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411B1 -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 Google Patents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411B1
KR100925411B1 KR1020090034238A KR20090034238A KR100925411B1 KR 100925411 B1 KR100925411 B1 KR 100925411B1 KR 1020090034238 A KR1020090034238 A KR 1020090034238A KR 20090034238 A KR20090034238 A KR 20090034238A KR 100925411 B1 KR100925411 B1 KR 100925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base
space
stand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균
함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신라조경
금강종합조경(주)
정우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라조경, 금강종합조경(주), 정우개발(주) filed Critical (주)신라조경
Priority to KR102009003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4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1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직부(21), 상기 제1수직부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된 연결부(22),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부측으로 절곡된 제2수직부(23)를 포함하는 스탠드부(20);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 및 상기 스탠드부의 연결부와 제2수직부가 이루는 공간부에 끼워져 상기 스탠드부를 지지하는 서포터(30)로 이루어져,
하천 사면(斜面)에 대한 하중보강과 함께 사면이 하천수에 의해 쓸려 내려가는 침식(浸蝕)을 방지하고, 상기 서포터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스탠드부에 경사지게 배열되도록 하여 하천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또 하천수가 정체되거나 정체된 부분에서 소용돌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베이스에 어패류(魚貝類)나 수초를 위한 서식공간인 어소(漁所)를 마련하고, 상기 서포터에 어패류의 이동 및 하천수가 통과되기 위한 어도(魚道)를 마련한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에 관한 것이다.
블록, 블록, 호안, 식생, 생태, 지지편, 서포터, 어소(漁所), 어도(魚道)

Description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ECOLOGY BLOCK}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형성된 스탠드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스탠드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스탠드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로 이루어져 하천 사면(斜面)에 대한 하중보강과 함께 사면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친환경 생태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스탠드부 사이에 상기 서포터를 끼우고, 이를 다시 경사지게 배열하며 아울러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어 조립이 쉬우며 시공성이 우수하고,
또 경사진 서포터를 통해 하천수가 정체되거나 소용돌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하천수의 원활한 흐름을 제공하며,
또 어소와 어도를 마련하여 어패류나 수초 등의 생태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생태블럭에 관한 것이다.
하천 사면(斜面)에 설치 시공되는 생태블럭은 사면에 대한 하중보강과 함께 사면이 하천수에 의해 쓸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어패류(魚貝類)를 위한 어소(漁所)나 어도(魚道) 뿐만 아니라, 수초 등을 위한 서식지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하천의 생태 환경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459611호(2004.11.23.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어소를 갖는 호안블록』에서는
하천의 법면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그 상측으로 일반 호안블록이 설치되게 한 삼각형 단면형태를 갖는 블록본체의 어소를 갖는 호안블록에 있어서, 전면판, 후면판 및 바닥판 사이에 어소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되, 상기 전면판에는 상기 어소 내부와 연통되게 다수의 통로를 형성하고 후면판과 바닥판에는 각각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며 후면판 외측에는 연결핀을 설치하여 연결편에 의해 블록본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갖도록 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이 접하는 꼭지부에 형성된 단턱에 일반 호안블록이 설치되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은 일자(-) 형태로 배열된 호안블록 내에 상기 어소 또한 연통된 형태를 취하고 있어 특히 홍수 등에 의해서 유속이 빨라진 하천수가 상기 어소로 유입되어 휘저으면서 쓸고 내려가면 서식하고 있던 수초가 상하거나, 어패류 또는 이들의 알 등이 함께 쓸려 떠내려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 호안블록의 측단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고, 특히 후면판이 토압 하중에 취약한 구조이기 때문에, 호안블록이 손상되는 경우 축조물이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형성된 스탠드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스탠드부 사이에 끼워져 상기 스탠드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로 이루어져, 시공이 간편하며, 사면의 하중 보강 및 하천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게 되는 친환경 생태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끼워진 서포터를 경사지게 배열되도록 하여 하천수와의 충격을 완화시킴은 물론, 하천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하천수가 정체되거나 정체된 부분에 소용돌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친환경 생태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서포터의 경사진 방향으로 서포터를 위치 이동시켜 서포터의 하부 양단부를 지지하게 하여 기립된 상태를 고정하고, 또 위치 이동된 반대 방향으로 서포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태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에 어소용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서포터에 유체 통과용 통공 및 유체 통과용 트임부를 형성하여 어패류나 수초 등에 대한 최적의 서식 공간을 마련한 친환경 생태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된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부측으로 절곡된 제2수직부를 포함하는 스탠드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 및 상기 스탠드부의 연결부와 제2수직부가 이루는 공간부에 끼워져 상기 스탠드부를 지지하는 서포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서포터의 하단에 대한 하단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부의 연결부 하부에는 상기 서포터의 상단에 대한 상단끼움부가 형성되되,
상기 상단 및 하단 끼움부는 끼워진 서포터의 후단을 기준으로 선회시켜 경사지게 배열되도록 각각 부채꼴 형태의 선회공간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선회공간부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서포터의 길이방향으로 더 확장된 진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진입된 서포터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서포터와 상기 선회공간부의 접면에 각각 철부(凸部)와 요부(凹部)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어소(漁所)용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포터는 내부에 유체 통과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서포터는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이들 모두에 유체 통과용 트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시공이 용이한 생태블럭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형성된 스탠드부를 통해 하천 사면에 대한 하중 보강과 사면의 침식을 방지하고,
상기 스탠드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하천수 흐름에 맞게 경사지게 배열하여 원활한 하천수의 흐름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스탠드부에 상기 서포터가 경사지게 배열 고정될 수 있는 형태의 홈을 형성하여 별도의 고정부재 마련 없이 조립할 수 있어 시공 공기(工期)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상기 스탠드부의 형상을 상부측은 'I'자 형태이면서 하부측은 이와 연결된 ' ㄱ'자 형태를 취하고 있고,
특히 'ㄱ'자 형태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패류나 수초 등을 위한 생태환경 조성이 가능하며,
상기 서포터의 내부와 상하단 각각에 통공 및 트임부를 마련하여 하천수가 통과할 수 있음은 물론, 어패류의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 1의 생태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 2의 생태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 3의 생태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 4의 생태블럭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블럭을 이용하여 하천에 시공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을 기준으로 스탠드부의 제2수직부 측을 상부 또는 상측이라 정하고, 베이스 측을 하부 또는 하측이라 정하며, 서포터가 끼워지는 진입 측을 전부 또는 전방이라 정하고, 사면 측을 후부 또는 후방이라 정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시공이 용이한 생태블럭은,
크게 베이스(10), 스탠드부(20) 및 서포터(3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10)는
하천 사면(斜面) 측의 바닥에 배열되는 것으로,
전방측이 후방측에 비하여 더 높게 형성되고,
상부에 어소용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스탠드부(2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면과 접하여 하중을 보강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직부(21),
상기 제1수직부(21)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된 연결부(22), 그리고
상기 연결부(22)에서 상부측으로 절곡된 제2수직부(2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터(30)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 및 상기 스탠드부(20)의 연결부(22)와 제2수직부(23)가 이루는 공간부(S)에 끼워져 상기 스탠드부(20)를 지지하는 것으로,
내부에 유체 통과용 통공(31)이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이들 모두에 유체 통과용 트임부(32)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체라 함은 하천수, 공기, 부유물 등을 포괄하여 의미한다.
이상의 구성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태블럭은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살펴보면,
구현예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구현예 1에 따른 생태블럭(B1)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상기 서포터(30)의 하단에 대한 하단끼움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부(20)의 연결부(22) 하부에 상기 서포터(30)의 상단에 대한 상단끼움부(231)가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부(20)의 제1수직부(21) 전단부에 상기 서포터(30)의 후단부에 대한 끝단끼움부(211)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상단끼움부(231), 상기 하단끼움부(12) 및 상기 끝단끼움부(211)에 끼워진 서포터(30)는 상기 스탠드부(20)를 지지하게 된다.
구현예 2
상기 구현예 1에서 유체의 흐름 방향과 직교되게 상기 서포터(30)가 배열되어 있어 유체의 충격을 그대로 서포터(30)에 가하게 되어 손상을 입힐 수 있고, 유체가 정체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터(30)에 통공(31)과 트임부(32)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홍수 등에 의해서 유체의 유속이 빠를 경우 상기 통공(31)과 상기 트임부(32) 만으로는 미흡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고자,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현예 2에 따른 생태블럭(B2)은,
상기 상단 및 하단 끼움부(231, 12) 각각에 부채꼴 형태의 선회공간부(12a)가 더 형성되고,
상기 상단 및 하단 끼움부(231, 12)에 끼워진 상태의 상기 서포터(30) 후단부를 기준으로 서포터(30) 전단부가 호(弧)를 그리며 선회되고, 결국 상기 선회공간부(12a)에 위치하게 되어 유체의 흐름방향에 대해 하천 안쪽으로 경사지게 배열된다.
따라서 유체의 유속이 빠르더라도 부드럽게 상기 서포터(30)의 경사면을 따라 하천 안쪽으로 흐를 수 있어 원활한 유체의 흐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상기 상단끼움부(231)에 형성된 선회공간부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하단끼움부(12)의 선회공간부(12a)와 상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현예 3
상기 구현예 2에서 상기 서포터(30)가 경사지게 배열됨으로써, 원활한 유체의 흐름을 제공할 수 있으나,
상기 서포터(30)의 하부 양단 중 일단 만이 상기 선회공간부(12a) 일단 벽면과 접하고 있어
결국 상기 서포터(30)는 선회 반대 방향으로 쓰러질 수 있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고자,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현예 3에 따른 생태블럭(B3)은,
상기 각 선회공간부(12a)에는 상기 서포터(30)의 설치방향으로 더 확장된 진입공간부(12b)가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선회공간부(12a) 내에서 선회되어 경사지게 설치된 서포터(30)의 설치방향('경사지게 설치된 서포터의 길이방향'과 같은 의미임)이면서 벽면 반대쪽(하천의 내측)으로 진입공간부(12b)를 더 확장하고, 상기 진입공간부(12b)로 서포터(30)를 위치 이동시켜,
삭제
상기 진입공간부(12b)의 양측 벽면에 상기 서포터(30)의 하부 양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상기 스탠드부(20)에 형성된 진입공간부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하단끼움부(12)의 선회공간부(12a)에 형성된 상기 진입공간부(12b)와 상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현예 4
상기 구현예 3에서 상기 서포터(30)가 상기 진입공간부(12b)로 위치 이동되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고정되어 있지 않아 진입 반대 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고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구현예 4에 따른 생태블럭(B4)은,
진입된 서포터(30)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서포터(30)와 상기 선회공간부(12a)의 접면에 각각 철부(凸部)(33)와 요부(凹部)(13)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선회공간부(12a)에 경사지게 배열된 서포터(30)는 상기 진입공간부(12b)로 이동되다가 상기 철부(33)가 상기 요부(13)에 안착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포터(3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태블럭을 하천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어소용 공간부(11)에 시공시 얻은 흙이나 자갈 등을 채워 넣어 수초의 식생이 가능하고,
어패류가 서식하거나 알을 낳을 수 있는 서식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서포터(30)의 트임부(32)를 통해 인접한 어소용 공간부(11) 끼리의 유통이 가능하여 유체 및 어패류 등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생태블럭은 수변식물과 수생식물 등을 식재하여 생태환경 조성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자연형 제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 1의 생태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 2의 생태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 3의 생태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 4의 생태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일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태블럭을 이용하여 하천에 시공된 것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11 : 어소용 공간부 12 : 하단끼움부
12a : 선회공간부 12b : 진입공간부
13 : 요부
20 : 스탠드부
21 : 제1수직부 211 : 끝단끼움부
22 : 연결부 23 : 제2수직부
231 : 상단끼움부
30 : 서포터
31 : 통공 32 : 트임부
33 : 철부
S : 공간부

Claims (4)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에서 전방측으로 절곡된 연결부,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서 상부측으로 절곡된 제2수직부를 포함하는 스탠드부;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 및 상기 스탠드부의 연결부와 제2수직부가 이루는 공간부에 끼워져 상기 스탠드부를 지지하는 서포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서포터의 하단에 대한 하단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부의 연결부 하부에는 상기 서포터의 상단에 대한 상단끼움부가 형성되되,
    상기 상단 및 하단 끼움부는 끼워진 서포터의 후단을 기준으로 선회시켜 경사지게 배열되도록 각각 부채꼴 형태의 선회공간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선회공간부(12a)에는, 상기 선회공간부 내에서 선회되어 경사지게 설치된 서포터(30)의 길이 방향으로 더 확장된 진입공간부(12b)가 형성되고,
    진입된 서포터(30)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서포터와 상기 선회공간부의 접면에 각각 철부(凸部)(33)와 요부(凹部)(13)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어소(漁所)용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포터는 내부에 유체 통과용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 상기 서포터는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이들 모두에 유체 통과용 트임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KR1020090034238A 2009-04-20 2009-04-20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KR100925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238A KR100925411B1 (ko) 2009-04-20 2009-04-20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238A KR100925411B1 (ko) 2009-04-20 2009-04-20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411B1 true KR100925411B1 (ko) 2009-11-06

Family

ID=4156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238A KR100925411B1 (ko) 2009-04-20 2009-04-20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4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6847A (ja) * 1993-12-08 1995-08-15 Hokukon:Kk 魚巣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る水路構造
KR200272979Y1 (ko) 2002-01-31 2002-04-20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인공 하천에 장착되는 어소 블럭
KR100719520B1 (ko) 2004-08-31 2007-05-21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어소겸용 식생블럭
KR20110100824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화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6847A (ja) * 1993-12-08 1995-08-15 Hokukon:Kk 魚巣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る水路構造
KR200272979Y1 (ko) 2002-01-31 2002-04-20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인공 하천에 장착되는 어소 블럭
KR100719520B1 (ko) 2004-08-31 2007-05-21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어소겸용 식생블럭
KR20110100824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화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411B1 (ko) 조립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생태블럭
KR101136661B1 (ko) 어도블럭 조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0538A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KR100581529B1 (ko) 친환경적인 하천의 생태보호블록 설치구조
JP2008025119A (ja) 水際用ブロック
KR20050105137A (ko) 어소 및 옹벽겸용블럭과 그 시공방법
KR100668128B1 (ko) 하천의 바닥에 설치되는 유속저감 및 어류서식블럭
KR100703609B1 (ko) 수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하천제방의 옹벽
KR100635985B1 (ko) 지지력을 향상시킨 블록 세트
KR100445216B1 (ko) 식생 호안블록
KR20090129718A (ko) 생태보호형 보강 수로
JP2008156886A (ja) 魚道付き護岸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魚道付き護岸面の構築方法
KR100547001B1 (ko) 친환경적인 생태형 호안 블록 구조
KR100492078B1 (ko) 방파기능을 가지는 옹벽식 조립 호안구조
KR102426108B1 (ko)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JP3984427B2 (ja) 河川ダム及びこれを用いた河川システム
KR100658439B1 (ko) 하천용 어소블록 구조물
KR100523317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원통형 물고기 집 블록을 이용한제방축대 설치구조
KR200262760Y1 (ko) 물고기 보호를 위한 호안기초 사각박스 구조
KR100566490B1 (ko) 어소블럭
KR100676165B1 (ko) 하천의 친환경 생태블록
CN217399525U (zh) 一种组合式透水生态护岸
KR20030031345A (ko)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
KR20130018003A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