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093B1 - 광 정보 매체 - Google Patents

광 정보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093B1
KR100926093B1 KR1020070009224A KR20070009224A KR100926093B1 KR 100926093 B1 KR100926093 B1 KR 100926093B1 KR 1020070009224 A KR1020070009224 A KR 1020070009224A KR 20070009224 A KR20070009224 A KR 20070009224A KR 100926093 B1 KR100926093 B1 KR 100926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layer
layer
recording
substrate
optic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253A (ko
Inventor
이광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0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62Reflective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only, e.g. ablative layers
    • G11B7/2433Metals or elements of Groups 13, 14, 15 or 16 of the Periodic Table, e.g. B, Si, Ge, As, Sb, Bi, Se or 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protective topcoat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7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layers having properties involved in recording or reproduction, e.g. optical interference layers or sensitising layers or dielectric layers, which are protecting the recording lay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only, e.g. ablative layers
    • G11B2007/24302Metals or metalloids
    • G11B2007/24304Metals or metalloids group 2 or 12 elements (e.g. Be, Ca, Mg, Zn, C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only, e.g. ablative layers
    • G11B2007/24302Metals or metalloids
    • G11B2007/24308Metals or metalloids transition metal elements of group 11 (Cu, Ag, Au)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only, e.g. ablative layers
    • G11B2007/24302Metals or metalloids
    • G11B2007/2431Metals or metalloids group 13 elements (B, Al, Ga, I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only, e.g. ablative layers
    • G11B2007/24302Metals or metalloids
    • G11B2007/24312Metals or metalloids group 14 elements (e.g. Si, Ge, S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Record Carriers And Manufacture Thereof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정보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호층과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기록층이 주성분으로 Cu를 함유하고, 첨가제로서 Sb, Te 및 B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함유함으로써 정보의 기록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고, 아울러 정보의 저장 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매체는 기판과, 보호층과, 기판과 보호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기록층 및 기판과 보호층의 사이에서 제 1 기록층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주성분으로 Cu를 함유하고, Sb, Te 및 B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첨가제로 함유하는 제 2 기록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정보 매체{Optical Information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매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제 1 기록층과 제 2 기록층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제 1 기록층 및 제 2 기록층의 두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매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매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 정보 매체 110 : 기판
120 : 제 2 유전체층 130 : 제 2 기록층
140 : 제 1 기록층 150 : 제 1 유전체층
160 : 보호층 200 : 혼합층
본 발명은 광 정보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더욱 많은 양의 정보를 기록하기 위하여 고밀도의 정보 매체가 개발되고 있고, 그 중에서 보편적인 정보 매체로서는 광 정보 매체가 있다.
광 정보 매체는 주로 레이저 광의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광 정보 매체의 기록층의 변형을 야기함으로써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광 정보 매체는 대용량의 정보를 장시간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그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정보의 기록 속도가 빠르고, 아울러 정보의 저장 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광 정보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매체는 기판과, 보호층과, 기판과 보호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기록층 및 기판과 보호층의 사이에서 제 1 기록층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주성분으로 Cu를 함유하고, Sb, Te 및 B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첨가제로 함유하는 제 2 기록층을 포함한다.
또한, 첨가제의 함량은 1atom% 이상 50atom% 이하이다.
또한, 제 1 기록층은 Si, Ge, Sn, Mg, In, Zn, Bi 및 A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함유한다.
또한, 제 1 기록층과 제 2 기록층은 서로 접촉한다.
또한, 제 1 기록층과 제 2 기록층의 두께의 합은 2nm이상 100nm이하이다.
또한, 보호층과 제 1 기록층 또는 제 2 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는 제 1 유전체층이 더 배치되고, 기판과 제 1 기록층 또는 제 2 기록층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는 제 2 유전체층이 더 배치된다.
또한, 제 2 유전체층과 기판의 사이에는 반사층이 더 배치된다.
또한, 제 1 기록층과 보호층간의 간격은 제 2 기록층과 보호층간의 간격보다 작다.
또한, 제 1 기록층과 보호층간의 간격은 제 2 기록층과 보호층간의 간격보다 크다.
또한, 기판 또는 보호층 중 적어도 하나는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매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광 정보 매체는 소정의 광을 이용하여 정보를 기록(Recording)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해독(Decoding)하는 것이다. 이러한 광 정보 매체에는 대표적으로 광디스크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는 콤팩트디스크(Compact Disk, CD), 디브이디 디스크(Digital Dersatile Disc, DVD), 블루레이 디스크(Blue-Ray Disk, BD)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매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정보 매체(100)는 원판 형태일 수 있고, 아울러 복수의 기능성 층(Layer)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광 정보 매체(100)는 기판(110), 보호층(Cover Layer, 160), 제 1 기록층(Recording Layer 1, 140), 제 2 기록층(Recording Layer 2, 130)을 포함한다.
기판(110)은 보호층(160), 제 1 기록층(140) 및 제 2 기록층(130)이 형성될 공간을 마련한다. 이러한 기판(110)은 유리 재질, 세라믹 재질, 수지 재질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작 공정 시 기판(110)의 성형의 용이함을 위해 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기판(1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실리콘 수지, 플루오르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이 기판(110) 형성 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110)의 광학적 특성을 고려하면, 기판(110)의 재료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10)의 두께(t1)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기판(110)의 두께(t1)가 과도하게 두꺼운 경우에는 광 정보 매체의 총 두께 및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아울러 기판(110)의 두께(t1)가 과도하게 얇은 경우에는 기판(110)의 성형 공정이 과도하게 어려워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기판(110)의 두께(t1)는 0.05mm이상 2.4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기판(110)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도 가능하다.
보호층(160)은 보호층(160)과 기판(110) 사이에 배치되는 다른 기능성 층들을 보호한다. 예를 들면, 보호층(160)은 제 1 기록층(140) 또는 제 2 기록층(130) 중 적어도 하나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보호층(160)의 외부에서 입사되는 광이 보호층(160)을 관통하여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보호층(160)이 광투과성을 갖고, 이를 위해 보호층(160)은 실질적으로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층(160)의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는 광투과성을 갖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호층(160)은 광 경화성 수지 재질, 본딩제 또는 접착제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160)의 두께(t6)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보호층(160)의 두께(t6)가 과도하게 두꺼운 경우에는 광 정보 매체(100)의 총 두께 및 무게가 증가하며 제조 단가가 증가할 수 있고, 반면에 보호층(160)의 두께(t6)가 과도하게 얇은 경우에는 다른 기능성층들을 충분히 보호할 수 없게 된다. 이를 고려할 때, 보호층(160)의 두께(t6)는 1㎛이상 2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은 보호층(160)과 기판(1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은 외부로부터 소정의 광, 예컨대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경우에 변형된다. 이러한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의 변형을 이용하여 소정의 정보를 기록하고, 아울러 기록된 정보를 해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기록과 해독 방법의 일례에 대해 첨부된 도 2를 결부하여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제 1 기록층과 제 2 기록층에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먼저 (a)와 같이 보호층(160)의 외부로부터 소정의 광, 예컨대 레이저 광이 입사되면, (b)와 같이 제 1 기록층(140)의 일부와 제 2 기록층(130)의 일부가 혼합되어 혼합층(20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기록층(140)의 일부와 제 2 기록층(130)의 일부가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층(200)의 반사계수는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의 반사계수와 현저히 다르게 되고, 이에 따라 광학적인 정보가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에 기록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혼합층(200)의 반사계수와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의 반사계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기록된 정보를 광학적으로 해독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광의 입사 시 제 1 기록층(140)의 일부와 제 2 기록층(130)의 일부가 보다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1의 경우와 같이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은 서로 접촉한다.
또한, 소정의 광의 입사 시 제 1 기록층(140)의 일부와 제 2 기록층(130)의 일부가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다면,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의 사이에 또 다른 기능성 층, 예컨대 유전체층이 더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의 재질을 살펴보면, 제 2 기록층(130) 은 주성분으로 Cu를 함유한다. 또한, 제 1 기록층(140)은 Si, Ge, Sn, Mg, In, Zn, Bi 및 A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혼합층(200)의 반사계수와 다른 부분의 반사계수의 차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기록층(140)은 Si, Ge, Sn, Mg 및 A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또한, Si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기록층(130)에 함유된 Cu 성분은 소정의 광이 입사될 때, 제 1 기록층(140)에 함유된 원소들과 고속으로 혼합된다. 이에 따라, 제 1 기록층(140)의 일부와 제 2 기록층(130)의 일부가 혼합되는 속도가 증가하여 혼합층(200)의 형성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의 기록 속도가 향상된다.
여기서, 제 2 기록층(130)에 함유된 Cu 성분은 특정 온도 및 특정 습도에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제 2 기록층(130) 내에서 부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기록층(130)에 Cu가 함유된 광 정보 매체(100)를 80℃의 온도 및 85%의 습도의 조건에서 50시간 동안 노출되었을 경우에 제 2 기록층(130)에 함유된 Cu 성분은 부식될 수 있다. 그러면, 광 정보 매체(100)의 물리적 손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기록된 정보가 훼손될 수 있다.
아울러, Cu 성분이 부식되면 제 2 기록층(130)의 반사계수의 변화 또는 혼합층(200)의 반사계수의 변화를 야기하여 기록된 정보가 훼손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된 정보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기록층(130)은 Sb, Te 및 B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첨가제로 함유한다. 이와 같이, 제 2 기록층(130)이 Sb, Te 및 B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첨가제로 함유하게 되면, 제 2 기록층(130)에 함유된 Cu 성분의 부식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제 2 기록층(130)의 박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혼합층(200)의 반사계수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록된 정보의 저장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제 2 기록층(130)의 예를 들어보면, 제 2 기록층(130)은 Cu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Sb를 첨가제로 함유할 수 있다.
또는, 제 2 기록층(130)은 Cu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Te를 첨가제로 함유할 수 있다.
또는, 제 2 기록층(130)은 Cu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Bi를 첨가제로 함유할 수 있다.
또는, 제 2 기록층(130)은 Cu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Sb와 Te를 첨가제로 함유할 수 있다.
또는, 제 2 기록층(130)은 Cu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Sb와 Bi를 첨가제로 함유할 수 있다.
또는, 제 2 기록층(130)은 Cu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Bi와 Te를 첨가제로 함유할 수 있다.
또는, 제 2 기록층(130)은 Cu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Sb와 Te와 Bi를 첨가제로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기록층(130)에 함유된 첨가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적은 경우에 는 제 2 기록층(130)에 함유된 Cu 성분의 부식으로 인한 제 2 기록층(130)의 박리, 제 2 기록층(130) 또는 혼합층(200)의 반사계수의 변화를 방지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제 2 기록층(130)에 함유된 첨가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혼합층(200)의 형성 시 제 1 기록층(140)의 성분과 제 2 기록층(130)의 성분이 혼합되는 속도가 저하됨으로써 정보 기록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2 기록층(130)에서 첨가제의 함량은 1tom% 이상 50ato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 기록층(140) 및 제 2 기록층(130)의 두께에 대해 첨부된 도 3을 결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제 1 기록층 및 제 2 기록층의 두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제 1 기록층(140)의 두께(t4)와 제 2 기록층(130)의 두께(t3)의 합(t3+t4)이 100nm이하인 경우에는 소정의 광의 입사 시 제 1 기록층(140)의 성분과 제 2 기록층(130)의 성분이 신속하게 혼합되어 혼합층(200)을 상대적으로 빠른 시간내에 형성할 수 있어서 정보 기록 속도는 ○ 표시로서 양호하다.
반면에, 제 1 기록층(140)의 두께(t4)와 제 2 기록층(130)의 두께(t3)의 합(t3+t4)이 1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t3+t4 가 과도하게 두껍기 때문에 소정의 광의 입사 시 제 1 기록층(140)의 성분과 제 2 기록층(130)의 성분이 혼합되어 혼합층(200)을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정보 기록 속도는 X 표시로서 불량하다.
또한, 제 1 기록층(140)의 두께(t4)와 제 2 기록층(130)의 두께(t3)의 합(t3+t4)이 2nm이상인 경우에는 소정의 광의 입사 시 제 1 기록층(140)의 성분과 제 2 기록층(130)의 성분이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층(200)의 반사계수와 다른 부분의 반사계수가 충분히 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정보 기록 정확도는 ○ 표시로서 양호하다.
반면에, 제 1 기록층(140)의 두께(t4)와 제 2 기록층(130)의 두께(t3)의 합(t3+t4)이 2nm미만인 경우에는 소정의 광의 입사 시 제 1 기록층(140)의 성분과 제 2 기록층(130)의 성분이 혼합되어 형성된 혼합층(200)의 반사계수와 다른 부분의 반사계수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정보 기록 정확도는 X 표시로서 불량하다.
이상의 내용을 고려할 때, 제 1 기록층(140)의 두께(t4)와 제 2 기록층(130)의 두께(t3)의 합(t3+t4)은 2nm이상 10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기록층(140)의 두께(t4)와 제 2 기록층(130)의 두께(t3) 각각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정보 기록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정보 기록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기록층(140)의 두께(t4)는 1nm이상 3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아울러 제 2 기록층(130)의 두께(t3)는 1nm이상 3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 1 기록층(140)의 두께(t4)는 제 2 기록층(130)의 두께(t3)의 0.2배 이상 5.0배 이하인 것도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보호층(160)과 제 1 기록층(140) 또는 제 2 기록층(130)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는 제 1 유전체층(150)이 더 배치되고, 기판(110)과 제 1 기록층(140) 또는 제 2 기록층(130)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는 제 2 유전체층(120)이 더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여기 도 1의 경우와 같이 보호층(160)과 제 1 기록층(140)의 사이에 제 1 유전체층(150)이 배치되고, 기판(110)과 제 2 기록층(130)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는 제 2 유전체층(120)이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유전체층(150) 및 제 2 유전체층(120)은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을 보호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기록층(140) 및 제 2 기록층(130)으로 소정의 광이 입사될 때, 입사되는 광에 의해 제 1 기록층(140) 및 제 2 기록층(130)이 가열될 수 있는데, 제 1 유전체층(150)과 제 2 유전체층(120)은 열에 의해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이 변형되거나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유전체층(150) 또는 제 2 유전체층(120)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는 산화물, 황화물 또는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유전체 재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유전체층(150) 또는 제 2 유전체층(120)은 Al2O3, AlN, ZnO, ZnS, GeN, GeCrN, CeO, SiO, SiO2, SiN 및 SiC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유전체층(150)과 제 2 유전체층(120)을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이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 1 유전체층(150)의 두께(t5)와 제 2 유전체층(120)의 두께(t2)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 1 유전체층(150)의 두께(t5)와 제 2 유전체층(120)의 두께(t2)가 과도하게 얇은 경우에는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의 열적 손상을 충분히 방지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제 1 유전체층(150)의 두께(t5)와 제 2 유전체층(120)의 두께(t2)가 과도하게 두꺼운 경우에는 제 1 유전체층(150)과 제 2 유전체층(120)을 형성하는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재료비가 증가할 수 있고, 아울러 제 1 유전체층(150) 또는 제 2 유전체층(120)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1 유전체층(150)의 두께(t5)와 제 2 유전체층(120)의 두께(t2)는 3nm이상 200nm이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매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4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매체의 다른 실시예는 앞선 도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의 위치가 반대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1의 경우에서는 제 1 기록층(140)과 보호층(160)간의 간격이 제 1 유전체층(15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t5이고, 제 2 기록층(130)과 보호층(160)간의 간격은 제 1 유전체층(150)의 두께(t5)와 제 1 기록층(140)의 두께(t4)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t5+t4로서, 제 1 기록층(140)과 보호층(160)간의 간격(t5)이 제 2 기록층(130)과 보호층(160)간의 간격(t5+t4)보다 작다.
반면에, 여기 도 4의 경우에서는 제 2 기록층(130)과 보호층(160)간의 간격이 제 1 유전체층(15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t5이고, 제 1 기록층(140)과 보호층(160)간의 간격은 제 1 유전체층(150)의 두께(t5)와 제 2 기록층(130)의 두께(t3)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t5+t3으로서, 제 1 기록층(140)과 보호층(160)간의 간격(t5+t3)이 제 2 기록층(130)과 보호층(160)간의 간격(t5)보다 크다.
이와 같이,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소정의 광의 입사 시 도 2의 경우와 같이 제 1 기록층(140)의 일부와 제 2 기록층(130)의 일부가 혼합되어 혼합층(200)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매체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 도 5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살펴보면, 기판(110)과 제 2 기록층(130)의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기판(110)과 제 2 유전체층(120)의 사이에 반사층(Reflective Layer, 500)이 더 배치된다.
이러한, 반사층(500)은 제 1 기록층(140)과 제 2 기록층(130)에 소정의 광이 입사되어 정보가 기록될 때 다중 간섭 효과(Multiple interference effect)를 발생시켜, 제 1 기록층(140)의 일부와 제 2 기록층(130)의 일부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혼합층과 다른 부분의 반사계수의 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사층(500)의 형성에 사용되는 재료는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사층(500)은 반사특성이 충분히 강한 Mg, Al, Ti, Cr, Fe, Co, Ni, Cu, Zn, Ge, Ag, Pt 또는 Au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이상의 재료에서 선택된 2가지 이상의 재료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 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정보 매체는 보호층과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기록층이 주성분으로 Cu를 함유하고, 첨가제로서 Sb, Te 및 B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함유함으로써 정보의 기록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고, 아울러 정보의 저장 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기판;
    보호층;
    상기 기판과 보호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기록층; 및
    상기 기판과 보호층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기록층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주성분으로 Cu를 함유하고, Sb 및 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첨가제로 함유하는 제 2 기록층;
    을 포함하고,
    상기 Cu의 함량은 50atom% 이상 99atom% 이하인 광 정보 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1atom% 이상 50atom% 이하인 광 정보 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은 Si, Ge, Sn, Mg, In, Zn, Bi 및 A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함유하는 광 정보 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과 제 2 기록층은 서로 접촉하는 광 정보 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과 제 2 기록층의 두께의 합은 2nm이상 100nm이하인 광 정보 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과 상기 제 1 기록층 또는 제 2 기록층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는 제 1 유전체층이 더 배치되고, 상기 기판과 상기 제 1 기록층 또는 제 2 기록층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는 제 2 유전체층이 더 배치되는 광 정보 매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층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반사층이 더 배치되는 광 정보 매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과 상기 보호층간의 간격은 상기 제 2 기록층과 상기 보호층간의 간격보다 작은 광 정보 매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록층과 상기 보호층간의 간격은 상기 제 2 기록층과 상기 보호층간의 간격보다 큰 광 정보 매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또는 보호층 중 적어도 하나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광 정보 매체.
  11. 삭제
KR1020070009224A 2007-01-30 2007-01-30 광 정보 매체 KR100926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224A KR100926093B1 (ko) 2007-01-30 2007-01-30 광 정보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224A KR100926093B1 (ko) 2007-01-30 2007-01-30 광 정보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253A KR20080071253A (ko) 2008-08-04
KR100926093B1 true KR100926093B1 (ko) 2009-11-11

Family

ID=3988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224A KR100926093B1 (ko) 2007-01-30 2007-01-30 광 정보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0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810A (ko) * 2002-04-05 2003-10-10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광기록매체 및 이 광기록매체에 정보를 광학적으로기록하는 방법
JP2004005922A (ja) * 2002-04-05 2004-01-08 Tdk Corp 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媒体に情報を記録する光記録方法
KR20040035564A (ko) * 2002-10-22 2004-04-29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광기록매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0084A (ko) * 2004-05-17 2005-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저장매체 및 정보기록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810A (ko) * 2002-04-05 2003-10-10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광기록매체 및 이 광기록매체에 정보를 광학적으로기록하는 방법
JP2004005922A (ja) * 2002-04-05 2004-01-08 Tdk Corp 光記録媒体および光記録媒体に情報を記録する光記録方法
KR20040035564A (ko) * 2002-10-22 2004-04-29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광기록매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10084A (ko) * 2004-05-17 2005-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저장매체 및 정보기록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253A (ko) 200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65561A (ja) 光記録媒体
JP4064905B2 (ja) 相変化光記録媒体
JP4612689B2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とそ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再生装置
JP2004158145A (ja) 光記録媒体
US20080253272A1 (en) Rewritable optical data storage medium and use of such a medium
JP2004273067A (ja) 光記録媒体
KR100926093B1 (ko) 광 정보 매체
US20070231529A1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suppressing sulfuration of silver
US7943223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film material
JP4352343B2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
US20080170484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US8325586B2 (en) Rewritable optical record carrier
JP4417356B2 (ja) 追記型光記録媒体
JP2005251279A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352342B2 (ja) 光学的情報記録媒体
JP2006294219A (ja) 相変化型光情報記録媒体とその製造方法
KR20010047949A (ko) 상변화 광디스크
EP1550119B1 (en) Optical record carrier for use with uv radiation beam
US7385907B2 (en) Rewritable optical record carrier
JP4223385B2 (ja) 光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28100B1 (ko) 초해상 광기록매체
KR100747577B1 (ko) 초해상 광기록매체
JP2001344808A (ja) 光学記録媒体
JP2005182860A (ja) 光記録媒体
KR100708102B1 (ko) 청색 레이저용 상변화 디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