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875B1 - 기록재생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875B1
KR100925875B1 KR1020047016343A KR20047016343A KR100925875B1 KR 100925875 B1 KR100925875 B1 KR 100925875B1 KR 1020047016343 A KR1020047016343 A KR 1020047016343A KR 20047016343 A KR20047016343 A KR 20047016343A KR 100925875 B1 KR100925875 B1 KR 100925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ed
recording medium
track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1466A (ko
Inventor
구도우시게타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4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 Y10S707/99945Object-oriented database structur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8Application of database or data structure, e.g. distributed, multimedia, or image

Abstract

중복한 정보의 기록을 하지 않고 원래의 정보와 대응 지을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 및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기록재생장치는, CD(l)에 기록된 주정보와 주정보를 관리하는 TOC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2)과, HDD(9)에 CD(l)로부터 재생된 주정보와 주정보를 관리하는 PBLIST(ll)을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록수단(7)과,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경계부분을 검출하는 경계검출수단(4)과, 트랙의 재생이 완전하게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완전재생검출수단(3)과, 경계검출수단(4)과 완전재생검출수단(3)의 검출결과에 근거해 HDD(9)에 기록되는 PBLIST(ll)를 갱신하는 갱신수단(8)과, 주정보를 PBLIST(ll)에 근거해 HDD(9)로의 기록의 제어를 하고, HDD(9)에 주정보가 기록되었을 경우에 PBLIST(ll)가 갱신되도록 갱신수단(8)을 제어하는 생성수단(5)을 갖춘다.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 및 기록재생방법{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recording/re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CD(Compact Disc)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HDD(Hard Disc Drive)에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 및 기록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생 전용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인 CD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디스크형 기록매체인 MD(Mini Disc)에 기록하는 오디오 시스템이 있었다. 이 경우, 기록 가능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기억용량의 제한 등에 의해 좌우 2채널의 스테레오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많아도 예를 들면 80분, 모노랄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많아도 예를 들면 140분의 기록을 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요즈음의 기록매체의 기억용량의 대용량화 및 기록매체의 저가격화에 의해, 지금까지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대용량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에 걸쳐서 기록매체에 격납할 수 있고, 사용자는 격납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염가인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향수(享受)할 수 있도록 되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대용량의 기록매체가 대표로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하 HDD로 한다.)가 이용되게 되며, 기록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이 HDD를 이용하고, CD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동시에 HDD에 기록해 둔 후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도 38은, 종래의 기록 재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에 있어서, CD(361)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는 앰프(362)에서 증폭되어 스피커(363)로부터 음악으로서 출력된다. 이때, 동시에, CD(361)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는 리핑부(364)에 의해 압축되어 HDD(365)에 기록된다. 또, 특개 2001-110171호 공보에는 CD로부터 장치 내장의 기록매체에 복사되어 다수 축적된 음악 데이터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는 기술이, 특개 2000-224523호 공보에는 기억된 선두 위치데이터 및 기록장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대량의 데이터를 효율 좋게 관리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액세스 가능한 상태로 기록 재생하는 기술이, 특개평 9-311799호 공보에는 하드 디스크상에 복수의 디스크에 수록된 음악 데이터를 기록했을 경우에, 소망한 디스크의 소망한 곡을 보다 직감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는, 도 39에 나타내는 종래의 재생방법과 같이, CD(361)으로부터, 「1」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71)에 대한 CD타이틀(372)로서 「AAA」, 「2」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71)에 대한 CD타이틀(372)로서 「BBBB」, 「3」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71)에 대한 CD타이틀(372)로서 「CC」, 「4」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71)에 대한 CD타이틀(372)로서 「DDDDD」, 「5」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71)에 대한 CD타이틀(372)로서 「E」가 재생된다.
이때, HDD(365)에 있어서, 「1」의 통상 재생(374)의 순번에 대한 리핑 결과(373)으로서 「AAA.MP3」, 「2」의 통상 재생(374)의 순번에 대한 리핑결과(373)로서 「BBBB.MP3」, 「3」의 통상 재생(374)의 순번에 대한 리핑 결과(373)로서 「CC.MP3」, 「4」의 통상 재생(374)의 순번에 대한 리핑결과(373)로서 「DDDDD.MP3」, 「5」의 통상 재생(374)의 순번에 대한 리핑 결과(373)로서 「E.MP3」의 각 파일이 기록된다.
그런데, CD(361)로부터 재생한 모든 오디오 데이터의 파일을 HDD(365)에 있어서 기록하기 위해, 사용자가 이전에도 CD(361)로부터 재생한 것의 어느 오디오 데이터의 파일을 HDD(365)에 있어서 중복하여 기록하는 일이 있기 때문에, 쓸데없는 시간이나 기억용량이 증가한다고 하는 부적당이 있었다.
또, HDD(365)에 있어서, 예를 들면, 랜덤 재생이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임의로 순번을 바꿔 넣거나 삭제함으로써, 「1」의 임의의 순서의 재생파일(375)로서 「AAA.MP3」, 「2」의 임의의 순서의 재생파일(375)로서 「CC.MP3」, 「3」의 임의의 순서의 재생파일(375)로서「E.MP3」를 생성했을 경우에는, 이 임의의 순번의 재생파일을 그대로 재생하면, (37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1」~「5」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71)에 대한 각 CD타이틀(372)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원래 CD의 재생순으로 대응 지을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 CD의 재생장치측이 송출하는 서브 코드(Q)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HDD의 기록 장치측에서 검출함으로써 트랙 체인지를 검출하고 있었지만, 이 방법에서는 CD의 재생장치측에서 재생했다고 인식하고 있던 트랙과 HDD의 기록장치측에서 기록한 트랙 수가 맞지 않는 등의 모순이 생긴다고 하는 부적당이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대상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와 일반 컴퓨터 데이터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컴퓨터 데이터는 파일조작을 행함으로써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파일 이동을 할 수 있고, 또, 파일 사이즈를 엔드 오브 사이즈로 자를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오디오 데이터는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파일자체는 하등조작되지 않는 것이며, CD의 재생순서는 파일명과는 무관계이다. 또, 재생되는 트랙이 CD의 몇 번째 오디오 데이터 파일인가 하는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는 중요한 정보이다. 또, HDD에서 기록한 순서가 CD의 재생순서가 되고 있는 것이 사용자의 조작상 요구되므로, 이와 같은 HDD에 있어서의 기록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 CD에서 완전재생된 트랙만 HDD에서 기록하도록 요구되므로, 기록 트랙의 이동에 수반하는 이동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 CD의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위치를 TOC에서 알 수 있으므로, TOC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중복한 정보의 기록을 하지 않고 원래 정보와 대응지을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 및 기록재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와 상기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1의 관리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제 2의 기록매체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주정보와 상기 기록되는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록재생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의 트랙마다의 경계부분을 검출하는 경계검출수단과, 상기 트랙의 재생이 완전하게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완전재생 검출수단과, 상기 경계검출수단과 상기 완전재생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관리정보갱신수단과,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를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의 제어를 하고, 상기 제 2의 기록매체로 상기 주정보가 기록된 경우에 상기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관리정보갱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와 상기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1의 관리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제 2의 기록매체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주정보와 상기 기록되는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록재생수단과,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의 트랙마다의 단락부분을 검출하는 단락검출스텝과, 상기 트랙의 재생이 완전하게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완전재생 검출스텝과, 상기 단락검출스텝과 상기 완전 재생검출스텝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관리정보 갱신스텝과,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를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의 제어를 하고, 상기 제 2의 기록매체로 상기 주정보가 기록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관리정보갱신 스텝을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갖추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을 한다.
제 1의 기록매체는, 주정보와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1의 관리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재생수단은,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와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1의 관리정보를 재생한다.
제 2의 기록매체는, 주정보와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2의 관리정보가 기록된다. 기록재생수단은, 제 2의 기록매체에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주정보와 기록되는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기록하여 재생한다.
경계검출수단은,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의 트랙마다의 경계부분을 검출한다. 완전 재생검출수단은, 트랙의 재생이 완전하게 행해진 것을 검출한다. 갱신수단은, 경계검출수단과 완전재생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갱신한다.
제어수단은,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를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의 제어를 하고, 제 2의 기록매체로 주정보가 기록된 경우에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갱신수단을 제어한다. 이 때에, 생성수단은, 갱신수단에 의해 갱신되는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하는 주정보의 파일의 이동 리스트를 생성한다.
분할수단은, 경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단락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주정보를 분할하여 기록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적용되는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재생결과에 의한 이동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에 적용되는 더빙 장치의 시스템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CD재생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CD재생장치로부터 얻어지는 프레임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서브 코드(Q)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HD기록재생장치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HDD내에 보관 유지되는 파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앨범 플레이백 리스트(Pblist.msf)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플레이백 리스트(Pbxxxxxx.msf)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A3D헤더(A3dxxxxx.msa의 선두 16k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Namedb.msf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Namedb.msf의 블록 ID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Namedb.msf의 네임 레코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Playtime.msf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Playtime.msf의 블록 ID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Playtime.msf의 TRK레코드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Tocdb.msf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Tocdb.msf의 블록 ID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Tocdb.msf의 ALBUM TOC레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Tocdb.msf의 ALBUM TOC레코드의 TOC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Recorded.msf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Recorded.msf의 블록 ID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Recorded.msf의 TOC RECORDED레코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Recorded.msf의 RECORDED플래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오디오 입출력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모든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기록이 끝난 상태가 아닌 CD를 최초부터 최후까지 들었을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29는, 모든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기록이 끝난 상태가 아닌 CD를 최초부터 최후까지 들었을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30은, 구체적인 예 2의 경우의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사용자가 도중에 어떠한 조작을 했을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2는, 사용자가 도중에 어떠한 조작을 했을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 트이다.
도 33은, CD가 TOC를 독출했을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4는, 재생의 궤적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각 트랙의 기록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이동동작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7은, 트랙이동동작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8은, 종래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종래의 재생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CD 2. 재생수단
3. 완전 재생검출수단 4. 경계검출수단
5. 생성수단 6. 이동 리스트
7. 기록수단 8. 갱신수단
9. HDD 10. 분할수단
11. PBLIST 12. 오디오 데이터
21∼24. CD OOl~CD OO4 25.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순서
26. 관리데이터 27. 관리파일
28. 오디오 데이터 29. 오디오 파일
30. 관리번호 31.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
32. 재생결과 완전/불완전 33. HDD상의 오디오 파일
34. 원래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
35. 이동 리스트 41. 시스템제어기
42. CD재생장치 43. HD기록재생장치
44. 오디오 입출력부 45. 외부제어단자
51. CD 52. 스핀들 모터
53. 광학헤드 54. 스레드 기구
55. 서보회로 56. RF앰프
57. 디코더 58. CD제어기
61. 1 프레임 62. 동기 패턴
63. 서브 코딩 64. 데이터와 패리티
65. 서브 코드 데이터 PQRSTUVW
71. 서브 코드 Q데이터 72. 제어
73. 주소 74. 데이터
75. CRC 81. 디지털 인터페이스
82.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83. 압축/신장부
84. 암호/복호부 85. 공유 RAM
86. HD제어기 87. SDRAM
88. 파일시스템 89. HDD
91. 루트 디렉토리 92. 디렉토리 HiFi
93-1. Pblist.msf(앨범 번호 관리파일)
93-2. Playtime.msf(재생 시간관리 데이터베이스)
93-3. Namedb.msf(앨범·트랙명 데이터베이스)
93-4. Tocdb.msf(CD TOC데이터베이스)
93-5. Recorded.msf(기록이 끝난 오디오데이터파일의 데이터베이스)
93-6. 앨범 Album OOO
93-6-1. PbOOOOOl.msf(앨범(1) 관리파일)
93-6-2. PbOOOOO2.msf(앨범(2) 관리 파일)
93-6-500. PbOOOlf4.msf(앨범(500) 관리 파일)
94-1. Album OOl
94-1-1. A3dOOOO0l.msa(오디오파일)
94-2. AlbumOO2 94-100. AlbumlOO
95. Playlist
95-1. PbOOOlf5.msf(플레이 리스트(1) 관리파일)
95-2. PbOOOlf6.msf(플레이 리스트(2) 관리파일)
95-10. PbOOOlfe.msf(플레이 리스트(10) 관리파일)
96. Temp
96-1. PbOOOlff.msf(자동 기록 관리파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에 적용되는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우선, 이 기록재생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CD(l)는 제 1의 기록매체이며, 주정보로서의 오디오 데이터와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1의 관리정보로서의 관리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재생수단(2)은, 제 1의 기록매체로서의 CD(l)에 기록된 주정보와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1의 관리정보를 재생하여 출력수단(13)으로부터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HDD(9)는 제 2의 기록매체이며, 주정보로서의 오디오 데이터(12)와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2의 관리정보로서의 PBLIST(ll)가 기록된다. 기록수단(7)은, 제 2의 기록매체로서의 HDD(9)와 제 1의 기록매체로서의 CD(l)로부터 재생된 주정보로서의 오디오 데이터(12)와 기록되는 주정보로서의 오디오 데이터(12)를 관리하는 제 2의 관리정보로서의 PBLIST(ll)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가진다.
경계검출수단(4)은, 재생수단(2)으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경계부분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완전재생검출수단(3)은, 트랙의 재생이 완전하게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갱신수단(8)은, 경계검출수단(4)과 완전재생검출수단(3)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제 2의 기록매체로서의 HDD(9)에 기록되는 제 2의 관리정보로서의 PBLIST(ll)를 갱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생성수단(5)은, 제 1의 기록매체로서의 CD(l)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로서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 2의 관리정보로서의 PBLIST(ll)에 근거하여 제 2의 기록매체로서의 HDD(9)로의 기록 제어를 하고, 제 2의 기록매체로서의 HDD(9)에 주정보로서의 오디오 데이터(12)가 기록되었을 경우에 제 2의 관리정보로서의 PBLIST(ll)가 갱신되도록 갱신수단(8)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때에, 생성수단(5)은, 갱신수단(8)에 의해 갱신되는 제 2의 관리정보로서의 PBLIST(ll)에 근거하는 주정보로서의 오디오 데이터(12)의 파일의 이동 리스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분할수단(10)은, 경계검출수단(4)으로부터의 주정보의 트랙마다의 경계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제 2의 기록매체로서의 HDD(9)에 기록되는 주정보로서의 오디오 데이터(12)를 분할하여 기록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재생오디오데이터 파일의 관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CDOOl(21)에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1, 2, 3, 4, 5, 6, 7)이 기록되어 있고, CDOO2(22)에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1, 2, 3, 4)이 기록되어 있고, CDOO3(23)에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1, 2, 3, 4, 5)이 기록되어 있고, CDOO4(24)에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1, 2)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CD(l)로부터 재생되는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 순서(2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CDOOl(21)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1, 2)을 재생한 후에 오디오 데이터 파일(3)은 재생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4)을 재생하여 이하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5, 6, 7)은 재생하지 않고 다음의 CDOO2(22)의 재생에 이행한다. 이때의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 순서(25)는 「001-1」, 「001-2」, 「001-4」로 된다.
CDOO2(22)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1, 2)은 재생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3)만을 재생하여 이하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4)은 재생하지 않고 다음의 CDOO3(23)의 재생으로 이행한다. 이때의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 순서(25)는 「002-3」로 된다.
CDOO3(23)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1, 2, 3)은 재생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4, 5)을 재생한다.
이 때의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순서(25)는 「003-4」, 「003-5」로 된다.
이것에 계속하여, 앞의 CDOOl(21)의 재생으로 복귀하여 앞에 재생하지 않았던 오디오 데이터 파일(3, 5, 7)을 재생하여 다음의 CDOO4(24)의 재생으로 이행한다. 이 때의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순서(25)는 「001-3」, 「001-5」, 「001-7」로 된다.
CDOO4(24)에 있어서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1)은 재생하지 않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2)을 재생한다. 이 때의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순서(25)는 「004-2」로 된다.
이것에 계속하여, 앞의 CDOO2(22)의 재생으로 복귀하여 앞에 재생하지 않았던 오디오 데이터 파일(1, 2)을 재생한다. 이 때의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순서(25)는 「002-1」, 「002-2」로 된다.
그러면, 도 1에 나타낸 HDD(9)에 관리데이터(26) 및 오디오 데이터(28)가 기록된다. 이 관리데이터(26)는 도 1에 나타낸 PBLIST(ll)에 대응하고, 오디오 데이터(28)는 오디오 데이터(12)에 대응하는 것이다. 여기서,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순서(25)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조작에 의한 재생 또는 난수발생에 의한 랜덤재생에 근거하는 것이다.
오디오 데이터(28)에 있어서, 앨범(001)에는 상술한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순서(25)에서 나타낸 순으로 최대 5개까지의 오디오 파일(29)로서 「001-1」, 「001-2」, 「001-4」, 「002-3」, 「003-4」가 기록된다. 이때의 관리번호(30)로서, 오디오 파일(29) 「001-1」에 대해서 「1」, 「001-2」에 대해서 「2」, 「001-4」에 대해서 「3」, 「002-3」에 대해서 「4」, 「003-4」에 대해서 「5」가 기록된다.
이것에 계속하여, 앨범(002)에는 상술한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순서(25)에서 나타낸 순서으로 최대 5개까지의 오디오 파일(29)로서 「003-5」, 「001-3」, 「001-5」, 「001-7」, 「004-2」가 기록된다. 이 때의 관리번호(30)로서, 오디오 파일(29)「003-5」에 대해서 「6」, 「001-3」에 대해서 「7」, 「001-5」에 대해서 「8」, 「001-7」에 대해서 「9」, 「004-2」에 대해서 「10」이 기록된다.
이것에 계속하여, 앨범(003)에는 상술한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순서(25)에서 나타낸 순으로 최대 5개까지의 오디오 파일(29)로서 「002-1」, 「002-2」가 기록된다. 이 때의 관리번호(30)로서 오디오 파일(29) 「002-1」에 대해서 「11」, 「002-2」에 대해서 「12」가 기록된다.
관리파일(27)에 있어서, 앨범(000)에는 상술한 오디오 파일(29)의 원래의 CDOOl(21), CDOO2(22), CDOO3(23), CDOO4(24)에서 나타낸 순으로 최대 5개까지의 관리파일(27)로서 「PbOOOOl.msf(1, 2, 7, 3, 8···)」,「PbOOOO2.msf(11, 12, 4···)」, 「PbOOOO3.msf(5, 6‥·)」, 「PbOOOO4.msf(10···)」가 기록된다.
이 때 CDOOl(21)의 관리파일(27)의 「PbOOOOl.msf」에 대해서, CDOOl(21)의 재생순번으로 관리번호를 속성으로서 (1, 2, 7, 3, 8···)와 같이 기록하고, CDOO2(22)의 관리파일(27)의 「PbOOOO2.msf」에 대해서, CDOO2(22)의 재생 순번으로 관리번호를 속성으로서 (11, 12, 4···)와 같이 기록하고, CDOO3(23)의 관리파일(27)의 「PbOOOO3.msf」에 대해서, CDOO3(23)의 재생 순번으로 관리번호를 속성으로서 (5, 6···)과 같이 기록하고, CDOO4(24)의 관리파일(27)의 「PbOOOO4.msf」에 대해서, CDOO4(24)의 재생순번으로 관리번호를 속성으로서 (10···)와 같이 기록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갱신수단(8)의 갱신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28)에 있어서의 앨범(002)의 오디오 파일(29)의 관리번호 「8」의 「001-5」를 「003-1」으로 변경했을 경우에는, 관리데이터(26)에 있어서의 앨범 (000)의 관리파일(27)의 「PbOOOOl.msf」에 대한 CDOOl(21)의 재생 순번으로 관리번호의 속성(8)을 삭제하고, 「PbOOOO3.msf」에 대한 CDOO3(23)의 재생 순번에 의한 관리번호의 속성(8)을 추가한다.
도 3은, 재생결과에 의한 이동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1)가 「1」의 재생결과(32)는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상태이다. 이때의 HDD상의 오디오 파일(33)은 CD(l)에 대해서 「A3dOOOOl.msa」이며, 원래의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4)는 「1」이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1)가 「2」의 재생결과(32)는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 상태이다. 이 때의 HDD상의 오디오 파일(33)은 CD(2)에 대해서 「A3dOOOO2.msa」이며, 원래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4)는 「2」이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1)가 「3」의 재생결과(32)는 도중에 다음 오디오 데이터 파일에 이행한 불완전 상태이다. 이때의 HDD상의 오디오 파일(33)의 CD(3)에 대한 「A3dOOOO3.msa」는 기록되지 않는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1)가 「4」의 재생결과(32)는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상태이다. 이때의 HDD상의 오디오 파일(33)은 CD(4)에 대해서 「A3dOOOO4.msa」이며, 원래의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4)는 「4」이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1)가 「5」의 재생결과(32)는 도중에 9번째 오디오 데이터 파일로 이행한 불완전 상태이다. 이 때의 HDD상의 오디오 파일(33)의 CD(5)에 대한 「A3dOOOO5.msa」는 기록되지 않는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1)가 「9」의 재생결과(32)는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상태이다. 이때의 HDD상의 오디오 파일(33)은 미재생의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6~8)를 제외한 CD(9)에 대하여 「A3dOOOO6.msa」이며, 원래의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4)는 「9」이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1)가 「10」의 재생결과(32)는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 상태이다. 이때의 HDD상의 오디오 파일(33)은 CD(lO)에 대해서 「A3dOOOO7.msa」이며, 원래의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4)는 「10」이다.
이때, 도 1에 나타낸 생성수단(5)은, 원래의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 번호의 재생결과가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상태인지, 또는 도중에 재생을 중단한 불완전 상태인지에 따라, 불완전 상태를 제외한 완전 상태만 원래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와 대응지어 HDD상의 일시 보존 영역인 템포러리 에리어에 생성되는 오디오 파일의 항구 보존 영역인 기록영역으로의 이동의 유무를 나타내는 이동 리스트(35)를 생성한다.
이동 리스트(35)에 있어서,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1)의 재생결과(32)는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 상태이므로, 성공을 나타내는 「1」이 기록된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2)의 재생결과(32)는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 상태이므로, 성공을 나타내는 「1」이 기록된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3)의 재생결과(32)는 도중에 다음 데이터 파일에 이행한 불완전 상태이므로, 실패를 나타내는 「0」이 기록된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4)의 재생결과(32)는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 상태이므로, 성공을 나타내는 「1」이 기록된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5)의 재생결과(32)는 도중에 다음 오디오 데이터 파일로 이행한 불완전 상태이므로, 실패를 나타내는 「0」이 기록된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9)의 재생결과(32)는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 상태이므로, 성공을 나타내는 「1」이 기록된다. CD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10)의 재생결과(32)는 모든 재생을 종료한 완전 상태이므로, 성공을 나타내는 「1」이 기록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적용되는 기록재생장치의 예를, CD재생장치와 HD기록재생장치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실시의 형태에 적용되는 CD·HD일체형 더빙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에 적용되는 더빙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더빙장치는, 각 블록에 시스템제어신호(C)를 공급하고 제어를 하는 시스템 제어기(41)와 CD로부터 IEC60958 규격에 준거한 오디오 신호(A)의 재생을 행하는 CD 재생장치(42)와, 오디오 신호(A) 중 서브코드(Q)(46)에 근거해 트랙 체인지를 행하고 오디오 신호(A) 및 관리데이터를 기록하는 HD기록재생장치(43)와 오디오 입출력부(44)와, 외부제어단자(45)를 가지고 구성된다. 오디오 신호(A)는, 바이페이즈마크 신호로서 제어(C) 비트 및 유저즈(U) 비트를 가지고 있다. 제어(C) 비트는, 디지털신호가 민생용인지 업무용인지, 오디오 데이터가 디지털 데이터인지, 저작권의 유무, 재생기기의 카테고리등을 판별하는 것이다. 유저즈(U) 비트는, 각종 서브 코드를 가지고 있어 이 안에 서브 코드(Q)가 포함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기(41)는, 시스템 제어신호(C)를 이용하고 각 블록의 제어를 행한다. CD 재생장치(42), HD기록재생장치(43) 및 오디오 입출력부(44)의 사이는 IEC60958 규격에 준거한 오디오 신호(A)의 입출력이 행해진다. 다만, 오디오 입출력부(44)의 입력부에는 아날로그 입력부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 입력된 오디오 신호(A)는 A/D컨버터에서 디지털 변환되어 L/R클락, 비트 클락 BCLK에 동기 한 시리얼 신호가 HD기록재생장치(43)에 입력된다.
또, 시스템 제어신호(C)는, 외부의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외부제어단자(45)에도 접속되어 있다. 외부제어단자(45)에는 퍼스널 컴퓨터(PC)에서 통상 인터페이스에 이용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하는 것으로, 퍼스널 컴퓨터(PC)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사용자의 키 입력조작이나, 사용자으로의 표시의 제어도 시스템 제어기(41)의 기능이다.
도 5는, 도 4에서 나타낸 CD재생장치(42)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CD재생장치(42)는, 재생전용의 광디스크 장치이다. CD(51)는, CD재생동작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52)에 의하여 선속도 일정(Constant Linear Velocity)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광학헤드(53)에 의하여 CD(51)에 피트로 불리는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독출되며, RF앰프(56)에 공급된다. 광학헤드(53)는, 트래킹 및 포커스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 광학헤드(53)는, 스레드 기구(54)에 의하여 CD(5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RF앰프(56)에서는 재생RF신호 외에 포커스 에러신호 및 트래킹 에러신호를 서보회로(55)에 공급한다. 서보회로(55)는, 포커스 에러신호 및 트래킹 에러신호로부터 포커스 구동신호, 트래킹 구동신호, 스레드 구동신호 및 스핀들 구동신호의 각종 구동신호를 생성하고, 광학헤드(53), 스레드 기구(54), 스핀들 모터(52)의 동작을 제어한다.
재생RF신호는 디코더(57)에 공급된다. 디코더(57)에서는, 우선, 입력된 재생RF신호에 대하여 2치화를 행하고 EFM(Eight to Fourteen Modulaton)신호를 얻는다. 다음으로 얻어진 EFM신호에 대하여 EFM복조, CIRC(Cross Interleave Read solomon Code)디코드 등을 행하고 CD(51)로부터 독해된 정보를 16비트 양자화, 44.1kHz 샘플링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형식으로 디코드한다. 여기서, CIRC디코드란, CIRC를 이용한 에러검출 및 에러정정처리를 말하는 것이며, 주지의 Cl, C2부호에 의한 에러 검출 및 에러정정처리가 실행되는 것이다.
또, 디코더(57)에서는, TOC(Table Of Contents)나 서브 코드등의 제어 데이터도 추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들 TOC나 서브 코드는, CD제어기(58)에 공급되며, 각종 제어에 이용된다. 디코더(57)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도 4에 나타내는 오디오 입출력부(44)에 공급된다.
도 6은, 도 5에서 나타낸 디코더(57)에서 생성되며, CD제어기(58)에 공급되는 데이터의 일부인 1프레임(6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신호는 32의 프레임을 정리하여 취급하며, 그 선두를 검출할 수 있도록 신호인 동기 패턴부(62)와,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두출이나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서 재생하는 프로그램 기능을 갖게하는 것이나, 문자나 그 외의 정보를 얻기 위한 서브 코딩부(63)와, 디지털 오디오의 데이터와 패리티(64)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또, 서브 코딩부(63)에는, (6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서브 코드 데이터(P, Q, R, S, T, U, Ⅴ, W)가 있다.
도 7은, 도 6에서 나타낸 서브 코딩부(63)의 Q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서브 코드(Q)데이터(71)는, 오디오의 채널수, 강조, 디지털 데이터의 식별을 위해서 이용되는 컨트롤부(72)와, 데이터가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주소부(73)와, 데이터부(74)와, 패리티로서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부(75)로부터 성립되고 있다.
도 8은, 도 4에서 나타낸 HD기록재생장치(4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HD기록재생장치(43)는, 오디오 신호등의 오디오 정보의 기록재생 및 오디오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등을 기록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이다.
HD기록재생장치(43)는, HD제어기(86)인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서 제어된다. HD제어기(86)와 HDD(89)는 ATA 준거의 IDE버스로 접속되어 있고,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은 패러렐 입출력 PIO모드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이다. 또, 파일 시스템(88)은, HD제어기(86)가 HDD(89)로부터 데이터의 독출 및 HDD(89)로의 데이터의 기입을 행할 때에 이용하는 파일 시스템이며, HDD(89)에 쓰여진 데이터를 파일마다 관리하기 위해서 필요 불가결한 것이다.
다만, 파일 시스템(88)은, HD제어기(86)에 짜넣어진 소프트웨어이며, 다른 블록이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HDD(89)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모두 파일 시스템(88)이 관리하는 파일이며, 다음에 설명하는 오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관리정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도 파일 시스템(88)이 관리하는 파일이다. 파일 시스템(88)에는 파일조작에 필요한 파일의 오픈, 클로우즈, 리드, 라이트등의 시스템 콜이 갖춰져 있다.
다음에, HD기록재생장치(43)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흐름을 설명한다. HD기록재생장치(43)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은, HD제어기(86)가 HDD(89)상에 파일 시스템(88)을 이용하여 파일을 작성하는 것이다. 그래서, 우선, HD제어기(86)는, 파일 시스템(88)을 이용하여 HDD(89)상에 신규 파일 작성을 실시한다. HD제어기(86)는, 압축/신장부(83)와 암호/복호부(84)에 인코드의 개시와 암호화의 개시의 제어를 행한다.
오디오 입출력부(44)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부( 81) 또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82)에 공급된다. 압축/신장부(83)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3) 압축 코딩 기술에 의해 고음질·고능률로 압축한다.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는, 다음에 암호/복호부(84)에 공급되어 암호화된다. 암호화란, 저작권 보호를 목적으로 한 음악인 컨텐츠의 암호화와 기기간의 상호 승인을 실시하는 기능이다.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는 공유RAM(85)에 공급된다.
이때, 약 23.2msec의 1사운드 유닛의 암호화가 종료할 때마다 HD제어기(86)에 대하여 끼어들기(interrupt)가 걸린다. HD제어기(86)는 끼어들기가 들어갈 때마다 공유 RAM(Random Acess Memory)(85)에 보존된 데이터를 SDRAM(Syncronous Dinamic RAM)(87)에 전송하고, 또한 파일 시스템(88)을 거쳐서 HDD(89)에 전송하고, HDD(89)에 오디오 데이터를 파일로서 기록해 간다.
또, IEC60958 준거의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실시하고 있고, 그 카테고리가 CD인 경우, HD기록재생장치(43)는, 오디오 데이터의 제어(C) 비트, 유저즈(U) 비트에 포함되는 트랙 번호(TNO)를 후술하는 플레이 리스트 Plytime.msf의 TRK레코드부의 TOC NO엔트리에 기입하는 것으로, 현재 기록하고 있는 트랙이 CD의 몇번째 트랙인지 알 수 있다.
다음에, HD기록재생장치(43)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흐름을 설명한다. HD기록재생장치(43)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으로, HD제어기(86)가 HDD(89)상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을 오픈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읽어내는 것이다.
우선, HD제어기(86)는, 압축/신장부(83)와 암호/복호부(84)에 디코드의 개시와 복호화의 개시의 제어를 행한다. HD제어기(86)는 파일 시스템(88)을 이용하여 재생하고 싶은 희망의 파일을 오픈으로 한다. HD제어기(86)는 오픈한 파일을 HDD(89)로부터 SDRAM(87)에 독출한다. SDRAM(87)에 독출된 데이터는 HD제어기(86)에 의해서, 공유 RAM(85)에 전송된다. 공유 RAM(85)에 전송 된 데이터는, 암호/복호부(84)에 의해서 복호화 되어 복호화 된 데이터는 압축/신장부(83)에 공급된 후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부(81) 또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82)를 거쳐서, 오디오 입출력부(44)에 이송된다.
이 때, 기록 때와 동일하게, 1사운드 유닛의 복호화가 종료할 때마다, HD제어기(86)에 끼어들기가 들어간다. HD제어기(86)는 끼어들때 마다 다음의 사운드 유닛을 공유 RAM(85)에 전송하는 것으로 재생이 계속되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 적용되는 CD재생장치(42)와 HD기록재생장치(43) 일체형의 더빙 장치의 HD기록재생장치(43) 측에는, 미리 500개의 앨범으로 불리는 복수의 오디오 트랙을 그룹화하기 위한 수단이 준비되어 있다. 게다가 이 앨범 외에 플레이 리스트로 불리는 임의의 트랙을 모으는 것이 가능한 수단이 10개 존재한다. 앨범과 플레이 리스트의 차이는, 전자가 기록한 오디오 데이터 그 것을 기록하기 위한 수단인데 대하여, 후자는 전자가 보관 유지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로의 링크가 뻗어 있는 것으로, 오디오 파일 실체 그 것을 보관 유지하는 것이 아닌 점이다.
HD기록재생장치(43)에 기록 가능한 오디오 파일수는 앨범 하나에 대해서 400개, 즉 400오디오 데이터 파일이다. 이 앨범내에서의 트랙수의 제한은 플레이 리스트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따라서, 500앨범×400트랙으로 최대 20만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오디오 데이터를 보관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의 형태에 적용되는 CD재생장치(42)와 HD기록재생장치(43) 일체형의 더빙장치에서는, 적정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과 기록을 보증하기 위해 최대 2만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라고 하는 제한을 설치하고 있다.
도 9는, HD기록재생장치(43)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파일과, 오디오 파일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가 파일 시스템(88)에 의해 어떻게 보일까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오디오 파일과 오디오 파일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루트 디렉토리(¥91) 아래의 HiFi(92)라고 하는 디렉토리 아래에 또한 놓여진다. HiFi(92)라고 하는 디렉토리 아래에는, 500개의 앨범의 재생순서를 나타내는 앨범 플레이백 리스트 Pblist.msf(93-1)(앨범번호 관리파일)이라고 하는 16kb의 파일이 격납되어 있다. 이 Pblist.msf(93-1)는 500개의 앨범 각각의 재생 관리 파일의 파일 번호가 쓰여져 있다.
동일 HiFi(92)라고 하는 디렉토리내에는, Pblist.msf(93-1)외에, 모든 앨범과 트랙의 앨범명, 트랙명, 아티스트명을 데이터베이스화한 Namedb.msf(93-3)(앨범·트랙명 데이터베이스), 모든 트랙의 재생시간을 데이터베이스화한 Playtime.msf(93-2)(재생시간관리 데이터베이스)와 CD재생장치와 동기기록(싱크로 기록)을 행할 때의 CD의 TOC를 취득해 두고, 나중에 CDDB(CD Data Base)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각 앨범, 각 트랙에 이름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Tocdb.msf(93-4)(CD TOC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는 CD의 TOC를 수집해 두는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하고 있다.
마지막 데이터베이스 파일은 Recorded.msf(93-5) (기록이 끝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데이터베이스)이다. 이 데이터베이스 Recorded.msf(93-5)는, Tocdb.msf(93-4)와 쌍으로 되어 있어 Tocdb.msf(93-4) 내에 있는 CD의 TOC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각 트랙이 이미 기록이 끝났는지 아닌가의 판정 및 그 트랙이 어디의 앨범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디렉토리 HiFi(92)의 아래에 있는 AlbumOOO(93-6)이라고 하는 디렉토리는 500개의 앨범 각각에 포함되는 총 트랙수, 앨범명, 재생 오디오 데이터 파일순번, 앨범 하이라이트 등의 데이터가 납입해 있는 플레이백 리스트 PbOOOOOl.msf(93-6-1)(앨범(1) 관리파일), PbOOOOO2.msf(93-6-2) (앨범(2) 관리파일) ∼PbOOOlf4.msf(93-6-500) (앨범(500) 관리파일)이 들어가 있다.
디렉토리 HiFi(92)의 아래에 있는 Album OOl(94-1)∼Album lOO(94-100)의 100개의 디렉토리는 기록한 오디오 파일을 격납하는 디렉토리이다. 오디오 파일은 최대로 2만곡 작성가능하기 때문에, 이들 모든 오디오 파일을 같은 디렉토리에 있어 둔다면 도 8에 나타낸 파일 시스템(88)이 파일의 장소를 검색하는데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한다. 이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파일을 분산시켜 격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이해, 기록한 오디오 파일은 Album OOl(94-1)∼Album lOO(94-100)의 100개의 디렉토리에 분산시켜 보존되어 있다. 오디오 파일은 A3dOOOOl.msa(94-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3dxxxxx.msa라고 하는 파일명으로 되어 있고, 최대의 20000번째 트랙까지 일련 번호가 매겨지고 있다.
디렉토리 HiFi(92)의 아래에 있는 디렉토리 Playlist(95)는, 상술한 플레이 리스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플레이 리스트 전용의 재생관리파일 PbOOOlf5.msf(95-1) (플레이 리스트(1) 관리파일), PbOOOlf6.msf(95-2)(플레이 리스트(2) 관리파일)∼PbOOOlfe.msf(95-10)(플레이 리스트(10) 관리파일)을 격납하는 디렉토리이다.
마지막으로, 디렉토리 HiFi(92)의 아래에 있는 디렉토리 Temp(96)는,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자동 기록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자동 기록관리파일 PbOOOlff.msf(96-1)을 격납하는 디렉토리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설명되고 있는 앨범 플레이백 리스트 Pblist.msf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BLKID-TLO(lOl)는 문자열 「TL-0」이라고 쓰여진 고정 문자열이다. REVISION(lO2)는 Pblist.msf가 고쳐 쓰여진 회수를 나타내고 있다. T-ALB(lO3)는 HD기록재생장치에 포함되는 전앨범수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여기서의 전 앨범수는 플레이 리스트도 포함하기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CD재생장치와 HD기록재생장치 일체형의 더빙장치에서는 T-ALB(lO3)은 512이다. Alb-001~Alb-500까지는 각 앨범의 재생 관리파일 PbOOOOOl.msf(93-6-1)(앨범(1) 관리파일), PbOOOOO2.msf(93-6-2)(앨범(2) 관리파일)~PbOOOlf4.msf(93-6-500)(앨범(500) 관리파일)의 파일번호(104)를 나타내고 있다. 재생되는 앨범의 순번은 앨범 플레이백 리스트 Pblist.msf의 Alb-xxx의 순번이다.
도 11은, 도 9에서 설명되고 있는 플레이백 리스트(각 앨범의 재생관리파일) Pbxxxxxx.msf를 나타내고 있다. BLKID-TLO(111-1)는 문자열 「TL-0」이라고 쓰여진 고정이며, 재생관리파일의 선두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값이다. Mcodelll-2는 기록한 기기의 메이커·모델을 식별하는 코드이다. REVISIONlll-3은 Pbxxxxxx.msf의 고쳐쓰기(갱신) 회수를 나타내고 있다. SNIC+L(112-1)는 앨범의 타이틀을 격납하는 1바이트 문자열용의 영역에 쓰여져 있는 문자 코드와 언어 코드이다. SN2C+L(112-2)는 앨범의 타이틀을 격납하는 2바이트 문자열용의 영역에 쓰여져 있는 문자코드와 언어코드이다.
SINFSIZE(112-3)는 후술하는 INF-Sl16 영역에 쓰여져 있는 부가정보의 모든 데이터를 합계한 사이즈를 나타내고 있다. T-TRK(112-4)는 앨범내에 포함되는 총트랙수를 나타내고 있다. NMl-S(256)(113)은 1바이트 문자열 앨범명을 격납하는 영역이다. NM2-S(512)(114)는 2바이트 문자열 앨범명을 격납하는 영역이다. TRK-001~TRK-400까지의 TRK-xxx는 재생하는 TRK INF의 파일번호(115)를 기술한다. INF-S(14720)(116)은 앨범 부가정보를 나타내고, 아티스트명 등의 부가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S-YMDhms(l17)는 기록한 일시이다. 재생되는 트랙은, Pbxxxxxx.msf의 내용에 따라 재생되며, 그 순번은 TRK-xxx가 나타내는 순번대로 된다. 또, 새롭게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는 Pbxxxxxx.msf를 올바르게 갱신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12는, 도 9에서 설명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인 A3dxxxxx.msa의 선두 16kbyte부분에 도착해 있는 A3D헤더로 불리는 오디오 데이터 정보관리영역을 설명한 것이다. BLKID-HDO(121-1)는 ATRAC3데이터 파일의 선두인 것을 식별하기 위한 값으로「HD-0」이라고 하는 고정치이다. Mcode(121-2)는 기록한 기기의 메이커·모델을 식별하는 코드이다. BLOCK SERIAL(121-3)은 트랙내의 블록마다 붙여진 연속 번호로, 오디오 데이터 파일마다의 블록의 선두는 0에서부터 시작되어 다음의 블록은 하나씩 인크리먼트(increment)되어 간다. 또, 편집되어도 값은 변화시키지 않는다.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CD재생장치와 HD기록재생장치 일체형의 더빙장치의 HD기록재생장치 부분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분할하는 디바이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결합하는 콤바인등의 편집이 가능하다. NIC+L(122-1)은 후술하는 트랙 데이터(NMl)(123)의 속성을 나타낸다. N2C+L(122-2)는 후술하는 트랙 데이터(NM2)(124)의 속성을 나타낸다.
INFSIZE(122-3)는 트랙에 쓰여져 있는 함수 부가 정보의 모든 것을 합계한 데이터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ATRAC3 데이터파일은, HDD내에 16kbyte(1 클러스터) 단위의 데이터로서 써진다. 1 클러스터 내는 복수의 사운드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고, 오디오 데이터 파일은 1 클러스터 내의 선두 사운드 유닛으로부터 시작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클러스터 내의 어느 사운드 유닛으로부터 시작되어, 어느 사운드 유닛으로 종료할까는 임의이다. 또, 1 트랙은 클러스터와 사운드 유닛의 집합인 파츠(parts)를 복수개 보관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트랙을 구성하는 파츠의 총수가 필요하게 된다. T-PRT(122-4)는 트랙을 구성하는 파츠의 총수를 나타내고 있다. T-SU(122-5)는 트랙안의 실제의 총사운드 유닛수를 나타낸다. INX(122-6)은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인상적인 부분의 선두를 나타내는 포인터이다. 이 포인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트랙의 인상적인 부분을 간단하게 찾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CD재생장치와 HD기록재생장치 일체형의 더빙장치는, 이 인상적인 부분만을 각 트랙에 건내 연주하는 하이라이트 스캔 재생기능을 가지고 있다. ⅩT(122-7)는 INX(122-6)으로 지정된 선두로부터 재생해야 할 시간의 사운드 유닛수를 나타내고 있다.
NMl(256)(123)은 1바이트의 문자코드를 격납하는 트랙의 타이틀을 나타낸다. NM2(512)(124)는 2바이트의 문자코드를 격납하는 트랙의 타이틀을 나타낸다. A(125)는 트랙의 속성이며 ATRAC3의 압축 모드를 나타낸다. Fno(126)는 파일번호이며, A3dxxxxx.msa의 xxxxx부분에 상당한다. YMDhms-S(127)는 재생 개시일, YMDhms-E(128)은 재생 종료일을 나타낸다. PRTSIZE(129)는 파츠의 크기를 나타낸다. PRTKEY(130)는 파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값이다. INF(131)는 트랙 부가 정보를 나타내고 있고, 트랙의 아티스트명 등의 정보를 격납할 수 있다.
도 10, 도 11, 도 12에서 설명한 Pblist.msf, Pbxxxxxx.msf, A3dxxxxx.msa를 이용하고 1~500의 앨범의 재생순번, 기록가능 트랙의 취득, 각 앨범의 앨범명, 각 트랙의 트랙명, 앨범·트랙 각각의 아티스트명, 각 앨범의 총연주 시간, 각 트랙의 연주 시간을 취득하는 것은 가능하다. 한편, 이들 정보는 실제로 HDD에 격납된 파일을 한개씩 오픈해서는 리드해 나갈 필요가 있어서, 시스템으로서 쾌적한 조작환경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상술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두고, 얻고 싶은 정보가 재빠르게 취득할 수 있도록 Namedb.msf(93-3), Playtime.msf(93-2)를 도 9의 디렉토리 HiFi(92)의 아래에 작성하고 있다.
도 13은 도 9에서 설명되고 있는 Namedb.msf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Pblist.msf, Pbxxxxxx.msf, A3dxxxxx.msa파일의 명칭필드(NMl, NM2) 및 부가정보(INF)(아티스트 명칭)에 등록된 명칭(앨범, 오디오 데이터 파일명, 아티스트 명칭)을 고속으로 검색하기 위해, 명칭만을 기록한 파일을 작성한다. 파일명은 Namedb.msf이며, 파일 포맷은 9개의 앨범 명칭 블록과 323개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명칭블록(1블록 16kbyte)으로 구성한다. 블록 포맷은 BLK레코드 8바이트 고정길이, 네임 레코드 264바이트 고정길이(62 레코드), 하나의 BLK레코드와 62개의 네임 레코드로 1블록(16kbyte)을 구성한다. 블록은 앨범 명칭 블록(131)과 오디오 데이터 파일명칭블록(132)으로 나눈다. 앨범 명칭 블록(131)의 레코드는 1~500까지를 가지고 있지만, 최대로 558 기록 가능하지만 510까지 유효로 하고, 이후는 무효 데이터(0x00 고정)로 한다.
오디오 데이터 파일명칭블록(132)의 레코드는 1~20000까지를 가지고 있지만, 최대로 200026 기록 가능하지만 20000까지 유효로 하고, 이후는 무효 데이터(0x00고정)로 한다. 파일 사이즈는 332블록×16384=5439488 바이트(5312kbyte)이다. BLK레코드의 블록ID부분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LK-ID(141)는 4바이트, 블록 시리얼 번호(142)는 4바이트로 되어 있고, 앨범 명칭 블록(131)이면 「ANMO」(133)의 고정 문자열로, 오디오 데이터 파일명칭블록(132)이면 「TNMO」(135)의 고정 문자열이다. 블록 시리얼 번호는 1에서부터 일련 번호로 한다. 네임 레코드 부분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앨범/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151)는 2바이트, 예약(152)은 2바이트, 문자언어 코드(153)는 2바이트, 오디오 데이터 파일/앨범 명칭(154)은 128바이트, 문자언어 코드(155)는 2바이트, 아티스트 명칭(156)은 128바이트로 되어 있고, 레코드는 앨범파일번호의 1~500의 순서, 오디오 데이터 파일 번호의 1~20000의 순서로 기록한다. 앨범/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151)가 0의 것은 무효 데이터로 한다.
도 16은, 도 9에서 설명되고 있는 Playtime.msf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앨범 단위의 총연주 시간을 고속으로 요구되듯이 하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 파일 마다의 연주 시간을 기록한다. 또 후술하는 TOC 데이터베이스 내의 TOC정보와 관련짓는 인덱스와 트랙 번호(TNO)를 기록한다. 파일명은 Playtime.msf이다. 파일 포맷은 15블록(1블록 16kbyte)으로 구성한다. 블록 포맷은 B LK레코드 8바이트 고정길이, TRK레코드 12바이트 고정길이(1365 레코드), 예약 레코드 4바이트 고정길이(0x00고정)이다. 1개의 BLK레코드(161)와 1365개의 TRK레코드(162), 예약 레코드(163)로 1 블록(16kbyte)을 구성한다. TRK레코드는 20475기록 가능하지만 20000까지 유효로 하고, 이후는 무효 데이터(0x00 고정)로 한다.
파일 사이즈는 15블록×16384=245760바이트(240kbyte)이다. 레코드의 포맷중 BLK레코드의 블록 ID부분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LK-ID(171)는 4바이트, 블록 시리얼 번호(172)는 4바이트로 되어 있고, BLK-ID(171)는 「TRK O」(161)의 고정 문자열로서 블록 시리얼 번호는 1에서부터 일련 번호로 한다. TRK레코드 부분의 상세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 파일 번호(181)는 2바이트, 앨범 파일 번호(182)는 2바이트, 오디오 데이터 파일 토탈(SU183)은 4바이트, TOCDB IDX(184)는 2바이트, TOCTNO(185)는 2바이트로 되어 있다. 레코드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의 1~20000의 순서로 기록한다. 앨범 파일 번호(182)가 0의 것은 무효 데이터로 한다. 플레이 리스트의 앨범 파일 번호는 설정되지 않아도 플레이 리스트의 총연주 시간은 PBnnnnnn.msf(nnnnnn:0001F5~0001FE) 내의 재생순서 파일 번호로부터 TRK레코드를 요구 총 연주시간을 산출한다.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CD재생장치와 HD기록재생장치 일체형의 더빙 장치에서는, 재생원인 CD재생장치로부터 기록원인 HD기록재생장치로의 동기기록(싱크로 기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동기 기록을 개시하기 전에, HD기록재생장치는 CD재생장치에 대해서, 재생 예정인 CD에 포함되는 TOC데이터의 송신을 요구한다. 데이터의 요구방법은 도 4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제어신호(C) 외에, IEC60958 준거의 오디오 신호를 HD기록재생장치에 입력하고, HD기록재생장치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회로를 이용하고, 오디오 신호의 유저즈 비트(U)에 포함되는 정보를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재생원의 CD의 TOC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보관해 두는 것으로, 후에 CDDB등의 인터넷상의 CD정보가 취득 가능한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에, HD기록재생장치에 기록된 앨범·트랙에 이름을 붙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도 9에서 설명되고 있는 Tocdb.msf이다.
도 19는, 도 9에서 설명되고 있는 Tocdb.msf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퍼스널 컴퓨터(PC)와 도 4에 나타낸 오디오 입출력부(44)의 USB커넥터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퍼스널 컴퓨터(PC)측에서 오디오 데이터 파일명을 설정하기 때문에, CDDB를 검색할 수 있는 TOC정보를 기록한 파일을 작성한다. 파일명은 Tocdb.msf이다. 파일 포맷은 13블록(1블록 16kbyte)으로 구성한다. 블록 포맷은 BLK레코드(191)는 8바이트 고정길이, ALBUM TOC레코드(192-1~192-500)은 412바이트 고정길이(39 레코드), 예약 레코드(193)는 308바이트 고정길이(0x00 고정)으로 한다. 1개의 BLK레코드(191)와 39개의 ALBUM TOC레코드(192-1~192-39)와 예약레코드(193)에서 1블록(16kbyte)을 구성한다. ALBUM TOC레코드(192-1~192-500)는 최대로 507기록 가능하지만, 500까지를 유효로 하고, 이후는 무효 데이터(0x00 고정)로 한다.
파일 사이즈는 13블록×16384=212992바이트(208kbyte)이다. 레코드의 포맷 중 BLK레코드의 블록 ID부분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LK-ID(201)는 4바이트, 블록 시리얼 번호(202)는 4바이트, 앨범수(203)는 4바이트로 되어 있고, BLK-ID(201)는 「TOCO」의 고정 문자열로서, 블록 시리얼 번호(202)는 1에서부터 일련 번호로 한다. 앨범수(203)는 ALBUM TOC레코드(192-1~192-500)이다. ALBUM TOC레코드 부분의 상세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OC DB IDX(211)는 2바이트, 사용상태(212)는 2바이트, TOC정보(213-1~213-103)는 각 4바이트로 되어 있다. TOC정보(213-1~213-103)는, 도 22에 상세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Trk No.221는 1바이트, AMIN(222)는 1바이트, ASEC(223)는 1바이트, AFRAME(224)는 1바이트이다. Tocdb.msf의 ALBUM TOC레코드와 Playtime.msf는 상호 관련이 있고, Playtime.msf의 트랙 정보에는, 트랙이 Tocdb.msf 중의 어느 TOC의 TNO에 대응하고 있는 지를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디오 파일의 편집, 삭제등이 발생해도 CDDB로부터 올바른 오디오 데이터 파일명을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3은, 도 9에서 나타내고 있는 Recorded.msf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록하고 싶은 CD가 이미 기록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 및 이미 몇개의 트랙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그 트랙이 어느 앨범에 기록되어 있는 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파일명은 Recorded.msf이다. 파일 포맷은 4블록(1 블록 16kbyte)로 구성한다. 블록 포맷은 BLK레코드(231)는 8바이트 고정길이, TOC RECORDED레코드(232-1~232-500)는 107바이트 고정길이(153 레코드), 예약 레코드(233)에서 1블록(16kbyte)을 구성한다. TOC RECORDED레코드(232-1~232-500)는 최대로 612기록 가능하지만, 500까지를 유효로 하고, 이후는 무효 데이터(0x00 고정)로 한다.
파일 사이즈는 4블록×16384=65536바이트(64kbyte)이다. 레코드의 포맷 중 BLK레코드의 블록 ID부분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LK-ID(241)는 4바이트, 블록 시리얼 번호(242)는 4바이트, 앨범수(243)는 4바이트로 되어 있고, BLK-ID(241)는 「REC O」의 고정 문자열로서 블록 시리얼 번호(242)는 1에서부터 일련번호로 한다. 앨범수(243)는 TOC RECORDED 레코드(232-1~232-500)이다. TOC RECORDED레코드 부분의 자세한 것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ECORDED DB IDX(251)는 2바이트, TOC DBIDX(252)는 2바이트, 앨범 번호(253)는 2바이트, RECORDED플래그(254)는 101바이트로 되어 있다. RECORDED플래그(254)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TNO(261)가 1바이트, LTNO가 1바이트, Tr(l)(263-1)이 1바이트, Tr(2)(263-2)이 1바이트,···Tr(99)(263-99)이 1바이트이다.
Recorded.msf는 Tocdb.msf와 관계가 있고, Tocdb.msf에 써 있는 TOC에 대응하는 인덱스 번호와 그 CD가 어디에 기록되고 있는지를 조사할 수 있다. 또, TOC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트랙이 이미 기록이 끝났는지 기록이 끝나지 않았는지를 RECORDED플래그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자동 녹음 처리의 최종단에서 기록이 끝났는지와 기록이 끝나지 않은 트랙을 판단하고, 기록이 끝나지 않은 트랙만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HD기록재생장치에서는, 앞에서도 서술했지만, 편집조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편집조작에는,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디바이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콤바인, 앨범의 이레이즈,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이동, 앨범의 이동, 앨범명 부가, 앨범의 아티스트명 부가, 트랙명 부가, 트랙의 아티스트명 부가가 있다. 이들 편집동작의 후에는, 반드시, Tocdb.msf를 제외한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편집마다 행하고, 항상 실체와 데이터베이스에 상위가 생기지 않도록, 이들 데이터베이스는 관리되지 않으면 안 된다.
도 27은, 도 4에서 나타낸 오디오 입출력부(44)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CD재생장치와 HD기록재생장치 일체형의 더빙장치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2종류 있고, 하나는 아날로그 입력(271)이며 또 하나는 디지털 입력(272)이다. 아날로그 입력(271)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AD(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273)에 공급된다. AD컨버터(273)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LR클락, 비트 클락에 동기 한 시리얼 신호에 변환되어 HD기록재생장치(43)의 디지털 인터페이스(81)에 입력된다. 이들 HD기록재생장치(43)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HD기록재생장치(43)가 기록상태일 때 모니터 출력으로서 후술하는 DA(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275)를 거쳐서 아날로그 출력(274)으로부터 출력된다. 반대로 CD재생장치(42) 혹은 HD기록재생장치(43)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DA컨버터(275)에 공급된다. DA컨버터(275)는 입력된 IEC60958 포맷의 오디오 데이터를 DA변환하고 아날로그 출력(274)에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DA컨버터(275)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뿐만 아니라, CD재생장치(42)나 HD기록재생장치(43)로부터 지시가 있으면, 오디오 데이터의 소음도 행한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를 사용자의 실제의 조작순번에 따라서 설명해 가기로 한다.
이하에, 구체적인 동작예를 설명한다.
제 1동작예로서 CD를 최초부터 최후까지 도중에 하등의 조작이 들어가지 않고 재생이 끝난다. 기록한 트랙은 모두 처음 기록한 것이기 깨문에, 모든 트랙을 일시 보존 영역으로부터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 영역에 트랙 이동한다.
제 2동작예로서 10트랙들이의 CD를 재생중에 사용자가 트랙(3)으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송을 하고 8번째 트랙을 선택하고, 끝까지 CD를 들었다. 이 때 이 CD는 모든 트랙이 미기록의 곡이었지만, 완전히 기록된 트랙이 트랙(1, 2, 8, 9, 10) 뿐이었으므로, 그들 트랙만을 일시 보존 영역으로부터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 영역으로 트랙이동 했다.
제 3동작예로서, 10트랙들이의 CD를 최초부터 최후까지 도중에 하등의 조작 이 들어가지 않고 재생을 마친다. 기록한 트랙은 일부 이미 기록이 끝난 상태였기 때문에, 미기록의 트랙만을 일시 보존 영역으로부터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 영역으로 트랙이동 했다.
제 4동작예로서, 10트랙들이의 CD를 재생중에 사용자가 트랙(2)의 도중에 오디오 데이터 파일을 이송하고, 트랙(4)으로부터 재생을 시작하고, 또 다른 트랙(7)의 어느 부분으로부터 빨리 감기를 해 트랙(9)의 도중에서 빨리 감기를 그만두고, 그대로 최후까지 CD를 들었다. 기록한 트랙은 일부 이미 기록이 끝난 상태였기 때문에, 기록이 끝난 상태가 아닌 트랙만을 일시 보존 영역으로부터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 영역에 트랙이동 했다.
제 1동작 예의 구체적인 경우를 설명한다.
도 28, 도 29는 모든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기록이 끝난 상태가 아닌 CD를 최초부터 최후까지 들었을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우선, 스텝(Sla)에서 사용자가 CD를 트레이에 넣고, 스텝(S2b)에서 CD재생장치가 TOC READ개시하고 TOC를 읽고 있을 때, 스텝(S3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CD의 TOC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스텝(S3b)에서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의 TOC요구에 답해 TOC정보를 제공한다. 스텝(S5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수집한 TOC정보가 이미 Tocdb.msf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한다. 스텝(S5c)에 있어서의 HD기록재생장치의 조사에 의해 수집한 TOC정보가 이미 Tocdb.msf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는 Tocdb.msf의 TOC DB인덱스를 취득해 두고, 또 존재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신규로 Tocdb.msf에 레코드를 추가하고, TOC DB인덱스를 취득한다.
스텝(S4a)에서 사용자가 플레이버튼을 누르면, 스텝(S6b)에서 CD재생장치는 1번째 트랙의 선두에서 포즈 상태로 되고 일시정지 하고, 스텝(S7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대기로 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S8b)에서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가 기록대기상태로 된 것을 확인하면 재생을 개시하고, 이것과 동기하여 스텝(S8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을 개시한다. 스텝(S9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을 개시하고,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고 있는 서브 코드(Q)의 트랙 번호(TNO)를 보고 현재 기록하고 있는 트랙이 CD의 몇번째 트랙인지와 현재 오픈하고 있는 Tocdb.msf의 인덱스 번호를 Playtime.msf에 기록한다.
스텝(SlOb)에서 CD재생장치는 Tr(l)의 재생중에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조작을 하지 않았던 것을 확인하고, HD기록재생장치의 트랙 체인지 발생에 의한 Tr(l)의 재생종료를 기다린다. 스텝(Sll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서브 코드(Q)에 의해 트랙 체인지를 행하고, CD재생장치에 트랙 체인지가 발생한 것을 통지한다. 스텝(S12b)에서 HD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트랙 체인지를 받은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에 대해서 방금전 기록하고 있던 Tr(l)은 정상적으로 기록되었으므로, 기록종료 후 필요하면 일시 보존 영역으로부터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 영역에 트랙 이동 해도 괜찮다고 하는 통지를 실시한다. 스텝(S13c)에서 CD재생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HD기록재생장치는, 하나전에 기록하고 있던 트랙을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영역으로의 이동 대상 트랙인 것을 기억해 둔다.
동일하게 하고, 스텝(S14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을 개시하고,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어 있는 서브 코드(Q)의 TrN의 트랙 번호(TNO)를 보고 현재 기록하고 있는 트랙이 CD의 몇번째 트랙인지와 현재 오픈하고 있는 Tocdb.msf의 인덱스 번호를 Playtime.msf에 기록한다.
스텝(S15b)에서 CD재생장치는 TrN의 재생중에 사용자로부터 하등의 조작을 하지 않았던 것을 확인하고, HD기록재생장치의 트랙 체인지 발생에 의한 TrN의 재생종료를 기다린다. 스텝(S16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서브 코드(Q)에 의해 트랙 체인지를 실행하고, CD재생장치에 트랙 체인지가 발생한 것을 통지한다. 스텝(S17b)에서 HD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트랙 체인지를 받은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에 대해서 방금전 기록하고 있던 TrN는 정상적으로 기록되었으므로, 기록 종료후 필요하면 일시 보존 영역으로부터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 영역에 트랙 이동해도 좋다고 하는 통지를 행한다. 스텝(S18c)에서 CD재생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HD기록재생장치는, 하나전에 기록하고 있던 트랙을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 영역에의 이동 대상 트랙인 것을 기억해 둔다. 스텝(S19c)에서 동일하게 하고 현재 기록하고 있는 트랙이 CD의 몇번째 트랙인지와 현재 오픈하고 있는 Tocdb.msf의 인덱스 번호를 Playtime.msf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트랙을 기록마다, Tocdb.msf로부터 Playtime.msf로 기입하고, 이동 대상 트랙의 기억을 행한다.
스텝(S20b)에서 CD재생장치는 최종 트랙을 재생 종료했을 경우,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스텝(S21c)에서 CD재생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을 정지시킨다. 스텝(S22b)에서 CD재생장치는 최종 트랙이 이동 대상 트랙인 경우,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스텝(S23c)에서 CD재생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HD기록재생장치는, 최후의 트랙을 이동 대상 트랙이라고 기억한다. 스텝(S24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TOC DB인덱스 번호로부터 Recorded.msf의 레코드를 검색하고, 이동처 앨범(처음의 경우는 빈 일번번호의 작은 앨범)과 각 트랙의 기록이 끝난 상태를 조사한다. 스텝(S25c)에서 기록중에 기억해 둔 이동 대상 트랙 리스트와 기록이 끝난 상태를 대조하고, HD기록재생장치는 정말로 이동해야 할 트랙을 소정의 앨범으로 이동 한다. 마지막으로, 스텝(S26c)에서 일시 보존 영역에 작성한 트랙을 삭제한다. 삭제 후 HD기록재생장치는 CD재생장치에 처리가 끝난 것을 통지하고 종료한다.
제 2 동작예의 구체적인 경우를 설명한다.
도 30은, 제 2동작예의 경우의 트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에 있어서, 재생된 트랙(1, 2, 8, 9, 10)과 사용자의 조작(곡 이송(291), 재생 재개(292))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 트랙(3)은 도중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파일 이송(291) 된 트랙이며, 트랙(1, 2) 및 재생 재개(292) 후의 트랙(8, 9, 10)은 완전하게 재생된 트랙이다.
도 31, 도 32는 사용자가 도중에 하등의 조작을 했을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1, 도 32에 있어서, 도 28, 도 29와 대응하는 처리에는 동일 부호를 교부하고 있다.
우선, 스텝(Sla)에서 사용자가 CD를 트레이에 넣고, 스텝(S2b)에서 CD재생장치가 TOC READ개시하고 TOC를 읽고 있을 때, 스텝(S3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CD의 TOC정보를 수집한다. 이 때, 스텝(S3b)에서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의 TOC요구에 답해 TOC정보를 제공한다. 스텝(S5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수집한 TOC정보가 이미 Tocdb.msf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한다. 스텝(S5c)에 있어서의 HD기록재생장치의 조사에 의해 수집한 TOC정보가 이미 Tocdb.msf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는 Tocdb.msf의 TOC DB인덱스를 취득해 두고, 또 존재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신규에 Tocdb.msf에 레코드를 추가하고, TOC DB인덱스를 취득한다.
스텝(S4a)에서 사용자가 플레이버튼을 누르면, 스텝(S6b)에서 CD재생장치는 첫번째 트랙의 선두에서 포즈 상태로 되어 일시정지를 하고, 스텝(S7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 대기로 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S8b)에서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가 기록 대기 상태가 된 것을 확인하면 재생을 개시하고, 이것과 동기하고 스텝(S8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을 개시한다. 스텝(S9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을 개시하고,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고 있는 서브 코드(Q)의 트랙번호(TNO)를 보고 현재 기록하고 있는 트랙이 CD의 몇번째인지와 현재 오픈하고 있는 Tocdb.msf의 인덱스 번호를 Playtime.msf에 기록한다.
스텝(SlOb)에서 CD재생장치는 Tr(l)의 재생중에 사용자로부터 하등 조작을 하지 않았던 것을 확인하고, HD기록재생장치의 트랙 체인지 발생에 의한 Tr(l)의 재생 종료를 기다린다. 스텝(Sll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서브 코드(Q)에 의해 트랙 체인지를 실행하고, CD재생장치에 트랙 체인지가 발생한 것을 통지한다. 스텝(S12b)에서 HD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트랙 체인지를 받은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에 대해서 방금전 기록 하고 있던 Tr(l)은 정상적으로 기록되었으므로, 기록 종료후 필요하면 일시 보존 영역으로부터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 영역에 트랙이동 해도 좋다고 하는 통지를 행한다. 스텝(S13c)에서 CD재생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HD기록재생장치는, 하나전에 기록하고 있던 트랙을 통상의 앨범으로 항구 보존 영역으로의 이동 대상 트랙인 것을 기억해 둔다.
동일하게 하여, 스텝(S14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을 개시하고,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고 있는 서브 코드(Q)의 Tr(2)의 트랙 번호(TNO)를 보고 현재 기록하고 있는 트랙이 CD의 몇번째 트랙인지와 현재 오픈하고 있는 Tocdb.msf의 인덱스 번호를 Playtime.msf에 기록한다.
스텝(S15b)에서 CD재생장치는 Tr(2)의 재생중에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조작을 하지 않았던 것을 확인하고, HD기록재생장치의 트랙 체인지 발생에 의한 Tr(2)의 재생 종료를 기다린다. 스텝(S16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서브 코드(Q)에 의해 트랙 체인지를 실행하고, CD재생장치에 트랙 체인지가 발생한 것을 통지한다. 스텝(S17b)에서 HD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트랙 체인지를 받은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에 대해서 방금전 기록하고 있던 Tr(2)는 정상적으로 기록되었으므로, 기록 종료후 필요하면 일시 보존 영역으로부터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 영역에 트랙이동 해도 좋다고 하는 통지를 행한다. 스텝(S18c)에서 CD재생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HD기록재생장치는, 하나전에 기록하고 있던 트랙을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영역으로의 이동 대상 트랙인 것을 기억해 둔다. 스텝(S19e)에서 동일하게 하고 현재 기록하고 있는 트랙이 CD의 몇번째의 트랙인지와 현재 오픈하고 있는 Tocdb.msf의 인덱스 번호를 Playtime.msf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트랙을 기록할 때마다, Tocdb.msf로부터 Playtime.msf로의 기입, 이동대상 트랙의 기억을 행한다.
여기서, 스텝(S20a)에서 CD의 트랙(3)을 기록중에 사용자에 의한 Tr(8)으로의 오디오 데이터 파일 이송이 발생했다. 스텝(S21b)에서 CD재생장치는 트랙(8)의 재생을 개시한다. 스텝(S22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서브 코드(Q)를 읽고 트랙 체인지를 검출한다. 스텝(S23b)에서 CD재생장치는 트랙(3)을 최후까지 완전하게 재생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HD기록재생장치에 대해서 방금전 기록하고 있던 트랙을 이동 대상 리스트에 추가하지 않도록 한다.
스텝(S24c-1)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을 개시하고,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고 있는 서브 코드(Q)의 Tr(3)의 트랙 번호(TNO)를 보고 현재 기록하고 있는 트랙이 CD의 몇번째 트랙인지와 현재 오픈하고 있는 Tocdb.msf의 인덱스 번호를 Playtime.msf에 기록한다. 스텝(S25b)에서 CD재생장치는 트랙(8)의 재생을 종료한다. 스텝(S26c-1)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서브 코드(Q)에 의해 트랙 체인지를 실행한다. 스텝(S27b)에서 트랙(8)을 완전하게 재생했으므로, HD기록재생장치에 방금전 기록하고 있던 트랙(8)이 이동 대상 트랙이라고 통지한다. 스텝(S28c)에서 CD재생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HD기록재생장치는, 방금전 기록하고 있던 트랙(8)을 이동 대상 트랙 리스트에 추가해 둔다. 트랙(9)에 대해서도 같은 순서로 행한다.
스텝(S29b)에서 CD재생장치는 최종 트랙을 재생 종료했을 경우,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 스텝(S30c)에서 CD재생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을 정지시킨다. 스텝(S31b)에서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에 최종 트랙이 이동 대상 트랙인 취지를 통지한다. 스텝(S32c)에서 CD재생장치로부터의 통지를 받은 HD기록재생장치는, 마지막 트랙을 이동 대상 트랙이라고 기억한다. 스텝(S33c)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TOC DB인덱스 번호로부터 Recorded.msf의 레코드를 검색하고, 이동처 앨범과 각 트랙의 기록이 끝난 상태를 조사한다. 스텝(S34c)에서 기록중에 기억해 둔 이동 대상 트랙 리스트와 기록이 끝난 상태를 대조하고, HD기록재생장치는 정말로 이동해야 할 트랙을 소정의 앨범으로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스텝(S35c)에서 일시 보존 영역에 작성한 트랙을 삭제한다. 삭제 후 HD기록재생장치는 CD재생장치에 처리가 끝난 것을 통지하여 종료한다.
제 3동작예 및 제 4동작예의 구체적인 경우를 설명한다.
제 3동작예 및 제 4동작예는 상술한 제 1동작예 및 제 2동작예의 응용예이며, 다른 점은, 제 1동작예 및 제 2동작예는 이동 대상 트랙에 포함되어 있는 트랙을 모두 통상의 앨범인 항구 보존 영역으로 이동하지만, 제 3동작예 및 제 4동작예는 이동 대상 트랙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트랙을 이동할리가 없고, Recorded.msf에 기록이 끝난 상태로 되어 있는 트랙을 이동하지 않는 점뿐이기 때문에, 상세한 플로차트는 생략한다.
상술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제 1에, 사용자는, CD를 듣고 있는 것만으로 HD기록재생장치에 자동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또, 제 2에, 상술한 제 1에 의해, CD를 듣고 있는 것만으로 HD기록재생장치를 CD체인저 혹은 쥬크박스와 같이 사용하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3에, CD를 1장 1장 특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제 1에서 자동적으로 HD기록재생장치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할 때에도, 쓸데없이 HD기록재생장치의 디스크 스페이스를 소비하지 않는다.
또, 제 4에, CD를 1장 1장 특정할 뿐만 아니라, CD의 각 트랙에 대해서도 기록이 끝났는지, 그렇지 않은지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떤 순번으로 CD를 재생해도, 한 번이라도 CD의 모든 트랙이 정상적으로 재생되면 CD의 모든 트랙을 HD기록재생장치에 기록할 수 있다.
또, 제 5에, 상술한 제 2, 제 3과 HD기록재생장치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편집조작인 트랙이동을 사용하는 것으로, 어떤 순번으로 CD가 재생되어도 CD와 같은 오디오 데이터 파일 번호대로, 자동적으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순번을 정리할 수 있다.
또, 제 6에, CD로부터 보내지는 디지털 데이터의 서브 코드(Q)를 해석하고, CD의 트랙에 맞춘 오디오 데이터 파일번호를 매길 수 있다. 이 기능을 활용하는 것으로, CD로부터 HD기록재생장치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동안, CD재생장치와 HD기록재생장치의 1오디오 데이터 파일단위에서의 동기를 취하지 않고 CD재생장치로부터 HD기록재생장치로의 자동 기록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에 관계되는 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다음에, CD재생장치가 연주순번, 연주시간, 완전 연주상태를 기억해 두고, 처리의 최후에 HD기록재생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트랙을 디바이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종래의 서브 코드를 이용한 트랙 체인지는, 트랙 체인지 포인트를 확정시키기 위해서, 어떻게 해도 그 확정 시간이 CD의 TOC대로는 되지 않는 등의 불편이 발생하는 것이 많았는데 대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CD재생장치가 연주한 정확한 시간에 트랙을 디바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디바이드는, TOC정보로부터 몇 msec 재생했는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두로부터 소정 단위로 자른다. 또,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잘린 곳 검출은, 수정발진기를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잘린 곳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수정발진의 동작이 온도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잘린 곳 검출의 정밀도가 저하한다. 이 때문에, 트랙(1)의 잘린 곳이 al(sec), 트랙(2)의 잘린 곳이 a2(sec)···트랙(10)의 잘린 곳이 alO(sec)일때, 보정계수(A)를 이용하고 보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A×(a9/alO)···A×(a2/alO), A×(al/alO)와 같이, 최종 트랙(10)으로부터 반대로 최초의 트랙(1)의 순으로 처리를 실시하도록 하고, 이때, 필요한 부분만을 디바이드 하고, 불필요한 부분은 정리해 삭제하도록 함으로써, 정밀도를 올리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 본 실시의 형태가 적용되는 경우를, CD재생장치가 TOC를 읽어들이고 있을 때, CD재생장치가 재생을 개시하고 나서 재생을 정지하는 동안, CD재생장치가 재생을 종료한 후의 HD기록재생장치에서의 후처리의 3개로 나누어 설명 해 가기로 한다.
도 33은 CD가 TOC를 독출했을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3은, CD재생장치가 TOC를 독출하고 있을 때, HD기록재생장치가 CD에 대해서 TOC를 취득하는 것을 시도하고, 또한 그 TOC데이터가 이미 존재하고 있는지 어떤지의 체크를 하고, TOC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를 취득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S41)에서 CD재생장치가 TOC를 독출하고 있을 때, HD기록재생장치는 CD재생장치로부터 TOC를 읽어낸 스테이터스 신호를 받으면, 스텝(S42)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CD의 최초의 트랙 번호(FTNO)를 요구한다. 스텝(S43)에서,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로 최초의 트랙 번호(FTNO)를 반송한다. 스텝(S44)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CD의 최종 트랙 번호(LTNO)를 요구한다. 스텝(S45)에서,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에 최종의 트랙 번호(LTNO)를 반송한다.
스텝(S46)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N=FTNO로 한다. 스텝(S47)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최초의 트랙 번호(FTNO)로부터 최종의 트랙 번호(LTNO)까지의 각 트랙(TrN)의 데이터(AMIN, ASEC, AFRAME)를 요구한다. 스텝(S48)에서 CD재생장치는 HD기록재생장치로의 각 트랙(TrN)의 데이터(AMIN, ASEC, AFRAME)를 반송한다. 스텝(S49)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N의 값을 인크리먼트 한다. 스텝(S50)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N>LTNO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텝(S50)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N>LTNO가 아닐 때는 스텝(S47)으로 복귀하고 스텝(S47)~스텝(S50)까지의 처리 및 판단을 반복한다. 스텝(S50)에서 HD 기록재생장치는 N>LTNO 일 때는 스텝(S51)으로 진행하고, 스텝(S51)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취득한 TOC정보에 대응하는 TOC 데이터베이스(DB)를 오픈하려고 한다.
스텝(S52)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지금 취득한 TOC데이터가 신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이미 존재하는 경우는, 스텝(S54)에서, 통상 오픈으로서 취득한 TOC 데이터에 대응한 Tocdb.msf의 인덱스 번호를 기억하고, 스텝(S55)에서 그 인덱스 번호에 대응한 Recorded.msf의 레코드를 기억한다. 스텝(S52)에서 취득한 TOC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아직 존재하지 않을 때는, 스텝(S53)에서, 신규 오픈으로서 Tocdb.msf와 Recorded.msf에 새로운 레코드를 기록하고 스텝(S55)에서 신규로 인덱스 번호를 취득한다.
스텝(S56)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모두 기록이 끝났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처리로서 인덱스 번호에 대응하는 Recorded.msf의 레코드를 참조하고, 취득한 TOC정보에 대응하는 CD의 각 트랙이 이미 모두에 건내고 기록이 끝났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스텝(S56)에서, 1트랙으로도 기록하고 있지 않는 트랙이 존재하면, 스텝(S57)에서, HD기록재생장치는, 기록 대기상태로 되며, 모든 트랙이 기록이 끝나면 이 앞에 어떤 처리도 기동하지 않는다.
도 34는 재생의 궤적표이며, CD재생장치가 재생을 개시하고 나서 CD재생장치가 재생을 정지하기까지 따르는 궤적의 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4의 재생의 궤적표는, 재생 궤적번호(PTNO321), 재생 트랙번호(TNO)(322), 재생 개시부터의 재생시간(AMSEC323), 완전 재생 스테이터스(STS324)의 4개의 데이터로부터 구성된다.
재생궤적번호(PTNO321)는, CD재생장치가 트랙의 재생을 했다고 인식한 트랙의 수에 상당하는 번호이다. 재생 트랙번호(TNO322)는, 그 때에 재생하고 있던 CD의 트랙번호이다. 이 재생 트랙번호(TNO322)는 반드시 재생궤적번호(PTNO321)와 일치하지 않는다. 이것은, 사용자가 오디오 데이터 파일 이송, 빨리 감기등의 조작을 하는 것을 허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생개시부터의 재생시간(AMSEC323)은, CD재생장치가 재생을 개시하고 나서, 다음의 트랙의 재생을 개시했다고 인식하기 까지의 시간이다. 이 시간을 원래로 HD기록재생장치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의 디바이드를 해 나가게 된다. 완전 재생 스테이터스(STS324)는, 트랙이 최후까지 사용자의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재생이 종료했을 경우에 OK, 그렇지 않고 사용자의 조작이 행해져 재생이 종료했을 경우에 NG로 되도록 하는 플래그이다. 도 34는 이 예를 나타내고 있고, 이 예에서는, 전부 16트랙들이의 CD를 도중에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송등의 조작을 하면서 32트랙분의 재생을 했을 때에 정지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5는, 각 트랙의 녹음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33에서 취득한 인덱스 번호에 상당하는 Recorded.msf의 레코드에 기술되어 있는 각 트랙의 재생 트랙 번호(TNO331)가 기록이 끝났는지 기록이 끝나지 않았는지의 상태(332)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도,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전부 16트랙의 CD의 일부의 트랙이 기록 끝남이다.
도 36은, 이동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도 34, 도 35에서 나타낸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디오 트랙을 항구 보존 영역으로 이동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플로차트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플로차트 내의 표현을 간략화하기 위해, PTNO를 n으로 했을 때, C(n)=n번째의 트랙 번호(TNO), T(n)=n번째의 재생시간(AMSEC)(다만 T(0)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의 선두), S(n)=n번째의 스테이터스(STS)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각 처리는, 재생궤적데이터의 최종 PTNO로부터 시작해 선두의 PTNO로 차례로 조사해 간다. 또, 현재 조사하고 있는 PTNO를 n으로 한다.
우선, 스텝(S61)에서, n=32, m=32로서, 스텝(S62)에서, S(n)가 완전하게 재생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한다. 스텝(S62)에서 완전하게 재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다음의 PTNO를 조사하기 위해, 스텝(S70)에서, n을 하나 줄인다. 스텝(S62)에서 완전하게 재생되고 있는 경우는, 스텝(S63)에서 Recorded.msf로부터 C(n)가 이미 기록이 끝난 상태인지 아닌지를 조사한다. 스텝(S63)에서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다음의 PTNO를 조사하기 위해, 스텝(S70)에서, n을 하나 줄인다. 스텝(S63)에서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트랙을 추출하기 위한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S62), 스텝(S63)에서 NO의 분기를 할 때는, 트랙의 디바이드를 실시하지 않았다. 이것은, 디바이드의 회수를 줄여 처리 속도를 올리기 위함이다.
이 때문에, 트랙을 추출할 때에 트랙의 뒤의 부분에 NG로 되어 있는 쓰레기 데이터가 붙어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우선, 스텝(S65)에서, 트랙의 선두로부터 T(n+1)의 시간에 일단 트랙(Trl)을 디바이드 한다. 그리고, 스텝(S2)에서, 디바이드 해서 완성된 쓰레기 데이터인 트랙(2Tr2)을 삭제한다. 다음에, 꺼내고 싶은 트랙을 추출하기 위해 트랙의 선두로부터 T(n-1)의 시간에 트랙(Trl)을 디바이드 한다. 이것으로 트랙(2Tr2)이 이동하고 싶은 트랙으로서 다 추출된 것으로 된다.
그래서, 스텝(S68)에서, 이 트랙(2Tr2)을 목적의 앨범으로 이동한다. 이 목적의 앨범은 Recorded.msf로부터 조사할 수 있다. 다만, 이동할 때, 이동하는 트랙의 파일 넘버에 상당하는 Playtime.msf의 레코드에 TOC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 번호(INDEX)와 TOC TNO의 기입을 실시하고, 이동이 완료한 시점에서 Recorded.msf의 인덱스 번호(INDEX)에 대응하는 레코드에 기록이 끝난 표시를 하고, 양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실시한다. 이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트랙이동의 플로차트(flow chart)로 확인을 한다.
다음에, 스텝(S69)에서, m에 n의 값을 대입하여, 쓰레기 데이터가 삭제되었다고 인식한다. 스텝(S70)에서, n을 하나 줄인다. 스텝(S7-1)에서 n=0이 될 때까지, 스텝(S62)으로 돌아오고, 스텝(S62)~스텝(S71)까지의 처리 및 판단을 반복한다.
도 37은, 도 36중의 스텝(S68)에서 설명한 트랙이동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에서는, 트랙의 이동처의 앨범 번호는 A이며, A안의 트랙을 세는 변수가 p라고 가정하고 설명을 한다. 또, 이동 하고 싶은 트랙의 C(n)를 Q로 한다. 또한 D(p)는, 앨범(A)의 트랙(q)이 나타내는 TOC TNO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우선, 스텝(S81)에서, 이동하고 싶은 트랙의 TOCDBINDEX번호와 TNO를 기술하기 위해 Playtime.msf를 갱신한다. 다음에, 스텝(S82)에서 p=1로서 스텝(S83)에서 Q<D(p)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Q<D(p)가 아니면 스텝(S85)에서 p를 1씩 인크리먼트(increment)하고, 스텝(S87)에서 p가 이동처의 앨범(A)의 트랙(1)으로부터 순으로 최종 트랙까지, 스텝(S83)의 내용에 대해 조사해 간다. 조사하는 내용은, 이동하고 싶은 트랙의 C(n)와 이동처의 트랙(p)의 TOC TNO인 D(p)의 대소이다.
스텝(S83)에서 Q<D(p)일때 스텝(84)에서, 트랙을 앨범(A)의 트랙(p)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실행하고 싶은 것은, 이동 한 결과가 CD의 TOC의 재생순서와 같은 순서로 트랙이 줄서도록 하면 좋은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C(n)<D(p)로 된 장소에 트랙을 이동하면 좋게 된다. 만약, 이동처의 앨범의 최종 트랙까지 조사해도 C(n)<D(p)의 관계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하고 싶은 트랙은 이동처의 앨범의 최종 트랙이 된다.
마지막으로, 스텝(86)에서, Recorded.msf에 TNOQ가 녹음이 끝난 상태라고 기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CD로부터 HDD에의 오디오 더빙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비디오 신호가 기록된 기록매체(예를 들어 DVD나 Blu Ray Disk등)로부터 AV파일을 HDD등에 더빙 하는 경우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상술한 제 1~ 제 6의 효과에 부과하여, 제 7에, CD재생장치와 HD기록재생장치 각각이 트랙의 식별을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재생 종료후에 트랙을 디바이드 한 다음에, 실패없이 필요한 트랙만을 선별할 수 있다.
또, 제 8에, HD기록재생장치에 기록되는 트랙의 크기는 CD재생장치의 각 트랙의 재생시간으로 동일하게 되므로, 종래의 기록재생장치인 MD기록재생장치와 같이 CD재생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서브 코드에 의해서 트랙 체인지하는 장치와 비교하면, 확실히 트랙 체인지 할 수 있고, 트랙의 크기는 CD의 트랙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9에, 상술한 제 7에 의해, 재생 오디오의 품질 및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제 10에, 트랙 디바이드의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디바이드의 회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CD재생장치로부터 HD기록재생장치에 오디오 정보를 자동 기록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내이면 다른 재생장치로부터 다른 기록재생장치에 일정한 재생 차례가 결정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파일의 재생 데이터를 자동 기록하는 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와 상기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1의 관리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제 2의 기록매체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주정보와 상기 기록되는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록재생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경계부분을 검출하는 경계검출수단과, 상기 트랙의 재생이 완전하게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완전 재생 검출수단과, 상기 경계검출수단과 상기 완전 재생검출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관리정보 갱신수단과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를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 제어를 하고,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 상기 주정보가 기록된 경우에 상기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관리정보 갱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므로,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을 제어함으로써, 효율 좋은 기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쓸데 없는 시간이나 기억용량을 삭감할 수 있고, 이것에 수반하여, 재생 품질의 향상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관리정보는, 상기 제 1의 관리정보로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에 근거해 갱신되므로, 제 2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원래의 제 1의 기록매체의 재생순서와 대응지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장치는, 상기 제 1의 관리정보로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와 다른 재생순서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주정보의 트랙을 재생시키는 재생순서 변경수단을 더욱 갖추고, 상기 재생순서 변경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관리정보로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가 재생된 경우여도, 상기 제 1의 관리정보에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에 근거해 상기 관리정보 갱신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2의 관리정보는 갱신되므로, 임의의 차례의 재생파일을 그대로 재생했을 경우에서도, 원래의 제 1의 기록매체의 재생순서와 대응지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재생순서 변경수단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해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의 주정보의 재생순서를 결정하므로, 예를 들면, 랜덤 재생이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임의로 순번을 바꿔 넣거나 삭제했을 때에도, 원래 제 1의 기록매체의 재생순서와 대응지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장치는,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발생수단을 더욱 갖추고, 상기 재생순서 변경수단은, 상기 난수발생수단이 발생하는 난수에 근거해 상기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의 재생순서를 결정하므로, 난수에 근거해 임의로 순번을 바꿔 넣거나 삭제했을 때에도, 원래 제 1의 기록매체의 재생순서와 대응 지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기록이 끝난 주정보가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어 있다고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판단되는 경우에는, 재생되어 있는 상기 주정보의 상기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을 억제하므로, 사용자가 이전에도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것의 어떤 파일을 제 2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중복하여 기록할 수 없기 때문에, 쓸데 없는 시간이나 기억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제 2의 기록매체에 미기록의 주정보가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제 2의 기록매체에 미기록의 주정보에 관한 관리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관리정보 갱신수단을 제어하므로, 사용자가 이전에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적이 없는 새로운 파일을 제 2의 관리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술에 있어서, 상기 경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경계검출신호에 근거해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주정보를 분할해 기록하는 분할 수단을 설치했으므로, 재생 종료후에 트랙을 분할한 다음에, 실패없이 필요한 트랙만을 선별할 수 있고, 또, 기록되는 트랙의 크기는 제 1의 기록매체의 각 트랙의 재생시간과 동일해지므로, 종래와 같이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송출되는 서브 코드에 의해서 트랙 체인지 하는 장치와 비교하면, 확실히 트랙 체인지 할 수 있고, 트랙의 크기는 제 1의 기록매체의 트랙과 동일하게 할 수 있고, 또, 분할의 회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재생 품질 및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와 상기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1의 관리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제 2의 기록매체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주정보와 상기 기록되는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기록재생수단과,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상기 주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경계부분을 검출하는 경계검출스텝과, 상기 트랙의 재생이 완전하게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완전 재생 검출 스텝과, 상기 경계검출스텝과 상기 완전재생검출스텝의 검출 결과와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관리정보 갱신 스텝과,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를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의 제어를 하고,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 상기 주정보가 기록된 경우에 상기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관리정보 갱신 스텝을 제어하는 제어 스텝을 갖추므로,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을 제어함으로써, 효율 좋은 기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쓸데 없는 시간이나 기억용량을 삭감할 수 있고, 이것에 수반하여, 재생 품질의 향상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상술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관리정보는, 상기 제 1의 관리정보로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에 근거해 갱신되므로, 제 2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원래 제 1의 기록매체의 재생순서와 대응 지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상술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방법은, 상기 제 1의 관리정보로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와 다른 재생순서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주정보의 트랙을 재생시키는 재생순서 변경스텝을 또한 갖추고, 상기 재생순서 변경스텝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관리정보에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가 재생되었을 경우여도, 상기 제 1의 관리정보로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에 근거해 상기 관리정보 갱신 스텝에 의해서 상기 제 2의 관리정보는 갱신되므로, 임의의 순번의 재생파일을 그대로 재생했을 경우에서도, 원래 제 1의 기록매체의 재생순서와 대응 지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상술에 있어서, 상기 재생순서 변경스텝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해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의 주정보의 재생순서를 결정하므로, 예를 들면, 랜덤 재생이나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임의로 순번을 바꿔 넣거나 삭제했을 때에도, 원래 제 1의 기록매체의 재생순서와 대응 지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상술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방법은,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발생스텝을 더욱 갖추고, 상기 재생순서 변경스텝은, 상기 난수발생스텝이 발생하는 난수에 근거해 상기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의 재생순서를 결정하므로, 난수에 근거해 임의로 차례를 바꿔 넣거나 삭제했을 때에도, 원래 제 1의 기록매체의 재생순서와의 대응 지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상술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텝은, 기록이 끝난 주정보가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고 있다고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판단되는 경우에는, 재생되고 있는 상기 주정보의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의 기록을 억제하므로, 사용자가 이전에도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것의 어느 파일을 제 2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중복하여 기록하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쓸데 없는 시간이나 기억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상술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텝은, 제 2의 기록매체에 미기록의 주정보가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제 2의 기록매체에 미기록의 주정보에 관한 관리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관리정보 갱신 스텝을 제어하므로, 사용자가 이전에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한 적이 없는 새로운 파일을 제 2의 관리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 이 발명의 기록재생방법은, 상술에 있어서, 상기 경계검출스텝으로부터의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경계검출신호에 근거해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주정보를 분할하고 기록하는 분할 스텝을 설치하므로, 재생 종료후에 트랙을 분할한 다음에, 실패없이 필요한 트랙만을 선별할 수 있고, 또, 기록되는 트랙의 크기는 제 1의 기록매체의 각 트랙의 재생 시간과 동일해지므로, 종래와 같이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송출되는 서브 코드에 의해서 트랙 체인지 하는 장치와 비교하면, 확실히 트랙 체인지 할 수 있고, 트랙의 크기는 제 1의 기록매체의 트랙과 동일하게 할 수 있고, 또, 분할의 회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재생품질 및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CD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HDD에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록재생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와 상기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1의 관리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제 2의 기록매체에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주정보와 상기 기록되는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록재생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경계부분을 검출하는 경계검출수단과,
    상기 트랙의 재생이 완전하게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완전 재생검출수단과,
    상기 경계검출수단과 상기 완전 재생검출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관리정보 갱신수단과,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를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의 제어를 하고,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 상기 주정보가 기록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관리정보 갱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 1의 관리정보에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와 다른 재생순서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주정보의 트랙을 재생시키는 재생순서 변경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순서 변경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관리정보에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가 재생되었을 경우에도, 상기 제 1의 관리정보에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에 근거해 상기 관리정보 갱신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2의 관리정보는 갱신되는 기록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관리정보는, 상기 제 1의 관리정보에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에 근거하여 갱신되는 기록재생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순서 변경수단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수단으로부의 입력에 근거해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의 주정보의 재생순서를 결정하는 기록재생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장치는,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발생수단을 더욱 갖추고, 상기 재생순서 변경수단은, 상기 난수발생수단이 발생하는 난수에 근거해 상기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의 재생순서를 결정하는 기록재생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기록이 끝난 주정보가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고 있다고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판단되는 경우에는, 재생되고 있는 상기 주정보의 상기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을 억제하는 기록재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제 2의 기록매체에 미기록의 주정보가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제 2의 기록매체에 미기록의 주정보에 관한 관리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관리정보 갱신수단을 제어하는 기록재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경계검출신호에 근거해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주정보를 분할하여 기록하는 분할수단을 설치한 기록재생장치.
  9.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와 상기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1의 관리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제 2의 기록매체에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된 주정보와 상기 기록되는 주정보를 관리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는 기록재생수단과, 각종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갖추고,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상기 주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으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경계부분을 검출하는 경계검출스텝과,
    상기 트랙의 재생이 완전하게 행해진 것을 검출하는 완전 재생 검출 스텝과,
    상기 경계검출스텝과 상기 완전 재생 검출 스텝의 검출 결과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제 2의 관리정보를 갱신하는 관리정보 갱신 스텝과,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주정보를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기록매체로의 기록의 제어를 하고,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 상기 주정보가 기록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관리정보 갱신스텝을 제어하는 제어스텝과,
    상기 제 1의 관리정보에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와 다른 재생순서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주정보의 트랙을 재생시키는 재생순서 변경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순서 변경스텝에 의해서 상기 제 1의 관리정보에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상기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가 재생되었을 경우여도, 상기 제 1의 관리정보에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관리정보 갱신스텝에 의해서 상기 제 2의 관리정보는 갱신되는 기록재생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관리정보는, 상기 제 1의 관리정보에 기록된 트랙의 재생순서에 근거해 갱신되는 기록재생방법.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순서 변경스텝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조작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근거해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의 주정보의 재생순서를 결정하는 기록재생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방법은, 난수를 발생하는 난수발생스텝을 더욱 갖추고, 상기 재생순서 변경스텝은, 상기 난수발생스텝이 발생하는 난수에 근거해 상기 제 1의 기록매체에 기록된 주정보의 재생순서를 결정하는 기록재생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스텝은, 기록이 끝난 주정보가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고 있다고 상기 제 2의 관리정보에 근거해 판단되는 경우에는, 재생되어 있는 상기 주정보의 상기 제 2의 기록매체에의 기록을 억제하는 기록재생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스텝은, 제 2의 기록매체에 미기록의 주정보가 상기 제 1의 기록매 체로부터 재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의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제 2의 기록매체에 미기록의 주정보에 관한 관리정보에 근거해 상기 제 2의 관리정보가 갱신되도록 상기 관리정보 갱신 스텝을 제어하는 기록재생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검출스텝으로부터의 주정보의 트랙 마다의 경계검출신호에 근거해 제 2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주정보를 분할하여 기록하는 분할스텝을 설치한 기록재생방법.
KR1020047016343A 2002-04-15 2003-04-14 기록재생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KR100925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12367 2002-04-15
JPJP-P-2002-00112367 2002-04-15
PCT/JP2003/004707 WO2003088249A1 (fr) 2002-04-15 2003-04-14 Dispositif et procede d'enregistrement/le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466A KR20040101466A (ko) 2004-12-02
KR100925875B1 true KR100925875B1 (ko) 2009-11-06

Family

ID=2924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343A KR100925875B1 (ko) 2002-04-15 2003-04-14 기록재생장치 및 기록재생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573785B2 (ko)
JP (1) JP4375022B2 (ko)
KR (1) KR100925875B1 (ko)
CN (1) CN100511465C (ko)
DE (1) DE10392559T5 (ko)
WO (1) WO2003088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1956B2 (ja) * 2002-07-17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50047710A (ko) * 2003-11-18 2005-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합성 플레이리스트 생성방법, 관리방법및 재생방법과 기록재생장치
KR100607969B1 (ko) * 2004-04-05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플레이 리스트 재생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
US9553937B2 (en) * 2004-06-28 2017-01-24 Nokia Technologies Oy Collecting preference information
CN104952469A (zh) * 2014-03-31 2015-09-30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一种音频文件处理方法及播放器
GB2537035A (en) * 2015-04-02 2016-10-05 Entotem Ltd Digitising analog audio data
CN104978295A (zh) * 2015-07-08 2015-10-14 昆腾微电子股份有限公司 Nvm的辅助擦除装置和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6367A (ja) 1997-10-17 1999-05-11 Nippon Columbia Co Ltd 光情報記録媒体及び光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
KR20000071530A (ko) * 1999-03-31 2000-11-25 이데이 노부유끼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데이터 관리 방법
JP2001189048A (ja) * 1999-10-20 2001-07-10 Sony Corp 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8888A (ja) 1989-02-08 1990-08-20 Nippon Columbia Co Ltd 光ディスクプレーヤ等の残時間表示装置
EP0658863A3 (en) * 1990-07-11 1995-06-28 Hitachi, Ltd. Memory card for use with a digital information system
JP3277923B2 (ja) 1995-12-08 2002-04-2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とその方法
JPH09311799A (ja) 1996-05-21 1997-12-02 Sony Corp 検索装置及び記録媒体再生装置
US6587404B1 (en) * 1997-07-09 2003-07-01 Advanced Audio Devices, Llc Optical storage device capable of recording a set of sound tracks on a compact disc
US6172948B1 (en) * 1997-07-09 2001-01-09 Advanced Audio Devices, Llc Optical storage device
US6351442B1 (en) * 1998-06-03 2002-02-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apparatus with reproduction path flag information
US6487145B1 (en) * 1999-04-22 2002-11-26 Roxio, Inc. Method and system for audio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JP2001110171A (ja) * 1999-10-13 2001-04-20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端末装置、送受信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
JP2001195825A (ja) * 1999-10-29 2001-07-19 Sony Corp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EP1103973A3 (en) * 1999-11-18 2002-02-06 Pioneer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JP2002063761A (ja) 2000-08-18 2002-02-28 Aiwa Co Ltd 音声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EP1209684A3 (en) * 2000-11-24 2003-08-13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displaying/reproducing device, information editing device and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KR100838995B1 (ko) * 2001-01-12 2008-06-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데이터의 복제관리방법 및 장치와 복제관리시스템
JP2003051179A (ja) * 2001-08-03 2003-02-21 Sony Corp 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JP2003059172A (ja) * 2001-08-22 2003-02-28 Yamaha Corp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録音再生装置
JP2004014084A (ja) * 2002-06-11 2004-01-1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再生記録システム、情報再生記録方法、情報再生記録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6367A (ja) 1997-10-17 1999-05-11 Nippon Columbia Co Ltd 光情報記録媒体及び光情報記録媒体再生装置
KR20000071530A (ko) * 1999-03-31 2000-11-25 이데이 노부유끼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데이터 관리 방법
JP2001189048A (ja) * 1999-10-20 2001-07-10 Sony Corp 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73785B2 (en) 2009-08-11
CN100511465C (zh) 2009-07-08
KR20040101466A (ko) 2004-12-02
US7903504B2 (en) 2011-03-08
CN1653547A (zh) 2005-08-10
DE10392559T5 (de) 2007-03-08
US20050185927A1 (en) 2005-08-25
US20090175136A1 (en) 2009-07-09
JPWO2003088249A1 (ja) 2005-08-25
WO2003088249A1 (fr) 2003-10-23
JP4375022B2 (ja)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8159B2 (en)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erasing a predetermined program on a selected play-list
US6434103B1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KR100906883B1 (ko) 데이터 관리 장치
US20050076008A1 (en) Searching apparatus and searching method
CN100468549C (zh) 内容数据传输系统和内容数据传输方法
KR100956861B1 (ko) 재생장치 및 편집장치
US79035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tracks into large storage device
JPWO2002056312A1 (ja) データの複製管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複製管理システム
CN100481922C (zh) 信息处理设备和方法
TWI247277B (en) Track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cks on a storage medium
JP2004246936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2003022656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787670B2 (ja) 記憶装置及び記憶方法
KR20020001705A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파일 검색 장치 및 방법
JP4207132B2 (ja) 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JP4093225B2 (ja) 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KR100958585B1 (ko) 오디오 파일 관리 방법
JP4196799B2 (ja) 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4335098A (ja) 検索装置および検索方法
JP3134681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8138352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3022663A (ja) 記録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H08138353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6209967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KR20030044954A (ko)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파일 검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