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548B1 -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548B1
KR100925548B1 KR1020090038052A KR20090038052A KR100925548B1 KR 100925548 B1 KR100925548 B1 KR 100925548B1 KR 1020090038052 A KR1020090038052 A KR 1020090038052A KR 20090038052 A KR20090038052 A KR 20090038052A KR 100925548 B1 KR100925548 B1 KR 100925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ixing bolt
ceiling formwork
wir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Priority to KR102009003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6Landings, receiv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슬라브가 형성되도록 지지하는 천정거푸집을 금속으로 제작하여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와이어를 이용하여 천정거푸집이 천정 슬라브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와 와이어에 의한 천정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소음의 발생을 차단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천정 슬라브를 형성한 금속의 천정거푸집을 와이어에 의해 바닥 슬라브로 하강 이동시켜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천정 슬라브, 천정거푸집, 와이어, 하강, 이동,

Description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Methode and device for disjoint a ceil mold}
본 발명은, 건축물의 층과 층을 구획하는 천정 슬라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 슬라브가 형성되도록 지지하는 천정거푸집을 금속으로 제작하여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와이어를 이용하여 천정거푸집이 천정 슬라브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다층 구조의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벽체거푸집의 상부에 보와 플로우가 형성되도록 천정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 및 천정 슬라브를 시공한 후, 상기 벽체 거푸집과 천정 슬라브 거푸집을 해체한 상태에서 이를 상부층으로 운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하부층에서부터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부층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천정 슬라브 거푸집은, 상기 천정 슬라브와 대응하도록 서포트를 바닥 슬라브에 고정한 후, 상기 서포트 상부에 천정 슬라브 거푸집을 형성하는데, 이는 상기 서포트 상부에 각목의 지지체를 격자형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 상부에 지지판을 안착시켜 고정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철근이 철근받침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된다.
그러나 상기의 과정으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천정 슬라브의 시공이 완료되면, 서포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천정 슬라브의 양생시 콘크리트와 밀착된 지지판의 해체작업을 천정 거푸집 아래서 해야 하므로 지지판과 지지체가 동시에 떨어져 협착사고나 충격에 의해 파손되고, 이로 인해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되면서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공사비의 증가는 물론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정 슬라브의 형성 및 해체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진행되므로 공사소음의 발생함과 아울러 과다한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의 저하로 인해 공기의 지연 및 비용의 증가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와 와이어에 의한 천정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함과 아울러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금속의 천정거푸집을 하강 시키므로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는,
천정거푸집이 서포트에 안착되는 천정 슬라브로서,
상기 서포트에 안착되면서 결합공이 관통된 천정거푸집과;
상기 천정거푸집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고정너트로 고정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가 고정된 천정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천정 슬라브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작동부재에서 풀리면서 고정볼트 내부로 돌출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으로 풀어지는 와이어에 의해 천정거푸집이 자중에 의해 하강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천정거푸집 해체 방법은,
고정볼트가 천정거푸집의 결합공에 돌출되도록 결합하고, 돌출된 고정볼트에 고정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볼트가 고정된 천정거푸집을 바닥 슬라브의 서포트에 안착하는 단 계와;
상기 천정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천정 슬라브를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볼트 상부에 지지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작동부재의 와이어를 고정볼트의 관통공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너트를 고정볼트에서 분리한 후, 상기 고정볼트를 천정거푸집의 결합공에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으로 풀어지는 와이어에 의해 천정거푸집이 자중으로 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와 와이어에 의한 천정거푸집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비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소음의 발생을 차단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정 슬라브를 형성한 금속의 천정거푸집을 와이어에 의해 바닥 슬라브로 하강 이동시켜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므로 재활용이 가능하면서도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는, 천정거푸집이 서포트에 안착되는 천정 슬라브(100)로서, 상기 서포트(110)에 안착되면서 결합공(121)이 관통된 천정거푸집(120)이 구성되며, 상기 천정거푸집(120)의 결합공(121)에 결합되어 고정너트(130')로 고정되는 고정볼트(13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볼트(130)가 고정된 천정거푸집(12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천정 슬라브(100)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재(14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140)에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작동부재(160)에서 풀리면서 고정볼트(130) 내부로 돌출되는 와이어(150)가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15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동부재(160)의 회전으로 풀어지는 와이어(150)에 의해 천정거푸집(120)이 자중에 의해 하강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볼트(130)는, 상기 와이어(150)를 내장하도록 몸체(131) 내부에 관통된 관통공(132)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131)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33)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31)의 상단부는 상부가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3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볼트(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134)에 돌출되는 볼트머리 부(13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고정볼트(1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134)에 관통되는 체결안내공(136)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천정거푸집(120)의 결합공(121)과 동일 선상으로 천정 슬라브(100) 상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지지편(141)(14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편(141)에 작동부재(160)의 와이어(150) 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142)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편(141')에 작동부재(160)의 와이어(150) 회전을 안내하는 로울러(14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재(160)의 회전으로 하강되어 안착된 천정거푸집(120)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거푸집(120)의 결합공(121)에 고정볼트(130)의 몸체(131)를 결합하는데, 상기 고정볼트(130)의 나사산(133)이 결합공(121)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경사면(134)이 결합공(121)에 걸려 이동하지 않도록 결합한 후, 상기 결합공(121)으로 돌출된 고정볼트(130)의 나사산(133)에 고정너트(13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천정거푸집(120)은 일정한 규격의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면서 고정너트(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볼트(130)가 고정된 천정거푸집(120)을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로 들 어올려 바닥 슬라브(100')에 위치한 서포트(110) 상부에 안착시키고, 이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결하여 천정거푸집(120)를 형성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형성된 천정거푸집(120)에 철근을 배근한 후, 천정 슬라브(100)를 형성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상기 콘크리트는 고정볼트(130)의 볼트머리부(135)나 체결안내공(136)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상면은 수평작업을 통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여 양생시킨다.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천정거푸집(120)의 각 결합공(121)에 고정된 고정볼트(130)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도록 지지부재(140)의 한 쌍의 지지편(141)(141')를 위치시키는데, 상기 지지편(141)(141')에는 고정구(142)와 로울러(143)가 각각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지지부재(14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동부재(160)에 감겨진 와이어(150)를 지지편(141')의 로울러(143)을 통해 고정볼트(130)의 관통공(132)으로 돌출되면서 천정거푸집(12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편(141)과 동일 선상의 고정볼트(130)의 관통공(132)으로 돌출시킨 후, 상기 지지편(141)의 고정구(142)에 와이어(150)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와이어(150)를 지지부재(14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부재(160)의 와이어(150)가 고정볼트(130)를 통해 지지부재(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130)의 볼트머리부(135)나 체결안내공(136)을 통해 체결력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볼트(130)의 나사산(133)이 고정너트(130')의 나사산(130a)을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경사면(134)이 콘크리트에서 분리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150)가 천정거푸집(12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천정거푸집(120)이 하강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작동부재(16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150)를 풀게되면, 상기 와이어(150)가 지지하는 금속의 천정거푸집(120)은 자중으로 와이어(150)의 풀어진 길이만큼 하강 이동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바닥 슬라브(100')와 천정 슬라브(100)의 층고가 높아도 천정 슬라브(100)로부터 천정거푸집(120)을 안전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150)에 하강하는 천정거푸집(120)은 바닥 슬라브(100')에 위치한 이송부재(170)에 안착됨과 동시에 지지부재(141)의 고정구(142)에서 와이어(150)의 고정력을 해제시킨 후, 작동부재(16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150)을 감는다.
상기 작동부재(160)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감겨지는 와이어(150)는 천정거푸집(120)의 일측 결합공(121)에서 분리된 고정볼트(130)의 관통공(132)과 상기 고정볼트(130)가 분리된 콘크리트의 구멍으로 빠져나감과 동시에 천정거푸집(120)의 타측 결합공(121)을 통해 상기 타측 결합공(121)에서 고정볼트(130)가 분리된 콘크리트의 구멍 및 상기 고정볼트(130)의 관통공(132)으로 빠져나가면서 작동부재(160)에 권취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천정거푸집(120)이 안착된 이송부재(170)는 바닥 슬라브(100') 가장자리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천정 슬라브(100) 상면으로 리프팅한 후,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천정 슬라브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천정 슬라브 100': 바닥 슬라브
110: 서포트 120: 천정거푸집
121: 결합공 130: 고정볼트
132: 관통공 134: 경사면
140: 지지부재 150: 와이어
160: 작동부재 170: 이송부재

Claims (8)

  1. 천정거푸집이 서포트에 안착되는 천정 슬라브로서,
    상기 서포트에 안착되면서 결합공이 관통된 천정거푸집과;
    상기 천정거푸집의 결합공에 결합되어 고정너트로 고정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가 고정된 천정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천정 슬라브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부가 고정되도록 작동부재에서 풀리면서 고정볼트 내부로 돌출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으로 풀어지는 와이어에 의해 천정거푸집이 자중에 의해 하강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볼트는,
    상기 와이어를 내장하도록 몸체 내부에 관통된 관통공과;
    상기 몸체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몸체의 상단부는 상부가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에 돌출되는 볼트머리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에 관통되는 체결안내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상기 천정거푸집의 결합공과 동일 선상으로 천정 슬라브 상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작동부재의 와이어 단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와;
    상기 지지편에 작동부재의 와이어 회전을 안내하는 로울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으로 하강되어 안착된 천정거푸집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7. 고정볼트를 천정거푸집의 결합공에 돌출되도록 결합하여 고정너트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볼트가 고정된 천정거푸집을 바닥 슬라브의 서포트에 안착하는 단계와;
    상기 천정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천정 슬라브를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상면에 고정볼트와 동일 선상으로 지지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재와 고정볼트에 작동부재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볼트를 회전시켜 고정너트 및 천정거푸집의 결합공에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천정거푸집의 결합공에서 고정볼트가 분리되면, 작동부재의 회전으로 풀어지는 와이어에 의해 천정거푸집이 자중으로 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거푸집 해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으로 하강되어 안착된 천정거푸집을 이송부재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거푸집 해체 방법.
KR1020090038052A 2009-04-30 2009-04-30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 KR100925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052A KR100925548B1 (ko) 2009-04-30 2009-04-30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052A KR100925548B1 (ko) 2009-04-30 2009-04-30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548B1 true KR100925548B1 (ko) 2009-11-06

Family

ID=4156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052A KR100925548B1 (ko) 2009-04-30 2009-04-30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698B1 (ko) 2010-08-19 2010-11-25 황그림 천장시공을 위한 유로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235A (ja) 1998-01-27 1999-08-03 Kiyoshi Watabe コンクリート天井面の鉄板補強工法およびそのウインチ
KR100227537B1 (ko) 1997-10-09 1999-11-01 김헌출 대형판 거푸집 및 동바리 현수식 역타설 거푸집 공법
KR20040104218A (ko) * 2003-06-03 2004-12-10 삼지건설(주) 싱크다운 공법의 지하층 슬라브 시공방법
KR100695877B1 (ko) 2005-11-15 2007-03-19 이병영 탈착형 코너폼이 장착된 거푸집 및 그 사용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537B1 (ko) 1997-10-09 1999-11-01 김헌출 대형판 거푸집 및 동바리 현수식 역타설 거푸집 공법
JPH11210235A (ja) 1998-01-27 1999-08-03 Kiyoshi Watabe コンクリート天井面の鉄板補強工法およびそのウインチ
KR20040104218A (ko) * 2003-06-03 2004-12-10 삼지건설(주) 싱크다운 공법의 지하층 슬라브 시공방법
KR100695877B1 (ko) 2005-11-15 2007-03-19 이병영 탈착형 코너폼이 장착된 거푸집 및 그 사용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698B1 (ko) 2010-08-19 2010-11-25 황그림 천장시공을 위한 유로폼
WO2012023666A1 (ko) * 2010-08-19 2012-02-23 Hwang Geu-Rim 천장시공을 위한 유로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074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구조 및 이의 해체방법
JP5051591B2 (ja) 床版用プレキャストpc板架設装置及びその架設方法
CN103485530B (zh) 一种专用于高层建筑的组合式楼梯的钢模板及其组装方法
CN204435820U (zh) 自稳卡固式电梯井移动操作平台
KR100956148B1 (ko) 천정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정 시공방법
KR101812230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KR102144434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KR100925548B1 (ko) 천정거푸집 해체 장치 및 방법
JP2010242308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構造高層建物の解体工法及びコンクリートスラブ解体装置
KR101356369B1 (ko) 바닥 테이블 폼 인양 장치
KR102294219B1 (ko) 가이드부재를 갖는 자동 거푸집 인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거푸집 인양 방법
KR101328663B1 (ko) 천정 슬라브의 거푸집패널 해체장치 및 방법
KR101978599B1 (ko) 갱폼 고정구
KR101586975B1 (ko) 콘크리트 슬라브 거푸집의 받침장치
CN215367833U (zh) 施工电梯短附墙装置
KR20150060071A (ko) 삽입형 핀 지그
CN203320922U (zh) 电梯井模板定型支撑装置
CN103950811A (zh) 复杂外型建筑结构的人货梯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US8480060B2 (en) Crane cable roller assembly
JP4852465B2 (ja) ドーム状屋根の吊上げ装置、ドーム状屋根の吊上げ装置群、およびドーム状屋根の構築方法
KR200259433Y1 (ko) 콘크리트건물 엘리베이터통로시공용 거푸집장치
JP2017073842A (ja) 移動用ケーブル架台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N205444550U (zh) 一种连接件及外墙板安装节点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