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129B1 -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129B1
KR100926129B1 KR1020080026894A KR20080026894A KR100926129B1 KR 100926129 B1 KR100926129 B1 KR 100926129B1 KR 1020080026894 A KR1020080026894 A KR 1020080026894A KR 20080026894 A KR20080026894 A KR 20080026894A KR 100926129 B1 KR100926129 B1 KR 100926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3051A (ko
Inventor
이종민
최준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09006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각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각 통신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접속 중인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각 통신망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선택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며, 이동 단말기는, 에이전트에 의해 선택된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망 중에서 적절한 망을 선택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서, 컨텐츠 서비스 가용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 망, 에이전트, 컨텐츠

Description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RVICING A CONTENT IN A TERMINAL HAVING A MULTIPLE CONNECTION INTERFACE}
본 발명은 컨텐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재 접속 가능한 망 중 최적의 망을 선택한 후 이를 통해 컨텐츠를 서비스 받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다양한 유무선 접속망이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무선 접속망에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유선 및 무선망 등에 다중 접속 가능한 수단으로서, 예컨대 LAN, WiBro, HSPDA, WLAN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컨텐츠, 예컨대 IPTV, VoD와 같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수신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유무선 접속망이 혼재하고 있지만, 현재 제공되고 있는 컨텐츠 서비스는 하나의 접속망만을 고려하여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의 QoS와 사용자 선호도 및 대역폭에 관계없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래의 컨텐츠 서비스 방법에서는 접속망의 상황과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 배제된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 단말기가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의 대역폭, 사용자의 선호도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망 중에서 적절한 망을 선택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서, 컨텐츠 서비스 가용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신호의 세기,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접속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각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각 통신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접속 중인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상기 각 통신망에 대한 정보를 토 대로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선택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에이전트에 의해 선택된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a) 컨텐츠 요청에 따라 단말기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집된 망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가 접속 중인 망을 통해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에이전트에서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어느 하나의 망을 선택하는 단계와, (d) 상기 선택된 망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망 중에서 적절한 망을 선택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서, 컨텐츠 서비스 가용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선호도, 신호의 세기, 대역폭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접속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서,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 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망 중에서 적절한 망을 선택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서, 컨텐츠 서비스 가용도를 높이고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이동 단말기(100), 통신망(110), 유선 에이전트(120), 무선 에이전트(125) 및 컨텐츠 서비스 서버(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선 및 무선 에이전트(120 및 130)는 통신망(110)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통신망(110)은 유선 및 무선 접속망으로서, 그 예로 LAN, WiBro, WLAN, HSPDA 등을 들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LAN(Local Area Network)와 같은 유선 및 WiBro, HSPDA, WLAN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110)에 접속 가능하며,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10)을 통해 컨텐츠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컨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컨텐츠 수신 요청에 의거하여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110)내의 유선 또는 무선 에이전트(120 또는 125)를 통해 컨텐츠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하는 수단으로서, 그 예로 노트북, 이동 통신 단말기, PDA, 개인용 컴퓨터 등 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츠 수신 요청이 있는 경우 컨텐츠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망(120)을 선택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데, 즉 컨텐츠 수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 내의 각각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유선 또는 무선 에이전트(120 또는 125)에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이동 단말기(100)는 각각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각각의 통신망(110)과 초기 통신을 수행하여 각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 예컨대 RSSI, SINR(Signal to Noise Ratio plus Interface, 이하 'SINR'이라고 한다.), 대역폭, 지연시간 등을 수집하여 유선 또는 무선 에이전트(120 또는 125)에 제공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선호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선호도 정보를 내부 메모리(미도시됨)에 저장한 후 컨텐츠 수신 요청이 있는 경우 수집된 각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선호도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에이전트(120 또는 125)에 제공한다. 이때, 선호도 정보는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통신망(110), 대역폭, 지연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10)이 유선망인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는 유선망에 대한 대역폭 및 지연 시간 정보 등을 수집하여 유선 에이전트(120)에 제공하며, 통신망(110)이 무선망인 경우에 RSSI, SINR, 대역폭 정보 등을 수집하여 무선 에이전트(125)에 제공한다.
유선 에이전트(12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각 유선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 및/또는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통신망(110)을 선택한 후 선택된 통신망(110)에 이동 단말기(100)를 연결시키기 위해 접속 설정을 업데이트함과 더불어 선택된 통신망(110)의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그 예로 라우터를 들 수 있다.
무선 에이전트(125)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각 무선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 및/또는 선호도 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무선 통신망(110)을 선택한 후 선택된 무선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함과 더불어 바인딩 업데이트 및 접속 설정 변경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를 선택된 무선 통신망(110)에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예로 홈 에이전트, 게이트웨이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유선 또는 무선 에이전트(120 또는 125)로부터 제공받은 선택된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통신망(110)을 통해 컨텐츠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함으로서, 컨텐츠를 수신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가 어느 하나의 통신망(110)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예컨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요청이 있는 경우(S200), 이동 단말기(100)는 각각의 접속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각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 예컨대 SINR, RSSI, 대역폭, 지연 시간 등의 정보를 수집한다(S202).
그런 다음, 이동 단말기(100)는 수집된 정보를 무선 에이전트(125)에 제공하며(S204), 무선 에이전트(125)는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어느 하나의 통신망(110)을 선택한다. 즉 SINR, RSSI, 대역폭, 지연시간 등의 정보를 토대로 네트워크 상태가 양호한 통신망(110)을 선택한다(S206).
이후, 무선 에이전트(120)는 선택된 통신망(110)이 이동 단말기(100)가 접속 중인 망과 다른 망인 지를 판단하며(S208), S208의 판단 결과 선택된 통신망(110)이 접속 중인 망과 다른 경우에 접속 설정의 변경 및 바인딩 업데이트를 실시(S210)함으로서, 선택된 통신망(110)과 이동 단말기(100)를 연결시킨다.
이와 더불어 무선 에이전트(120)는 선택된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제공(S212)하며, 이에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통신망(110)에 접속하여 컨텐츠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S214).
한편, S208의 판단 결과, 선택된 통신망(110)이 접속 중인 망과 같은 경우에는 S212로 진행하여 현재 접속 중인 망을 통해 컨텐츠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통신망(110)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도중에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접속할 수 있는 각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S204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 요청 시에 각 통신망(110)에 대한 정보만을 무선 에이전트(125)에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무선 에이전트(125)가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선택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도 정보와 수집된 각 통신망(110)의 정보를 무선 에이전트(125)에 제공한 후 이를 토대로 무선 에이전트(125)가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실제 통신망(110)에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동 단말기(100)가 WiBro망인 무선 통신망1(110a)을 통해 접속 중인 상태에서 WLAN망인 무선 통신망2(110b) 및 HSPDA망인 무선 통신망3(110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망1(110a)에 접속된 상태에서 무선 통신망2(110b) 및 무선 통신망3(110c)의 정보, 즉 RSSI, SINR 정보를 수신한다(S300).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컨텐츠 요청 시 자신이 접속 중인 무선 통신망1(110a)을 통해 무선 에이전트(125)로 컨텐츠 요청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때 이동 단말기(100)가 수집한 정보를 같이 무선 에이전트(125)로 송신(S302)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내부 메모리(미도시됨)에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도 정보가 있을 경우 무선 통신망2, 3(110b, 110c)의 정보와 더불어 선호도 정보를 무선 에이전트(125)에 송신한다.
무선 에이전트(125)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어느 하나의 통신망, 예컨대 무선 통신망2(110b)를 선택하고, 선택된 무선 통신망2(110b)을 통해 컨텐츠 서비스 서버(130)와 이동 단말기(100)를 연결시키기 위해 접속 설정 변경 및 바인딩 업데이트를 실시한다(S304, S306).
그런 다음, 무선 에이전트(125)는 무선 통신망1(110a)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선택된 무선 통신망2(110b)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S308), 이동 단말기(100)는 제공받은 무선 통신망2(110b)의 정보를 토대로 무선 통신망2(110b)에 연결된다(S310).
이후,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망2(110b)를 통해 컨텐츠 서비스 서버(120)에 접속되어 컨텐츠를 서비스 받게 된다(S31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망의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토대로 다양한 통신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서, 컨텐츠 서비스의 가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단말기 110 : 통신망
120 : 유선 에이전트 125 : 무선 에이전트
130 : 컨텐츠 서비스 서버

Claims (9)

  1.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각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각 통신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현재 접속 중인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송출되는 상기 각 통신망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선택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에이전트에 의해 선택된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통신망의 선택을 위한 선호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각 통신망의 정보를 상기 에이전트에 송신할 때 상기 선호도 정보를 같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선호도 정보 및 상기 각 통신망의 정보를 토대로 어느 하나의 통신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5. (a) 컨텐츠 요청에 따라 단말기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집된 망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가 접속 중인 망을 통해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단계와,
    (c) 상기 에이전트에서 제공받은 정보를 토대로 어느 하나의 망을 선택하는 단계와,
    (d) 상기 선택된 망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선택된 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각 망에 대한 RSSI, SINR, 대역폭, 지연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망 선택을 위한 선호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선호도 정보와 상기 수집된 망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에이전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망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호도 정보와 상기 수집된 망에 대한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어느 하나의 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비스 방법은,
    상기 선택된 망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도중 기 설정된 간격으로 상기 각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망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b), (c) 및 (d)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망과 상기 접속 중인 망이 다른 경우에는 상기 에이전트에서 상 기 선택된 망과 상기 단말기를 연결시키기 위한 바인딩 업데이트 및 접속 설정을 변경한 후 상기 (d)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방법.
KR1020080026894A 2007-12-13 2008-03-24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926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528 2007-12-13
KR20070129528 2007-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051A KR20090063051A (ko) 2009-06-17
KR100926129B1 true KR100926129B1 (ko) 2009-11-11

Family

ID=4099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894A KR100926129B1 (ko) 2007-12-13 2008-03-24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1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144B1 (ko) 2010-11-30 2012-08-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중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피어-투-피어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1247957B1 (ko) 2009-09-21 2013-04-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멀티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412B1 (ko) * 2011-12-30 2014-03-31 (주)네오위즈게임즈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자동 패치 또는 설치가 가능한 게임 패치 방법, 게임 제공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KR101491639B1 (ko) * 2012-11-15 2015-02-09 (주)씨디네트웍스 통신망의 종류를 구분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515A (ko) * 1999-11-12 2002-08-22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선택적인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0002967A (ko) * 2001-05-30 2004-01-07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복수의 네트워크 모바일 통신 시스템
US20040133668A1 (en) 2002-09-12 2004-07-08 Broadcom Corporation Seamlessly networked end user device
KR20040080994A (ko) * 2003-03-07 2004-09-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제어 프로그램, 콘텐츠 전송 프로그램, 단말기 장치및 콘텐츠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515A (ko) * 1999-11-12 2002-08-22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선택적인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0002967A (ko) * 2001-05-30 2004-01-07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복수의 네트워크 모바일 통신 시스템
US20040133668A1 (en) 2002-09-12 2004-07-08 Broadcom Corporation Seamlessly networked end user device
KR20040080994A (ko) * 2003-03-07 2004-09-20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제어 프로그램, 콘텐츠 전송 프로그램, 단말기 장치및 콘텐츠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957B1 (ko) 2009-09-21 2013-04-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멀티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KR101176144B1 (ko) 2010-11-30 2012-08-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다중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피어-투-피어 접속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051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7293B2 (en)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and use
KR100666943B1 (ko) 복합 무선 단말의 소비전력 감소 방법 및 그 장치
US7072652B2 (en) Handoff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0716531B1 (ko) 이동 장치에 의한 무선 채널 선택 방법 및 시스템
US8174998B2 (en) Network connecting apparatus and connection setup method
EP17347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discovery
US20120287892A1 (en)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Base Station
US2007020142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oute selection method
KR20050021463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인터페이스 선택
MX2012008880A (es) Servicio de prioridad de conexion para comunicacion de datos entre dos dispositivos.
US20080085732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server,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67515A (ko) 선택적인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7043688A (ja) ハンドオーバをトリガする方法
US20110151861A1 (en) Smart all-in-one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024049B1 (ko) 단일 통신 세션동안 무선 장치내에서 서비스 품질을유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물리계층들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및 시스템
KR100926129B1 (ko) 다중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JP5051128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実行方法
KR20070072853A (ko) 이종 환경에서의 투명한 서비스 적합화
US20120020245A1 (en) Mobile router and method for autosynching predetermined content
JP2008160324A (ja) 通信端末装置、サーバ、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切り替え方法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100825457B1 (ko) 차량을 이용한 이동통신망 릴레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5338654A (zh) 网络共享的方法、装置及网络共享系统
KR20120096802A (ko) 혼합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238089A (zh) 一种业务交互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20026995A1 (en) Mobile router with lan internet conne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