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345A -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 - Google Patents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345A
KR20030031345A KR1020010063437A KR20010063437A KR20030031345A KR 20030031345 A KR20030031345 A KR 20030031345A KR 1020010063437 A KR1020010063437 A KR 1020010063437A KR 20010063437 A KR20010063437 A KR 20010063437A KR 20030031345 A KR20030031345 A KR 20030031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iver
fish
pres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9611B1 (ko
Inventor
정상영
Original Assignee
정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영 filed Critical 정상영
Priority to KR10-2001-0063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6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등의 절개지 법면 최하단에 설치되는 호안블럭 내에 어개류(魚介類)의 생태환경에 적합하도록 작은 수로 역할을 하는 어소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호안블럭 내부를 자연스럽게 하천수가 흐르는 하천과 동일한 상태가 되게 하여 각종 수초나 어개류의 생태계가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어소가 하천수로와 별도 형성되게 하여 홍수 등의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량이 감소하더라도 어개류의 생태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하천의 법면 하단에 연결수단(2)에 의해 다수 연결되게 설치되어 그 상측으로 일반 호안블럭(a)이 다수 설치되게 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A)에 있어서, 대략 삼각형 단면형태를 갖는 블럭본체(1)의 전, 후면판(11)(12)과 바닥판(13) 사이에 일정크기의 공간부로 되는 어소(14)가 형성되게 하되, 전면판(11)에는 상기 어소(14) 내부와 연통되게 다수의 통로(11a)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이다.

Description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shore protection block with aqueduct}
본 발명은 어소(魚巢)를 갖는 호안(護岸)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등의 절개지 법면 최하단에 설치되는 호안블럭 내에 어개류(魚介類)의 생태환경에 적합하도록 작은 수로 역할을 하는 어소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호안블럭 내부를 자연스럽게 하천수가 흐르는 하천과 동일한 상태가 되게 하여 각종 수초나 어개류의 생태계가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어소가 하천수로와 별도 형성되게 하여 홍수 등의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량이 감소하더라도 어개류의 생태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법면에는 법면에 대한 하중보강과 함께 법면이 하천수에 의해 함께 쓸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법면에 대한 미감을 좋게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되는 다수의 콘크리트재 또는 석재 호안블럭을 하천양측으로 조적 설치하여 견고한 상태로 하천의 법면이 축조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하천의 법면에 다수 조적 설치되는 종래의 호안블럭은 표면에 특정문양을 갖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평판형태로 되는 것이므로, 이들 호안블럭을 이용하여 하천의 법면을 형성되게 하는 경우, 하천바닥에 근접되도록 하천수에 일정부분 잠기는 상태로 설치되는 호안블럭에 어떠한 어소나 어개류의 서식을 도울만한 수로 등이 형성될 수 없는데 따라 하천바닥 가장자리에 어개류나 수초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없어 하천의 생태환경이 파괴될 수 밖에 없는 문제와 함께 홍수 등에 의해 하천수의 수량이 갑자기 늘어나는 경우 하천수의 유속이 빨라지면서 토사의 유입도 늘어나게 되어 어개류의 생태환경은 더욱 파괴될 수 밖에 없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지 표면에 특정문양의 돌출부가 형성된 평판형태로 되어 어개류나 수초의 생육에 그다지 도움을 줄 수 없었던 종래의 호안블럭이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천의 양법면에 설치되는 호안블럭 중 하천수로 바닥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최하부의 호안블럭을 구성함에 있어, 호안블럭 내부에 수로역할을 하는 별도의 어소가 형성되게 하고 전면판에는 어소에 대한 물고기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다수의 통과공을 형성함으로써 풍수기나 갈수기때 하천에 서식하는 어개류 및 각종 수초의 생태환경을 항상 최적의 자연상태로 유지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예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블럭본체2:연결수단
11:전면판11a:통로
12:후면판13:바닥판
14:어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은, 하천의 법면 하단에 연결수단(2)에 의해 다수 연결되게 설치되어 그 상측으로 일반 호안블럭(a)이 다수 설치되게 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A)에 있어서, 대략 삼각형 단면형태를 갖는 블럭본체(1)의 전, 후면판(11)(12)과 바닥판(13) 사이에 일정크기의 공간부로 되는 어소(14)가 형성되게 하되, 전면판(11)에는 상기 어소(14) 내부와 연통되게 다수의 통로(11a)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A)은, 전면판(11)이 후면판(12)과 바닥판(13)으로부터 탈, 부착 가능하게 분리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A)은, 상기 후면판(12)이 전면판(12)과 바닥판으로부터 탈, 부착 가능하게 분리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의 대표적인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의 대표적인 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의 대표적인 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의 대표적인 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콘크리트재로 되어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부로 되는 어소(14)를 갖는 본체(1)로 된다.
상기한 본체(1)는 그 측단면 형태가 대략 삼각형을 이루도록 정면판(11), 후면판(12) 및 바닥판(1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천측을 지향하는 전면판(11)에는 내측의 어소(14)와 연통되게 일정크기를 갖는 통로(11a)를 다수 형성하여 이 통로(11a)를 통해 본체(1) 내부의 어소(14)에 대한 하천수의 유입, 유출 및 물고기의 출입이 자유롭도록 하고있으며, 상기 후면판(12)과 바닥판(13)에는 각각 다수의 작은통공(12a)(13a)을 형성하여 수초의 생육을 도와 어소(14) 내부의 생태환경을 어개류의 서식에 알맞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A)의 설치 실시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하천의 수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법면 하단의 수로 바닥측으로 본 발명의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A)을 다수 연이어 설치되게 하는 것인바, 이는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호안블럭(A)을 이루는 블럭본체(1)의 후면판(12)을 연결편과 연결핀으로 되는 연결수단(2)으로 서로 연결하는 식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이어지게 다수 설치되게 하면 하천측으로 다수의 통로(11a)가 형성되게 본 발명의 호안블럭(A)이 설치 완료되는 것으로, 이때, 이렇게 설치 완료된 본 발명의 호안블럭(A) 내부에 형성되는 어소(14) 내에 선택적으로 작은 돌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후 하천의 법면 하단에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A) 상측의 법면에 다양한 문양을 갖는 일반 호안블럭(a)을 반복하여 설치하게되면 하천의 법면에 대한 본 발명의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A) 및 기존 호안블럭(a)의 설치는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하천으로 물이 유입되어 일정깊이만큼의 유량으로 하천수가 흐르게되면 흐르는 하천수는 법면의 최하부, 즉 하천 바닥면측에 근접되게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호안블럭(A)의 전면판(11)에 형성된 다수의 통로(11a)를 통해 내부의 어소(14) 내로 유입되어 하천수로와 함께 흐르게 됨과 동시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천수가 흐르는 어소(14) 내부에는 후면판(12)과 바닥판(13)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통공(12a)(13a)을 통해 각종 수초 등이 자라나게 됨과 동시에 하천수에 서식하는 미생물들과 함께 각종 어개류 등이 하천수로와 어소(14) 내부를 넘나들며 서식 가능하게되어 어개류의 생태환경을 자연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하천수로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홍수시에도 유속의 변화가 거의 없는본 발명에 의한 호안블럭(A)의 어소(14) 내에서 어개류가 서식할 수 있게되므로 어개류의 생태환경은 변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어소(14)가 하천수로의 바닥 양측으로 근접되게 위치됨으로 인해 하천수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어소(14) 내에는 항상 하천수가 공급되는 상태로 되므로 어개류의 생태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호안블럭(A)을 이루는 본체(1)를, 전면판(11), 후면판(12) 및 바닥판(13)이 서로 연결된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예와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판(12)과 바닥판(13)은 일체로 연결되게 하고 전면판(11)은 탈 부착 가능한 분리상태로 구성하여 이 전면판(11)을 별도의 고정구(3)에 의해 후면판(12)과 바닥판(13)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여 어소(14)를 갖는 하나의 호안블럭(A)으로서 구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는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판(11)과 바닥판(13)은 일체로 연결되게 하고 후면판(12)은 탈 부착 가능한 분리상태로 구성하여 이 후면판(12)을 별도의 고정구(3)에 의해 전면판(11)과 바닥판(13)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여 역시 내부에 어소(14)를 갖는 또 하나의 호안블럭(A)으로서 구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A)의 제작, 운반 및 현장에서의 설치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실시형태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에 의하면, 하천수로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양법면 하단에 설치되는 호안블럭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부로 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어소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하천수로를 흐르는 하천수가 호안블럭 어소 내부를 함께 흐르도록 함으로써 이 어소 내부에서 하천수에 서식하는 각종 어개류와 다양한 미생물 및 수초 등이 함께 서식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해 하천의 생태환경을 장기간에 걸쳐 보존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친환경적인 인간생활이 가능하게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하천의 법면 하단에 연결수단(2)에 의해 다수 연결되게 설치되어 그 상측으로 일반 호안블럭(a)이 다수 설치되게 한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A)에 있어서,
    삼각형 단면형태를 갖는 블럭본체(1)의 전, 후면판(11)(12)과 바닥판(13) 사이에 일정크기의 공간부로 되는 어소(14)가 형성되게 하되, 전면판(11)에는 상기 어소(14) 내부와 연통되게 다수의 통로(11a)를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1)이 후면판(12)과 바닥판(13)으로부터 탈, 부착 가능하게 분리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12)이 전면판(12)과 바닥판(13)으로부터 탈, 부착 가능하게 분리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
KR10-2001-0063437A 2001-10-15 2001-10-15 어소를 갖는 호안블록 KR10045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437A KR100459611B1 (ko) 2001-10-15 2001-10-15 어소를 갖는 호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437A KR100459611B1 (ko) 2001-10-15 2001-10-15 어소를 갖는 호안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402U Division KR200262757Y1 (ko) 2001-10-15 2001-10-15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345A true KR20030031345A (ko) 2003-04-21
KR100459611B1 KR100459611B1 (ko) 2004-12-03

Family

ID=2956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437A KR100459611B1 (ko) 2001-10-15 2001-10-15 어소를 갖는 호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6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47B1 (ko) * 2007-05-09 2007-07-27 주식회사 삼경 하천의 생태계 보존을 위한 피난 산란처를 제공하는어소블록
KR100770280B1 (ko) * 2007-07-06 2007-10-25 이창근 하천 법면에 축조된 어소블록 상면의 식생구조
CN116019060A (zh) * 2023-02-28 2023-04-28 南通理工学院 用于甲鱼养殖的生态混凝土预制件及其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693B1 (ko) 2006-03-14 2007-01-10 이근희 호안기초 기능을 구비한 어소블록
KR101685153B1 (ko) 2014-09-05 2016-12-09 일심석재건설(주) 생태통로가 구비된 역방향 하천 기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0126A (en) * 1978-01-25 1979-08-07 Nikken Create Kk Embankment block serving also as fishhgathering pla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47B1 (ko) * 2007-05-09 2007-07-27 주식회사 삼경 하천의 생태계 보존을 위한 피난 산란처를 제공하는어소블록
KR100770280B1 (ko) * 2007-07-06 2007-10-25 이창근 하천 법면에 축조된 어소블록 상면의 식생구조
CN116019060A (zh) * 2023-02-28 2023-04-28 南通理工学院 用于甲鱼养殖的生态混凝土预制件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9611B1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288731A (ja) 堰堤の構造お及び河川水の水質浄化工法
KR100541838B1 (ko) 유속 감소용 하천 저면의 호안 블록 설치구조
KR100459611B1 (ko) 어소를 갖는 호안블록
JP2010065473A (ja) テラス構造付き護岸構造体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KR200262757Y1 (ko) 어소를 갖는 호안블럭
KR20000007004A (ko) 중소하천의 어족(魚族)보호와 양서류(兩棲類)의이동통로를 가진 낙차공과 호안의 시공방법.
KR200262758Y1 (ko) 어소를 갖는 조립식 호안블럭
JPH05302312A (ja) 生態系改善型護岸構造
KR20030046380A (ko) 초류식생블록
JPH05118017A (ja) 生態系保全水路ブロツク
KR102052926B1 (ko)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
JPS62160310A (ja) 護岸用コンクリ−トブロツク
KR20060132233A (ko) 생태보존형 낚시용 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90012420A (ko) 어소블록
KR101739292B1 (ko) 복합 인공어초
KR200298530Y1 (ko) 어초블록
KR100606259B1 (ko) 하천 호안기초 생태계 보호블록 설치구조
KR200286236Y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원통형 물고기 집 블록을이용한 제방축대 설치구조
KR200244419Y1 (ko) 자연형 어소블럭
KR100523317B1 (ko)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원통형 물고기 집 블록을 이용한제방축대 설치구조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JP2739561B2 (ja) 魚巣ブロック
KR100658439B1 (ko) 하천용 어소블록 구조물
KR200163472Y1 (ko) 자연형호안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