1 KR100926334 B1 KR 100926334B1 KR 1020090038226 A KR1020090038226 A KR 1020090038226A KR 20090038226 A KR20090038226 A KR 20090038226A KR 100926334 B1 KR100926334 B1 KR 100926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bsorption
absorption patterns
base film
l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배
장병호
Original Assignee
(주)이즈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즈소프트 filed Critical (주)이즈소프트
Priority to KR102009003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광기능성 필름이 개시된다. 광기능성 필름은 베이스 필름,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광을 흡수하는 다수의 제1 광흡수 패턴들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1 광흡수 패턴들과 교차하며, 광을 흡수하는 제2 광흡수 패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광기능성 필름에 따르면, 일방향으로의 투시 및 좁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광기능성 필름, 광흡수, 굴절률

Description

광기능성 필름{OPTICAL FUNCTIONAL FILM}
본 발명은 광기능성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기능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내부광 또는 외부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므로, 이용되는 광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광학 필름들을 요구한다. 특히, 최근에는 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를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 필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을 특정 시야각 내에서만 볼 수 있도록 하거나, 이방성을 가져 일방향에서만 투시할 수 있는 광학 필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광학 특정을 갖는 광기능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능성 필름은 베이스 필름, 다수의 제1 광흡수 패턴들 및 다수의 제2 광흡수 패턴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흡수 패턴들은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광을 흡수한다. 상기 제2 광흡수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1 광흡수 패턴들과 교차하며, 광을 흡수한다.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은 베이스 필름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 그루브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 그루브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 2 광흡수 패턴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은 격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 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상면, 상기 상면과 평행한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2개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들은 상기 상면에 대해 50°내지 85°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기능성 필름에 의하면, 일방향으로의 투시 및 좁은 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능성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기능성 필름(100)은 베이스 필름(110), 다수의 제1 광흡수 패턴(130) 및 다수의 제2 광흡수 패턴(1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110)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면(111) 및 제2 면(113)을 구비하고, 소정 두께를 갖는 얇은 플레이트 또는 필름 형상을 가진다. 베이스 필름(110)은 광 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베이스 필름(110)은 투명 수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에는 제1 방향(D1)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다수의 제1 그루브들(115:groove)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다수의 제2 그루브들(117: groov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1 그루브(115)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제2 그루브(117)는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서로 직교하고, 제1 그루브(115)와 제2 그루브(117)는 서로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광흡수 패턴(130) 및 다수의 제2 광흡수 패턴(150)은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에 형성된다. 제1 광흡수 패턴들(130)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광흡수 패턴들(150)은 제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예를 들면, 제1 광흡수 패턴들(130)은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에 형성된 제1 그루브들(115)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광흡수 패턴들(150)은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5)에 형성된 제2 그루브들(117)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흡수 패턴들(130)과 제2 광흡수 패턴들(150)은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과 함께 편평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130, 150)은 베이스 필름의 제1 면(111)으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130, 150)은 광을 흡수하는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130, 150)은 모든 파장의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130, 150)은 특정 파장의 가시광선만을 흡수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130, 150)은 적색 계열, 녹색 계열 또는 청색 계열 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선만을 흡수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130, 150)은 베이스 필름(110)보다 굴절률이 적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130, 150)이 베이스 필름(110)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형성될 경우, 베이스 필름(110)과 제1 또는 제2 광흡수 패턴들(130, 150)의 경계면에서 베이스 필름을 경유하여 제1 광흡수 패턴들(130) 또는 제2 광흡수 패턴들(150)에 입사하는 광의 전반사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광흡수 패턴들(130)과 제2 광흡수 패턴들(150)은 서로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130, 150)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기능성 필름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외부로부터 베이스 필름의 제1 면에 입사한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외부로부터 베이스 필름 제2 면에 입사한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입사각이라 함은 광이 입사하는 입사면의 법선에 대하여 입사광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에 입사한 광은 크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①, 경로 ② 및 경로 ③을 경유하게 된다. 경로 ①은 광흡수 패턴(130, 150)을 경유하는 경로의 길이가 긴 광의 경로를 나타내고, 경로 ②는 베이스 필름(110)만을 경유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내며, 경로 ③은 광흡수 패턴(130, 150)을 경유하는 경로의 길이가 짧은 광의 경로를 나타낸다.
경로 ①을 경유하는 일부 광은 광흡수 패턴(130, 150)에 의해 흡수되어 광기능성 필름(100)을 통과하지 못한다. 경로 ②를 경유하는 대부분의 광은 광기능성 필름(100)을 통과하게 된다. 경로 ③을 경유하는 광의 일부는 광흡수 패턴(130, 150)에서 흡수되나 대부분의 광은 베이스 필름(110)의 제2 면(113)까지 도달한다. 경로 ③을 경유하여 베이스 필름(110)의 제2 면(113)까지 도달한 광은 대부분 외부로 출사되나 일부광, 예를 들면, 제2 면(113)에 대한 입사각이 큰 광은 외부와 베이스 필름(110)의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전반사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이스 필름(110)의 제2 면(113) 우측에서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 좌측에 있는 상을 보는 경우, 특정 시야각 범위 내에서만 상을 온전히 볼 수 있고, 상기 특정 시야각 범위를 벗어난 각도에서 상을 보게 되면 상이 왜곡되어 사용자는 온전한 상을 볼 수 없게 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10)의 제2 면(113)에 입사한 광은 크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④, 경로 ⑤ 및 경로 ⑥을 경유하게 된다. 경로 ④는 베이스 필름(110)만을 경유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내고, 경로 ⑤는 베이스 필름(110)과 광흡수 패턴(130, 150)의 경계면에 대해 전반사가 일어나는 임계각보다 작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내며, 경로 ⑥은 베이스 필름과 광 흡수 패턴(130, 150)의 경계면에 대해 전반사가 일어나는 임계각보다 큰 입사각으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나타낸다.
경로 ④를 경유하는 일부 광은 광기능성 필름(100)을 통과하게 된다. 경로 ⑤를 경유하는 광의 일부는 광흡수 패턴(130, 150)에 의해 흡수되고, 일부는 베이스 필름(110)과 외부의 경계면인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에서 전반사된다. 따라서, 경로 ⑤를 경유하는 대부분의 광은 광기능성 필름(10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경로 ⑥을 경유하는 광은 베이스 필름(110)과 광흡수 패턴(130, 150)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되고, 전반사된 광은 베이스 필름(110)과 외부의 경계면인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에서 전반사된다. 따라서, 경로 ⑥을 경유하는 광의 대부분은 광기능성 필름(10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 우측에서 베이스 필름(110)의 제2 면(113) 좌측에 있는 상을 보는 경우, 광기능성 필름(100)의 차광 또는 상 왜곡 작용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을 볼 수 없게 된다. 광기능성 필름(100)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1 광흡수 패턴들(130) 및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제2 광흡수 패턴들(150)을 포함하는 경우, 단일 방향으로 연장된 광흡수 패턴들만을 포함하는 광기능성 필름 및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광흡수 패턴들을 포함하는 광기능성 필름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 차광 및 상 왜곡 작용을 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기능성 필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에 형성된 제1 또는 제2 그루브들(115, 117)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그루브(111) 내에 형성되는 제1 광흡수 패턴들(130) 또는 제2 그루브(117) 내에 형성되는 제2 광흡수 패턴들(150) 각각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흡수 패턴들(130, 150)의 단면은 베이스 필름(110)의 제1 면(111)에 연결된 상면의 폭(W), 상면과 상면에 평행한 하면 사이의 높이(H)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들이 상기 상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들(θ1, θ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에 따르면, 광흡수 패턴(130, 150) 단면의 형상, 광흡수 패턴들(130, 150) 사이의 이격 거리(L1, L2) 등은 광기능성 필름(100)의 작용/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례로, 광흡수 패턴들의 높이(H), 상면의 폭(W) 및 측면들이 상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들(θ1, θ2)은 광흡수 패턴(130, 150)을 형성하는 물질의 광흡수 계수 및 광흡수 패턴(130, 150)과 베이스 필름(110)의 굴절률 차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흡수 패턴들(130, 150)의 광흡수 계수가 클수록, 상기 상면의 폭(W) 및 광흡수 패턴들의 높이(H)는 감소될 수 있고, 광흡수 패턴(130, 150)과 베이스 필름(110) 사이의 굴절률 차이가 클수록, 상기 측면들이 상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들(θ1, θ2)은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흡수 패턴들(130, 150) 상면은 50μm 내지 100μm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측면들이 상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들(θ1, θ2)은 50° 내지 8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광흡수 패턴들(130, 150)의 높이(H)는 베이스 필름(110)의 두께보다 작다. 이와 달리, 광흡수 패턴들(130, 150)의 높이(H)는 베이스 필름(11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광흡수 패턴들(130) 사이의 이격거리(L1)는 제1 광흡수 패턴들(130) 상면의 폭(W1)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1 광흡수 패턴들(130) 사이의 이격거리(L1)는 제1 광흡수 패턴들(130) 상면의 폭(W1)보다 다수 작거나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광흡수 패턴들(150) 사이의 이격거리(L2)는 제2 광흡수 패턴들(150) 상면의 폭(L2)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제2 광흡수 패턴들(150) 사이의 이격거리(L2)는 제2 광흡수 패턴들(150) 상면의 폭(W2)보다 다소 작거나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기능성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광기능성 필름은 도 1에 도시된 광기능성 필름과 광흡수 패턴들의 단면 형상만이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의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광기능성 필름(200)은 베이스 필름(210), 다수의 제1 광흡수 패턴(230) 및 다수의 제2 광흡수 패턴(250)을 포함한다.
다수의 제1 광흡수 패턴(230) 및 다수의 제2 광흡수 패턴(250)은 베이스 필름(210)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형성되고, 베이스 필름(210)의 제1 면(211)에 형성된다. 제1 광흡수 패턴들(230)은 제1 방향(D1)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광흡수 패턴들(250)은 제2 방향(D2)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예를 들면, 제1 광흡수 패턴들(230)은 베이스 필름(210)의 제1 면(211)에 형성된 제1 그루브들(213) 내부에 형성되고, 제2 광흡수 패턴들(250)은 베이스 필름(210)의 제1 면(211)에 형성된 제2 그루브들(215) 내부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230, 250)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230, 250)은 이등변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230, 250)의 단면은 베이스 필름(210)의 제1 면(211)에 평행한 상면 및 상기 상면에 대해 50° 내지 85°의 범위 내의 각도(θ1, θ2)를 이루고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측면들로 구성된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기능성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광기능성 필름은 도 1에 도시된 광기능성 필름과 광흡수 패턴들의 구조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의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광흡수 패턴의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광기능성 필름(300)은 베이스 필름(310), 다수의 제1 광흡수 패턴(330) 및 다수의 제2 광흡수 패턴(350)을 포함한다.
다수의 제1 광흡수 패턴(330) 및 다수의 제2 광흡수 패턴(350)은 베이스 필름(310)의 제1 면(311)에 형성된다. 제1 광흡수 패턴들(330)은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광흡수 패턴들(350)은 제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예를 들면, 제1 광흡수 패턴들(330)은 베이스 필름(310)의 제1 면(311)에 형성된 제1 그루브들(313) 내부에 형성되고, 제2 광흡수 패턴들(350)은 베이스 필 름(310)의 제1 면(311)에 형성된 제2 그루브들(315) 내부에 형성된다.
제1 광흡수 패턴들(330)은 베이스 필름(310)의 제1 그루브(313) 바닥면과 접촉하는 제1 패턴층(331) 및 제1 패턴층(331) 상부에 적층되는 제2 패턴층(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턴층(333)은 제1 패턴층(331)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광흡수 패턴들(350)은 베이스 필름(310)의 제2 그루브(317) 바닥면과 접촉하는 제1 패턴층(151) 및 제1 패턴층(351) 상부에 적층되는 제2 패턴층(3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턴층(353)은 제1 패턴층(351)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330, 350)을 굴절률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적층구조로 형성할 경우, 이들 경계면에서도 광의 전반사를 유도할 수 있게 되어 광기능성 필름의 차광 및 상 왜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기능성 필름은 향상된 차광 및 상 왜곡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기능성 필름은 향상된 시야각 특성을 가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능성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기능성 필름을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기능성 필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기능성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기능성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기능성 필름 110 : 베이스 필름
115 : 제1 그루브 117 : 제2 그루브
130 : 제1 광흡수 패턴 150 : 제2 광흡수 패턴

Claims (8)

  1. 베이스 필름;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광을 흡수하는 다수의 제1 광흡수 패턴들; 및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제1 광흡수 패턴들과 교차하며, 광을 흡수하는 제2 광흡수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 필름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 그루브들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 그루브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그루브들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광흡수 패턴들 각각은 상기 제1 그루브의 바닥면과 접촉하는 제1 패턴층 및 상기 제1 패턴층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1 패턴층보다 굴절률이 작은 물질로 형성되는 제2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능성 필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광흡수 패턴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능성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은 격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능성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능성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흡수 패턴들은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면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상면, 상기 상면과 평행한 하면 및 상기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2개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들은 상기 상면에 대해 50° 내지 85°의 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기능성 필름.
  8. 삭제
KR1020090038226A 2009-04-30 2009-04-30 광기능성 필름 KR100926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26A KR100926334B1 (ko) 2009-04-30 2009-04-30 광기능성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226A KR100926334B1 (ko) 2009-04-30 2009-04-30 광기능성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334B1 true KR100926334B1 (ko) 2009-11-10

Family

ID=4156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226A KR100926334B1 (ko) 2009-04-30 2009-04-30 광기능성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3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443A (ko) * 2016-03-31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
CN115718337A (zh) * 2022-10-19 2023-02-28 深圳怡钛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窥膜、防窥膜的制造方法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4876A (ja) * 2004-09-16 2006-03-30 Dainippon Printing Co Ltd 視野角制御シートおよび表示装置
KR100787869B1 (ko) 2000-11-15 2007-12-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광 제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52017A (ja) 2006-12-18 2008-07-03 Toyo Ink Mfg Co Ltd 接着性光学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利用
KR20080083519A (ko) * 2007-03-12 2008-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869B1 (ko) 2000-11-15 2007-12-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광 제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84876A (ja) * 2004-09-16 2006-03-30 Dainippon Printing Co Ltd 視野角制御シートおよび表示装置
JP2008152017A (ja) 2006-12-18 2008-07-03 Toyo Ink Mfg Co Ltd 接着性光学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利用
KR20080083519A (ko) * 2007-03-12 2008-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2443A (ko) * 2016-03-31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
KR102543581B1 (ko) 2016-03-31 2023-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
CN115718337A (zh) * 2022-10-19 2023-02-28 深圳怡钛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窥膜、防窥膜的制造方法和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4214B2 (ja) 面発光素子,画像表示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5795441B2 (ja) 反射型タッチ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6132241B2 (ja) 光取り込みシートを備える受光装置
US20080252825A1 (en) Nano wire grid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20160363769A1 (en) Light guide and head mounted display
WO2016145787A1 (zh) 黑色矩阵、平面显示器及其制作方法
JP2012114067A5 (ko)
TWI484389B (zh) 觸控顯示裝置
JP5579876B2 (ja) 光学複合シート
JP2009080198A5 (ko)
JP2013073024A (ja) 干渉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WO2019024487A1 (zh) 滤光结构、显示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7320080B2 (ja) スクリーン指紋コンポーネント及び端末機器
US2011015752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JP5071827B2 (ja) 面光源装置
JP2012113951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映像情報処理装置
KR100926334B1 (ko) 광기능성 필름
TWI499816B (zh) 顯示裝置
WO2016206148A1 (zh) 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US20170227842A1 (en) Mask plate
US20150002951A1 (en) Optical Element
JP2012058365A (ja) 光導波路および光学式タッチパネル
JP2014154332A (ja) 面光源装置
KR100790875B1 (ko) 평판표시장치용 조명장치 및 양면 평판표시장치용 조명장치
TWI646360B (zh) 稜鏡型偏光結構及具有其之背光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